KR20190112169A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169A
KR20190112169A KR1020197027367A KR20197027367A KR20190112169A KR 20190112169 A KR20190112169 A KR 20190112169A KR 1020197027367 A KR1020197027367 A KR 1020197027367A KR 20197027367 A KR20197027367 A KR 20197027367A KR 20190112169 A KR20190112169 A KR 2019011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discharge
beverage
lid member
co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마츠 베지터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마츠 베지터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마츠 베지터블
Publication of KR2019011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음료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살균소독될 수 있어 위생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 소정량의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2), 소정의 조작을 통해 수용 수단(2) 내에 수용된 음료의 임의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 수단(3,4), 및 토출 수단(3,4)의 적어도 토출구(3b, 4b)가 덮여져 외기로부터 차폐 가능한 차폐 상태와 토출 수단(3,4)의 적어도 토출구(3b, 4b)가 외부에 개방된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덮개 부재(H)를 포함한다.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5)이 제공되어, 당해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덮개 부재(H)로 덮여진 공간(S) 내로 도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소정의 조작을 통해 수용 수단 내에 수용된 음료의 임의의 양을 토출시켜 제공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임의의 양의 음료수 등을 제공하는 워터 서버(water server)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병이나 봉지 등)이 장치 본체에 부착되고, 콕 등에 대한 임의의 조작을 통해 토출구로부터 임의의 양의 음료수가 토출된다. 수용 수단 내의 음료수가 부족한 경우, 수용 수단이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수용 수단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일본 특개2016-84159호 공보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토출구가 외기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장치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을 때나 실내 위생 환경이 나쁜 경우 등에, 곰팡이나 세균 등이 토출구 및 그 근방에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료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살균소독될 수 있어 위생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 소정량의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 소정의 조작을 통해 상기 수용 수단 내에 수용된 음료의 임의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 수단, 및 상기 토출 수단의 적어도 토출구가 덮여져 외기로부터 차폐 가능한 차폐 상태와 상기 토출 수단의 적어도 토출구가 외부에 개방된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덮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오존 펌프, 및 상기 덮개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덮개 부재가 차폐 상태인 것을 검출할 때에만, 상기 오존 펌프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진 공간 내로 도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요동 또는 슬라이드하는 것을 통해 개폐됨으로써 상기 차폐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기 오존 펌프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음료가 상기 토출 수단에서 토출되는 토출 유로 내로 도입되고, 상기 토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을 제공한다.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덮개 부재로 덮여진 공간 내로 도입 가능하다. 그러므로, 음료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살균소독될 수 있어, 위생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토출 수단의 토출구가 덮개 부재로 덮여진 차폐 상태의 공간 내로 오존이 도입된다. 그러므로, 토출구가 오존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다.
또한,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오존 펌프가 제공되고, 당해 오존 펌프가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오존이 예를 들어 장치의 구성이나 토출 수단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서 적당 타이밍에서 송입될 수 있어, 토출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소독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이 제공되고, 당해 검출 수단이 덮개 부재가 차폐 상태인 것을 검출할 때에만, 오존 펌프가 구동된다. 그러므로,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일 때 오존이 도입되어 주위로 방산되는 경우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소독이 오존에 의해 효과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덮개 부재는 장치 본체에 대해서 요동 또는 슬라이드하는 것을 통해 개폐됨으로써 차폐 상태와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덮개 부재는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음료가 상기 토출 수단에서 토출되는 토출 유로 내로 도입시키고, 당해 토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오존 펌프를 제공한다. 또한, 오존 펌프는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토출구에 더하여, 토출 유로의 내부도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덮개 부재가 차폐 상태에 있는)로서, 도 1(a)는 수용 수단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b)는 수용 수단이 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음료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어떻게 공기가 음료 공급 장치의 수용 수단 내로 도입되는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개방 상태에 있는 덮개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음료수)인 온수와 냉수의 임의의 양을 제공할 수 있는 워터 서버에 적용된다. 도 1 및 2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이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 소정량의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2), 냉수 토출 수단(3), 온수 토출 수단(4), 오존 생성 수단(5), 오존 펌프(6), 냉수 내부 탱크(T1), 및 온수 내부 탱크(T2)를 주로 포함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장치 본체(1)는 이 음료 공급 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수용 수단(2)를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1a)가 장치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다. 냉수 토출 수단(3) 및 온수 토출 수단(4)이 부착되는 오목부(1b)가 장치 본체(1)의 정면에 형성된다. 수용 수단(2)은 소정량의 음료를 수용하는 병(용기)로 구성되어, 수용 수단(2)의 토출구(2a)가 하방으로 배향된 상태(도 2 참조)로 장치 본체(1)의 부착부(1a)에 부착된다. 따라서, 내부의 음료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수용 수단(2) 내의 음료가 소진된 경우, 수용 수단(2)은 부착부(1a)에서 수용 수단(2)을 탈착하고, 내부에 음료가 충전된 새로운 수용 수단(2)를 부착부(1a)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교환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수단(2)은 비교적 경질의 수지로 성형된 병으로 구성되지만, 비교적 연질의 수지로 성형된 가요성 봉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냉수 내부 탱크(T1) 및 온수 내부 탱크(T2)가 장치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다. 냉수 내부 탱크(T1)는 도입 유로(L1)를 통해서 수용 수단(2)과 연통되고, 토출 유로(L3)를 통해서 토출 수단(3)과 연통된다. 부착부(1a)에 부착된 수용 수단(2) 내의 소정량의 음료가 냉수 내부 탱크(T1) 내로 도입되어 수용되면서 토출 수단(3)에서 토출 가능하다. 또한, 냉수 내부 탱크(T1)는 컴프레서(10) 및 방열판(11)에 연결된 냉각 장치(9)를 포함하고, 수용 수단(2)으로부터 도입된 음료수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키고 그 냉수의 소정 용량을 수용할 수 있다.
온수 내부 탱크(T2)는 세퍼레이터(L2a)를 가진 연통 유로(L2)를 통해서 냉수 내부 탱크(T1)에 연결되고, 토출 유로(L4)를 통해서 토출 수단(4)과 연통된다. 부착부(1a)에 부착된 수용 수단(2) 내의 소정량의 음료가 냉수 내부 탱크(T1)를 통해서 온수 내부 탱크(T2) 내로 도입되어 수용되면서 토출 수단(4)에서 토출 가능하다. 또한, 온수 내부 탱크(T2)는 히터(12)를 포함하고, 수용 수단(2)으로부터 도입된 음료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시키고 그 온수의 소정 용량을 수용할 수 있다.
토출 수단(3)은 소정의 조작을 통해 토출구(3b)로부터 수용 수단(2) 내에 수용된 음료수 중에서 냉수 내부 탱크(T1) 내의 냉수의 임의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토출 수단(3)은 조작 수단으로 콕(3a)(수동 폐쇄 수단)을 포함한다. 즉, 콕(3a)을 선회시킴으로써, 냉수 내부 탱크(T1) 내의 냉수가 토출 유로(L3)에서 유출되어 토출구(3b)로부터 토출된다. 그러므로, 토출구(3b)의 하방에 컵 등의 용기를 유지시킴으로써, 그 용기 내에 냉수가 제공될 수 있다. 조작 수단은 콕(3a)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동 조작 가능한 장치 또는 전동 조작 가능한 장치의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토출 수단(4)은 소정의 조작을 통해 토출구(4b)로부터 수용 수단(2) 내에 수용된 음료수 중에서 온수 내부 탱크(T2) 내의 온수의 임의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토출 수단(4)은 조작 수단으로서 콕(4a)(수동 폐쇄 수단)을 포함한다. 즉, 콕(4a)을 선회시킴으로써, 온수 내부 탱크(T2) 내의 온수가 토출 유로(L4)에서 유출되어 토출구(4b)로부터 토출된다. 그러므로, 토출구(4b)의 하방에 컵 등의 용기를 유지시킴으로써, 그 용기 내에 온수가 제공될 수 있다. 조작 수단은 콕(4a)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동 조작 가능한 장치 또는 전동 조작 가능한 장치의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따른 냉수 내부 탱크(T1)에는, 토출 수단(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에 의해 토출된 음료수의 체적과 대체로 동등한 체적을 갖는 공기가 수용 수단(2)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해주는 공기 취입부(7)가 형성된다. 이 공기 취입부(7)의 개구부에는 에어 필터(8)가 부착된다. 따라서, 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에서 냉수 혹은 온수가 토출될 때, 그 토출량에 해당하는 양만큼 에어 필터(8)에 의해 이물질이 포착된 공기(외기)가 수용 수단(2) 내로 도입된다. 그러므로, 도 3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도입된 공기는 수용 수단(2) 내의 액체층(A)(음료) 내에서 기포의 형태로 상승하여 공기층(B)에 도달한다.
또한, 정면 오목부(1b)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토출 수단(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의 적어도 토출구(3b, 4b)가 덮여져 외기로부터 차폐 가능한 차폐 상태(도 1 및 2 참조)와 정면 오목부(1b)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토출 수단(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의 적어도 토출구(3b, 4b)가 외부에 개방되는 개방 상태(도 4 참조)를 전환시킬 수 있는 덮개 부재(H)가 장치 본체(1)에 부착된다.
이 덮개 부재(H)는 예를 들어 장치 본체(1)에 대해서 요동 또는 슬라이드하는 것을 통해 개폐됨으로써 차폐 상태와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요동 도어 또는 슬라이드 도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덮개 부재(H)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토출구(3b, 4b)의 하방에 컵 등의 용기가 재치될 수 있고, 토출 수단(3,4)의 콕(3a, 4a)이 선회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H)를 차폐 상태로 함으로써, 장치 본체(1)의 오목부(1b)에서 덮개 부재(H)로 덮여진 공간(S)이 외기로부터 대체로 밀폐된 공간으로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는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5)을 제공한다.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덮개 부재(H)로 덮여진 공간(S) 내로 도입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서, 공간(S)에 연결된 오존 유로(L5)가 제공되고, 이 오존 유로(L5)에 오존 생성 수단(5) 및 오존 펌프(6)가 부착된다. 또한, 오존 펌프(6)를 구동시킴으로써,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오존 유로(L5)를 통해서 공간(S) 내로 도입된다.
오존 생성 수단(5)는 장치 본체(1) 내에서 오존(O3)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예는 무성 방전 방식(dielectric barrier discharge system), 코로나 방전 방식(corona discharge system), 또는 몇몇 방전 방식이 조합된 복합 방전 방식(combined discharge system)의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배치시키고 전극 사이에 수천 사이클의 높은 AC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방전(무성 방전)이 유발되고, 전극 사의의 갭에 공기(또는 고농도의 산소)가 유동하게 되는 장치가 존재한다. 이 경우, 방전에 의해 생성된 가속 전자의 작용에 의해 일부 산소 분자가 2개의 산소 원자로 해리되고, 그 해리된 산소 원자가 다른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시킨다.
오존 생성 수단(5)은 방전 방식과 다른 방식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 예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광화학법에 의해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장치, 전기분해를 이용하는 전해법에 의해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장치, 및 활성탄을 이용하는 흡착 분해를 포함하는 활성탄 흡착 분해법에 의해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미생물(세균 및 진균 등)이나 취기 물질(odorant)에 작용함으로써, 살균소독 및 탈취뿐만 아니라 색소류의 탈색도 성취할 수 있다.
오존 펌프(6)는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덮개 부재(H)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S)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펌프로 이루어지며, 음료 공급 장치가 가동 중인 동안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오존 펌프(6)는 적정하게 구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H)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등으로 구성된 검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검출 수단이 덮개 부재(H)가 차폐 상태인 것을 검출할 때에만 오존 펌프(6)가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5)을 제공한다.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덮개 부재(H)로 덮여진 공간(S) 내로 도입 가능하다. 따라서, 음료수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b, 4b)가 살균소독될 수 있어, 위생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출구(3b, 4b)뿐만 아니라, 토출구(3b, 4b)로부터 콕(3a, 4a)에 의해 폐쇄되는 부위까지의 범위 내의 유로가 살균소독될 수 있다.
특히, 덮개 부재(H)로 토출 수단(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의 토출구(3b, 4b)가 덮여진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S) 내로 오존이 도입된다. 그러므로, 토출구(3b, 4b)가 오존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다. 오존 생성 수단(5) 또는 오존 펌프(6)는 장치 본체(1) 내부에 배치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치 본체(1) 외부에 배치되어 공간(S) 내로 오존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덮개 부재(H)는 장치 본체(1)에 대해서 요동 또는 슬라이드하는 것을 통해 개폐됨으로써 차폐 상태와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덮개 부재(H)는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H)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이 제공되어, 검출 수단이 덮개 부재가 차폐 상태인 것을 검출할 때에만 오존 펌프(6)가 구동되면, 덮개 부재(H)가 개방 상태일 때 오존이 도입되어 주위로 방산되는 경우를 확실히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소독이 오존에 의해 효과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덮개 부재(H)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S)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오존 펌프(6)가 제공되고, 당해 오존 펌프(6)는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오존이 예를 들어 장치의 구성이나 토출 수단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서 적정 타이밍에서 송입될 수 있고(예를 들어, 공간(S)의 용량이 클 때는 오존이 연속적으로 송입되고, 용량이 작을 때는 오존이 간헐적으로 송입된다), 토출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소독될 수 있다.
실시형태가 상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존이 공급되는 부위는 다른 적당한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오존 생성 수단(5) 및 오존 펌프(6)가 배치되는 오존 유로(L5)가 토출 수단(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에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 유로(L3, L4)에 연결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소정의 조작을 통해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V1, V2)가 토출 유로(L3, L4)에 각각 배치되고, 이 전자 밸브(V1, V2)의 하류측(토출구(3b, 4b)측)에 위치된 유로에 오존 유로(L5)가 연결된다.
상술한 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오존 펌프(6)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오존 생성 수단(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토출 수단(냉수 토출 수단(3) 또는 온수 토출 수단(4))에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 유로(L3, L4) 내로 도입되고, 토출 유로(L3, L4)를 통해서 덮개 부재(H)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S) 내로 도입된다. 또한, 오존 펌프는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토출구(3b, 4b)에 더하여, 토출 유로(L3, L4)의 내부도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냉수 토출 수단(3) 및 온수 토출 수단(4)이 각각 형성된 냉수 내부 탱크(T1) 및 온수 내부 탱크(T2)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는 내부 탱크들 중의 하나만 그리고 토출 수단들 중의 하나만이 형성된 음료 공급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수용 수단(2)은 교환 가능한 용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치 본체(1)에 고정되어 내부에 음료수를 보충 가능한 용기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음료수가 수용 수단(2) 내에 수용되지만,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장치는 커피나 차 등의 다른 종류의 음료를 수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수단(2)은 상하가 반전되어 토출구(2a)를 하방으로 배향시킨 채로 장치 본체(1)에 부착되지만, 수용 수단(2)은 토출구(2a)가 상방으로 배향된 채로 부착될 수 있어, 펌프 등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의 음료가 내부 탱크로 송입될 수도 있다.
또한, 적용 가능한 음료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냉수나 온수에 임의의 적당한 분말(커피나 분말로 가공된 차 등)을 자동적으로 혼입 및 용해시킴으로써 음료를 작성하여 제공하는 자동 판매기일 수도 있다. 제공되는 음료는 냉수나 온수뿐마 아니라 상온수, 수소수, 탄산수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장치가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오존 펌프, 및 상기 덮개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덮개 부재가 차폐 상태인 것을 검출할 때에만, 상기 오존 펌프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진 공간 내로 도입 가능하게 되기만 한다면, 다른 외관을 갖거나 부가된 다른 기능을 갖는 음료 공급 장치도 적용 가능하다.
1a 부착부
1b 오목부
2 수용 수단
3 냉수 토출 수단
3a 콕(조작 수단)
3b 토출구
4 온수 토출 수단
4a 콕(조작 수단)
4b 토출구
5 오존 생성 수단
6 오존 펌프
7 공기 취입부
8 에어 필터
9 냉각 장치
10 컴프레서
11 방열판
12 히터
L1 도입 유로
L2 연통 유로
L3, L4 토출 유로
L5 오존 유로
T1 냉수 내부 탱크
T2 온수 내부 탱크
H 덮개 부재

Claims (3)

  1. 음료 공급 장치로서:
    장치 본체;
    소정량의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
    소정의 조작을 통해 상기 수용 수단 내에 수용된 음료의 임의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 수단; 및
    상기 토출 수단의 적어도 토출구가 덮여져 외기로부터 차폐 가능한 차폐 상태와 상기 토출 수단의 적어도 토출구가 외부에 개방된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오존 펌프; 및
    상기 덮개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덮개 부재가 차폐 상태인 것을 검출할 때에만, 상기 오존 펌프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진 공간 내로 도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요동 또는 슬라이드하는 것을 통해 개폐됨으로써 상기 차폐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펌프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음료가 상기 토출 수단에서 토출되는 토출 유로 내로 도입되고, 상기 토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덮개 부재로 덮여짐으로써 차폐 상태에 있는 공간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197027367A 2017-02-21 2018-02-20 음료 공급 장치 KR20190112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9583A JP6309662B1 (ja) 2017-02-21 2017-02-21 飲料供給装置
JPJP-P-2017-029583 2017-02-21
PCT/JP2018/005860 WO2018155403A1 (ja) 2017-02-21 2018-02-20 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69A true KR20190112169A (ko) 2019-10-02

Family

ID=6190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367A KR20190112169A (ko) 2017-02-21 2018-02-20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09662B1 (ko)
KR (1) KR20190112169A (ko)
CN (1) CN110382400A (ko)
PH (1) PH12019501923A1 (ko)
WO (1) WO2018155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1797B2 (ja) * 2020-04-20 2023-04-04 株式会社スイソサム 水素水供給装置
KR102423503B1 (ko) * 2020-10-14 2022-07-21 오비오주식회사 잔류물이 제거되는 음료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4159A (ja) 2014-10-28 2016-05-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7052A (en) * 1985-12-16 1989-09-19 Ditta Cipelletti Alberto Sterilizing device for an ice-cream or similar delivering machine
JPH0320894A (ja) * 1989-06-16 1991-01-29 Sharp Corp 脱臭、殺菌機能付自動販売機
CN2505000Y (zh) * 2000-01-25 2002-08-14 林顺子 用臭氧水净化设施的冷暖饮水机
JP2003187320A (ja) * 2001-12-21 2003-07-04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CN2654006Y (zh) * 2003-10-27 2004-11-10 刘毅 防污染饮水机
JP2006341915A (ja) * 2005-06-10 2006-12-21 Ohnit Co Ltd 飲料水ディスペンサ
JP5647636B2 (ja) * 2012-03-02 2015-01-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216377A (ja) * 2012-03-16 2013-10-24 Masahiro Hanada 飲料用サーバー
CN205107363U (zh) * 2015-11-12 2016-03-30 黄勇攀 一种具有消毒烘干功能的安全饮水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4159A (ja) 2014-10-28 2016-05-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35110A (ja) 2018-08-30
WO2018155403A1 (ja) 2018-08-30
PH12019501923A1 (en) 2020-06-01
JP6309662B1 (ja) 2018-04-11
CN110382400A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9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am disinfection of liquid dispensing machine
US20160025406A1 (en) Refrigerator
KR102068864B1 (ko) 워터 서버
US20050236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EP1024116A2 (en) Water purify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urifying chlorine-containing water
ATE401813T1 (de) Brühbehälter und schäumereinheit und getränkemaschine mit solch einem brühbehälter
US20090242075A1 (en) Bottle filler
KR101427989B1 (ko) 전기분해 장치를 구비한 수소수기
JP2002163719A (ja) 飲料自動販売機及びその洗浄方法
KR20190112169A (ko) 음료 공급 장치
KR20140033181A (ko)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 공기 살균 챔버
CN109790007B (zh) 带门的收容系统以及饮料供给系统
TW201336770A (zh) 開飲機
JP2017217631A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US20070084771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JP2014189281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167405B1 (ko) 제균 기능을 갖는 밀폐형 체크밸브 디스펜서 시스템
KR100930102B1 (ko) 스팀 살균 소독기
KR20190116469A (ko) 음료 공급 장치
EP2918542B1 (en) Beverage supply device
KR101184099B1 (ko) 음료수 공급기
WO2015178440A1 (ja) 水素添加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に使用する液体容器
KR20120114569A (ko) 정수기
GB2458784A (en) Bottle filler
KR20090075981A (ko)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