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353A -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 Google Patents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353A
KR20190111353A KR1020180033386A KR20180033386A KR20190111353A KR 20190111353 A KR20190111353 A KR 20190111353A KR 1020180033386 A KR1020180033386 A KR 1020180033386A KR 20180033386 A KR20180033386 A KR 20180033386A KR 20190111353 A KR20190111353 A KR 2019011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stool
groove
easy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김유정
Original Assignee
김경훈
김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김유정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8003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353A/ko
Publication of KR2019011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separable, disposable upper body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없다.

Description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Diaper with easily fecal treatment}
본 발명은 기저귀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3987호(2012.01.12)에 중앙부가 관통되고 서로 접혀지도록 'C'자형 좌측 판체와 우측 판체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판과, 대변이 투입됨에 따라 고정판의 관통공에서 밀려 나오도록 형성된 대변 수집봉지 및 접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항문에 착용할 수 있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체용 대변 수집기를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유아에게 단독으로 착용시킬 경우, 대변만 처리 가능하고 소변은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552호(2011.03.07)에 뇨 수집컵이나, 대변 수집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소변 수집기 착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뇨수집컵이나, 대변 수집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소변 수집기 착용구를 사용할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유아 등의 대소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청결을 위해 자주 세척해야 하는 등의 유지 보수가 까다롭고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대소변 수집기 착용구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없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3987호(2012.01.1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552호(2011.03.07)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없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기저귀 본체와, 기저귀 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 본체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가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대응하는 기저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대변홈과; 기저귀 본체에 융착 결합되어,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대변 수용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가 대변홈 주위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착되는 접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대변 수용 시트가 대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저귀 본체와, 기저귀 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 본체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가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대응하는 기저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대변홈과; 대변홈에 결합되어,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별도의 대변 수집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대변 수집기가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집 봉지와; 대변 수집 봉지가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대변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대변홈에 대변 수집기 결합시 대변홈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도넛 형상의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도넛 형상의 고정판이 타측에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착되는 접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도넛 형상의 고정판이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사이의 항문 부위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반으로 접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대변 수집 봉지가 대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에 대변을 수용할 수 있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대변이 묻어 오염될 염려가 없고, 냄새 누출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청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 이외의 부분에서 소변 흡수가 가능하므로, 대변 처리 외에도 소변 처리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는 도 7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100)는 기저귀 본체(110)와, 고정밴드(120)와, 대변홈(130)과, 대변 수용 시트(140)를 포함한다.
기저귀 본체(110)는 소변이 투과하는 재질의 상부 시트(111)와, 소변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의 하부 시트(112) 및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내장되어 소변을 흡수하는 적어도 한 층의 흡수 시트(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저귀 본체(110) 구성은 이 출원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밴드(120)는 기저귀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 본체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고정밴드(120)가 접착력을 가진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고정밴드(120) 구성은 이 출원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대변홈(130)은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대응하는 기저귀 본체(110)의 위치에 형성된다. 기저귀 착용자가 배변을 하면, 이 대변홈(130)을 통해 대변이 통과하게 된다.
한편, 기저귀 착용자의 소변은 기저귀 본체(110)의 상부 시트(111)를 투과해 흡수 시트(113)에 흡수되고, 하부 시트(112)는 소변이 밖으로 투과되지 않도록 억제한다.
대변 수용 시트(140)는 기저귀 본체(110)에 융착 결합되어, 대변홈(130)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용공간(141)을 형성한다. 이 때, 대변 수용 시트(140)는 대변에 포함되는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일 수 있으며, 비닐 등과 같이, 대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일 수도 있다. 한편, 대변 수용 시트(140)가 대변에 포함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초흡수성 폴리머(SAP)를 내측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기저귀 착용자가 배변을 하면, 대변홈(130)을 통해 대변이 통과되어 대변 수용 시트(140)에 의해 형성되는 대변 수용공간(141)에 대변이 수용되고,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인 대변 수용 시트(140)에 의해 대변에 포함되는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므로, 냄새 누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대변이 통과하는 대변홈을 형성하고,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인 대변 수용 시트를 구비시킴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인 대변 수용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대변 수용 공간에 대변을 수용할 수 있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대변이 묻어 오염될 염려가 없고, 냄새 누출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청결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인 대변 수용 시트 이외의 부분에서 소변 흡수가 가능하므로, 대변 처리 외에도 소변 처리도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1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기저귀 구성에 접착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접착수단(150)은 대변홈(130) 주위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착된다. 접착수단(150)은 접착력을 가진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유아 등과 같은 기저귀 착용자에게 기저귀를 착용시 접착수단(150)의 전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면, 접착력을 가진 접착 테이프 부분이 드러나고, 접착 테이프 부분을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의 피부에 붙인다.
이에 따라,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에 대변홈(130)이 위치하게 되고, 기저귀 착용자가 배변을 하면, 이 대변홈(130)을 통해 대변이 통과되어 대변 수용 시트(140)에 의해 형성되는 대변 수용공간(141)에 대변이 수용된다.
만약, 접착수단(150)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기저귀 착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에 대변홈(130)이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아 기저귀 착용자의 대변이 대변홈(130)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수단(150)을 구비할 경우,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에 대변홈(130)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햐결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200)는 기저귀 본체(210)와, 고정밴드(220)와, 대변홈(230)과, 별도의 대변 수집기(240)를 포함한다.
기저귀 본체(210)는 소변이 투과하는 재질의 상부 시트(211)와, 소변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의 하부 시트(212) 및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내장되어 소변을 흡수하는 적어도 한 층의 흡수 시트(2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저귀 본체(210) 구성은 이 출원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밴드(220)는 기저귀 본체(2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 본체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고정밴드(220)가 접착력을 가진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고정밴드(220) 구성은 이 출원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대변홈(230)은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대응하는 기저귀 본체(210)의 위치에 형성된다. 기저귀 착용자가 배변을 하면, 이 대변홈(230)을 통해 대변이 통과하게 된다.
한편, 기저귀 착용자의 소변은 기저귀 본체(210)의 상부 시트(211)를 투과해 흡수 시트(213)에 흡수되고, 하부 시트(212)는 소변이 밖으로 투과되지 않도록 억제한다.
별도의 대변 수집기(240)는 대변홈(230)에 결합되어,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한다. 예컨대, 대변 수집기(240)가 대변 수집 봉지(241)와,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을 포함할 수 있다.
대변 수집 봉지(241)는 대변홈(230)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한다. 이 때, 대변 수집 봉지(241)는 대변에 포함되는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일 수 있으며, 비닐 등과 같이, 대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일 수도 있다. 한편, 대변 수집 봉지(241)가 대변에 포함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초흡수성 폴리머(SAP)를 내측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은 대변 수집 봉지(241)가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대변이 통과하는 관통홈(243)이 형성되고, 대변홈(230)에 대변 수집기(240) 결합시 대변홈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 때,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이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사이의 항문 부위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반으로 접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기저귀 본체(210)의 대변홈(230)에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관통홈(243)이 일치하도록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을 설치한다. 이 때, 기저귀 본체(210)에 접촉하는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 면이 기저귀 본체(210)에 접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기저귀 본체(210)의 대변홈(230)에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관통홈(243)이 일치하도록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이 설치된 상태에서, 기저귀 착용자가 배변을 하면, 대변홈(130)에 일치하도록 위치된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관통홈(243)을 통해 대변이 통과되어, 대변 수집 봉지(241)에 수용되고,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인 대변 수집 봉지(241)에 의해 대변에 포함되는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므로, 냄새 누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대변이 통과하는 대변홈을 형성하고,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인 대변 수집기를 설치시킴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인 대변 수집기에 대변을 수용할 수 있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대변이 묻어 오염될 염려가 없고, 냄새 누출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청결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인 대변 수집기 이외의 부분에서 소변 흡수가 가능하므로, 대변 처리 외에도 소변 처리도 가능하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도 7 에 도시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100)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대변 수집기(240)의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에 접착수단(244)이 형성된 것이다.
접착수단(244)은 대변 수집 봉지(241)가 일측에 결합되는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타측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착된다. 접착수단(244)은 접착력을 가진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유아 등과 같은 기저귀 착용자에게 기저귀를 착용시, 대변홈(130)에 일치하도록 위치된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관통홈(243) 주변에 형성되는 접착수단(244)의 전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면, 접착력을 가진 접착 테이프 부분이 드러나고, 접착 테이프 부분을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의 피부에 붙인다.
이에 따라,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에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관통홈(243)이 위치하게 되고, 기저귀 착용자가 배변을 하면, 이 관통홈(243)을 통해 대변이 통과되어 대변 수집 봉지(241)에 대변이 수용된다.
만약, 접착수단(244)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기저귀 착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에 도넛 형상의 고정판(242)의 관통홈(243)이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아 기저귀 착용자의 대변이 관통홈(243)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수단(244)을 구비할 경우,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에 관통홈(243)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햐결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대변홈과, 대변 수용 시트를 구비한 기저귀에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대변 수집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대변 수집기와, 대변 수용 시트에 의해 이중으로 대변 수용이 가능하므로, 이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하나에 의해 외부로의 대변 유출이 방지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한 대변 수집기와 관련해서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3987호(2012.01.12)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 사용하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저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에 대변을 수용할 수 있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대변이 묻어 오염될 염려가 없고, 냄새 누출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청결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구비된 별도의 대변 수용 수단 이외의 부분에서 소변 흡수가 가능하므로, 대변 처리 외에도 소변 처리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저귀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200 : 기저귀
110, 210 : 기저귀 본체
111, 211 : 상부 시트
112, 212 : 하부 시트
113, 213 : 흡수 시트
120, 220 : 고정밴드
130, 230 : 대변홈
140 : 대변 수용 시트
141 : 대변 수용공간
150, 244 : 접착수단(150)
240 : 대변 수집기
241 : 대변 수집 봉지
242 : 고정판
243 : 관통홈

Claims (8)

  1. 기저귀 본체와;
    기저귀 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 본체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기저귀에 있어서,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대응하는 기저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대변홈과;
    기저귀 본체에 융착 결합되어,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대변 수용 시트를;
    포함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가:
    대변홈 주위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착되는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변 수용 시트가:
    대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4. 기저귀 본체와;
    기저귀 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시 기저귀 본체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기저귀에 있어서,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대응하는 기저귀 본체의 위치에 형성되는 대변홈과;
    대변홈에 결합되어,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별도의 대변 수집기를;
    포함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5. 제 4 항에 있어서,
    대변 수집기가:
    대변홈을 통과하는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집 봉지와;
    대변 수집 봉지가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대변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대변홈에 대변 수집기 결합시 대변홈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도넛 형상의 고정판을;
    포함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6. 제 5 항에 있어서,
    도넛 형상의 고정판이:
    타측에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착되는 접착수단이 형성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7. 제 6 항에 있어서,
    도넛 형상의 고정판이: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사이의 항문 부위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반으로 접혀지도록 구현되는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변 수집 봉지가:
    대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인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KR1020180033386A 2018-03-22 2018-03-22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KR20190111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86A KR20190111353A (ko) 2018-03-22 2018-03-22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86A KR20190111353A (ko) 2018-03-22 2018-03-22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53A true KR20190111353A (ko) 2019-10-02

Family

ID=6842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386A KR20190111353A (ko) 2018-03-22 2018-03-22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135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552A (ko) 2009-08-27 2011-03-07 한메딕스 주식회사 대소변 수집기 착용구
KR20120003987A (ko) 2010-07-06 2012-01-12 김경훈 인체용 대변 수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552A (ko) 2009-08-27 2011-03-07 한메딕스 주식회사 대소변 수집기 착용구
KR20120003987A (ko) 2010-07-06 2012-01-12 김경훈 인체용 대변 수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840B1 (ko) 흡수성 물품
TWI295168B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0953325A2 (en)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KR20010014196A (ko) 대변 처리 디바이스 및 대변 처리 디바이스를 착용 및 제거하는 방법
JP2007275298A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20075249A (ko) 일회용 배설물 처리용 착용 물품
JP2006263306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7029609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198382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776496B2 (ja) 吸収性物品
JP4136572B2 (ja) 使い捨て体液吸収パッド
JPH11267145A (ja) 尿取りパッド
JP5466648B2 (ja) 排泄液検知装置
KR102079316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0014002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2070950A (ja) 吸収性物品
KR200476247Y1 (ko) 남성 요실금용 위생 패드
KR20190111353A (ko) 대변 처리가 용이한 기저귀
KR101502958B1 (ko) 흡수성 제품 및 일회용 기저귀
JP2014151128A (ja) 袋体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2015173819A (ja) 吸収性物品
KR20220002350U (ko) 소변용 기저귀 및 이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
JP2004180950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補助具
JP2009219641A (ja) 吸収性物品
JPH1057415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