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198A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198A
KR20190111198A KR1020180033001A KR20180033001A KR20190111198A KR 20190111198 A KR20190111198 A KR 20190111198A KR 1020180033001 A KR1020180033001 A KR 1020180033001A KR 20180033001 A KR20180033001 A KR 20180033001A KR 20190111198 A KR20190111198 A KR 2019011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upling
receptacle
groov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576B1 (ko
Inventor
박유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5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덮도록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내부에 수납된 광전송케이블이 광소자에 정렬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밀폐된 공간에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수납하는 리셉터클본체, 및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플러그 어셈블리는 광전송케이블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플러그본체로부터 하측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결합부재는 플러그본체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홈에 삽입되어 플러그본체를 고정시키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기기는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는 기기 내 보드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기반의 배선, 즉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광 배선은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 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광신호 라인과 기기 내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광전 변환 기능을 갖춘 광커넥터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기 내 보드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대한 플러그 어셈블리의 고정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광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내부에 수납된 광전송케이블이 상기 광소자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밀폐된 공간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수납하는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하측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플러그본체가 상기 하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가 수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 및 상기 광소자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을 위해 상기 수납홈에 형성된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밀폐된 공간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수납하는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제1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결합홈은 상기 플러그본체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플러그본체가 상기 제1방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 기판에 결합된 광소자, 제어 소자,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를 모듈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메인 기판에 모듈화된 리셉터클 어셈블리를 실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된 리셉텀클 어셈블리와 플러그 어셈블리를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하여 불량이 발생한 구성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기판 상의 밀폐된 수납홈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광소자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전자기기 내 또는 전자기기 간에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유에스비 케이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기판(10)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의 밑면에서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와이어본딩에 의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직접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10)에 형성된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어느 하나의 패드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Flip Chip) 공정을 통해 타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소자(11)는 패드에 접속되기 위한 패턴이 상기 광소자(11)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기판(10)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거나,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소자(12)의 높이가 상기 광소자(11)의 높이에 비해서 높을 경우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됨에 따라 본딩 와이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패드에 접속되는 본 발명에 비해서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경우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본딩 와이어가 단선될 위험이 증가하고 재료 증가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패드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본딩 와이어의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고,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멀티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반대쪽에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드라이버 아이씨(Driver-IC)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고,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플러그본체(3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광전송케이블(100, 도 1에 도시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1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삽입홈(30a,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를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에 따른 공정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비교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 중 어느 하나에 제조 공차 등이 발생한 경우 광커넥터(1) 자체가 불량품으로 버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조 공차로 인해 상기 광소자(11)가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수납되지 않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되지 않으면 광커넥터(1) 자체가 불량품으로 버려지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를 별개의 구성으로 각각 포함하고, 플러그 어셈블리(3)가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비교예와 대비할 때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홈(21,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한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결합홈(2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31,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결합홈(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재(31)는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결합부재(31)를 통해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으로부터 삽입이 해제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역삽입은 도 2와 같은 방향(정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180ㅀ 뒤집힌 상태에서의 삽입을 의미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홈(21a, 도 3에 도시됨) 및 제2결합홈(21b,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부재(31a, 도 4에 도시됨) 및 제2결합부재(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지지부재(3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결합부재(3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광소자(11)에서 상기 제어 소자(12) 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제3축방향(Z축 방향, 도 4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32)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2)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31)를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대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직접 돌출되어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결합된 비교예에 따르면 광커넥터의 전체 높이는 상기 플러그본체의 높이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높이를 합한 길이가 되기 때문에 광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연장된 지지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32)로부터 상기 결합부재(31)가 돌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지지부재(3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지지홈(22,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지지부재(3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지지홈(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지지홈(22)에 연통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지지홈(22)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결합부재(31)가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홈(2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수납홈(23,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되도록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으면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공은 상기 수납홈(23)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 배출공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공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공은 X축 및 Y축으로 형성되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23)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를 형성하는 열 경화 과정 등에서 밀폐된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여 폭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광커넥터(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광커넥터(1)를 밀봉할 수 있는데,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공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공기 배출공은 상기 수납홈(23)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기 배출공은 상기 수납홈(23)을 둘러싼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배출공은 상기 수납홈(23)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 중 적어도 하나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된 경우, 공기 배출공들은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에서 발생한 열이 하부의 공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됨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정렬부재(2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단면의 넓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정렬부재(2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정렬홈(14,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정렬부재(2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1)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상기 기판(10) 상의 밀폐된 상기 수납홈(23)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X-Y 평면 상에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홈(14)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경사부재(25,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30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정렬시킨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이 삽입된 상기 삽입홈(30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은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므로, 각각의 광신호가 이루는 각도는 90ㅀ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 사이의 끼인각은 45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상기 경사부재(25)에서 전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반사는 광신호가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 보다 클 경우 해당 매질들의 경계면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5에 도시됨)에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5)로 향하는 광이 상기 경사부재(25)와 외부 공기의 경계에서 전반사될 수 있는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부재(25)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에 대해 45ㅀ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경사부재(25)로 입사되는 입사각은 45ㅀ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외부 공기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임계각이 45ㅀ 보다 작은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사부재(25)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사부재(25)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이 경사면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과 중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길이를 줄임으로써 소형화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경사부재(25)가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길이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부재(25)가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과 중첩되도록 구비되어 소형화 구현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제1집광부재(26,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된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1집광부재(26)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소자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소자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소자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2집광부재(33,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측면 중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삽입홈(30a)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2집광부재(33)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구면(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2집광부재(33) 간의 광정렬을 구현한다. 특히,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고, 제작 공차로 인해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심축의 오차로 인한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전송케이블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전송케이블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전송케이블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집광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정렬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도 광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제작되는 설비의 제작 공차를 반영하여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로 형성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동일한 개수의 제2집광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가림부재(34,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형성된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에 대해 상측에 위치한 상기 가림부재(34)는 디귿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측면을 함께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집광부재(33)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가 상측에서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가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를 통해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가림으로써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형성된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부재(34)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데,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형성된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34L)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집광부재(33)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를 갖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과 충돌하여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길이 및 상기 기판(10)의 길이를 합한 값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상기 기판(10)에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기판(1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은 서브 PCB일 수 있으며, 서브 PCB에 결합된 상기 광소자(11),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소자(11),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을 메인 PCB(미도시)에 결합하고, 상기 기판(10)이 형성되지 않은 메인 PCB 상에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이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메인 PCB에 상기 모듈 형태의 기판(10)을 실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별개의 구성으로 상기 모듈 형태의 기판(10)에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의 테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外周)에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각각의 구성이나 구조 등에 있어서 반복되는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기판(10)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결합된 이후에 접착부재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테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플러그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삽입홈(3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를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에 따른 공정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비교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 중 어느 하나에 제조 공차 등이 발생한 경우 광커넥터(1) 자체가 불량품으로 버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조 공차로 인해 상기 광소자(11)가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수납되지 않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되지 않으면 광커넥터(1) 자체가 불량품으로 버려지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를 별개의 구성으로 각각 포함하고, 플러그 어셈블리(3)가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비교예와 대비할 때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어셈블리가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대해 상측방향에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광커넥터의 전체 높이는 플러그본체 및 리셉터클본체의 높이를 합한 길이가 되기 때문에 광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결합부재(31)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홈(21,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한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측면(203, 도 9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측면(203) 중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결합홈(2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31,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측면 중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결합홈(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재(31)는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결합부재(31)를 통해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으로부터 삽입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홈(21a) 및 제2결합홈(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부재(31a, 도 12에 도시됨) 및 제2결합부재(31b,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지지부재(32,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결합부재(3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지지부재(3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역삽입방지홈(28,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삽입방지홈(28)은 상기 지지부재(3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역삽입방지홈(28)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측면(203)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삽입방지홈(28)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측면(203) 중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삽입방지홈(28)은 상기 결합홈(21)으로부터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역삽입방지홈(28)에 삽입되어 상기 역삽입방지홈(28)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2)가 상기 역삽입방지홈(28)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지지부재(3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재(32a, 도 12에 도시됨) 및 제2지지부재(32b,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2a)는 상기 제1결합부재(31a)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b)는 상기 제2결합부재(31b)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역삽입방지홈(28)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삽입방지홈(28)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역삽입방지홈(28a, 도 10에 도시됨) 및 제2역삽입방지홈(28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역삽입방지홈(28a)은 제1결합홈(21a, 도 10에 도시됨)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역삽입방지홈(28a)은 제1결합홈(21a, 도 10에 도시됨)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제1결합홈(2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역삽입방지홈(28b)은 제2결합홈(21b, 도 10에 도시됨)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제2결합홈(21b)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중심(M1, 도 10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L1, L2, 도 10에 도시됨)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31a) 및 상기 제2결합부재(31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중심(M2, 도 12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N1, N2, 도 12에 도시됨)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이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본체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180ㅀ 뒤집힌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중심(M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다르고, 상기 제1결합부재(31a) 및 상기 제2결합부재(31b)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중심(M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다르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180ㅀ 뒤집힌 상태에서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될 수 없도록 하여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수납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되도록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으면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정렬부재(24,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단면의 넓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정렬부재(2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정렬홈(14, 도 8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정렬부재(2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1)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상기 기판(10) 상의 밀폐된 상기 수납홈(23)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X-Y 평면 상에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홈(14)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경사부재(25,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30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정렬시킨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이 삽입된 상기 삽입홈(30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은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므로, 각각의 광신호가 이루는 각도는 90ㅀ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 사이의 끼인각은 45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상기 경사부재(25)에서 전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반사는 광신호가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 보다 클 경우 해당 매질들의 경계면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13에 도시됨)에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5)로 향하는 광이 상기 경사부재(25)와 외부 공기의 경계에서 전반사될 수 있는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부재(25)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에 대해 45ㅀ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경사부재(25)로 입사되는 입사각은 45ㅀ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외부 공기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임계각이 45ㅀ 보다 작은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사부재(25)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사부재(25)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이 경사면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제1집광부재(26,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된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1집광부재(26)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소자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소자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소자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2집광부재(33,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측면 중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삽입홈(30a)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2집광부재(33)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구면(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2집광부재(33) 간의 광정렬을 구현한다. 특히,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고, 제작 공차로 인해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중심축이 상기 삽입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심축의 오차로 인한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전송케이블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전송케이블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전송케이블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집광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정렬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도 광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제작되는 설비의 제작 공차를 반영하여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로 형성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동일한 개수의 제2집광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가림부재(34,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형성된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33)에 대해 상측에 위치한 상기 가림부재(34)는 디귿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집광부재(33)의 측면을 함께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집광부재(33)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가 상측에서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가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집광부재(33)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를 통해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가림으로써 상기 제2집광부재(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형성된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부재(34)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데,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형성된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34L)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림부재(34)가 상기 제2집광부재(33)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를 갖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집광부재(33)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과 충돌하여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길이 및 상기 기판(10)의 길이를 합한 값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상기 기판(10)에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기판(1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은 서브 PCB일 수 있으며, 서브 PCB에 결합된 상기 광소자(11),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소자(11),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을 메인 PCB(미도시)에 결합하고, 상기 기판(10)이 형성되지 않은 메인 PCB 상에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이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메인 PCB에 상기 모듈 형태의 기판(10)을 실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별개의 구성으로 상기 모듈 형태의 기판(10)에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광커넥터 2 : 리셉터클 어셈블리
3 : 플러그 어셈블리 11 : 광소자
12 : 제어 소자 14 : 정렬홈
20 : 리셉터클본체 21 : 결합홈
22 : 지지홈 23 : 수납홈
24 : 정렬부재 25 : 경사부재
26 : 제1집광부재 28 : 역삽입방지홈
30 : 플러그본체 30a : 삽입홈
31 : 결합부재 32 : 지지부재
33 : 제2집광부재 34 : 가림부재

Claims (15)

  1. 기판(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광소자(1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내부에 수납된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기판(10)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밀폐된 공간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는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결합홈(2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3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1)으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재(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으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2)를 지지하는 지지홈(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지지홈(22)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지지홈(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32)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지지홈(30a)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경사부재(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에 대해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2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결합홈(21a) 및 제2결합홈(21b)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결합부재(31a) 및 제2결합부재(31b)를 포함하며,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1)들과 상기 결합부재(31)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7. 기판(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광소자(1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내부에 수납된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기판(10)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밀폐된 공간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는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결합홈(2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3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2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결합홈(21a) 및 제2결합홈(21b)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결합부재(31a) 및 제2결합부재(31b)를 포함하며,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1)들과 상기 결합부재(31)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결합홈(21a)에 대해 하측에 형성된 제1역삽입방지홈(28a); 및
    상기 제2결합홈(21b)에 대해 상측에 형성된 제2역삽입방지홈(28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31a) 및 상기 제2결합부재(31b)는, 상기 제2결합홈(21b) 및 상기 제1결합홈(21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결합부재(31a)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재(32a); 및
    상기 제2결합부재(31b)가 상기 제2결합부재(31b)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재(3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32a)는 상기 제1결합부재(31a)가 상기 제2결합홈(21b)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역삽입방지홈(28b)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32b)는 상기 제2결합부재(31b)가 상기 제1결합홈(21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역삽입방지홈(28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21a) 및 상기 제2결합홈(21b)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31a) 및 상기 제2결합부재(31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지지홈(30a)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경사부재(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에 대해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4. 제4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11)를 향하는 방향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향하는 방향 쪽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5.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기판(10)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2)에 형성된 수납홈(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3)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KR1020180033001A 2018-03-22 2018-03-22 광커넥터 KR102524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01A KR102524576B1 (ko) 2018-03-22 2018-03-22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01A KR102524576B1 (ko) 2018-03-22 2018-03-22 광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198A true KR20190111198A (ko) 2019-10-02
KR102524576B1 KR102524576B1 (ko) 2023-04-21

Family

ID=6842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001A KR102524576B1 (ko) 2018-03-22 2018-03-22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511B1 (ko) * 2019-12-30 2021-04-29 블러블라이트 (광동) 인텔리젠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광 신호 전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968B2 (ja) * 2003-12-09 2007-06-1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4901654B2 (ja) * 2007-09-03 2012-03-2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KR20150067009A (ko) * 2013-12-06 2015-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수동광정렬을 위한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어셈블리, 광전송부재커넥터모듈
JP2017040703A (ja) * 2015-08-18 2017-02-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用レセプタクル
WO2018044646A1 (en) * 2016-08-30 2018-03-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to-waveguide optical interface devices and coupling devices with lenses for photonic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968B2 (ja) * 2003-12-09 2007-06-1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4901654B2 (ja) * 2007-09-03 2012-03-2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KR20150067009A (ko) * 2013-12-06 2015-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수동광정렬을 위한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어셈블리, 광전송부재커넥터모듈
JP2017040703A (ja) * 2015-08-18 2017-02-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用レセプタクル
WO2018044646A1 (en) * 2016-08-30 2018-03-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to-waveguide optical interface devices and coupling devices with lenses for photonic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511B1 (ko) * 2019-12-30 2021-04-29 블러블라이트 (광동) 인텔리젠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광 신호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576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8819B (zh) 光电传输连接器、光电传输设备和电子设备
CN114488438B (zh) 一种光模块
CN114488439B (zh) 一种光模块
CN211348742U (zh) 光学收发模块及光纤缆线模块
CN103959121B (zh) 光电配线模块
KR102524576B1 (ko) 광커넥터
KR101276508B1 (ko) 광전 배선 모듈
KR20150084930A (ko) 전자-광 정렬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524575B1 (ko) 광커넥터
KR102335733B1 (ko)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KR102390389B1 (ko) 광커넥터 패키지
KR102219316B1 (ko) 광 정렬 기능이 개선된 광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02185B1 (ko) 광커넥터
KR102392370B1 (ko) 광커넥터
KR102602186B1 (ko) 광커넥터
KR101477379B1 (ko) 광전 배선 모듈
KR101477381B1 (ko) 광전 배선 모듈 및 리셉터클과 이를 이용한 광 커넥터
KR20180060869A (ko) 다채널 광모듈
KR20180125181A (ko) 광커넥터 패키지
KR101266561B1 (ko) 광전 배선 모듈
KR20180117897A (ko) 광커넥터
KR20180134698A (ko) 광커넥터 패키지의 제조방법
JP4654807B2 (ja) 光情報処理装置
WO2021037085A1 (zh) 一种光模块
KR101477380B1 (ko) 광전 배선 모듈, 리셉터클 및 이를 이용한 광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