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389B1 - 광커넥터 패키지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389B1
KR102390389B1 KR1020170133748A KR20170133748A KR102390389B1 KR 102390389 B1 KR102390389 B1 KR 102390389B1 KR 1020170133748 A KR1020170133748 A KR 1020170133748A KR 20170133748 A KR20170133748 A KR 20170133748A KR 102390389 B1 KR102390389 B1 KR 10239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groove
receptacle
substrate
transmiss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167A (ko
Inventor
김영호
이승훈
김태형
박유준
누엔항나
한승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3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3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using guiding surfaces for the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덮도록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지지홈을 포함하고, 플러그 어셈블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일면과 반대되는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광커넥터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커넥터 패키지{Optical Connector Package}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커넥터 패키지 소자를 패키지화한 광커넥터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기기는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는 기기 내 보드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기반의 배선, 즉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광 배선은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 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광신호 라인과 기기 내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광전 변환 기능을 갖춘 광커넥터 패키지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광커넥터 패키지 소자를 패키지 형태로 생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판에 패키지된 광커넥터 패키지를 실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 광커넥터 패키지 소자를 패키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광커넥터 패키지를 구매하여 이용함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커넥터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는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2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가 수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 및 상기 광소자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을 위해 상기 수납홈에 형성된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커넥터 패키지 소자를 패키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판에 패키지된 광커넥터 패키지를 실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플러그 어셈블리 사이에 광전송케이블을 구비하고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플러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광전송케이블을 지지함으로써, 광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 어셈블리가 수납홈을 통해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기판 상의 밀폐된 수납홈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광소자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플러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접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도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전자기기 내 또는 전자기기 간에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유에스비 케이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기판(10)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의 밑면에서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와이어본딩에 의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직접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10)에 형성된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어느 하나의 패드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Flip Chip) 공정을 통해 타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소자(11)는 패드에 접속되기 위한 패턴이 상기 광소자(11)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기판(10)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거나,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소자(12)의 높이가 상기 광소자(11)의 높이에 비해서 높을 경우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됨에 따라 본딩 와이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패드에 접속되는 본 발명에 비해서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경우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본딩 와이어가 단선될 위험이 증가하고 재료 증가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패드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본딩 와이어의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고,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멀티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반대쪽에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드라이버 아이씨(Driver-IC)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21,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삽입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한다.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삽입홈(21)에 의해 상면(201)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삽입홈(21)을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벽(202, 도 2에 도시됨), 및 외부를 향하게 배치된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을 통해 상기 내측벽(20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밑면(204,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고,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플러그본체(3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광전송케이블(100, 도 1에 도시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1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제1지지홈(20a,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제2지지홈(30a,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下面)을 의미하고, 상기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上面)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사이에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만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광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만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하는 비교예 대비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끼움부재(2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는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삽입홈(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끼움부재(22)는 상기 삽입홈(21)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는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끼움부재(2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결합홈(3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삽입홈(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下面)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제3축방향(Z축 방향, 도 3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결합홈(31)에 상기 끼움부재(2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끼움부재(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홈(31)은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끼움부재(22)가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이면, 원기둥 형태 이외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는 상기 삽입홈(21)의 상면(上面)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홈(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기 끼움부재(22)가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는 X-Y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수납홈(21)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끼움부재(22)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끼움부재(2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끼움부재(22)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도 상기 결합홈(3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들은 상기 끼움부재(22)들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제1끼움부재(22a) 및 제2끼움부재(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된 길이(22aL, 도 5에 도시됨)는 상기 제2끼움부재(22b)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된 길이(22bL, 도 5에 도시됨)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수납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하면(下面)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되도록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으면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판(10)은 공기 배출공(13,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X축 및 Y축으로 형성되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23)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를 형성하는 열 경화 과정 등에서 밀폐된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여 폭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광커넥터 패키지(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광커넥터 패키지(1)를 밀봉할 수 있는데,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공기 배출공(13)을 통해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을 둘러싼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상기 공기 배출공(1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를 통한 고속 광처리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공기 배출공(13)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 중 적어도 하나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된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13)들은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에서 발생한 열이 하부의 공기 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됨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정렬부재(2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단면의 넓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정렬부재(2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정렬홈(14,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정렬부재(2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1)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상기 기판(10) 상의 밀폐된 상기 수납홈(23)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X-Y 평면 상에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홈(14)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지지홈(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2지지홈(3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에 반대되는 면이다. 상기 일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을 의미하고, 상기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21)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홈(2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홈(3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홈(2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홈(3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된 제1지지홈(20a)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형성된 제2지지홈(30a)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양면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1지지홈(2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제작 공차 발생에 따른 불량률을 낮추고, 상기 제2지지홈(3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홈(2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 전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없어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에서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불량률을 낮추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지지홈(2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 전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지지홈(3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홈(31) 및 제1고정부(33,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끼움부재(2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 및 상기 결합홈(3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상기 제1끼움부재(22a)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22aL)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 보다 짧은 길이(22b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33)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된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 보다 짧은 길이(22bL)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고정부(33)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33)는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에 상기 제2끼움부재(22b)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31)에 에폭시를 도포하고 경화함으로써 상기 제2끼움부재(22b)가 경화된 제1고정부(33)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33)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삽입된 결합홈(31)들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 보다 짧은 길이(22bL)로 형성된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30)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고정시킴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끼움부재(22a)들이 상기 결합홈(31)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본체(30)의 결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삽입된 결합홈(31)들에 상기 제1고정부(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33)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부(33) 없이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된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로 외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이 상기 결합홈(3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33)를 통한 고정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 및 상기 제1고정부(33)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외력이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개방홈(32, 도 7에 도시됨), 및 제2고정부(34,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홈(32)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1, 도 7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개방홈(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34)에는 상기 제2지지홈(30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는 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제1고정부(3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4)는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개방홈(32) 및 상기 제2고정부(3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홈(3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홈(32)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34)들은 상기 개방홈(32)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한부재(35,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2지지홈(30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재(35)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에 대해 스톱퍼(Stopper)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한부재(35)를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으로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한부재(35)를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의 내부에 과다한 거리로 삽입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2, 도 9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제2지지홈(30a)을 향하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홈(30a)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2지지홈(30a)에 삽입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5)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홈(30a)들에 각각 삽입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들 모두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한부재(35)를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상기 제2지지홈(30a)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한부재(35)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지지홈(30a)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지지홈(30a)들 각각에 삽입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들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경사부재(25,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정렬시킨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이 삽입된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은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므로, 각각의 광신호가 이루는 각도는 9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의 끼인각은 45°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상기 경사부재(25)에서 전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반사는 광신호가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 보다 클 경우 해당 매질들의 경계면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에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경사부재(25)로 향하는 광이 상기 경사부재(25)와 외부 공기의 경계에서 전반사될 수 있는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부재(25)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에 대해 45°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경사부재(25)로 입사되는 입사각은 45°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외부 공기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임계각이 45° 보다 작은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사부재(25)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사부재(25)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이 경사면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1집광부재(26,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삽입홈(21)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26)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 패키지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구면(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26) 간의 광정렬을 구현한다. 특히,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고, 제작 공차로 인해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심축의 오차로 인한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전송케이블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전송케이블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전송케이블 및 제1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집광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정렬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도 광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제작되는 설비의 제작 공차를 반영하여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로 형성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동일한 개수의 제1집광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제2집광부재(27,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된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2집광부재(27)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 패키지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소자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소자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소자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완충홈(28,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홈(28)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발생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완충홈(28)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홈(28)은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완충홈(28)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발생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함몰되도록 상기 완충홈(28)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켜 경량화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이송홈(20b,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홈(20b)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홈(20b)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이송홈(20b)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홈(20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홈(20b)들에 각각 삽입된 집게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이송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석션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이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석션기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의 평평한 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이송될 수 있다. 일례로, 석션기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완충홈(28) 및 상기 경사부재(25) 사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에 접촉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관통홈(20c,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홈(20c)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20c)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홈(20c)은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23)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열 경화 과정 등에서 밀폐된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여 폭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광커넥터 패키지(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광커넥터 패키지(1)를 밀봉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관통홈(20c)을 통해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홈(20c)은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 대신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상기 기판(10)에 정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은 고정돌기(15,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기판(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기판(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관통홈(20c)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광소자(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1차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광정렬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15)가 상기 관통홈(20c)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2차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광정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식별 윈도우(29,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 상의 미리 설정된 결합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식별 윈도우(29)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상기 광소자(11)의 결합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식(15, 도 11에 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를 형성한 후 상기 식별 윈도우(29)를 통해 상기 광소자(11)가 결합 위치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식(15)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기판(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식(15)은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결합 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광소자(11)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기판(1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표식(1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광소자(11)들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라인(line) 형상으로 상기 기판(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라인 형상의 상기 표식(15)과 상기 광소자(11)들이 이격된 정도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비교하여 상기 광소자(11)가 결합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표식(15)은 상기 광소자(11)의 결합 위치를 식별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X-Y 평면상에서 상기 표식(15)과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이후 작업자가 상기 수납홈(23) 내부의 표식(15)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실리콘(Silicon)계, 에폭시(Epoxy)계, ABS, 아크릴(Acrylic)계, 폴리오레핀(Polyolefine)계,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중 상기 표식(15)과 중첩되는 위치의 영역을 경면(鏡面)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표식(15)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접착부재(5,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의 테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外周)에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도전부재(6,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전부재(6)로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기판(10)에는 그라운드 패드(GND, 도 12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外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삽입홈(21)을 제외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좌측면(左側面), 우측면(右側面), 및 상면(上面)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버 페이스트(Ag paste)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에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이 증착 물질의 직진성이 좋지 않은 증착 공정을 통해 상기 도전성 재료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기판(10) 상에 증착함으로써, 상기 접착부재(5)에 연결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全面)에 상기 도전부재(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가 상기 도전부재(6)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접착부재(5)는 도전성 에폭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에 형성되므로,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재(6)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에 연결됨으로써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의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경사부재(25)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여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재(6)는 니켈, 크롬, 티타늄, 구리 등과 같이 도전성 특성을 갖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도전성 특성을 가지면서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이든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를 형성하는 증착 공정에서 상기 삽입홈(21)에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희생부품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도전부재(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희생부품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삽입홈(21)을 제외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좌측면(左側面), 우측면(右側面), 및 상면(上面)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그라운드 패드(GND)에 접속되어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도전부재(6)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도전부재(6)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도전부재(6)에 전체적으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광커넥터 패키지(1)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광커넥터 패키지 2 : 리셉터클 어셈블리
3 : 플러그 어셈블리 5 : 접착부재
6 : 도전부재 11 : 광소자
12 : 제어 소자 13 : 공기 배출공
14 : 정렬홈 15 : 고정돌기
20 : 리셉터클본체 20a : 제1지지홈
20b : 이송홈 20c : 관통홈
21 : 삽입홈 22 : 끼움부재
23 : 수납홈 24 : 정렬부재
25 : 경사부재 26 : 제1집광부재
27 : 제2집광부재 28 : 완충홈
29 : 식별 윈도우 30 : 플러그본체
30a : 지지홈 31 : 결합홈
32 : 개방홈 33 : 제1고정부
34 : 제2고정부 35 : 제한부재

Claims (20)

  1.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2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에 구비된 표식을 이용하여 상기 광소자가 상기 기판에 결합된 결합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윈도우는 상기 기판이 형성된 평면 상에서 상기 표식과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삽입홈과 접촉되는 상기 플러그본체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의 일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의 타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의 일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의 타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이 상기 광소자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는 상기 정렬홈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 및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에 대해 제1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에 대해 상기 제1방향 쪽에 위치하며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도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를 향하는 방향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향하는 방향 쪽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광소자에 대해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광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본체는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가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소자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 간의 정렬을 위해 상기 수납홈에 형성된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2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집광부재는 상기 수납홈 내에서 상기 광소자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또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홈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공은 상기 수납홈을 둘러싼 상기 기판 또는 상기 리셉터클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4.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가 수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 상기 광소자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을 위해 상기 수납홈에 형성된 끼움부재,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2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결합홈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끼움부재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홈은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들은 상기 결합홈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제1끼움부재 및 상기 결합홈의 깊이 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된 제2끼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끼움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들은 상기 플러그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끼움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2끼움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패키지.
  20. 삭제
KR1020170133748A 2017-10-16 2017-10-16 광커넥터 패키지 KR10239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748A KR102390389B1 (ko) 2017-10-16 2017-10-16 광커넥터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748A KR102390389B1 (ko) 2017-10-16 2017-10-16 광커넥터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167A KR20190042167A (ko) 2019-04-24
KR102390389B1 true KR102390389B1 (ko) 2022-04-22

Family

ID=6628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748A KR102390389B1 (ko) 2017-10-16 2017-10-16 광커넥터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518A (ko) 2019-11-22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123A (ja) * 2012-05-09 2013-11-2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接続部材および光モジュール
US20140199025A1 (en) * 2013-01-17 2014-07-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329B1 (ko) * 1997-07-08 2001-02-01 성재갑 플라스틱다심광커넥터페룰을사용하는다심광커넥터및다심광접속자
KR101725051B1 (ko) * 2014-11-28 2017-04-11 주식회사 루셈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품들로 구성된 광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123A (ja) * 2012-05-09 2013-11-2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接続部材および光モジュール
US20140199025A1 (en) * 2013-01-17 2014-07-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167A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6765A1 (en) Architecture of connecting optical pcb, transceiver modules for optical pcb and optical connection block
WO2021120668A1 (zh) 一种光模块
JP2017090900A (ja) 光電気変換モジュール
US9297969B2 (en) Optical engine assembly and transceiver using the same
CN210090745U (zh) 一种光模块
KR102390389B1 (ko) 광커넥터 패키지
KR101266616B1 (ko) 광전 배선 모듈
WO2021109776A1 (zh) 一种光模块
KR101276508B1 (ko) 광전 배선 모듈
CN109143492B (zh) 光收发器
KR102335733B1 (ko)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KR102392370B1 (ko) 광커넥터
KR102524576B1 (ko) 광커넥터
CN112987193A (zh) 一种光模块
KR102524575B1 (ko) 광커넥터
KR101266710B1 (ko) 광전 배선 모듈
KR102219316B1 (ko) 광 정렬 기능이 개선된 광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5181A (ko) 광커넥터 패키지
KR102602185B1 (ko) 광커넥터
KR20180117897A (ko) 광커넥터
KR20180134698A (ko) 광커넥터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2602186B1 (ko) 광커넥터
KR101477379B1 (ko) 광전 배선 모듈
WO2021037085A1 (zh) 一种光模块
WO2021109645A1 (zh) 一种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