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733B1 -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733B1
KR102335733B1 KR1020170078753A KR20170078753A KR102335733B1 KR 102335733 B1 KR102335733 B1 KR 102335733B1 KR 1020170078753 A KR1020170078753 A KR 1020170078753A KR 20170078753 A KR20170078753 A KR 20170078753A KR 102335733 B1 KR102335733 B1 KR 102335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collecting
collecting member
receptac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81A (ko
Inventor
이승훈
김태형
박유준
누엔항나
한승수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7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02B6/3839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for a plurality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광소자들, 광소자들과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광소자들 및 제어 소자를 덮도록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플러그 어셈블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광전송케이블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본체에 형성된 지지홈들을 포함하고,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지지홈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들이 광소자들에 정렬될 수 있도록 기판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고, 광소자들은 정렬홈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각각 기판에 결합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Having Light Align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손실없이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기기는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는 기기 내 보드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기반의 배선, 즉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광 배선은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 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의 기술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신호 라인과 기기 내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광전 변환 기능을 갖춘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기 내 보드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광소자 및 광전송케이블이 정렬된 상태에 따라 광신호 전송의 효율이 민감하게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 광소자 및 광전송케이블을 광정렬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광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광소자, 상기 광소자들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들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지지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들이 상기 광소자들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상기 광소자들은 상기 정렬홈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소자와 정렬홈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정렬홈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광소자 및 플러그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광전송케이블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렬부재가 정렬홈에 삽입되어 광소자에 정렬된 플러그 어셈블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광소자 및 플러그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기판 상의 밀폐된 수납홈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와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플러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플러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플러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광전송케이블과 광소자 사이의 개략적인 광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접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도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커버부의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전자기기 내 또는 전자기기 간에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유에스비 케이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기판(10)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커버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의 밑면에서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와이어본딩에 의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직접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10)에 형성된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어느 하나의 패드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Flip Chip) 공정을 통해 타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소자(11)는 패드에 접속되기 위한 패턴이 상기 광소자(11)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기판(10)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거나,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소자(12)의 높이가 상기 광소자(11)의 높이에 비해서 높을 경우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됨에 따라 본딩 와이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패드에 접속되는 본 발명에 비해서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경우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본딩 와이어가 단선될 위험이 증가하고 재료 증가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패드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본딩 와이어의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고,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멀티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반대쪽에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드라이버 아이씨(Driver-IC)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21,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삽입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한다.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삽입홈(21)에 의해 상면(201)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삽입홈(21)을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벽(202, 도 2에 도시됨), 및 외부를 향하게 배치된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을 통해 상기 내측벽(20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밑면(204,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1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고,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1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플러그본체(3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광전송케이블(100, 도 1에 도시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1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는 커버본체(4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40)는 내부에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수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4)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도포한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4)는 에폭시 베이스에 열팽창계수를 고려한 Solid epoxy resin, Hardener, Flame retardant, 및 Filler와 같은 첨가물을 혼합한 EMC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로 상기 커버부(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삽입홈(21)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벽(202)의 일면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의 면 중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외측(外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결합홈(2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끼움부재(3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측벽(3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삽입홈(21)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의 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끼움부재(31)가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수납홈(21)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끼움부재(31)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긴 길이(22H)가 상기 삽입홈(21)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에 비해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제1삽입홈(21)과 접하는 영역에서 가장 긴 길이(22H)로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21)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제1삽입홈(21)과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삽입홈(21)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21)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홈(22)은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22)은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결합홈(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끼움부재(31)가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사다리꼴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제한부재(23,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삽입홈(21)을 형성하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 중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내측벽(202)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삽입홈(2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재(23)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대해 스톱퍼(Stopper)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23)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으로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23)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삽입홈(21)의 내부에 과다한 거리로 삽입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내측벽(202)으로부터 상기 결합홈(22)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2)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된 상기 끼움부재(31)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내측벽(202)으로부터 상기 삽입홈(21)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부재(2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본체(30)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2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2)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한부재(2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23)들을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상기 삽입홈(21)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수납홈(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4)은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홈(24)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하면(下面)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4)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되도록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으면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4)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수납홈(24)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판(10)은 공기 배출공(13,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4)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제3축방향(Z축 방향, 도 5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X축 및 Y축으로 형성되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24)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를 형성하는 열 경화 과정 등에서 밀폐된 상기 수납홈(24)의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여 폭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를 밀봉하는 과정이 포함되는데, 상기 수납홈(24)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상기 수납홈(24)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공기 배출공(13)을 통해 상기 수납홈(24)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4)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4)을 둘러싼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4)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정렬부재(25,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5)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5)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5)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홈(24)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정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5)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정렬부재(2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정렬홈(14,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정렬부재(25)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 및 상기 광소자(11)는 서로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정렬홈(14)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10)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정렬홈(14)으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정렬부재(25)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정렬부재(25)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4)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1)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정렬부재(25)는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5)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4)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상기 기판(10) 상의 밀폐된 상기 수납홈(24)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X-Y 평면 상에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홈(14)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개방홈(32, 도 7에 도시됨), 및 고정부(33,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홈(32)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2,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에서 상기 개방홈(32)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는 하부지지홈(32a, 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개방홈(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33)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는 상부지지홈(33a, 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홈(32a) 및 상기 상부지지홈(33a)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홈(30a, 도 7에 도시됨)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 상기 고정부(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비슷한 굴절률을 갖고, 광 투과성이 좋은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는 1.2 이상 1.8 이하의 굴절률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파장 대역에서 80% 이상 95%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갖는 광 투과성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끼움부재(31)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부재(31)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사다리꼴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도 4a에 도시된 결합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재(31)를 포함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도 4b에 도시된 결합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재(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광신호 차단층(35, 도 8a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들의 광신호가 서로 간섭되거나, 상기 광소자(11)들의 광신호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인접한 광전송케이블(100)들 간의 크로스토크, 및 인접한 광소자(11)들 간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한다.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홈(30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내부가 공기로 채워진 공기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광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매질은 무엇이든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홈(30a)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신호 차단층(35)은 상기 지지홈(30a)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홈(30a)들에 각각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들 간의 광신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지지홈(30a)들에 각각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들의 광신호는 대응되는 광소자(11)들로만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들의 광신호는 대응되는 광전송케이블(110)들로만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멀티 채널을 구현함에 있어서 타 채널의 광신호로 인한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각 채널별 광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광신호 차단층(29,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신호 차단층(29)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들의 광신호가 서로 간섭되거나, 상기 광소자(11)들의 광신호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신호 차단층(29)은 광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매질이면 무엇이든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형성된 광신호 차단층(35)과 동일한 매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차단층(29)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홈(30a)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들이 삽입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에 형성된 광신호 차단층(35), 및 상기 광소자(11)들을 덮도록 형성된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된 광신호 차단층(29)을 통해 광신호 간의 간섭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1집광부재(34,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반구(Hemispher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은 상기 지지홈(30a)의 단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지지홈(30a)의 단면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지지홈(30a)의 단면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X-Z 평면에서 각각의 단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지지홈(30a)의 단면에서 X-Z 평면의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를 집광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렌즈와 같은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중심축과 상기 지지홈(30a)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되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34)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전송케이블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전송케이블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전송케이블 및 제1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동일한 개수의 제1집광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2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2)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끼움부재(31)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끼움부재(31)들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제한부재(23)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형성된 길이(34L, 도 10에 도시됨)는 상기 제한부재(23)가 형성된 길이(23L, 도 3에 도시됨) 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재(23)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형성된 길이(34L)가 상기 제한부재(23)가 형성된 길이(23L) 보다 길 경우,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한부재(23)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제한부재(23) 보다 짧거나 같은 길이를 갖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과 충돌하여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접촉할 정도로 가까운 위치까지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함으로써,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집광부재(34)와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상기 이격된 공간의 공기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서 광신호 전송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23)를 통해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접촉할 정도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 향하는 광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볼 렌즈(Ball Lens)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중심축과 상기 지지홈(30a)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되는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34) 간의 광정렬을 구현한다. 특히,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중심축과 상기 지지홈(30a)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고,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중심축과 상기 지지홈(30a)의 중심축이 제작 공차로 인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심축의 오차로 인한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제작되는 설비의 제작 공차를 반영하여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반구 형상이나 비구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가림부재(341,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림부재(341)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3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형성된 길이(34L)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에 대해 상측에 위치한 상기 가림부재(341)는 디귿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측면을 함께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가림부재(341)가 상기 제1집광부재(34)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가림부재(341)가 상측에서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가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가림부재(341)를 통해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가림으로써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가림부재(341)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형성된 길이(34L)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부재(341)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데, 상기 가림부재(341)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형성된 길이(34L)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가림부재(341)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림부재(341)가 상기 제1집광부재(34)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를 갖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과 충돌하여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고정부재(35,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밑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삽입홈(21)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고정부재(35)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삽입홈(21)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밑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완료하여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고정부재(35)의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고정홈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끼움부재(31)를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고정부재(35)를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고정부재(3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끼움부재(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2)이 형성된 길이(22H)에 비해 더 짧은 길이(31H)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고정부재(35)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35)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끼움부재(31)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22)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5)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끼움부재(31) 및 상기 결합홈(22)이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경사부재(26,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6)는 상기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26)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정렬시킨다. 상기 경사부재(2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이 삽입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6)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재(26)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
상기 경사부재(26)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사부재(26)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이 경사면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6)에 결합되는 도전부재(6,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반사시킨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경사부재(26)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여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변경한다.
상기 경사부재(26)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6)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261)은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므로, 각각의 광신호가 이루는 각도는 9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재(26)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의 끼인각(261)은 45°를 이룰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제2집광부재(27,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중 상기 수납홈(24)을 둘러싸는 밑면으로부터 상기 하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반구(Hemispher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수납홈(24)에 수납된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렌즈와 같은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2집광부재(27)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소자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소자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소자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5)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플러그 어셈블리(3)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제3집광부재(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 중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벽(20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집광부재(34)와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집광부재(34)에 의해 집광된 광신호를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다시 한 번 집광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반구(Hemispher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렌즈와 같은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3집광부재(28)의 중심축과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광소자(11)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10) 및 상기 광소자(11)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서로 접촉할 정도로 가까운 위치에 구현함으로써,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23)를 통해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제3집광부재(28)에 접촉할 정도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집광부재(34)와 상기 제3집광부재(28)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상기 이격된 공간의 공기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굴절률 차이로 인한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가림부재(34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모두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부재(3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형성된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제3집광부재(28)의 상측에서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가림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집광부재(34), 상기 제2집광부재(27),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집광부재(34), 상기 제2집광부재(27),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통과한 광신호는 각 집광부재의 중심축 방향으로 집광되기 때문에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볼 렌즈(Ball Lens)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의해 소정의 영역이 둘러싸임으로써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볼 렌즈로 구현된 제3집광부재(28)는 구의 중심(C, 도 14에 도시됨)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 중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내측벽(202)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구의 중심(C)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는 리셉터클본체(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제3집광부재(28)에 접촉할 정도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제작 공차 등으로 인해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상기 제3집광부재(28)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볼 렌즈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통해 상기 제1집광부재(34)와 상기 제3집광부재(28)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에 의해 산란되는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제작 공차 없이 접촉되도록 구현된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이격되도록 구현된 경우에도 광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 사이의 광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의 광경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경로의 방향만이 반대라고 할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굴절된 광신호는 상기 제3집광부재(28)를 통과하면서 집광되어 상기 경사부재(26)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볼 렌즈로 구현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광부재(34)와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제작 공차로 인해 이격된 경우에도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통과한 모든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광된 광신호는 상기 경사부재(26)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진행하고, 반사된 광신호는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통과하면서 집광되어 상기 광소자(11)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상기 제1집광부재(34), 상기 제3집광부재(28),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통해 집광하여 상기 광소자(11)로 전달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볼 렌즈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3집광부재(28)의 직경(28D, 도 14에 도시됨)은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의 직경(34D, 도 14에 도시됨)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X-Z 평면에서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을 의미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집광부재(28)는 구의 중심(C)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 중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내측벽(202)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구의 중심(C)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는 리셉터클본체(20)에 의해 상기 제3집광부재(28)의 일부 영역이 가려져서 광신호를 집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3집광부재(28)의 직경(28D)을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의 직경(34D) 보다 크게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단면의 직경(27D, 도 14에 도시됨)은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의 직경(34D)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단면의 직경(27D)은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단면의 직경(34D)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광신호가 송신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될 수 있음을 반영하여 광신호를 수신하는 측에 위치한 집광부재가 광신호를 송신하는 측에 위치한 집광부재 보다 크게 구현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제3집광부재(28)가 볼 렌즈로 구현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제1집광부재(34)가 볼 렌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반구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집광부재(34) 및 상기 제3집광부재(28)가 모두 볼 렌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5a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반구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5b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상기 제1집광부재(34)는 볼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반구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홈(30a)에는 페룰(Ferrule)(110, 도 15a에 도시됨)이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페룰(110)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지지홈(30a)에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페룰(110)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지지홈(30a)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페룰(11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홈(30a)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페룰(110)에 의해 정렬됨으로써 중심축이 상기 지지홈(30a)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페룰(110)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는 페룰(110)은 반구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34)가 볼 렌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홈(30a)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본체(30) 자체가 페룰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34)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34)의 형상에 따라 적합한 구조로 플러그 어셈블리(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제1집광부재(34)에 대해 정렬시켜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지지홈(30a)의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30a)은 단면이 원형, 또는 원의 일부가 잘라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지지홈(30a)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면이 삼각형을 갖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지지홈(30a)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지지홈(30a) 내에서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30)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지지홈(30a)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33)는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에 에폭시를 도포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한 상태에서 에폭시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경화된 고정부(33)에 의해 상기 지지홈(30a)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부는 덮지 않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높이를 낮추어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홈(30a)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할수록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홈(30a)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지지홈(30a)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지지홈(3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코어(Core, 100a) 및 피복(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복(100b)은 상기 코어(100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복(100b)은 클래드(Clad) 및 재킷(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00a)가 상기 피복(100b) 대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할수록 단면의 면적이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고정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홈(30a)이 형성된 플러그본체(30)의 상측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지지홈(30a)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할수록 작은 단면을 갖기 때문에 용이하게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할수록 작은 단면을 갖는 지지홈(30a)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상기 지지홈(30a)에 삽입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지지홈(30a) 중 상기 코어(100a)가 삽입되는 영역에 에폭시가 도포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접착부재(5, 도 1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의 테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外周)에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도전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전부재(6)로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기판(10)에는 그라운드 패드(GND, 도 3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外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外周) 중 3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모 기판(미도시)에 광커넥터 소자들을 동시에 복수개 형성한 후 모 기판을 다이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 중에서 일 벽은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이싱 레인을 따라 다이싱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外周) 중 3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착부재(5)도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外周) 중 3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하나씩 형성될 경우,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 및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에 해당하는 4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삽입홈(21)을 제외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좌측면(左側面), 우측면(右側面), 및 상면(上面)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버 페이스트(Ag paste)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에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증착 물질의 직진성이 좋지 않은 증착 공정을 통해 상기 도전성 재료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기판(10) 상에 증착함으로써, 상기 접착부재(5)에 연결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全面)에 상기 도전부재(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가 상기 도전부재(6)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접착부재(5)는 도전성 에폭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에 형성되므로,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재(6)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에 연결됨으로써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의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경사부재(26)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여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반사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재(6)는 니켈, 크롬, 티타늄, 구리 등과 같이 도전성 특성을 갖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도전성 특성을 가지면서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이든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를 형성하는 증착 공정에서 상기 삽입홈(21)에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희생부품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도전부재(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희생부품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삽입홈(21)을 제외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좌측면(左側面), 우측면(右側面), 및 상면(上面)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그라운드 패드(GND)에 접속되어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도전부재(6)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도전부재(6)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도전부재(6)에 전체적으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4)는 돌출부재(41, 도 1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는 상기 커버본체(4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는 상기 경사부재(26)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본체(4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부재(6)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경사부재(26)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6)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경사부재(26)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서 높이가 낮아진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을 상기 돌출부재(41)를 통해 채움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커버부(4)의 형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2 : 리셉터클 어셈블리
3 : 플러그 어셈블리 4 : 커버부
5 : 접착부재 6 : 도전부재
11 : 광소자 12 : 제어 소자
13 : 공기 배출공 14 : 정렬홈
20 : 리셉터클본체 21 : 삽입홈
22 : 결합홈 23 : 제한부재
24 : 수납홈 25 : 정렬부재
26 : 경사부재 27 : 제2집광부재
28 : 제3집광부재 30 : 플러그본체
30a : 지지홈 31 : 끼움부재
32 : 개방홈 33 : 고정부
34 : 제1집광부재 341 : 가림부재
35 : 광신호 차단층 40 : 커버본체
41 : 돌출부재

Claims (18)

  1.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광소자;
    상기 광소자들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들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지지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들이 상기 광소자들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들은 상기 정렬홈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기판에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의 광신호 간의 간섭, 및 상기 광소자들의 광신호 간의 간섭 중 적어도 하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신호 차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신호 차단층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홈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들은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 및 상기 광소자들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들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들 또는 상기 광소자들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에 대해 제1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에 대해 상기 제1방향 쪽에 위치하며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도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들을 향하는 방향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소자들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을 향하는 방향 쪽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광소자에 대해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1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광부재는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플러그본체가 상기 제1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제한부재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1집광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한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상기 제1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제1집광부재에 대해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가 형성된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광부재의 단면은 상기 지지홈의 단면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본체는 상기 광소자들 및 상기 제어 소자가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제2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집광부재는 상기 광소자에 대해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리셉터클본체의 밑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가 수광소자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1집광부재의 단면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광소자가 발광소자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1집광부재의 단면의 직경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3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집광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집광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리셉터클본체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광부재, 및 상기 제3집광부재 중 어느 하나는 볼 렌즈(Ball Lens)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반구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 렌즈로 형성된 집광부재의 직경은 나머지 집광부재의 단면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광부재, 상기 제2집광부재, 및 상기 제3집광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차단층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홈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18.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광소자;
    상기 광소자들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들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지지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들이 상기 광소자들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들은 상기 정렬홈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기판에 결합되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의 광신호 간의 간섭, 및 상기 광소자들의 광신호 간의 간섭 중 적어도 하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신호 차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신호 차단층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홈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KR1020170078753A 2017-06-21 2017-06-21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KR102335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53A KR102335733B1 (ko) 2017-06-21 2017-06-21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53A KR102335733B1 (ko) 2017-06-21 2017-06-21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81A KR20180138481A (ko) 2018-12-31
KR102335733B1 true KR102335733B1 (ko) 2021-12-03

Family

ID=6495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53A KR102335733B1 (ko) 2017-06-21 2017-06-21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773A1 (en) * 2020-09-14 2022-03-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High density stacked alignment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376A (ja) 2002-11-07 2004-06-0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光コネクタ
JP2004246279A (ja) * 2003-02-17 2004-09-02 Seiko Epson Corp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光通信装置、光電気混載集積回路、回路基板、電子機器
US20130266262A1 (en) 2012-04-09 2013-10-10 Fujikura Ltd. Optical path-changing member
US20140185986A1 (en) 2011-09-13 2014-07-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Gradient index (grin) lens holders employing a recessed cover, and optical connector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009A (ko) * 2013-12-06 2015-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수동광정렬을 위한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어셈블리, 광전송부재커넥터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376A (ja) 2002-11-07 2004-06-0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光コネクタ
JP2004246279A (ja) * 2003-02-17 2004-09-02 Seiko Epson Corp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光通信装置、光電気混載集積回路、回路基板、電子機器
US20140185986A1 (en) 2011-09-13 2014-07-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Gradient index (grin) lens holders employing a recessed cover, and optical connector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US20130266262A1 (en) 2012-04-09 2013-10-10 Fujikura Ltd. Optical path-chang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81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6847B (zh) 混合式缆线到板连接器
CN113009650B (zh) 一种光模块
US6632030B2 (en) Light bending optical block for fiber optic modules
CN111913258A (zh) 一种光模块
CN114488439B (zh) 一种光模块
CN114488438B (zh) 一种光模块
KR102335733B1 (ko)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KR101266616B1 (ko) 광전 배선 모듈
KR102390389B1 (ko) 광커넥터 패키지
CN112987193A (zh) 一种光模块
KR102524576B1 (ko) 광커넥터
CN109143492B (zh) 光收发器
CN113625399A (zh) 一种光模块
KR102019740B1 (ko) 광 커넥터
KR102524575B1 (ko) 광커넥터
KR102392370B1 (ko) 광커넥터
CN214278493U (zh) 一种光模块
KR20180125181A (ko) 광커넥터 패키지
KR20180117897A (ko) 광커넥터
KR20180134698A (ko) 광커넥터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2602185B1 (ko) 광커넥터
KR102602186B1 (ko) 광커넥터
CN113009645A (zh) 一种光模块
CN111983759A (zh) 一种光模块
CN112099159A (zh) 一种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