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41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0412A KR20190110412A KR1020180081037A KR20180081037A KR20190110412A KR 20190110412 A KR20190110412 A KR 20190110412A KR 1020180081037 A KR1020180081037 A KR 1020180081037A KR 20180081037 A KR20180081037 A KR 20180081037A KR 20190110412 A KR20190110412 A KR 20190110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 member
- carrier
- axis
- lens holde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H04N5/2251—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 내에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렌즈 홀더; 상기 캐리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 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제1 볼 부재보다 상기 캐리어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초점 조정 기능 및 흔들림 보정 기능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메라 모듈은 그 크기가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나, 초점 조정 기능 및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렌즈를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필요하고, 이러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렌즈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볼 베어링을 채용하는 경우, 볼 베어링은 통상적으로 다른 부재와 점 접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이 파손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시키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 내에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렌즈 홀더; 상기 캐리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 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제1 볼 부재보다 상기 캐리어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 내에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삽입 고정되는 렌즈 배럴; 상기 캐리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제1 볼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렌즈 홀더를 가이드하는 제2 볼 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3 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제1 볼 부재보다 상기 캐리어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크기를 소형화시키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캐리어, 프레임 및 볼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4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한 제1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4에 대한 제2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4에 대한 제3 변형예이다.
도 9a는 도 8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의 IV-IV'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변형예이다.
도 10b는 도 9b의 변형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캐리어, 프레임 및 볼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4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한 제1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4에 대한 제2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4에 대한 제3 변형예이다.
도 9a는 도 8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의 IV-IV'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변형예이다.
도 10b는 도 9b의 변형예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캐리어, 프레임 및 볼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배럴(210), 렌즈 배럴(210)을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700) 및 렌즈 배럴(210)과 렌즈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120)과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2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에 장착된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1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고,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배럴(210)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일 예로,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초점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부(400) 및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50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700)은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700)은 이미지 센서(710) 및 이미지 센서(7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720)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710)는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7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71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710)는 인쇄회로기판(720)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배럴(210)과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12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배럴(210)과 렌즈 구동 장치가 수용된다.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700)이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초점 조정부(400) 및 흔들림 보정부(5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기판(600)이 배치된다. 기판(600)은 하우징(120)의 측면을 감싸는 하나의 기판(600)으로 제공된다.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점 조정부(400)의 구동 코일(430) 및 제1 위치 검출부(470)와, 흔들림 보정부(500)의 제1 구동 코일(510b), 제2 구동 코일(520b) 및 제2 위치 검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된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2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1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1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1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720)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렌즈 구동 장치 중 초점 조정부(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 배럴(210)은 렌즈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400)를 구비한다.
초점 조정부(400)는, 렌즈 배럴(210)을 수용하는 캐리어(300), 및 렌즈 배럴(210)과 캐리어(3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410)와 구동 코일(430)을 포함한다.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코일(430)은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마그네트(410)와 구동 코일(430)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기판(600)은 하우징(120)의 측면에 장착된다.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어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구동 코일(430)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구동 코일(4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410)와 구동 코일(430)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캐리어(3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0)에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수용되고, 렌즈 홀더(320)에는 렌즈 배럴(210)이 장착되므로,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300)가 이동될 때, 캐리어(300)와 하우징(12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00)와 하우징(120) 사이에 구름부재(B1)가 배치된다. 구름부재(B1)는 볼 형태일 수 있다.
구름부재(B1)는 마그네트(4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요크(450)는 마그네트(410)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요크(450)는 기판(600)의 외측면(구동 코일(430)이 매립된 면의 반대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요크(450)는 구동 코일(430)을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4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요크(450)와 마그네트(410) 사이에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 요크(450)와 마그네트(41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B1)는 캐리어(300) 및 하우징(12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크(450)는 마그네트(4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요크(450)와 마그네트(4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한편, 마그네트(410)와 캐리어(300) 사이에는 제2 요크(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420)는 마그네트(4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요크(420)와 마그네트(4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제1 위치 검출부(470)가 제공된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복수의 코일(470a, 470b) 및 복수의 코일(470a, 47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470a, 470b)도 구동 코일(430)과 마찬가지로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470a, 470b)이 도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코일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마그네트(4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센싱 요크(46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센싱 요크(46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되고, 센싱 요크(460)는 도전체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센싱 요크(460)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위치 검출부(470)는 구동 코일(43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캐리어(30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캐리어(300)에 장착된 센싱 요크(46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 위치 검출부(470)의 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제어부는 제1 위치 검출부(470)로부터 인덕턴스 값을 전달받아 렌즈 배럴(210)의 위치(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 검출부(470)의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센싱 요크(46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싱 요크(46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고, 캐리어(300)에는 렌즈 배럴(210)이 수용되며, 캐리어(300)는 렌즈 배럴(210)과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제1 위치 검출부(470)의 인덕턴스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210)의 위치(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검출부(470)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의 코일(470a, 470b)을 포함한다.
센싱 요크(46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위치 검출부(470)의 2개의 코일(470a, 470b)에서 발생되는 신호 차를 이용하여 렌즈 배럴(21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2개의 코일(470a, 470b)의 인덕턴스 값은 센싱 요크(460)와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렌즈 배럴(21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요크(460)의 이동에 따라 2개의 코일(470a, 470b)의 인덕턴스는 증감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코일(470a)의 인덕턴스가 증가할 때, 다른 하나의 코일(470b)의 인덕턴스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코일(470a, 470b)의 인덕턴스 값을 서로 감산할 경우,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의한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배럴(21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검출부(470)가 센싱 요크(460)와 마주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싱 요크(46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1 위치 검출부(470)가 마그네트(410)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렌즈 구동 장치 중 흔들림 보정부(5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흔들림 보정부(500)는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5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 배럴(21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일 예로, 흔들림 보정부(500)는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한다.
흔들림 보정부(500)는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복수의 마그네트는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코일은 제1 구동 코일(510b) 및 제2 구동 코일(520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를 포함한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캐리어(300) 내에 삽입되며,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는 렌즈 배럴(21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렌즈 배럴(210)은 렌즈 홀더(320)에 삽입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흔들림 보정 시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채용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높이(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가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재의 프레임(310)은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의 두 변이 제거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310)은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ㄱ' 또는 'ㄴ' 형상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는 각각 프레임(310)의 개방된 두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의 배치 위치는 프레임(310)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으로 캐리어(300)에 대하여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1 구동 코일(510b)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2 마그네트(520a)와 제2 구동 코일(520b)은 제1 축(X축)에 수직한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2 축(X축)은 광축(Z축)과 제1 축(Y축)에 모두 수직한 축을 의미한다.
복수의 마그네트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도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는 렌즈 홀더(3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는 각각 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장착된다. 렌즈 홀더(320)의 측면은 서로 수직한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렌즈 홀더(320)의 제1 면과 제2 면에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가 배치된다.
제1 구동 코일(510b) 및 제2 구동 코일(520b)은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1 구동 코일(510b)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고, 제2 마그네트(520a)와 제2 구동 코일(520b)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기판(600)은 하우징(120)의 측면에 장착된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는 렌즈 홀더(320)와 함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제1 구동 코일(510b)과 제2 구동 코일(520b)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흔들림 보정부(500)의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를 지지하는 복수의 볼 부재가 제공된다. 복수의 볼 부재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캐리어(300),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복수의 볼 부재는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를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2)는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 볼 부재(B3)는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볼 부재(B2)는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볼 부재(B3)는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볼 부재(B3)는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한다.
캐리어(300)와 프레임(310)이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 볼 부재(B2)를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부(301)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부(301)는 제1 볼 부재(B2)의 복수의 볼 부재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끼워진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홈부(301)의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의 평면 형상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2 볼 부재(B3)를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부(311)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부(311)는 제2 볼 부재(B3)의 복수의 볼 부재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되어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끼워진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및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축(Y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2 가이드홈부(311)의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의 평면 형상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홀더(320)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3 볼 부재(B4)가 제공된다.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렌즈 홀더(320)를 지지한다.
일 예로,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Y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동되는 렌즈 홀더(3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볼 부재(B4)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X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동되는 렌즈 홀더(3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볼 부재(B3)와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를 접촉 지지한다.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이 형성된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끼워진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홈(302)은 사각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302)의 형상과, 제1 가이드홈부(301) 및 제2 가이드홈부(311)의 형상은 서로 다르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구름 운동 가능하고,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만 구름 운동 가능하며,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흔들림 보정부(500)을 지지하는 복수의 볼 부재는 자유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자유도란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독립 변수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의 자유도는 6이다. 물체의 움직임은 세 방향의 직교좌표계와 세 방향의 회전좌표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는 각 축(X축, Y축, Z축)을 따라 병진 운동할 수 있고, 각 축(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유도의 의미는, 흔들림 보정부(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500)가 이동될 때, 제1 볼 부재(B2), 제2 볼 부재(B3) 및 제3 볼 부재(B4)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독립 변수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제3 볼 부재(B4)는 두 개의 축(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고,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는 하나의 축(제1 축(X축) 또는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의 자유도와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의 자유도는 다르다.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이 함께 제1 축(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을 따라 구름 운동하고, 제3 볼 부재(B4)는 제2 축(Y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때, 제2 볼 부재(B3)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또한,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이 제2 축(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 운동하고,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때, 제1 볼 부재(B2)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흔들림 보정부(500)와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요크(510c, 520c)가 제공된다.
복수의 요크(510c, 520c)는 캐리어(300)에 고정되고,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요크(510c, 520c)와,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 사이에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한다.
복수의 요크(510c, 520c)와,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흔들림 보정부(500)가 복수의 요크(510c, 520c)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흔들림 보정부(500)의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는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요크(510c, 520c)는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일 예로, 복수의 요크(510c, 520c)는 자성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크(510c, 520c)를 제공하는 한편,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캐리어(3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330)가 제공된다.
스토퍼(330)는 렌즈 홀더(3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캐리어(30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한 제2 위치 검출부가 제공된다. 제2 위치 검출부는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 검출부는 복수의 코일 및 복수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코일로부터 인덕턴스 값을 전달받아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도 제1 구동 코일(510b)과 마찬가지로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제1 구동 코일(510b) 또는 제2 구동 코일(520b)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이 2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구동 코일(510b) 또는 제2 구동 코일(520b)의 양측에 코일이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코일이 제1 구동 코일(510b)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복수의 코일이 제2 구동 코일(520b)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마그네트(510a)는 제1 구동 코일(510b)과 제1 축(X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마그네트(510a)의 일측은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마그네트(510a)의 타측은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 중 다른 하나의 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마그네트(510a)의 일측과 일부가 마주보는 코일을 제1-1 센싱 코일(511a)이라 하기로 하고, 제1 마그네트(510a)의 타측과 일부가 마주보는 코일을 제1-2 센싱 코일(511b)이라 하기로 한다.
제1 마그네트(510a)가 제1 축(X축) 방향 및/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의 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제1 마그네트(510a)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a)는 렌즈 홀더(320)에 장착되고, 렌즈 홀더(320)에는 렌즈 배럴(210)이 장착되며, 렌즈 홀더(320)는 렌즈 배럴(210)과 함께 제1 축(X축) 방향 및/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210)의 위치(제1 축(X축) 및/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렌즈 배럴(210)이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1 센싱 코일(511a)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는 증감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제2 위치 검출부는, 렌즈 배럴(210)의 이동에 따른 제1-1 센싱 코일(511a)의 인덕턴스 값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 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두 인덕턴스 값을 합산하여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렌즈 배럴(210)이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1 센싱 코일(511a)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는 증감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제2 위치 검출부는, 렌즈 배럴(210)의 이동에 따른 제1-1 센싱 코일(511a)의 인덕턴스 값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 값을 서로 감산하여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되어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는 각각 캐리어(300),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 중 2가지 부재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에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 각 볼 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복수의 요크(510c, 520c)와,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 사이의 인력에 의해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가 캐리어(300)를 향해 당겨지므로, 지속적으로 캐리어(300)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 각 볼 부재와 캐리어(300)가 접촉되는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볼 부재(B2) 및 제3 볼 부재(B4)가 캐리어(300)와 접촉된다.
여기서, 제3 볼 부재(B4)는 제1 볼 부재(B2)보다 캐리어(300)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2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와 4점 점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볼 부재(B2)는 렌즈 배럴(210), 렌즈 홀더(320) 및 프레임(310)의 이동을 제1 축(X축)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하는 부재이나, 제3 볼 부재(B4)는 렌즈 배럴(210) 및 렌즈 홀더(32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렌즈 홀더(32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를 지지하되, 캐리어(3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300)와 4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캐리어(300)에는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이 형성되고, 수용홈(302)은 적어도 4개의 바닥면을 가지며, 각 바닥면은 광축(Z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캐리어(300)의 수용홈(302)은 사각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과 4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볼 부재(B4)와 수용홈(302)의 4개의 접촉점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접촉점들을 잇는 2개의 선 중 어느 하나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과 접촉된 상태에서 병진 운동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대한 제1 변형예이고, 도 7은 도 4에 대한 제2 변형예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는 상기 제1 볼 부재(B2)보다 캐리어(300)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2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와 3점 점촉 또는 5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300)와 3점 접촉 또는 5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a)은 적어도 3개의 바닥면을 가지며, 각 바닥면은 광축(Z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캐리어(300)의 수용홈(302a)은 삼각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a)과 3점 접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b)은 적어도 5개의 바닥면을 가지며, 각 바닥면은 광축(Z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캐리어(300)의 수용홈(302b)은 오각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b)과 5점 접촉할 수 있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a, 302b)과 접촉된 상태에서 병진 운동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300)의 수용홈(302, 302a, 302b)은 밑면이 개방된 다각뿔 형상일 수 있고,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4에 대한 제3 변형예이고, 도 9a는 도 8의 III-III'의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8의 IV-IV'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a는 도 9a의 변형예이고, 도 10b는 도 9b의 변형예이다.
먼저,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와 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2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와 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300)와 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c)은 반구 형상을 가지며, 수용홈(302c)의 바닥면의 곡률은 제3 볼 부재(B4)의 곡률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c)과 면 접촉할 수 있고,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c)과 접촉된 상태에서 병진 운동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볼 부재(B4)의 회전 운동 시에 수용홈(302c)에 대한 마찰을 저감하도록 수용홈(302c)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와 선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2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와 선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3 볼 부재(B4)는 캐리어(3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300)와 선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c)은 반구 형상을 가지며, 수용홈(302c)의 바닥면의 곡률은 제3 볼 부재(B4)의 곡률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홈(302c)의 바닥면의 곡률은 제3 볼 부재(B4)의 곡률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c)과 선 접촉할 수 있고,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c)과 접촉된 상태에서 병진 운동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볼 부재(B4)의 회전 운동 시에 수용홈(302c)에 대한 마찰을 저감하도록 수용홈(302c)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크기를 소형화시키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케이스
120: 하우징
210: 렌즈 배럴 300: 캐리어
310: 프레임 320: 렌즈 홀더
400: 초점 조정부 500: 흔들림 보정부
600: 기판 700: 이미지 센서 모듈
210: 렌즈 배럴 300: 캐리어
310: 프레임 320: 렌즈 홀더
400: 초점 조정부 500: 흔들림 보정부
600: 기판 700: 이미지 센서 모듈
Claims (14)
-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 내에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렌즈 홀더;
상기 캐리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 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제1 볼 부재보다 상기 캐리어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볼 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부재는 상기 캐리어와 2점 접촉되고,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캐리어와 적어도 3점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제3 볼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적어도 3개의 바닥면을 가지며, 각 바닥면은 상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카메라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밑면이 개방된 다각뿔 형상인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밑면이 개방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기 제3 볼 부재와 상기 수용홈은 4점 접촉하며, 서로 마주보는 접촉점들을 잇는 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렌즈 홀더에는 각각 상기 광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3 볼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적어도 3개의 바닥면을 가지며, 각 바닥면은 상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카메라 모듈.
-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 내에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삽입 고정되는 렌즈 배럴;
상기 캐리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제1 볼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렌즈 홀더를 가이드하는 제2 볼 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3 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제1 볼 부재보다 상기 캐리어와의 접촉점이 더 많게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제3 볼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볼 부재는 병진 운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카메라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반구 형상인 카메라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부재는 상기 캐리어와 2점 접촉되고,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캐리어와 면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의 곡률은 상기 제3 볼 부재의 곡률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부재는 상기 캐리어와 2점 접촉되고, 상기 제3 볼 부재는 상기 캐리어와 선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의 곡률은 상기 제3 볼 부재의 곡률보다 큰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182,658 US10928702B2 (en) | 2018-03-20 | 2018-11-07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amera module |
CN201910109993.9A CN110308605B (zh) | 2018-03-20 | 2019-02-11 | 便携式电子设备及相机模块 |
CN201920190922.1U CN209514277U (zh) | 2018-03-20 | 2019-02-11 | 便携式电子设备及相机模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031 | 2018-03-20 | ||
KR20180032031 | 2018-03-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412A true KR20190110412A (ko) | 2019-09-30 |
KR102589837B1 KR102589837B1 (ko) | 2023-10-17 |
Family
ID=6809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037A KR102589837B1 (ko) | 2018-03-20 | 2018-07-12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9837B1 (ko) |
CN (1) | CN209514277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6163A (ko) * | 2020-03-16 | 2021-09-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WO2022182053A1 (ko) * | 2021-02-23 | 2022-09-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30064235A (ko) * | 2021-11-03 | 2023-05-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12058426B2 (en) | 2021-02-23 | 2024-08-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28702B2 (en) * | 2018-03-20 | 2021-02-2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amera module |
KR102319601B1 (ko) * | 2020-01-16 | 2021-11-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11388322B2 (en) * | 2020-02-07 | 2022-07-12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having rotatable lens module and fram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8398A (ja) * | 2011-02-15 | 2012-09-06 | Canon Inc |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
US20140362284A1 (en) * | 2013-06-10 | 2014-1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mera lens assembly |
KR20150118005A (ko) | 2014-04-11 | 2015-10-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160057721A (ko) * | 2014-11-14 | 2016-05-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20160121684A (ko) * | 2015-04-10 | 2016-10-20 | 자화전자(주) | Ois 액츄에이터 |
US20170139225A1 (en) * | 2015-11-13 | 2017-05-18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2018
- 2018-07-12 KR KR1020180081037A patent/KR102589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2-11 CN CN201920190922.1U patent/CN209514277U/zh not_active Withdrawn - After Issu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8398A (ja) * | 2011-02-15 | 2012-09-06 | Canon Inc |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
US20140362284A1 (en) * | 2013-06-10 | 2014-1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mera lens assembly |
KR20150118005A (ko) | 2014-04-11 | 2015-10-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160057721A (ko) * | 2014-11-14 | 2016-05-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20160121684A (ko) * | 2015-04-10 | 2016-10-20 | 자화전자(주) | Ois 액츄에이터 |
US20170139225A1 (en) * | 2015-11-13 | 2017-05-18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20170056387A (ko) * | 2015-11-13 | 2017-05-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6163A (ko) * | 2020-03-16 | 2021-09-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KR20220054267A (ko) * | 2020-03-16 | 2022-05-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WO2022182053A1 (ko) * | 2021-02-23 | 2022-09-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2058426B2 (en) | 2021-02-23 | 2024-08-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30064235A (ko) * | 2021-11-03 | 2023-05-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9837B1 (ko) | 2023-10-17 |
CN209514277U (zh) | 2019-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4851B2 (en) | Lens driving apparatus having three ball members and opening in frame | |
KR102457389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8983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1792441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029532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110308605B (zh) | 便携式电子设备及相机模块 | |
KR102107028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32362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1813392B1 (ko) | 카메라 모듈 | |
CN113325652B (zh) |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设备 | |
KR102319601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83095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460755B1 (ko) | 카메라 모듈 | |
CN214409530U (zh) |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设备 | |
KR102313289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10020731A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88322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240142844A (ko) | 카메라 모듈 | |
US20240323499A1 (en) | Camera module | |
KR20240105749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30086441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10087298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