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025A - 배기 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025A
KR20190110025A KR1020190023906A KR20190023906A KR20190110025A KR 20190110025 A KR20190110025 A KR 20190110025A KR 1020190023906 A KR1020190023906 A KR 1020190023906A KR 20190023906 A KR20190023906 A KR 20190023906A KR 20190110025 A KR20190110025 A KR 20190110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absorption tower
shape
cleaning liquid
t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547B1 (ko
Inventor
고키 이토
지로 요네다
요시노리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과제] 세정액에 의한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 등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콤팩트화를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배기 가스와 세정액을 접촉시켜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성분을 흡수 제거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흡수탑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도록 상기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배기 가스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에 면한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처리 장치{EXHAUST GAS TREATMENT DEVICE}
본 개시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SOX 등의 유해 성분을 해수 등의 세정액으로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제거 장치로서, 사이클론 스크러버를 사용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러한 종류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흡수탑의 내부에 해수 등의 세정액을 분무하고, 흡수탑의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배기 가스를 통과시켜 세정액과 반응시켜,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유해 성분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이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흡수탑의 내부에서 배기 가스를 나선상으로 선회시킴과 함께,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세정액 분무용 노즐관의 배치에 의해, 배기 가스가 높이 방향으로 직진하는 것을 방해하고, 이로써, 배기 가스가 세정액과 접촉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55075호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성분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배기 가스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 등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추가적인 세정 효율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일 실시형태는, 세정액에 의한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 등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콤팩트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배기 가스와 세정액을 접촉시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을 흡수 제거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흡수탑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도록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배기 가스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에 면한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1)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로부터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는 그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기 때문에, 그 내부 공간에 면한 내주면으로 치우쳐 흐른다. 흡수탑 본체의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 (이하, 간단히 「접촉 면적」이라고도 한다.) 이 증가한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제거 효율 (이하 「세정 효율」이라고도 한다.)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세정 효율이 높아짐으로써, 배기 가스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 등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또,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를 추설 (追設) 하거나,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 어떠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간이한 수단으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는, 상기 흡수탑 본체의 하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흡수탑 본체의 최상부에 배기 가스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요철은, 상기 스프레이부로부터 분무되는 상기 세정액의 액막이 형성되는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2)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철이 스프레이부로부터 분무되는 세정액의 액막이 형성되는 흡수탑의 내주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이 높아져,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 상기 요철이 형성된 상기 내주면 및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보다 상방의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미스트 일리미네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3)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 내에서 상승하는 배기 가스의 최하류측에 형성된 미스트 일리미네이터에 의해 배기 가스로부터 유해 성분을 흡수한 세정액의 미스트 (액분) 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된 배기 가스만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4)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흡수탑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4)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철이 흡수탑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5)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철이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또한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나선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6)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철은, 흡수탑 본체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나선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나선상 홈은 홈의 형성이 용이하다.
나선 홈이 배기 가스의 선회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었을 때, 나선 홈이 배기 가스의 선회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선회의 감쇠를 작게 할 수 있다.
(7)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내주면에 분산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7)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철은, 상기 제 1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는, 상기 흡수탑 본체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 가스 도입관은 상기 흡수탑 본체와의 접속부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직관부 (直管部)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직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내주면에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 2 볼록부를 갖는다.
상기 (8)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직관부의 내주면에 복수의 제 2 볼록부가 분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직관부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직관부를 흐르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성분의 농도 분포 및 유속 분포의 편향을 억제하면서 배기 가스를 흡수탑 본체에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볼록부의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9)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 볼록부에 스프레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스프레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를 접촉시키는 스페이스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배기 가스가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선회할 때, 배기 가스는 내주면측으로 치우친다. 따라서, 제 1 볼록부에 형성된 스프레이부의 세정액 방출구를 내주면측으로 향하게 하여, 내주면측에 빈틈없이 세정액이 고루 미치도록 하면, 배기 가스가 많은 영역에 많은 세정액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볼록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배기 가스의 선회 방향을 향하여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도록 구성된다.
배기 가스의 선회력은,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함으로써 감쇠된다. 상기 (10) 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볼록부로부터 배기 가스의 선회 방향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무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감쇠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흡수탑 본체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간관 (幹管) 과,
상기 간관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지관 (枝管) 과,
상기 지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1)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지관으로부터 흡수탑 본체의 내주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무함으로써, 세정액을 내부 공간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음과 함께,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균일하게 세정액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요철이 형성된 상기 내주면 및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보다 상방의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세정액이 공급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횡단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노즐이 분산되어 형성된 노즐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2)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노즐관은 흡수탑 본체의 최상부에서 흡수탑 본체의 횡단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로부터 세정액을 분무하면, 분무된 세정액은 중력에 의해 강하하여 하방의 내부 공간에 균일하게 산포된다. 또, 내부 공간에는 스프레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스페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프레이부를 노즐관을 형성하는 것만의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3)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 (9) 또는 (1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는, 다각뿔 형상, 원뿔 형상, 뿔대 형상, 각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구면 형상, 타원면 형상, 단면이 반달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 또는 단면이 파형을 갖는 입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13)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볼록부가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4)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다각뿔 형상, 원뿔 형상, 뿔대 형상, 각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구면 형상, 타원면 형상, 단면이 반달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 또는 단면이 파형을 갖는 입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14) 의 구성에 의하면, 배기 가스 도입관의 직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2 볼록부가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직관부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편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 균일한 배기 가스류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탑 본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가지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액에 의한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중의 A-A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탑 본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 의 (A), (B) 및 (C) 는, 몇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의 (A) 및 (B) 는, 몇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의 (A) 및 (B) 는, 몇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의 (A) 및 (B) 는, 몇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의 (A) 및 (B) 는, 몇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마련하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도 1 및 도 2 는, 몇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10A, 10B)) 를 나타내는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흡수탑 본체 (12) 의 내부에 내부 공간 (s) 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 (s) 에 세정액 (Cs) 을 분무하는 스프레이부 (14 (14a, 14b)) 가 형성된다. 또, 예를 들어 내연 기관 (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e) 는, 배기 가스 도입부 (16) 에 의해 내부 공간 (s) 에 도입된다. 그 때, 배기 가스 (e) 는 배기 가스 도입부 (16) 에 의해 내부 공간 (s) 에서 선회하도록 도입된다. 내부 공간 (s) 에 도입된 배기 가스 (e) 는 내부 공간 (s) 에 분무되는 세정액 (Cs) 과 접촉함으로써, 배기 가스 (e) 에 포함되는 SOX 등의 유해 성분이 세정액 (Cs) 에 흡수되어 제거된다. 내부 공간 (s) 에 면한 흡수탑 본체 (12) 의 내주면 (12a) 에는, 요철 (18) 이 형성된다. 요철 (18) 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 도 6 에 예시된다.
도 3 은 도 1 중의 A-A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기 가스 도입부 (16) 는, 흡수탑 본체 (12) 의 횡단면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또한 흡수탑 본체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 배기 가스 도입관으로 구성된다. 이 배기 가스 도입관으로부터 도입되는 배기 가스 (e) 는, 내부 공간 (s) 에서 선회류 (fs) 를 형성한다. 스프레이부 (14) 로부터 분무된 세정액 (Cs) 은 내부 공간 (s) 에 확산됨과 함께, 내주면 (12a) 에 부착되어 액막을 형성한다.
세정액 (Cs) 이 예를 들어 알칼리성인 해수일 때, 배기 가스 (e) 에 포함되는 SOX 는 해수에 포함되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중화되어 무해화된다. 세정액으로서, 해수 외에, 호수, 강물, 또는 알칼리화한 처리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 (12) 의 내주면 (12a) 에 요철 (18) 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한편, 배기 가스 (e) 에 의해 형성되는 선회류 (fs) 는 선회류 (fs) 가 갖는 원심력에 의해 내주면 (12a) 으로 치우쳐 흐른다. 이로써,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의 접촉성이 높아져,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세정 효율이 높아짐으로써, 배기 가스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 본체 (12) 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를 추설하거나, 내부 공간 (s) 에 어떠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내주면 (12a) 에 요철 (18) 을 형성하는 것만의 간이한 수단으로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도입부 (16) 는, 흡수탑 본체 (12) 의 하부에 형성되고, 배기 가스 배출부 (20) 가 흡수탑 본체 (12) 의 최상부에 형성된다. 배기 가스 도입부 (16) 로부터 도입된 배기 가스 (e) 는 내부 공간 (s) 에서 선회하면서 상승하고, 배기 가스 배출부 (20) 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요철 (18) 은, 스프레이부 (14) 로부터 분무되는 세정액 (Cs) 의 액막이 형성되는 내주면 (12a) 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요철 (18) 이 스프레이부 (14) 로부터 분무되는 세정액 (Cs) 의 액막이 형성되는 내주면 (12a) 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이 높아져,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부 (14), 요철 (18) 이 형성된 내주면 (12a) 및 배기 가스 도입부 (16) 보다 상방의 내부 공간 (s) 에 미스트 일리미네이터 (22) 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 (12) 내에서 상승하는 배기 가스 (e) 의 최하류측, 즉 흡수탑 본체 (12) 의 최상부에 형성된 미스트 일리미네이터 (22) 에 의해, 배기 가스 (e) 로부터 SOX 등의 유해 성분을 흡수한 세정액의 미스트 (액분) 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된 배기 가스만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 (12) 는, 세정액 (Cs) 을 분무하여 배기 가스 (e) 를 무해화하는 흡수부 (21) 와, 흡수부 (21) 의 상방에 형성되고, 무해화된 배기 가스 (e) 가 배출되는 배기 가스 배출부 (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바닥면에 형성된 배액로 (23) 로부터 배액이 배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본체 (12) 의 횡단면은 원형 혹은 타원형이어도 되고, 혹은 방형이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 (18 (18a)) 은,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 (도 1 중의 화살표 a 방향) 을 따라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홈 (24)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홈 (24) 은,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요철 (18 (18a)) 이 1 개 이상의 홈 (24) 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요철 (18 (18a)) 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란, 요철 (18 (18a)) 이 축 방향에 대하여 0 ∼ 30 도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탑 본체 (12) 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 (18 (18b)) 은, 흡수탑 본체 (12) 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홈 (26)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요철 (18 (18b)) 이 흡수탑 본체 (12) 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주면 (12a) 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홈 (26) 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요철 (18 (18b)) 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란, 요철 (18 (18b)) 이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횡단면에 대하여 0 ∼ 30 도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 는, 흡수탑 본체 (12)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 (18 (18c)) 은,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고, 내주면 (12a) 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나선 홈 (28)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요철 (18 (18c)) 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나선상 홈은 홈의 형성이 용이함과 함께, 나선 홈 (28) 이 배기 가스 (e) 의 선회류 (fs) 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었을 때, 나선 홈 (28) 이 배기 가스 (e) 의 선회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선회의 감쇠를 작게 할 수 있다.
홈 (24, 26) 또는 나선 홈 (28) 은, 1 개만 또는 2 개 이상 병렬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흡수탑 본체 (12) 의 내벽면 중 적어도 내주면 (12a) 에 형성되지만, 내주면 (12a) 에 더하여,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 (12) 의 바닥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이들 홈은,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또, 홈 (24, 26) 또는 나선 홈 (28) 은, 내주면 (12a) 에 형성되는 세정액 (Cs) 의 액막 이상의 깊이, 예를 들어, 5 ㎜ 이상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흡수탑 본체 (12)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철 (18 (18d)) 은, 내주면 (12a) 에 분산되어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 (30) (제 1 볼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록부 (30) 는,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볼록부 (30) 를 포함하는 요철 (18 (18d)) 이 형성됨으로써,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 (Cs) 과 배기 가스 (e) 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볼록부 (30) 는, 서로 겹치지 않고, 분산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고, 이로써, 접촉 면적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요철 (18 (18d)) 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공간 (s) 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 (e) 의 압손 증가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의 운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볼록부 (30) 의 내주면 (12a) 으로부터의 높이 및 볼록부 (30) 사이의 간격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볼록부 (30) 를 흡수탑 본체 (12) 의 중심축 (O) 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로써, 내부 공간 (s) 의 횡단면 상에서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 면적을 균일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 (30) 는, 내주면 (12a) 의 제조시에 내주면 (12a) 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혹은 내주면 (12a) 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내주면 (12a) 의 제조 후에 내주면 (12a) 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본체 (12) 의 내면 (정확하게는,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미스트 일리미네이터 (22) 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 (12) 의 내주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는 내면 전역) 에, 요철 (18) 을 전혀 형성하지 않은 경우를 폐색률 0 % 로 하고, 내면 전역에 요철 (18) 을 형성한 경우를 폐색률 100 % 로 한다. 이 경우, 폐색률을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색률이 50 % 를 초과하면, 흡수탑 본체 (12) 의 내부에서 배기 가스 (e) 의 압력 손실이 커져, 배기 가스 (e) 의 선회력이 감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도입부 (16) 는 흡수탑 본체 (12) 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관으로 구성되고, 그 배기 가스 도입관의 흡수탑 본체 (12) 와의 접속부는 직선 형상의 직관부 (32) 로 구성된다. 직관부 (3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 (12) 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직관부 (32) 로부터 도입되는 배기 가스 (e) 는, 내부 공간 (s) 에서 선회류 (fs) 를 형성한다. 추가로, 직관부 (32) 의 내주면에 복수의 볼록부 (34) (제 2 볼록부) 가 분산되어 배치된다.
직관부 (32) 의 상류측에 벤드부 등이 있는 경우, 직관부 (32) 에 유입한 배기 가스는 편류를 일으키기 쉽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직관부 (32) 의 내주면에 복수의 볼록부 (34) 가 분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직관부 (32) 를 흐르는 배기 가스 (e) 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직관부 (32) 를 흐르는 배기 가스 (e) 에 포함되는 SOX 등의 유해 성분의 농도 분포 및 유속 분포의 편향을 억제하고, 배기 가스 (e) 를 균일한 흐름으로서 내부 공간 (s) 에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 (s) 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스페이스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볼록부 (34) 는, 서로 겹치지 않고 분산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직관부 (32) 를 흐르는 배기 가스 (e) 의 편류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직관부 (32) 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 (e) 의 압손 증가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의 운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볼록부 (34) 의 내주면 (12a) 으로부터의 높이 및 볼록부 (34) 사이의 간격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 (34) 는, 직관부 (32) 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직관부 (32) 의 내주면의 제조시에 그 내주면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혹은 그 내주면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그 내주면의 제조 후에 그 내주면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직관부 (32) 의 내주면에 볼록부 (34) 를 전혀 형성하지 않은 경우를 폐색률 0 % 로 하고, 직관부 (32) 의 내주면 전역에 볼록부 (34) 를 형성한 경우를 폐색률 100 % 로 한다. 이 경우, 폐색률을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색률이 50 % 를 초과하면, 볼록부 (34) 의 작용으로서 SOX 등의 유해 성분의 농도 분포 및 유속 분포의 편향은 억제할 수 있지만,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배기 가스 (e) 의 유속이 저하되고, 흡수탑 본체 내부에서의 선회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부 (14 (14a)) 는, 내부 공간 (s) 의 중심축 (O) 을 따라 연장되는 간관 (40) 과, 간관 (40) 으로부터 내주면 (12a) 을 향하여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지관 (42) 과, 지관 (42) 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 (Cs) 을 분무하는 스프레이 노즐 (44)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프레이부 (14 (14a)) 는 내부 공간 (s) 의 중앙부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 (s) 의 중앙부로부터 스프레이 노즐 (44) 에 의해 세정액 (Cs) 을 내주면 (12a) 의 전체 둘레를 향하여 분무함으로써, 세정액 (Cs) 을 내부 공간 (s) 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음과 함께,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균일하게 세정액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이 높아져,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이 노즐 (44) 은 지관 (42) 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관 (42) 의 선단에 장착됨으로써, 내주면 (12a) 의 근처로부터 내주면 (12a) 을 향하여 세정액 (Cs) 을 분무할 수 있다. 이로써, 내주면 (12a) 에 세정액 (Cs) 의 액막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지관 (42) 은,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횡단면 상에 배치해도 되고, 혹은 그 횡단면으로부터 상하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스프레이 노즐 (44) 의 세정액 분무 방향은, 세정액 (Cs) 이 내부 공간 (s) 에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혹은 내주면 (12a) 에 세정액 (Cs) 의 액막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부 (14 (14b)) 는, 요철 (18) 이 형성된 내주면 (12a) 및 배기 가스 도입부 (16) 보다 상방의 내부 공간 (s) 에 형성된다. 스프레이부 (14 (14b)) 에는 세정액 (Cs) 이 공급된다. 또, 스프레이부 (14 (14b)) 는 흡수탑 본체 (12) 의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복수의 노즐 (48) 이 분산되어 배치된 노즐관 (46)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프레이부 (14 (14b)) 는 흡수탑 본체 (12) 의 최상부에서 흡수탑 본체 (12) 의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노즐관 (46) 으로부터 세정액을 분무하면, 분무된 세정액 (Cs) 은 중력에 의해 강하하여, 하방의 내부 공간 (s) 에 균일하게 산포된다. 또, 하방의 내부 공간 (s) 에는 스프레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스페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이 높아져,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프레이부 (14 (14b)) 를 노즐관 (46) 을 형성하는 것만의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스프레이부 (14 (14b)) 가 흡수탑 본체 (12) 의 횡단면을 따라 연장된다」란,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횡단면에 대하여 0 ∼ 30 도의 경사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본체 (12) 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s) 에 도설 (導設) 되어, 노즐관 (46) 에 접속되는 세정액 공급관 (50) 을 구비하고, 세정액 공급관 (50) 으로부터 노즐관 (46) 에 세정액 (Cs) 이 공급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노즐관 (46) 은 환상의 노즐관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 환상 노즐관의 직경을 크게 하고, 노즐 (48) 을 내주면 (12a) 에 접근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내주면 (12a) 에 세정액의 액막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노즐관 (46) 은, 환상 이외에, 하방의 내부 공간 (s) 에 균일하게 산포 가능한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부 (14 (14c)) 는 복수의 볼록부 (30) 의 각각에 형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각도 (θ) 는 세정액 (Cs) 의 분무 각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주면 (12a) 에 형성된 볼록부 (30) 에 스프레이부 (14 (14c)) 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 (s) 의 중앙부에 스프레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내부 공간 (s) 을 흐르는 배기 가스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그 만큼 세정액과 배기 가스를 접촉시키는 스페이스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부 (14 (14c)) 의 노즐구는,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단면에 대하여 상하로 경사지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해도 되고, 또,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를 갖게 하여 배치해도 된다.
또, 배기 가스 (e) 가 내부 공간 (s) 에서 선회할 때, 배기 가스 (e) 는 내주면 (12a) 측으로 치우친다. 따라서, 스프레이부 (14 (14c)) 로부터 세정액을 분무하는 노즐구를 내주면측으로 향하게 하여, 내주면측에 빈틈없이 세정액이 고루 미치도록 하면, 배기 가스가 많은 공간에 많은 세정액을 방출할 수 있고, 이로써,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이부 (14 (14c)) 는, 복수의 볼록부 (30) 의 각각으로부터 배기 가스의 선회 방향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무하도록 구성된다.
흡수탑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선회력이 감쇠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볼록부 (30) 로부터 배기 가스의 선회류 (fs) 를 향하여 세정액을 분무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선회력의 감쇠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이부 (14 (14c)) 는, 흡수탑 본체 (12) 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하여 내주면 (12a) 의 둘레 방향 전역에 분산 배치한다. 이로써, 세정액을 내부 공간 (s) 의 전역에 균등하게 산포할 수 있다.
스프레이부 (14 (14c)) 를 형성하는 볼록부 (30) 는, 목적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반드시 흡수탑 본체 (12) 의 횡단면 상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내주면 (12a) 에 나선상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 스프레이부 (14 (14c)) 의 복수의 노즐구의 방향은, 각 노즐구로부터 분무되는 세정액이 서로 대면하지 않도록 조정하면 된다.
몇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8 ∼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0 및 34) 는,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각뿔 형상 또는 뿔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의 (A) 에는 육각뿔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B) 에는 삼각뿔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C) 에는 삼각뿔대 형상의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0 및 34) 를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0 의 (A) 에는 원뿔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B) 에는 원뿔대 형상의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0 및 34) 를 각기둥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의 (A) 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B) 에는 삼각기둥 형상의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0 및 34) 를 원기둥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0 및 34) 를 구면 형상 또는 타원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0 의 (A) 에는 구면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B) 에는 타원면 형상의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0 및 34) 를 단면이 반달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 또는 단면이 파형을 갖는 입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3 의 (A) 에는 단면 (52) 이 반달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B) 에는 단면 (54) 이 파형을 갖는 입체 형상의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내주면 (12a) 을 타고 이동하는 세정액과 배기 가스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접촉성을 높여, 배기 가스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가지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액에 의한 배기 가스 중의 유해 성분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탑 등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10 (10A, 10B) :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2 : 흡수탑 본체
12a : 내주면
14 (14a, 14b, 14c) : 스프레이부
16 : 배기 가스 도입부
18 (18a, 18b, 18c, 18d) : 요철
20 : 배기 가스 배출부
21 : 흡수부
22 : 미스트 일리미네이터
23 : 배액로
24, 26 : 홈
28 : 나선 홈
30 : 볼록부 (제 1 볼록부)
32 : 직관부
34 : 볼록부 (제 2 볼록부)
40 : 간관
42 : 지관
44 : 스프레이 노즐
46 : 노즐관
48 : 노즐
50 : 세정액 공급관
52, 54 : 단면
Cs : 세정액
a : 축 방향
e : 배기 가스
fs : 선회류
s : 내부 공간

Claims (14)

  1. 배기 가스와 세정액을 접촉시켜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성분을 흡수 제거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흡수탑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도록 상기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배기 가스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에 면한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는, 상기 흡수탑 본체의 하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흡수탑 본체의 최상부에 배기 가스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요철은, 상기 스프레이부로부터 분무되는 상기 세정액의 액막이 형성되는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 상기 요철이 형성된 상기 내주면 및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보다 상방의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미스트 일리미네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흡수탑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나선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내주면에 분산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는, 상기 흡수탑 본체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 가스 도입관은 상기 흡수탑 본체와의 접속부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직관부 (直管部)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직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내주면에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 2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볼록부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볼록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배기 가스의 선회 방향을 향하여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흡수탑 본체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간관 (幹管) 과,
    상기 간관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1 개 이상의 지관 (枝管) 과,
    상기 지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정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요철이 형성된 상기 내주면 및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보다 상방의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세정액이 공급되고 상기 흡수탑 본체의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노즐이 분산되어 배치된 노즐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3. 제 7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는, 다각뿔 형상, 원뿔 형상, 뿔대 형상, 각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구면 형상, 타원면 형상, 단면이 반달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 또는 단면이 파형을 갖는 입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다각뿔 형상, 원뿔 형상, 뿔대 형상, 각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구면 형상, 타원면 형상, 단면이 반달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 또는 단면이 파형을 갖는 입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20190023906A 2018-03-19 2019-02-28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2252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0467A JP7105075B2 (ja) 2018-03-19 2018-03-19 排ガス処理装置
JPJP-P-2018-050467 2018-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025A true KR20190110025A (ko) 2019-09-27
KR102252547B1 KR102252547B1 (ko) 2021-05-14

Family

ID=6800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06A KR102252547B1 (ko) 2018-03-19 2019-02-28 배기 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05075B2 (ko)
KR (1) KR102252547B1 (ko)
CN (1) CN110280112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433A (ja) * 1995-08-02 1997-02-10 Denso Corp 空気清浄機
JP2000210533A (ja) * 1999-01-22 2000-08-02 Nkk Corp 排煙脱硫装置
KR20150038620A (ko) * 2012-12-19 2015-04-08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JP2016155075A (ja) 2015-02-24 2016-09-01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
KR20170054549A (ko) * 2013-10-17 2017-05-17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흡수탑, 가스 흡수탑의 제조 방법 및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4571A (ko) * 1973-04-28 1974-12-25
JPH09173764A (ja) * 1995-12-22 1997-07-08 Babcock Hitachi Kk 湿式排煙脱硫装置および方法
JP2005349350A (ja) * 2004-06-14 2005-12-22 Okunaga Masaki 排気ガス処理装置
EP2644251A1 (en) * 2012-03-29 2013-10-02 Doosan Lentjes GmbH A flue gas purification device
JP2016052629A (ja) * 2014-09-04 2016-04-14 株式会社Ihi 脱硫装置
CN105879627A (zh) * 2014-10-21 2016-08-24 丁有农 一种介质雾化湿法烟气脱硫塔
CN105536491A (zh) * 2015-09-17 2016-05-04 大唐环境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脱硫喷淋塔
CN205392164U (zh) * 2016-02-29 2016-07-27 国电科学技术研究院 一种凹凸气液均布环
CN106984165A (zh) * 2017-06-09 2017-07-28 史汉祥 一种烟气净化反应器及锥体结构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433A (ja) * 1995-08-02 1997-02-10 Denso Corp 空気清浄機
JP2000210533A (ja) * 1999-01-22 2000-08-02 Nkk Corp 排煙脱硫装置
KR20150038620A (ko) * 2012-12-19 2015-04-08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20170054549A (ko) * 2013-10-17 2017-05-17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흡수탑, 가스 흡수탑의 제조 방법 및 선박
JP2016155075A (ja) 2015-02-24 2016-09-01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
KR20170045753A (ko) * 2015-02-24 2017-04-27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05075B2 (ja) 2022-07-22
KR102252547B1 (ko) 2021-05-14
JP2019162568A (ja) 2019-09-26
CN110280112B (zh) 2021-10-12
CN110280112A (zh)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466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RU2380127C2 (ru) Способ распыления среды и распылительное сопло
KR101822570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WO2017159099A1 (ja) 排ガス処理装置
CN110913972B (zh) 用于清洁气体的洗涤器
JP3073972B2 (ja) 排煙脱硫装置
KR20190110025A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20200037326A (ko)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TWI720589B (zh) 氣液混合裝置及具備氣液混合裝置之排氣脫硫裝置
KR102150603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JP2020093192A (ja) 気液混合装置、および気液混合装置を備える排ガス脱硫装置
JP2008080248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JP2019147121A (ja) シャワーノズル
WO2020121552A1 (ja) 排ガス脱硫装置
KR102143184B1 (ko) 선박용 스크러버
RU2657486C1 (ru) Скруббер с подвижной насадкой
RU2669819C1 (ru) Скруббер
JP2024011568A (ja) 排ガス処理装置
RU2661570C1 (ru) Скруббер
RU2665401C1 (ru) Конический форсуночный скруббер
SU1722541A1 (ru) Газоочистной аппарат
RU2001110533A (ru) Паромеханическая форсунка "тагпол"
RU2007123350A (ru) Скруббер с вихревыми форсунками
UA75159C2 (en) Cyclone scrub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