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326A -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 Google Patents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326A
KR20200037326A KR1020207005913A KR20207005913A KR20200037326A KR 20200037326 A KR20200037326 A KR 20200037326A KR 1020207005913 A KR1020207005913 A KR 1020207005913A KR 20207005913 A KR20207005913 A KR 20207005913A KR 20200037326 A KR20200037326 A KR 2020003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crubber
shielding element
deflecto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971B1 (ko
Inventor
모르텐센 루디 크루세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03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8Liquid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2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and liquid flow past each other, or in which the fluid is sprayed into the vapour, or in which a two-phase mixture is passed in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2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within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84Feeding or collecting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06Multiple stage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Abstract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1)는 길이방향 중심축(x)을 따라 연장되고 세정 챔버(4)를 둘러싸는 케이싱(3)을 포함한다. 케이싱은 가스 입구(5) 및 가스 출구를 갖는다. 케이싱은 가스의 가스 유동이 가스 입구로부터 가스 출구로 유동 방향(F)으로 세정 챔버를 통해 유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세정 챔버 내에서 가스 입구와 가스 출구 사이에 제공되며 디플렉터 디바이스(12)와 케이싱(3) 사이에 가스 통로(28)를 형성한다.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가스 입구를 향하는 상류 표면(16)을 포함한다. 분사 노즐(8)은 세정액을 세정 챔버 및 가스 유동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분리 디바이스(40)는 차폐 요소(41)를 포함하고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과 가스 입구 사이에 배치된다. 차폐 요소는 가스 유동으로부터 상류 표면을 차폐하고 복수의 구멍에 의해 천공된다.

Description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특히 선박에서 엔진, 버너, 보일러 등으로부터의 가스, 특히 배기 가스의 세척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고 세정 챔버를 둘러싸는 케이싱으로서; 케이싱은 세정 챔버 내로 연장되는, 세척 대상 가스를 위한 가스 입구, 및 세정 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세척된 가스를 위한 가스 출구를 갖고, 케이싱은 가스의 가스 유동이 가스 입구로부터 가스 출구로의 유동 방향으로 세정 챔버를 통해 유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세정 챔버 내에서 가스 입구와 가스 출구 사이에 제공되고 케이싱과의 사이에 가스 통로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디바이스로서,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가스 입구를 향하는 상류 표면을 포함하는 디플렉터 디바이스, 및
세정액을 세정 챔버 및 가스 유동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에 관한 것이다.
US 2016/0016109호는 선박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위한 수직 스크러버를 개시하고 있다. 배기 가스 튜브는 하부 세정 챔버의 바닥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치된다. 배기 가스 출구는 상부 세정 챔버의 상단을 통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배기 가스를 스크러버의 벽을 향해 재지향시키고 난류 가스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하부 스크러빙 챔버 편향체가 배기 가스 튜브의 개구 위에 배치된다. 하부 챔버 워터 인젝터는 세정수(scrubbing water)를 도입하도록 하부 세정 챔버 편향체 위에 배치된다. 하부 챔버 배기 가스 출구는 제1 세정 챔버로부터 부분적으로 세정된 배기 가스를 인출하고 가스를 상부 세정 챔버 내로 도입하기 위한 동축 교착부로서 하부 세정 챔버의 상단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선박 엔진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세척하기 위해 스크러버 또는 습식 스크러버를 작동시킬 때, 세정액은 하나 이상의 세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 세정 챔버로 분사되어, 배기 가스와 반응함으로써 황, 그을음 및 입자와 같은 오염물을 제거한다. 전술한 스크러버와 같은 인라인 스크러버의 경우, 세정액이 선박 엔진의 배기 가스 라인으로 유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나 이상의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세정 챔버에 제공된다. 하나의 그러한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배기 가스 파이프 위에 위치 설정되어 커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크러버의 전체 풋프린트를 최소화하기 위해,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가용 영역이 제한되므로, 가스 속도는 특히 배기 가스가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통과할 때 높을 수 있다. 높은 가스 속도는 세정액을 스크러버에서 배출하기 어렵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세정액은 통상적으로 배출될 반대 방향으로, 즉 배기 가스 유동을 통해 동일한 영역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효과는 스크러버 내의 동일한 세정 섹션 또는 다음 세정 섹션에서 세정액이 더 높은 레벨로 혼입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스테이지, 즉 하나의 세정 섹션을 갖는 스크러버의 작동 중에, 세정액은 높은 배기 가스 속도 및 감소된 배출 능력으로 인해 스크러버에서 더 높은 또는 더 하류측 위치로 혼입될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스크러버의 작동 중에 몇 가지 단점을 가질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스크러버에서 세정액 정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배압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세정 챔버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황을 흡수한 세정액의 양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스크러버의 보다 하류 레벨에서의 황 방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스크러버에서 역류를 보장하는 능력을 감소시켜, 전체 스크러버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2개의 스테이지 이상을 갖는, 즉 상류 세정 섹션 및 하류 세정 섹션을 갖는 스크러버의 작동 중에, 높은 배기 가스 속도 및 감소된 배출 능력에 의해 세정액이 상류 세정 섹션으로부터 하류 세정 섹션으로 혼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세정액의 혼입은 스크러버의 작동 중에 몇 가지 단점을 가질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상류 세정 섹션에서 세정액 정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배압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상류 세정 섹션으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하류 세정 섹션에서 세정 프로세스 및 세정액을 그을음 및 입자로 "오염"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오염된" 세정액의 양이 상류 섹션보다 하류 섹션에서 훨씬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세정액을 세척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하류 세정 섹션에서 더 높은 배출 용량을 요구할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황을 흡수한 세정액의 양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하류 섹션에서의 황 방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정액의 혼입은 EP 277511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배출된 세정액을 하류 섹션으로부터 상류 섹션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환류 시스템을 사용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러버에서 세정액의 혼입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처음에 정의된 스크러버에 의해 달성되는데, 스크러버는, 스크러버가 분리 또는 "반-데미스터(semi-demister)"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이 디바이스는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과 가스 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가스 유동으로부터 상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요소를 포함하며, 이 차폐 요소는 복수의 구멍에 의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멍의 상이한 설계 및 크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멍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일 수 있다. 분리 디바이스는 세정액을 가스 유동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배치된다.
차폐 요소는 상류 표면과 차폐 요소 사이에 수집 간극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구멍은 세정 챔버로부터 또는 차폐 요소 외부에서 차폐 요소를 통해 수집 간극으로 연장되어 세정액이 수집 간극에 진입되게 한다.
분리 디바이스는 수집 간극으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 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정액은 수집 간극으로부터 배출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스크러버로부터의 세정액 배출은 분리 디바이스의 배출 출구의 상류에서 일어날 수 있다.
분리 디바이스가 없으면, 가스 유동에 혼입된 세정액의 액적은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에 부딪치고, 이어서 가스 유동에 의해 가스 출구를 향해 강제 이동되어 스크러버로부터 세정액의 배출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세정액 배출은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즉 가스 입구와 디플렉터 디바이스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서, 가스 유동이 차폐 요소에 도달할 때, 가스 유동에 혼입된 세정액의 액적은 차폐 요소에 부딪칠 것이다. 복수의 구멍으로 인해, 세정액은 구멍 및 차폐 요소를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오염물을 함유하는 세정액은 이어서 차폐 요소의 하류, 즉 차폐 요소와 디플렉터 디바이스 사이에서 수집되어 가스 유동으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이때, 가스 유동은 세정액을 가스 출구를 향해 강제 이동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스크러버로부터 세정액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멍을 통과한 세정액은 수집 간극에서 수집될 수 있다. 동적 압력은 세정 챔버에서 달라지게 된다. 특히, 차폐 요소 외부의 동적 압력은 차폐 요소와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 사이의 수집 간극에서보다 더 높을 것이다. 이 압력차는 차폐 요소에 부딪치는 액적을 구멍을 통해 수집 간극에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수집 간극에서, 액적은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을 따라 중력 및 압력차에 의해 하향 액체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차폐 요소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한 수집 간극의 폭은 상류 표면을 따라 본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 중심축은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이거나 약간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입구는 가스 출구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입구 및 가스 출구는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러버는, 상기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그리고 다른 언급이 없다면, 아래에 언급된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로서 내부에 배치된 가스 출구에 인접한 하류 세정 섹션, 및 추가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로서 내부에 배치된 가스 입구에 인접한 상류 세정 섹션을 포함한다. 분리 디바이스는 하류 세정 섹션 내에서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요소는 가스 입구를 향해 테이퍼진다. 차폐 요소의 테이퍼 형상은 차폐 요소 둘레에서 가스 유동을 안내하는 데에 기여하는 동시에, 관성 차이로 인해 가스 출구를 향해 앞으로 계속 직진하는 경향이 있는 가스 유동 내의 세정액의 액적이 차폐 요소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요소는 원추형 또는 절단 원추형을 획정하는 부분, 또는 중심이 스크러버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는 깔때기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구성된다. 구멍은 상기 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출구는 차폐 요소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연장된다. 테이퍼 형상, 특히 절두 원추형의 형상으로, 중심 영역은 가스 입구에 가장 가깝게, 즉 가장 상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을 따라 하향으로 유동하는 세정액은 중심 영역 및 배출 출구에 도달할 수 있다.
가스 유동 속도는, 스크러버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특히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스크러버의 경우, 상류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 사이에서 비교적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 중심축은 분리 디바이스의 배출 출구를 통해 연장된다. 이에 의해, 세정액이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세정액 배출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러버는 분리 디바이스의 배출 출구와 연통되는 배출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수집 간극으로부터의 세정액은 배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 출구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는 세정액을 가스 유동으로부터 차폐하고 가스 유동 속도가 비교적 낮은 스크러버의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정액 배출이 촉진될 수 있다. 스크러버로부터의 세정액 배출은 배출 파이프 출구의 상류에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파이프 출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유동 속도가 비교적 낮을 수 있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배출 파이프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파이프 출구는 케이싱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의 내부면에서, 가스 입구로부터 가스 출구로 나아가는 가스의 유동 속도는 케이싱의 내부면으로부터 거리를 둔 곳보다 낮을 수 있다. 세정액은 이어서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도록 케이싱의 내부면 상에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파이프는 가스 입구를 향해 연장된다. 이에 의해, 특히 수직 길이방향 중심축 및 가스 출구 아래에 배치된 가스 입구를 갖는 스크러버의 경우, 중력이 스크러버로부터 세정액 배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스크러버의 경우,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분리 디바이스의 배출 출구로부터의 세정액을 배출 파이프(존재하는 경우)를 통해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디바이스는 차폐 요소의 외부 에지로부터 가스 출구를 향해 연장되는 에지 부재를 포함한다. 에지 부재는 외부 에지의 완전한 부분, 또는 하나 이상의 분리된 부분만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에지 부재는 구멍 및 차폐 요소를 통과한 세정액이 빠져나가 가스 유동에 의해 가스 출구를 향해 강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을 통과하지 않고 차폐 요소의 상류 표면에 남아있는 세정액은 에지 부재를 따라 가스 출구를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에지 부재 상에서 유동하는 세정액을 포획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부재는 벽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부재는 길이방향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가스 출구를 향하는 하류 표면을 갖는 하류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평면에서의 하류 디플렉터의 돌출부는 횡방향 평면에서의 차폐 요소의 돌출부보다 크다. 이에 의해, 가스 출구에서 볼 때, 하류 디플렉터는 차폐 요소를 떠나는 세정액을 포획하도록 차폐 요소를 완전히 가릴 수 있다. 돌출부는 균일한, 예를 들어 원형이거나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부재는 하류 디플렉터의 상류 표면을 향해 또는 상류 표면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에지 부재를 따라 가스 출구를 향해 안내되는 세정액은 하류 디플렉터의 상류 표면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요소의 구멍은 차폐 요소의 전체 면적의 25-45%, 바람직하게는 3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인 전체 구멍 면적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요소는 차폐 요소가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공간을 획정한다. 이는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과 차폐 요소 사이에 적절한 수집 간극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은 가스 입구를 향해 테이퍼진다. 이는 상류 표면 상에서 유동하는 수집 간극 내의 세정액의 축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 표면은 중심이 스크러버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는, 원추형 또는 절단 원추형을 획정하는 부분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러버는 케이싱으로부터 가스 출구를 향해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한 요소를 포함하고, 제한 요소는 제한 요소와 케이싱 사이에 트레이를 형성하며, 트레이는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 요소는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류에 제공된다.
분리 디바이스의 배출 출구와 연통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스크러버의 경우, 배출 파이프 출구는 제한 요소의 하류 에지보다 케이싱의 가스 입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스 유동 속도가 비교적 낮은 스크러버의 영역에 배출 파이프 출구를 배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2는 도 1의 스크러버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을 따른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4는 도 2의 선 IV-IV를 따른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5는 도 1의 스크러버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1은 엔진, 버너, 보일러 등, 예를 들어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선박 엔진(2)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와 같은 가스를 세척하기 위한 인라인 스크러버(1)를 개시한다.
스크러버(1)는 길이방향 중심축(x)을 따라 연장되고 세정 챔버(4)를 둘러싸는 케이싱(3)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중심축(x)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일 수 있다. 스크러버(1)는 하단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1 단부(1a), 및 상단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단부(1b)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서, 스크러버(1) 및 케이싱(3)은 원형 단면을 갖는다(도 4 참조).
케이싱(3)은 세척될 가스를 위한 가스 입구(5), 및 세척된 가스를 위한 가스 출구(6)를 포함한다. 가스 입구(5)는 제1 단부(1a)에 제공되고 세정 챔버(4) 내로 연장된다. 가스 출구(6)는 제2 단부(1b)에 제공되고 세정 챔버(4)로부터 연장된다.
제1 실시예에서, 가스 입구(5) 및 가스 출구(6)는 길이방향 중심축(x)과 동심이다(도 1 참조).
케이싱(3)은 가스의 가스 유동이 가스 입구(5)로부터 가스 출구(6)로 유동 방향(F)으로 세정 챔버(4)를 통해 유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가스 입구(5)는 선박 엔진(2)의 배기 파이프(2a)에 연결된 입구 튜브(7)를 포함한다. 입구 튜브(7)는 제1 단부(1a)에서 세정 챔버(4) 내로 연장된다(또한 도 2 참조). 배기 파이프(2a) 및 입구 튜브(7)는 길이방향 중심축(x)과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크러버(1)는 세정액을 세정 챔버(4) 내로 그리고 가스 유동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8)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스크러버(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 노즐(8), 예를 들어 5개의 분사 노즐(8)을 포함한다. 분사 노즐(8)의 수는 스크러버(1)의 설계 및 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분사 노즐(8)은 가스 입구(5)를 향해 및/또는 가스 출구(6)를 향해 지향될 수 있다(도 1의 예시된 방향 참조).
스크러버(1)는 세정 챔버(4)로부터 사용된 세정액을 배출하기 위한 액체 배출 수단을 포함한다. 액체 배출 수단의 제1 액체 출구(9)는 가스 입구(5)의 외부에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액체 출구(9)는 환형일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3)의 내부면(10)과 입구 튜브(7) 사이에서 입구 튜브(7)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싱(3)의 내부면(10)을 따라 유동하는 사용된 세정액은 제1 액체 출구(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스크러버(1)는 가스 입구(5)와 가스 출구(6) 사이에서 케이싱과 동심으로 세정 챔버(4)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2개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 즉 하나의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및 하나의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가 제공된다.
분사 노즐(8)은 케이싱(3)의 가스 출구(6)와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사이에 배치된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는 가스 입구(5)에 가깝게 제공될 수 있고, 세정액이 선박 엔진(2)의 가스 입구(5) 및 배기 파이프(2a)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가 입구 튜브(7) 바로 위에 제공되는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는 도 2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적절한 부착 바아를 통해 입구 튜브(7)에 부착될 수 있다.
스크러버(1)는 케이싱(3)으로부터 가스 출구(6)를 향해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한 요소(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 요소(13)는 제한 요소(13)와 케이싱(3)의 내부면(10) 사이에 환형 트레이(14)를 형성한다. 트레이(14)는 사용된 세정액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액체 배출 수단의 제2 액체 출구(15)는 트레이(14)로부터 케이싱(3) 밖으로 연장되어 사용된 세정액이 세정 챔버(4)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제한 요소(13)는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에 그리고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에, 또는 달리 말해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 사이에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도 2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적절한 부착 바아를 통해 제한 요소(13)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케이싱(3)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스크러버(1)는 2-스테이지 스크러버이며, 가스 입구(5)에 인접한 상류 세정 섹션(4a) 및 가스 출구(6)에 인접한 하류 세정 섹션(4b)을 포함한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는 상류 세정 섹션(4a)에 제공된다.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하류 세정 섹션(4b)에 제공된다.
제한 요소(13)는 상류 세정 섹션(4a)으로부터 하류 세정 섹션(4b)으로 천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상류 표면(16)을 갖는 각각의 상류 디플렉터(18)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상류 표면(16)은 상류 디플렉터(18)를 커버할 수 있다. 상류 표면(16)은 외부 에지(16')를 가지며, 외부 에지는 또한 상류 디플렉터(18)의 외부 에지(16')를 형성할 수 있다. 상류 표면(16)은 상류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의 각각의 상류 횡방향 평면(Pa)으로부터 가스 입구(5)를 향해 연장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류 표면(16)은 상류 횡방향 평면(Pa)에 위치된 외부 에지(16')로부터 가스 입구(5)를 향해 테이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류 표면(16)은, 가스 입구(5)를 향하고 길이방향 중심축(x)과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절단 원추형을 획정한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또한 하류 표면(17)을 갖는 각각의 하류 디플렉터(19)를 포함한다. 하류 표면(17)은 하류 디플렉터(19)를 커버할 수 있다. 하류 표면(17)은 외부 에지(17')를 가지며, 외부 에지는 또한 하류 디플렉터(19)의 외부 에지(17')를 형성할 수 있다. 하류 표면(17)은 상류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의 각각의 하류 횡방향 평면(Pb)으로부터 가스 출구(6)를 향해 연장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하류 표면(17)은 하류 횡방향 평면(Pb)에 위치된 외부 에지(17')로부터 가스 출구(6)를 향해 테이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류 표면(17)은, 가스 출구(6)를 향하고 길이방향 중심축(x)과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절단 원추형을 획정한다.
횡방향 평면(Pa, Pb)은 길이방향 중심축(x)에 수직이다.
제1 실시예에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 모두는 길이방향 중심축(x)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을 가지며,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와 케이싱(3) 사이에 각각의 환형 통로(28)를 형성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세정 챔버(4)는 통로(28)의 상류 및 하류보다 통로(28)에서 보다 작은 유동 영역을 갖는다.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의 상류 및 하류 표면(16, 17)의 원추 형상으로 인해,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 각각과 케이싱(3) 사이의 통로(28)는 가변적인 폭을 갖는다. 통로(28)의 가장 좁은 부분은 하류 횡방향 평면(Pb) 및/또는 상류 횡방향 평면(Pa)에 위치된다.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직경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상류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는 상류 표면(16)으로부터 하류 표면(17)까지 각각의 높이(H)를 갖는다(도 2 참조).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높이(H)는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높이(H)와 상이할 수 있다.
스크러버(1)는 차폐 요소(41)를 포함하는 분리 디바이스(40)를 포함한다. 차폐 요소(41)는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과 가스 입구(5) 사이에 배치된다(도 2, 도 3 및 도 5 참조). 제1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41)는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과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 사이에 배치된다. 차폐 요소(41)는 가스 유동으로부터 하류 디플렉터(12)의 상류 표면(16)을, 여기서는 완전히, 차폐한다.
차폐 요소(41)는 가스 입구(5)를 향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 시트로 제조된다. 원추형 차폐 요소(41)의 중심축은 길이방향 중심축(x)과 일치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차폐 요소(41)에 의해 획정된 절두 원추형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차폐 요소(41)는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을 둘러싼다.
차폐 요소(41)는 차폐 요소(41)의 전체 영역의 약 35%를 구성하는 전체 구멍 영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구멍(42)에 의해 천공된다. 구멍(42)은 약 5 mm의 직경을 갖는다.
차폐 요소(41)는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과 차폐 요소(41) 사이에 수집 간극(43)을 제공한다(도 5 참조). 차폐 요소(41)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42)은 세정액이 수집 간극(43)에 진입하게 한다.
차폐 요소(41) 및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에 의해 형성된 획정된 절두 원추형은 본질적으로 균일하다. 이는 차폐 요소(41)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한 수집 간극(43)의 폭(D)이 상류 표면(16)을 따라 본질적으로 균일함을 의미한다. 폭(D)은 1-15 mm 또는 심지어는 그 이상일 수 있다(도 5 참조).
분리 디바이스(40)는 또한 길이방향 중심축(x)과 평행하게 차폐 요소(41)의 외부 에지(41')로부터 가스 출구(6)를 향해 연장되는 벽(46) 형태의 에지 부재(46')를 포함한다. 벽(46)은 환형이며 차폐 요소(41)의 완전한 외부 에지(41')를 따라, 즉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디플렉터(18) 둘레에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벽(46)은 천공되어 있지 않다.
도 3 및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축(x)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평면에서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하류 디플렉터(19)의 돌출부 - 이 돌출부는 하류 표면(17) 및 하류 디플렉터(19)의 외부 에지(17')와 동일한 외부 윤곽을 가짐 - 는, 횡방향 평면에서 차폐 요소(41)의 돌출부보다 크다 - 이 돌출부는 차폐 요소(41)의 외부 에지(41')와 동일한 외부 윤곽을 가짐 -. 따라서,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하류 디플렉터(19)는 가스 출구(6)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이 차폐 요소(41)를 커버하고, 벽(46)은 하류 디플렉터(19)의 상류 표면을 향해 연장된다.
분리 디바이스(40)는 수집 간극(43)으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 출구(44)를 포함한다. 배출 출구(44)는 차폐 요소(41)의 중심 영역(45)을 통해 연장되고 절두 원추형 차폐 요소(41)의 상단을 획정하는 금속 시트의 에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중심축(x)은 배출 출구(44)를 통해 연장된다.
제1 실시예에서, 배출 출구(44)와 연통되는 배출 파이프(47)가 제공된다. 배출 파이프(47)의 일단부는 차폐 요소(41)의 중심 영역(45)을 수용하고 둘러싸도록 넓어진다. 배출 파이프(47)는 넓어진 단부에서 용접, 접착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차폐 요소(41)에 고정된다. 배출 파이프 출구(49)를 갖는 배출 파이프(47)는 직선형이며 길이방향 중심축(x)을 따라 가스 입구(5)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실시예에서, 배출 파이프(47)는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을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수집 간극(43)으로부터의 세정액은 배출 파이프(47)를 통해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한 요소(13)는 가변적인 직경을 가지므로 제한 요소(13)를 통한 가스 유동의 유동 영역을 변동시킨다. 통상적으로, 더 작은 유동 영역은 증가된 가스 유동 속도와 관련이 있다. 배출 파이프 출구(49)는 제한 요소(13)의 하류 에지(50)보다 가스 입구(5)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도 1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 파이프(47)는 제한 요소(13)의 가장 좁은 부분을 통해 연장되어 비교적 높은 가스 유동 속도로부터 세정액을 차폐한다.
다른 실시예
도 6은 세정액이 길이방향 중심축(x)을 따라 수집 간극(4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배출 출구(44)를 통해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을 향해 배출되도록 배출 출구(44)와 연통하는 배출 파이프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배출 파이프(47)가 케이싱(3)의 내부면(10)에 있는 또는 그에 인접한 배출 위치로 연장되고 가스 출구(6)를 향해 나아가는 가스의 유동 속도는 케이싱(3)의 내부면(10)으로부터 거리를 둔 곳보다 낮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액체는 케이싱(3)의 내부면(10) 상에서 제1 액체 출구(9)로 하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출 파이프(47)는 하류 또는 환형 트레이(14) 내의 위치로 연장되어 배출된 세정액이 제2 액체 출구(15)를 통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는 또한 케이싱(3)이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인 단면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디플렉터 표면(16, 17) 및 차폐 요소(41)는, 경사져서 서로 각도를 형성하는 2개의 평면 표면적을 각각 갖는 지붕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의 종단면은 이들 2개의 표면적을 도시한다. 제4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면, 디플렉터 표면(16, 17) 및 차폐 요소(41)는 피라미드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러버(1)는 1-스테이지 스크러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단하나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를 갖는 단하나의 세정 섹션(4a, 4b)만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이어서, 분리 부재(40)는 수집 간극(43) 내에 수집된 세정액이 케이싱(3)의 내부면(10)에 있는 또는 그에 인접한 배출 위치로 유도되게 하도록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출 파이프(47)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 개시된 분리 디바이스(40)는 또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상류에 제공될 수 있고, 배출 파이프(47)는 수집 간극(43) 내에 수집된 세정액을 케이싱(3)의 내부면(10)으로, 특히 제1 액체 출구(9)에 인접한 배출 위치로 배출할 수 있다.
스크러버(1)의 작동
스크러버(1)를 작동시킬 때, 배기 가스는 선박 엔진(2)으로부터 가스 입구(5)를 통해 도입된다. 고온을 갖는 배기 가스는 상류 세정 섹션(4a)에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상류 표면(16)을 향해 안내되며, 여기서 배기 가스는 통로(28)를 향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강제 이동된다. 통로(28)에서의 가변적인 폭 및 특히 감소된 유동 영역으로 인해, 통로(28)를 통한 가스 유동의 속도는 증가되고 통로(28)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가장 크다.
세정액은 분사 노즐(8)을 통해 가스 유동으로 도입되어 배기 가스의 황, 그을음 및 입자와 반응한다. 세정액은 황, 그을음 및 입자를 흡수하여 액적을 형성할 것이다.
액적의 일부는 케이싱(3)의 내부면(10)을 향해 강제 이동된다. 이어서, 이들 액적은 가스 유동의 유동 방향(F)과 반대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제1 액체 출구(9)를 향해 유동하는 액체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액적의 다른 부분은 상류 세정 섹션(4a)의 중간에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을 향해 유동하고, 여기서 가스 유동의 속도는 더 외부 영역에서보다 낮다.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에 부딪치는 액적은 하류 표면(17) 상에 외부 에지(17')를 향해 그리고 추가로 케이싱(3)의 내부면(10)을 향한 액체 유동을 형성한다. 세정액은 중력에 의해 내부면(10)을 따라 제1 액체 출구(9)로 유동할 수 있다.
가스 유동의 유동 영역은 제한 요소(13)에서 감소되어 하류 세정 섹션(4b)에 진입할 때 가스 유동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상류 세정 섹션(4a)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와 케이싱(3)의 내부면(10) 사이의 통로(28)로 외향으로 강제 이동되며, 여기서 감소된 유동 영역은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스 유동의 속도를 추가로 증가시킨다.
상류 세정 섹션(4a)으로부터의 가스 유동에 혼입되는 액적의 적어도 일부는 분리 디바이스(40)의 차폐 요소(41)에 부딪칠 것이다. 동적 압력은 세정 챔버(4)에서 달라지게 된다. 특히, 차폐 요소(41) 외부의 동적 압력은 차폐 요소(41)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 사이의 수집 간극(43)에서보다 더 높을 것이다. 이 압력차는 차폐 요소(41)에 부딪치는 액적의 적어도 일부가 구멍(42)을 통해 수집 간극(43)에 진입하게 할 것이다. 차폐 요소(41)의 외부 에지(41')로부터 연장되는 분리 디바이스(40)의 벽(46)은 세정액이 외부 에지(41')에서 수집 간극(43)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액적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을 따라 하향 액체 유동을 형성할 것이다. 차폐 요소(41)의 중심 영역(45)에서, 액체는 전술한 방식으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에 부딪치는 세정액의 나머지와 함께 스크러버(1)로부터 배출되도록 배출 출구(44) 및 파이프(47)를 통해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의 하류 표면(17)을 향해 배출될 것이다.
구멍(42)을 통과하지 않고 차폐 요소(41)의 상류 표면에 남아있는 액적은 벽(46)을 따라 가스 출구(6)를 향해 안내되고,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하류 디플렉터(19)의 상류 표면에 의해 포획되어 배출을 위해 트레이(14) 및 제2 액체 출구(15)로 하향 액체 유동을 형성한다.
상류 세정 섹션(4a)으로부터 가스 유동에 혼입되어 하류 세정 섹션(4b)에 형성된 액적의 일부는 하류 세정 섹션(4b)의 내부면(10)에 부딪치고 배출을 위해 트레이(14) 및 제2 액체 출구(15)로 하향 액체 유동을 형성한다. 이들 액적의 다른 부분은 하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하류 표면(17)에 부딪치고 배출을 위해 하류 표면(17) 상에서 트레이(14) 및 제2 액체 출구(15)로 하향 액체 유동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고 수정되며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러버(1)는 또한 상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아래에 추가 분사 노즐(8), 예를 들어 가스 입구(5) 외부에 배치된 배기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분사 노즐(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1)의 케이싱(3),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 및 분리 디바이스(40)는 동심으로 배치되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다.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3) 및/또는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 및/또는 분리 디바이스(40)는 비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고/있거나 타원형과 같은 다른, 및/또는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 및 분리 디바이스(40)는 절두 표면을 포함한다. 물론, 대안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플렉터 디바이스(11, 12) 및/또는 분리 디바이스(4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평면 상류/하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파이프는 직선형일 필요가 없고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배출 파이프에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가 주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 파이프는 가스 출구(6)를 향해 개방된 트레이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출 출구 및/또는 배출 파이프는 길이방향 중심축(x)과 일직선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고 그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세부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고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며 실척에 따라 묘화되지 않았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중 일부는 다른 것보다 더 단순화되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하나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스크러버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스크러버를 설명하고 반영하기 위해 선택된 "상부", "하부", "수직", "수평", "길이방향" 등의 표현은 본 명세서에서 스크러버의 상이한 세부 내용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표현은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3)

  1.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1)로서,
    길이방향 중심축(x)을 따라 연장되고 세정 챔버(4)를 둘러싸는 케이싱(3)으로서, 케이싱(3)은 세정 챔버(4) 내로 연장되는, 세척 대상 가스를 위한 가스 입구(5), 및 세정 챔버(4)로부터 연장되는, 세척된 가스를 위한 가스 출구(6)를 갖고, 케이싱(3)은 가스의 가스 유동이 가스 입구(5)로부터 가스 출구(6)로 유동 방향(F)으로 세정 챔버(4)를 통해 유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3),
    세정 챔버(4) 내에서 가스 입구(5)와 가스 출구(6) 사이에 제공되고 디플렉터 디바이스(12)와 케이싱(3) 사이에 가스 통로(28)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디바이스(12)로서,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가스 입구(5)를 향하는 상류 표면(16)을 포함하는 디플렉터 디바이스(12), 및
    세정액을 세정 챔버(4) 및 가스 유동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 노즐(8)을 포함하는, 스크러버(1)에 있어서,
    스크러버(1)는 분리 디바이스(40)를 더 포함하고, 이 분리 디바이스는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과 가스 입구(5) 사이에 배치되고 가스 유동으로부터 상류 표면(1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요소(41)를 포함하며, 이 차폐 요소(41)는 복수의 구멍(42)에 의해 천공되고, 상기 차폐 요소(41)는 상류 표면(16)과 차폐 요소(41) 사이에 수집 간극(43)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구멍(42)은 세정 챔버(4)로부터 차폐 요소(41)를 통해 수집 간극(43)으로 연장되어 세정액이 수집 간극(43)에 진입되게 하며, 분리 디바이스(40)는 수집 간극(43)으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 출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요소(41)는 가스 입구(5)를 향해 테이퍼지는, 스크러버(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요소(41)는 절두 원추형을 획정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러버(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출구(44)는 차폐 요소(41)의 중심 영역(45)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크러버(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중심축(x)은 배출 출구(44)를 통해 연장되는, 스크러버(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출구(44)와 연통되는 배출 파이프(47)를 더 포함하는, 스크러버(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파이프(47)는 가스 입구(5)를 향해 연장되는, 스크러버(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디바이스(40)는 차폐 요소(41)의 외부 에지(41')로부터 가스 출구(6)를 향해 연장되는 벽(46)을 포함하는, 스크러버(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디바이스(12)는 가스 출구(6)를 향하는 하류 표면(17)을 갖는 하류 디플렉터(19)를 포함하고, 길이방향 중심축(x)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평면에서의 하류 디플렉터(19)의 돌출부는 횡방향 평면에서의 차폐 요소(41)의 돌출부보다 큰, 스크러버(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요소(41)의 구멍(42)은 차폐 요소(41)의 전체 면적의 25-45%인 전체 구멍 면적을 커버하는, 스크러버(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요소(41)는 차폐 요소(41)가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디플렉터 디바이스(12)가 수용되는 공간을 획정하는, 스크러버(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은 가스 입구(5)를 향해 테이퍼지는, 스크러버(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디바이스(12)의 상류 표면(16)은 절두 원추형을 획정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러버(1).
KR1020207005913A 2017-08-01 2018-06-19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KR10232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4161.2A EP3437719A1 (en) 2017-08-01 2017-08-01 A scrubber for cleaning of a gas
EP17184161.2 2017-08-01
PCT/EP2018/066201 WO2019025073A1 (en) 2017-08-01 2018-06-19 CLEANER FOR GAS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326A true KR20200037326A (ko) 2020-04-08
KR102320971B1 KR102320971B1 (ko) 2021-11-05

Family

ID=5956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913A KR102320971B1 (ko) 2017-08-01 2018-06-19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1690B2 (ko)
EP (2) EP3437719A1 (ko)
JP (1) JP6970274B2 (ko)
KR (1) KR102320971B1 (ko)
CN (1) CN110913974B (ko)
WO (1) WO2019025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7718A1 (en) 2017-08-01 2019-02-06 Alfa Laval Corporate AB A scrubber for cleaning of a gas
AT523037B1 (de) 2020-02-07 2021-05-15 Avl List Gmbh Nasswäscher für gase
EP4089266A1 (en) * 2021-05-12 2022-11-16 Alfa Laval Corporate AB Exhaust gas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exhaust gas and use of exhaust gas clean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304A (en) * 1918-01-04 1918-11-07 Robert Stuart Hilt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Bringing Gases and Liquids into Intimate Contact.
US3708958A (en) * 1971-07-19 1973-01-09 C Duty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stack gases
US20160016109A1 (en) * 2013-02-22 2016-01-21 Marine Global Holding As Marine exhaust gas scrubb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7416A (en) * 1949-02-08 1952-02-26 Pangborn Corp Dust collector
US3131237A (en) 1958-11-17 1964-04-28 Jr Theron T Collins Gas scrubbing apparatus
GB1206182A (en) * 1966-09-24 1970-09-23 Gottfried Bischoff Bau Komp G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ust extraction and flame arresting devices for converter waste gases
US3779525A (en) 1971-08-19 1973-12-18 Mitsui Shipbuilding Eng Gas-liquid contacting apparatus
FR2464091A1 (fr) * 1979-09-04 1981-03-06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traitement physique et chimique d'un courant gazeux par une pulverisation de liquide a co-courant
US5292353A (en) 1991-07-03 1994-03-08 The Delfield Company Air scrubber
GB2381336B (en) * 2001-08-21 2005-09-28 Silicon Infusion Ltd Object orientated heterogeneous multi-processor platform
CN1748841A (zh) * 2005-05-28 2006-03-22 方达辉 规流填料塔
CN201534044U (zh) * 2009-11-24 2010-07-28 中国化学工程第七建设有限公司 逆流式高效节能洗涤吸收塔
AU2011301376A1 (en) 2010-09-16 2013-05-09 Ccg Energy Technology Company Ltd.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a hot gas flow containing slag
CN102489141B (zh) * 2011-12-10 2014-03-26 程爱平 喷淋式脱硫吸收塔浆液收集盘
CN202438239U (zh) * 2012-03-01 2012-09-19 长沙有色冶金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气体洗涤塔
ES2554112T5 (es) 2013-03-08 2023-05-22 Alfa Laval Corp Ab Sistema de limpieza y método para la reducción de SOx en gases de escape
CN104316364A (zh) * 2014-09-30 2015-01-28 国家电网公司 一种取样容器内残留绝缘油的收集装置
DE102015105283A1 (de) 2015-02-18 2016-08-18 Cft Gmbh Compact Filter Technic Hochleistungsnasswäscher mit kurzbauendem Gehäuse
JP6150834B2 (ja) 2015-03-31 2017-06-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デミスタユニット及びegrシステム
EP3437717A1 (en) 2017-08-01 2019-02-06 Alfa Laval Corporate AB A scrubber for cleaning of a gas
EP3437718A1 (en) 2017-08-01 2019-02-06 Alfa Laval Corporate AB A scrubber for cleaning of a ga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304A (en) * 1918-01-04 1918-11-07 Robert Stuart Hilt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Bringing Gases and Liquids into Intimate Contact.
US3708958A (en) * 1971-07-19 1973-01-09 C Duty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stack gases
US20160016109A1 (en) * 2013-02-22 2016-01-21 Marine Global Holding As Marine exhaust gas scrub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41690B2 (en) 2021-10-12
EP3437719A1 (en) 2019-02-06
WO2019025073A1 (en) 2019-02-07
EP3661629A1 (en) 2020-06-10
JP6970274B2 (ja) 2021-11-24
US20200215477A1 (en) 2020-07-09
CN110913974B (zh) 2022-03-11
CN110913974A (zh) 2020-03-24
KR102320971B1 (ko) 2021-11-05
JP2020528822A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8915B2 (ja) 排ガス処理装置
KR20200037326A (ko)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JP6336478B2 (ja) サイクロン、サイクロン式ミスト除去装置および使用方法
KR102320572B1 (ko) 가스 세척용 스크러버
CN110913973B (zh) 用于清洁气体的洗涤器
WO2015105792A1 (en) Gas inlet system for wet gas scrubber
JP2007296457A (ja) 集塵装置
RU23801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газов
EP4146375B1 (en) Wet inline scrubber with a side inlet for reducing the amount of sox in an exhaust gas produced by one or more engines of a marine vessel
JP7181729B2 (ja) 気液分離器
RU2688761C1 (ru) Пенный 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JPH06154550A (ja) 吸収装置
JP2006500193A (ja) エダクタ
RU22868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KR20120059422A (ko) 가스화 급랭 챔버 배플
RU200611714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капель жидкости из парожидкостного или газожидкостного потока в трубопровод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