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814A - 현관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814A
KR20190109814A KR1020180031332A KR20180031332A KR20190109814A KR 20190109814 A KR20190109814 A KR 20190109814A KR 1020180031332 A KR1020180031332 A KR 1020180031332A KR 20180031332 A KR20180031332 A KR 20180031332A KR 20190109814 A KR20190109814 A KR 20190109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foreign
amoun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160B1 (ko
Inventor
김명상
유수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Abstract

실시 예는, 현관 공간에 위치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랍부 및 상기 서랍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 흡입부 및 상기 이물 흡입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이물 흡입부에 포함된 모터를 회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먼지량에 대응하는 흡입력을 결정하고, 상기 흡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가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현관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관 청소 장치{Entrance cleaning apparatus}
실시 예는 현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 이다.
신발 바닥의 흙이나 먼지, 현관문을 개방 시 외부에서 현관 내부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은 현관을 오염시키고, 실내공간으로 병균이나 오염물질이 유입시키므로 현관을 수시로 청소해야 한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201호, "현관용 흙먼지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현관용 흙먼지 흡입장치는 현관의 굽도리 부위에 설치하여 현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브러시형 흡입부재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현관의 굽도리 부위에 흡입장치를 상시 설치해 두어야 함으로써 현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먼지량을 감지하고, 먼지량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기 용이한 현관 청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현관 공간에 위치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랍부 및 상기 서랍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 흡입부 및 상기 이물 흡입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이물 흡입부에 포함된 모터를 회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먼지량에 대응하는 흡입력을 결정하고, 상기 흡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가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관 공간의 바닥부에 쌓인 상기 이물질에 대한 상기 먼지량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켜 상기 이물질의 흡입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먼지량이 설정된 기준 먼지량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먼지량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력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흡입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속도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
상기 결정부는, 상기 먼지량이 상기 기준 먼지량 이상이면, 상기 먼지량과 상기 기준 먼지량 사이의 차이 먼지량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량이 상기 기준 먼지량 미만이면, 상기 이물 흡입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이물 흡입부가 상기 현관 공간의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흡입력에 따라 설정된 구동시간 동안 상기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구동시간 경과 후, 상기 이물 흡입부가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회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현관 공간의 이물질에 대한 먼지량에 따라 이물 흡입부를 현관 공간의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물질을 흡입한 후 정위치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현관 공간에 집적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이동부를 통해 이물 흡입부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이물 흡입부를 미 사용시 이물 흡입부와 이동부를 내부에 보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물 흡입부와 이동부를 보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수납부의 수납 공간을 통해 협소한 현관 공간에서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는 현관 청소 장치가 현관 공간에 설치된 설치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서랍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에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에에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미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는 현관 청소 장치가 현관 공간에 설치된 설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관 공간(3)은 현관문(1)과 현관 바닥(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은 사용자가 외부로 외출을 하거나, 외출 후 귀가 시 통과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현관 공간(3)에는 가구(4)와 신발장(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구(4)와 상기 신발장(5) 각각에는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4)와 상기 신발장(5) 각각에는 상기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도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현관 공간(3)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현관 공간(3)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가구(4), 상기 신발장(5) 등 상기 현관 공간(3)에 설치되는 가구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가구류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바닥(2)에 신발을 벗고 실내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은 상기 현관문(1)의 개폐에 여부에 따라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현관문(1)이 개방 시 외부로부터 상기 현관 공간(3)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를 통해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현관 공간(3)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현관 공간(3)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가 실내 공간에 배치될 경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구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서랍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현관 청소 장치(10)는 서랍부(20)와, 본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20)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기 서랍부(20)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20)는 서랍부 본체(21)와, 표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 본체(21)는 전면부(211)와, 측면부(212)와, 배면부(213)와, 저면부(214)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 본체(21)는 상면이 개구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 본체(21)의 내부에는 저장 공간(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201)에는 물품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공간(201)에는 상기 현관 공간(3)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도구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11)는 상기 저장 공간(201)의 전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2)는 복수개로 제공되며,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201)의 양 측면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저면부(214)는 상기 저장 공간(201)의 저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배면부(213)는 상기 저장 공간(201)의 배면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2)와 상기 본체부(30)의 내측면의 사이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 본체(21)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부 본체(21)의 저장 공간(201)에는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저장 공간(20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면부(21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서랍부 본체(21)에 보관되는 물품 중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에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공간(201)에는 무선 청소기가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서랍부 본체(21)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서랍부 본체(21)의 전면부(21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며,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22)는 현관 청소 장치(10)의 작동 상태, 후술할 이물 흡입부(50)의 작동 상태, 이물질의 저장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서랍 삽입 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은 상기 본체부(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에는 상기 서랍부 본체(2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은 상기 서랍부 본체(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20)는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 내에서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이동부(40)와 이물 흡입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4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에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현관 청소 장치(10)는 센서 모듈(110), 구동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10), 구동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된 표시부(22), 이동부(40) 및 이물 흡입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센서 모듈(110)은 본체부(30)에 설치되며 현관 공간(3)의 현관 바닥(2, 이하 '바닥부'로 칭함)에 쌓인 먼지, 즉 이물질의 먼지량"(g)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모듈(110)은 바닥부(2)와 소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며, 현관 청소 장치(10)가 배치되는 일측면에서 바닥부(2)에 쌓인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모듈(110)은 먼지량(g)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구동 모듈(120)은 이물 흡입부(50)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게 회전하는 모터(122) 및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구동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22)는 구동부(124)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s)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가변될 수 있다.
구동부(124)는 제어 모듈(130)로부터 출력된 속도 제어신호(sc)에 따라 모터(124)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4)는 속도 제어신호(sc)에 따라 모터(122)가 구동되게 구동 신호(s), 즉 모터(122)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미도시)를 구동시킬 수 있는 PWM 신호일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판단부(132), 결정부(134) 및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32)는 센서 모듈(110)에서 감지한 상기 이물질의 먼지량(g)이 설정된 기준 먼지량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기준 먼지량은 사용자 또는 제품 출시시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구동 모듈(1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이때, 판단부(132)는 상기 이물질의 먼지량(g)이 상기 기준 먼지량 이상이면 제1 판단신호(sp1)를 출력하고, 상기 이물질의 먼지량(g)이 상기 기준 먼지량 미만이면 제2 판단신호(sp2)를 출력할 수 있다.
결정부(134)는 판단부(132)로부터 출력된 제1 판단신호(sp1)가 입력되면, 먼지량(g)에 대응하여 흡입력(gg)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결정부(134)는 제1 판단신호(sp1)가 입력되면, 먼지량(g)과 상기 기준 먼지량 사이의 차이 먼지량을 연산하고, 상기 차이 먼지량에 따라 흡입력(gg)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흡입력(gg)은 먼지량(g)과 상기 기준 먼지량 사이의 차이 먼지량으로 결정하지만, 먼지량(g) 만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먼저, 제어부(136)는 결정부(134)로부터 결정된 흡입력(gg)이 입력되면, 흡입력(gg)에 따른 모터(122)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속도 제어신호(sc)를 구동 부(124)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6)은 속도 제어신호(sc)를 출력하기 이전에, 이물 흡입부(50)가 바닥부(2) 방향으로 회동되게 이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6)는 이물 흡입부(50)가 바닥부(2) 방향으로 회동된 후, 흡입력(gg)에 따라 설정된 구동시간 동안 속도 제어신호(sc)를 구동부(124)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6)는 상기 구동시간이 경과되면 이물 흡입부(50)가 정위치되게 본체부(30) 방향으로 회동되게 이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6)는 제2 판단신호(sp2)가 입력되면, 이물 흡입부(50)가 정위로 유지되게 이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미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 및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제어 구성에 의해 동작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현관 청소 장치(10)는 바닥부(2)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높이(H)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와 바닥부(2)의 사이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이동부(40)의 이동과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회동을 고려하여 일정한 높이(H)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일정한 높이(H)는 상기 현관 바닥(2)으로부터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부까지의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복수개로 제공되어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는 상기 이동부(40)가 수용되는 이동 가이드(31)와,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수용되는 삽입 가이드(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선택적으로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복수의 이동부(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서 상기 현관 바닥(2)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분리하여 버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공간(3)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에서 청소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은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서랍부(20)에 수납된 청소 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를 작동하면,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된 이동부(40)가 이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이동 가이드(31)에 수용된 이동부(40)가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서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40)에 연결된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와 함께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까지 이동되며, 상기 이동부(40)가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가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작동되어 상기 현관 공간(3)에 비산되어 있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로부터 상기 바닥부(2)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관 공간(3)에 비산된 이물질 및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 및 상기 바닥부(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모두 흡입한 후, 상기 이물 흡입부(50) 및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불 필요하게 상기 이동부(40) 및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물 흡입부(50)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유입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현관 공간(3) 및 상기 바닥부(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와 상기 이동부(40)가 연결되는 일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이물 저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는 상기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는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는 선택적으로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분리되어,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필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상기 유입구(51)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상기 이물 저장부(5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후술할 유동 발생부(54) 및 토출구(55)로 이물질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고, 필터링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유동 발생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부(54)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부(54)는 팬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팬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팬의 회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토출구(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는 상기 유입구(51)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는 하나 이상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커버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6)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개구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6)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개구된 일면은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탈착된 이물 저장부(52) 및 필터부(53)를 회수하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5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이물 저장부(52) 및 상기 필터부(53)를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56)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상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개폐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7)는 상기 유입구(51)와 상기 이물 저장부(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7)는 상기 유동 발생부(54)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유입구(51)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7)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동작이 중단되어 상기 유동 발생부(54)에서 흡입력이 미 발생될 경우에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7)가 폐쇄될 경우,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된 이물질은 상기 개폐부(57)에 의해 상기 유입구(51)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57)는 박막으로 제공되어, 상기 유동 발생부(54)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유입구(51), 상기 이물 저장부(52), 상기 필터부(53), 상기 유동 발생부(54) 및 상기 토출구(55)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 및 상기 현관 바닥(2)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상기 유입구(51)를 통해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와 상기 필터부(5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53)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5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10)는 현관 공간(3) 및 바닥부(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현관 청소 장치(10)에 저장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현관 공간에 위치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랍부 및 상기 서랍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 흡입부 및 상기 이물 흡입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이물 흡입부에 포함된 모터를 회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먼지량에 대응하는 흡입력을 결정하고, 상기 흡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가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현관 청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관 공간의 바닥부에 쌓인 상기 이물질에 대한 상기 먼지량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센서를 포함하는 현관 청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켜 상기 이물질의 흡입력을 가변시키는 현관 청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먼지량이 설정된 기준 먼지량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먼지량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력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흡입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속도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관 청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먼지량이 상기 기준 먼지량 이상이면, 상기 먼지량과 상기 기준 먼지량 사이의 차이 먼지량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력을 결정하는 현관 청소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량이 상기 기준 먼지량 미만이면, 상기 이물 흡입부가 회동하지 한게 제어하는 현관 청소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이물 흡입부가 상기 현관 공간의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되게 제어하는 현관 청소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력에 따라 설정된 구동시간 동안 상기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현관 청소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시간 경과 후, 상기 이물 흡입부가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회동되게 제어하는 현관 청소 장치.
KR1020180031332A 2018-03-19 2018-03-19 현관 청소 장치 KR10243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32A KR102432160B1 (ko) 2018-03-19 2018-03-19 현관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32A KR102432160B1 (ko) 2018-03-19 2018-03-19 현관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14A true KR20190109814A (ko) 2019-09-27
KR102432160B1 KR102432160B1 (ko) 2022-08-16

Family

ID=6809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32A KR102432160B1 (ko) 2018-03-19 2018-03-19 현관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09A (ko) * 1998-06-18 2000-01-15 배길성 로봇 청소기의 청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1309827A (ja) * 2000-04-28 2001-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吸塵装置つき家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09A (ko) * 1998-06-18 2000-01-15 배길성 로봇 청소기의 청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1309827A (ja) * 2000-04-28 2001-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吸塵装置つき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160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2388B (zh) 清掃機器人及其維護裝置
CN207679386U (zh) 具有箱的移动清洁机器人
KR102315416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292B1 (ko) 자주식 전자 장치
KR101635304B1 (ko) 충전식 전기 청소기
KR20080087596A (ko) 로봇청소기
KR20160100980A (ko) 자동 청소기
JP2013230199A (ja) 吸込口体、吸込具、自走式掃除機
JP5957135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KR102432160B1 (ko) 현관 청소 장치
KR102360629B1 (ko) 현관 청소 장치
KR102022290B1 (ko) 로봇 청소기
JP2018041253A (ja) 自走式掃除機
JP5933096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2015157138A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5933090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2001029275A (ja)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JP5894701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5926849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7143908B2 (ja) 電気掃除機
JP6137873B2 (ja) 精米設備
JP6981333B2 (ja) 電気掃除機
JP5938134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5933098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5926848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