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145A -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145A
KR20190109145A KR1020180031133A KR20180031133A KR20190109145A KR 20190109145 A KR20190109145 A KR 20190109145A KR 1020180031133 A KR1020180031133 A KR 1020180031133A KR 20180031133 A KR20180031133 A KR 20180031133A KR 20190109145 A KR20190109145 A KR 2019010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mounting portion
ent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866B1 (ko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석 filed Critical 이진석
Priority to KR102018003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8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Abstract

본 발명은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중공의 기둥 형상의 마운팅부(10),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 및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하는 배관용 너트의 조임 공구를 제공한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1);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배관 수용 공간(23); 및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동일한 원주 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211) 외부의 공간과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 입출 슬릿(2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본 발명은 너트 조임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 실외기 등의 냉매 배관을 실내기나 실외기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너트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는 냉매 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매 배관(5)은 상기 배관이 관통된 너트(6)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가압되며 실내기와 실외기의 배관(7)에 연결되어 냉매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너트(6)는 배관(5)이 관통된 상태로 준비되므로, 상기 너트(6)를 조이기 위해서는 공구가 배관(5)의 측방에서 끼워진 후 너트(6)를 맞물어야 한다. 에어컨 등의 냉매 배관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구는 너트와 맞물리는 뭉치 부분의 측면에 손잡이가 직접 연결되고, 배관이 뭉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홈이 뭉치 측면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뭉치 측면의 홈을 통해 배관을 수용하며 너트를 뭉치에 맞물릴 수 있었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돌려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가능했다.
그러나,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에 설치된 배관(7)은 실내기나 실외기 본체에 매우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배관(7)에 냉매 배관(5)을 연결하는 작업은 실내기나 실외기가 제 위치에 설치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며, 실내기나 실외기가 주로 건물 외벽 구석이나 건물 실내 구석에 배치되기 때문에, 냉매 배관(5)을 배관(7)에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배관 너트 조임 공구를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그러면 작업자는 어쩔 수 없이 몽키 스패너나 플라이어 등의 범용 공구를 사용하여, 손이 닿지 않는 좁은 공간에 위치하는 배관용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불편하고 어려운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너트와 체결되는 뭉치 부분에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를 체결하고, 다시 연결대의 끝부분에 렌치를 연결하는 배관 너트 조임 공구를 발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너트가 뭉치와 체결되는 부분 외에는 조임 공구가 지지될 만한 어떠한 구조도 없으면서도, 렌치가 뭉치로부터 매우 먼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은 비좁은 공간을 통해 렌치를 파지할 수 있을지언정, 뭉치와 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114055호 등록특허공보 제16336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협소하고 작업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좁은 작업 환경에서도 배관용 너트를 매우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중공의 기둥 형상의 마운팅부(10),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 및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하는 배관용 너트의 조임 공구를 제공한다.
상기 마운팅부(10)는: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 입출구(14)와, 상기 너트 입출구(14)의 상부에 마련된 너트 수용공간(13)의 반경 방향 경계를 규정하는 내주면(112)을 구비하는 측벽(11); 상기 측벽(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상부 경계를 규정함으로써, 상기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삽입되는 너트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상부벽(15);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2)에 마련되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수용된 너트와 맞물리는 치형부(12); 상기 상부벽(15)에 마련되고,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5)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17); 및 상기 측벽(11)과 상부벽(15)의 원주방향 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상기 배관 수용홈(17)에 측방으로 인입되는 통로가 되는 배관 입출 슬릿(16);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관이 관통된 너트에 마운팅부(10)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1);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배관 수용 공간(23); 및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동일한 원주 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211) 외부의 공간과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 입출 슬릿(22);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배관(5)의 길이방향과 대응하여 배관을 그 길이방향으로 상당 구간 수용하며 임시 체결하기 때문에, 마운팅부(10)와 핸들부(30)가 상당히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도, 작업자가 핸들부(30)를 단단히 파지하지 않더라도 마운팅부(10)가 너트(6)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특히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임시 체결 작업은, 종래 특허문헌 1의 공구와 마찬가지로, 단지 배관(5)의 측면에서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배관(5)을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수용 공간(23)에 끼워 넣는 동작만으로 완료된다. 즉 종래의 공구와 대비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고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배관(5)과 조임 공구의 임시 체결이 가능하고, 그러한 체결 상태를 신뢰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외주면에서 측방으로 외향 연장되므로, 큰 힘을 주지 않더라도 너트를 원활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임 공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마운팅부(10)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상기 너트(6)를 관통하는 배관(5)을, 상기 마운팅부(10)의 배관 수용홈(17)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수용 공간(23)에 삽입 수용하는 임시 체결 작업을 한다.
이러한 작업은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공구를 사용하는 과정과 전혀 다르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임 공구는 배관과 상당한 길이 구간만큼 임시 체결되는 점에서, 그 효과의 차이는 현저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 공구를 배관(5)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관이 관통된 너트(6)를 상기 마운팅부(10)의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수용하며 치형부(12)에 맞물리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임 공구를 배관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안 그 슬라이드 동작이 배관(5)과 배관 수용 공간(23)의 내주면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5)과 상기 너트(6)는 이미 중심이 정렬되어 있고, 상기 조임 공구의 마운팅부(10)와 배관수용연장부(20)도 그 중심이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비좁은 작업 공간에서도, 단순히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관의 안내를 받으며 조임 공구를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마운팅부(10)와 너트(6)를 매우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핸들부(30)를 돌러 상기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안에도,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5)이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내주면(24)에 의해 위치 규제되며 상대적인 회전이 안내되므로, 상기 조임 공구의 마운팅부(10)와 배관수용연장부(20)가 각각 상기 너트와 배관에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단순히 핸들부(3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외향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입출 슬릿(22)의 형성 방향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하면,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임시 체결 작업 역시 매우 편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의 상단부에는 경사면(26)이 더 마련되면, 상기 경사면(26) 쪽의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배관(5)을 삽입하기 시작할 수 있어, 임시 체결 작업은 더더욱 편리해진다.
아울러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은 원통 형태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은, 상기 배관의 외경과 대응하고,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직경(D)보다 더 작도록 하면,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임시 체결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하면서도, 배관 수용 공간(23)에 배관(5)이 여유 있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매 배관은 완전한 직선의 형태라기보다, 약간씩 휘어져 있는 형태이므로, 작업자가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배관(5)을 통과시킬 때에는, 배관 입출 슬릿(22)을 배관이 휘어져 있는 방향과 정렬하며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 배관 수용 공간(23)에 삽입된 뒤에는, 약간 휘어진 배관이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 내에서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오히려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과는 간섭되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단 냉매 배관을 임시 체결한 뒤(임시 체결 뒤에는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하게 됨)에는, 조임 공구가 배관으로부터 우연히 빠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작업자가 배관 입출 슬릿(22)을 배관이 휘어져 있는 방향과 정렬하며 배관을 배관수용연장부(20)로부터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협소하고 작업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좁은 작업 환경에서도 배관용 너트를 매우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배관과 배관 결속용 너트가 피 결속 배관에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너트를 통해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너트 조임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공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공구를 배관에 임시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배관에 임시 체결된 공구의 마운팅부를 너트와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과 달리 도 3의 공구를 배관에 임시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 체결용 너트의 조임 공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10)와 배관수용연장부(20)와 핸들부(30)를 포함한다.
마운팅부(10)는 너트(6)와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마운팅부(10)는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납작한 원기둥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 입출구(14)를 구비한다. 상기 마운팅부(10)는 측벽(11)과 상부벽(15)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11)과 상부벽(15)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은 상기 너트 입출구(14)와 연결되며 통하는 공간인 너트 수용공간(13)을 구성한다.
상기 측벽(11)의 외주면(111)은, 후술할 배관 입출 슬릿(16)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측벽과 같은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11)의 외주면은 공구를 회전시킬 때 마운팅부(10)의 외주면(111)이 공구 주변에 있을 수도 있는 다른 부품 등과 걸리지 않도록 매끄러운 곡면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마운팅부의 외주면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2)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반경방향 경계를 규정한다. 상기 내주면(112)에는, 가령 너트(6)의 6각형 측면과 맞물릴 수 있는 치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형부(12)는 6각형 형태와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이 12개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물론 후술할 배관 입출 슬릿(16)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치형부(12)가 삭제되어 있다.
6각 너트와 대응하여 6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치형부는 너트와 치형부를 끼워 맞추기 위해 최대 60도 상호 회전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12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치형부를 적용하면 최대 30도 상호 회전시키는 것으로 너트와 치형부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치형부의 개수는 반드시 12개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20도 간격으로 18개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등,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치형부의 모서리의 개수는 너트(6)와 마운팅부(10)의 강도, 너트를 조이기 위해 가해지는 토크, 작업의 편의성 등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은 상기 측벽(11)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상단부를 규정한다. 즉 상기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삽입되는 너트(6)의 삽입 깊이는 상기 상부벽(15)의 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에는, 너트(6)를 관통하는 냉매 배관(5)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17)이 마련된다.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단면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단면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단면적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단면적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단면은 거기에 수용될 배관의 단면보다는 약간 크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6)는 상기 배관 수용홈(17)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되는 반면, 상기 배관(5)은 상기 배관 수용홈(17)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수용홈(17)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중심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이 약간 어긋나 배치되더라도 배관(5)의 직경이 배관 수용홈(17)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배관(5)과 너트(6) 사이에도 반경 방향으로 약간 유격이 있으므로, 공구를 사용하는 데에 별다른 지장은 없다 할 것이다.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일측에는 상기 측벽(11)을 향해 트여진 형태의 배관 입출 슬릿(16)이 구비된다. 배관 입출 슬릿(16)은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과 측벽(11)의 원주방향의 일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배관 입출 슬릿(16)의 폭(W)은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직경(D)보다 약간 작다. 가령 배관 입출 슬릿(16)의 폭이 17.5mm 라면,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직경은 20.5mm 일 수 있다.
상기 배관 입출 슬릿(16)은 상기 배관(5)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가령 배관 입출 슬릿(16)의 폭이 17.5 mm 라면, 배관의 외경은 17 mm 일 수 있다.
마운팅부(10)의 상부벽은 그 두께가 2mm 정도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에 마련된 배관 입출 슬릿(16)과 배관 수용홈(17)은 배관(5)과 마운팅부(10)를 임시 고정하기 부족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벽(15)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를 더 구비하여 배관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 임시 체결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핸들부(30)를 형성하여서 마운팅부(10)와 그 회전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핸들부(30)로 상기 마운팅부(10)에 체결된 너트(6)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마운팅부(10)와 핸들부(30)가 떨어져 위치하더라도 공구가 배관(5)에 의해 임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조임 공구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6)와 마운팅부(1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6)를 관통하는 배관(5)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본체(21)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1)는, 후술할 배관 입출 슬릿(22) 부분을 제외하고, 외주면(211)이 전체적으로 원통의 측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21)의 외주면(211)의 외경은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외주면(111)의 외경보다는 약간 작다.
상기 본체(21)의 중심은 대략 마운팅부(10)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의 중심이 약간 편심되어 있다고 하여 공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21)의 중심에는, 배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배관수용연장부(20)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관 수용 공간(23)을 구비한다.
배관 수용 공간(23)은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 공간으로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관(5)을 수용함은 물론, 상기 배관(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내주면은, 원통형의 내벽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일측에는, 상기 마운팅부(10)의 배관 입출 슬릿(16)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본체(2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배관 입출 슬릿(22)이 마련된다.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측방향 외측 공간과 통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은 배관(5)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배관이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직경(D)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배관 수용 공간(23)에 수용된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가 비교적 자유롭게 상호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길이는, 발명의 취지 상,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 상기 배관(5)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너트 조임 공구가 상기 배관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길이는 대략 5 내지 10 cm 정도일 수 있지만, 권리범위로서 이를 수치적으로 한정할 수는 없는 것임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단부에는, 측방향으로 핸들부(30)가 마련되며, 상기 핸들부(30)의 연장 방향은,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를 중심으로,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이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부(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관과 배관 입출 슬릿(22)의 방향을 일치시켜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배관(5)을 배관수용공간(23)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0)의 표면에는 널링 등의 처리를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거나, 고무 패드 등을 덮어 씌우는 등의 방식으로 파지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배관 입출 슬릿(16, 22)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커지는 모따기나 챔퍼 등의 형상을 두어, 배관(5)을 배관 입출 슬릿(16, 22)에 삽입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는, 상기 치형부(1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의 하부에 마련된 너트 입출구(14) 쪽 단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치형부(12)의 하단부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너트 수용공간(13)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챔퍼나 경사면을 두어, 너트가 치형부에 끼워 맞춰지는 것이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단부에서, 상기 핸들부(30)가 마련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라운드 진 경사면(26; 도 10 참조)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6)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이 형성된 위치와 일부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26)이 형성된 부위는, 상기 조임 공구에서 핸들부(30)에 가해지는 조임력을 마운팅부(10)에 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성을 덜 고려해도 무방한 부위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6)에 중첩되는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을 그 하부에 존재하는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보다 더 넓어지는 형태로 제작하면, 상기 경사면(26)의 배관 입출 슬릿의 폭 부분은 배관의 폭보다 더욱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5)에 대해 조임 공구의 경사면(26)이 더 가까워지도록 상기 조임 공구를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 배관의 일부를 먼저 상기 경사면(26) 쪽의 배관 입출 슬릿(22) 쪽으로 집어 넣은 후, 조임 공구의 배관수용연장부(20)와 배관(5)이 나란하도록 기울였던 조임 공구를 다시 배관수용연장부(20)의 하부를 배관 쪽으로 밀면, 아직 삽입되지 않았던 배관 부분이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배관(5)이 전체적으로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에 수용될 수 있다.
일단 배관(5)이 배관 수용공간(23)에 수용되면, 배관수용연장부(20)와 배관(5)이 나란하게 되므로, 경사면(26) 쪽의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배관(5)이 이를 통해 빠지지 아니함은 명백하다.
배관(5)의 직경은 공조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는 대략 3~4가지의 규격을 가지는바, 작업자는, 이에 대응하는 3~4가지의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조임 공구를 소지하고 다님으로써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배관수용연장부(20)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임 공구를 세트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령,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30)가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와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된 구조가 예시되었으나, 상기 핸들부(30)가 배관수용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작업 환경에 맞게 핸들부(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하겠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마운팅부
11: 측벽
111: 외주면
112: 내주면
12: 치형부
13: 너트 수용공간
14: 너트 입출구
15: 상부벽
16: 배관 입출 슬릿
17: 배관 수용홈
20: 배관수용연장부
21: 본체
211: 외주면
22: 배관 입출 슬릿
W: 폭
23: 배관 수용 공간
D: 직경
24: 내주면
26: 경사면
30: 핸들부
5: 냉매 배관
6: 너트
7: 실내기(실외기) 배관

Claims (3)

  1.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중공의 기둥 형상의 마운팅부(10),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 및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하는 배관용 너트의 조임 공구로서,
    상기 마운팅부(10)는: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 입출구(14)와, 상기 너트 입출구(14)의 상부에 마련된 너트 수용공간(13)의 반경 방향 경계를 규정하는 내주면(112)을 구비하는 측벽(11);
    상기 측벽(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상부 경계를 규정함으로써, 상기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삽입되는 너트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상부벽(15);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2)에 마련되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수용된 너트와 맞물리는 치형부(12);
    상기 상부벽(15)에 마련되고,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5)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17); 및
    상기 측벽(11)과 상부벽(15)의 원주방향 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상기 배관 수용홈(17)에 측방으로 인입되는 통로가 되는 배관 입출 슬릿(16);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1);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배관 수용 공간(23); 및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동일한 원주 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211) 외부의 공간과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 입출 슬릿(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조임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외향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입출 슬릿(22)의 형성 방향은,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의 상단부에는 경사면(26)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조임 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은 원통 형태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은, 상기 배관의 외경과 대응하고,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직경(D)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조임 공구.
KR1020180031133A 2018-03-16 2018-03-16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KR10250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33A KR102505866B1 (ko) 2018-03-16 2018-03-16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33A KR102505866B1 (ko) 2018-03-16 2018-03-16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45A true KR20190109145A (ko) 2019-09-25
KR102505866B1 KR102505866B1 (ko) 2023-03-02

Family

ID=6806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33A KR102505866B1 (ko) 2018-03-16 2018-03-16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5615A (zh) * 2020-08-10 2020-12-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动车组列车的格兰头的紧固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324A (ko) * 1995-10-08 1997-05-28 박준형 배관용 래치트 렌치
KR970021177U (ko) * 1995-11-01 1997-06-18 손잡이길이가 조절되는 렌치
KR20090114055A (ko) 2008-04-29 2009-11-03 허형만 배관용 렌치
KR101633603B1 (ko) 2014-04-28 2016-06-27 명은상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324A (ko) * 1995-10-08 1997-05-28 박준형 배관용 래치트 렌치
KR970021177U (ko) * 1995-11-01 1997-06-18 손잡이길이가 조절되는 렌치
KR20090114055A (ko) 2008-04-29 2009-11-03 허형만 배관용 렌치
KR101633603B1 (ko) 2014-04-28 2016-06-27 명은상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5615A (zh) * 2020-08-10 2020-12-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动车组列车的格兰头的紧固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866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429B2 (en) Tub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EP0842742B1 (en) Fastener removing tool
US20060243102A1 (en) Plumbing tool
US20100058563A1 (en) Clamp Securement
KR20190109145A (ko)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US20070227309A1 (en) Hose Clamp Tool
US5360188A (en) Threaded insulator clamp
US20090211407A1 (en) Nut wrench
US7788995B2 (en) Pipe fitting socket for use with an axial drive mechanism
US20020178874A1 (en) Intermediate member for connecting with tools
US7628571B2 (en) Tool chucking apparatus
US11717945B2 (en)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retention knobs
US6516505B1 (en) Tool for installing removable fasteners
US4848194A (en) Valve wrench
US20180238367A1 (en) Wedge Anchor Setting Tool and Method
US20220299136A1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Pipe to a Pipe Section at an Opening, Such as, for Example, a Pipe Section at a Discharge Opening,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Pipe Using Such Connecting Means
KR101334852B1 (ko) 벨트식 클램프
US6826984B2 (en) Lock nut sockets
JP2010167531A (ja) レンチ工具
KR200329381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KR200476843Y1 (ko) 접이식 라쳇 렌치
US5374785A (en) Hub locknut
CN112536753B (zh) 多尺寸扳手及其转换装置
KR10112062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3012394U (ja) ユニオンナット締付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