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0324A - 배관용 래치트 렌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래치트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0324A
KR970020324A KR1019950034849A KR19950034849A KR970020324A KR 970020324 A KR970020324 A KR 970020324A KR 1019950034849 A KR1019950034849 A KR 1019950034849A KR 19950034849 A KR19950034849 A KR 19950034849A KR 970020324 A KR970020324 A KR 97002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interlocking
fastener
bevel gear
ratchet w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형 filed Critical 박준형
Priority to KR101995003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20324A/ko
Publication of KR97002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24A/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래치트 렌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관 공사에는 관이음구나 이의 너트를 나사 조임할 때 스패너를 이용하고 있는 관계로 이음구 몸체의 6각 조임부를 1회전 시킴에 있어서는 스패너의 작동을 6번 작동 시켜야만 6각 조임구를 1회전 시키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저조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래치트 렌치의 구동부(2)의 선단에 관체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의 트임부(3)를 형성함과 동시 구동부(2)의 내부에 끼움되어 회동되는 회동 조임구(4)의 주면 일측에도 관체가 끼움될 수 있는 트임부(5)를 형성하여 손잡이의 작동으로 조임 회동구(4)가 계속 회전할 수 있게 함에 있어 구동부(2)의 일측면 또는 좌우측에 작동이빨(7) 및 연등치차(8′)가 있는 절환 조절구(8)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기한 작동이빨(7)은 회동 조임구(4)의 치차(4′)와 물림되게 하고, 전기한 좌우 연동치차(8″)는 전기한 작동이빨(7)과 서로 교대로 치차(4′)와 맞물림되게 하되 작동이빨(7)과 연동치차(8″)와의 길이를 트임부(5) 보다 약간 넓은 길이로 형성하여 회동 조임구(4)가 회동되는 과정 중 이의 트임부(5)가 작동이빨(4′)에 맞물림 되지 않을 시는 좌우 작동이빨(7) 및 연동치차(8″) 중 어느 한쪽 작동이빨(7) 및 연동치차(8″)가 치차(7′)와 교대로 맞물릴 되어 회동 조임구를 계속 회동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회동 조임구(104)를 진동식으로 회동시킬시는 이의 주면에 베벨기어(104′)를 형성하여 모타(111′)와 연동되는 베벨기어(107) (107′)가 이에 물림되어 연동되게 하되, 좌우 베벨기어(107) (107′)의 간격이 회동 조임구(104)에 형성된 트임부(105)의 크기보다 약간 넓게 하므로서 회동 조임구(104)가 회동되는 과정 이의 트임부(105)가 어느 한쪽 베벨기어(107) 또는 베벨기어(107′)에 접하여 이의 회동이 중지되면 이때에는 베벨기어(107) 또는 베벨기어(107′)가 베벨기어(104′)와 맞물림 되어 회동 조임구(104)의 회동이 계속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래치트 렌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작동 표시 단면도.

Claims (5)

  1. 래치트 렌치 몸체(1)의 구동부(2) 상단에 관체(파이프) 또는 이음구몸체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의 트임부(3)를 형성하여 관체 및 관이음구가 출입할 수 있게 하고, 구동부(2)의 내부에 끼움되어 회동 되면서 관이음구나 너트를 협지 조임하는 회동 조임구(4)에도 관체 또는 관이음구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의 트임부(5)를 형성하며 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치(4′)는 구동부(2)의 일측에 축핀(1″)과 볼(2″) 및 스프링 (8″)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절환 조절구(8)의 좌우단 어느 한쪽의 작동 이빨(7)과 맞물림 되게 하고, 절환 조절구(8)의 내측좌우에는 연동치차(8′)를 설치하되 이 연동치차(8″)는 작동이빨(7)과 연동치차(8″)가 각각 독립되거나 서로 연속된 것이 전기한 트임부(5)보다 길게 형성하여 회동 조임구(4)의 어느 한쪽 치차(4′)와 맞물림 되어 정역으로 회전되게 한 배관용 래치트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2)의 좌우측에 절환 조절구(8) (8′)를 회동 가능하게 축설하여 이에 형성된 작동이빨(7) 및 연동치차(8″)가 회동 조임구(4)의 치차(4′)와 교대로 맞물림 되게 한 배관용 래치트 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2)의 좌우측에는 하단부가 서로 접하는 경사 안내로(2″)를 형성하여 봉상체로 된 조절구(8) (8′)를 다수의 볼(9″)을 개재시켜 끼움하되, 좌우 절환 조절구(8) (8′)의 외단에는 작동이빨(7)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연동치차(8″)를 형성하여 회동 조임구(4)의 치차(4′)와 교대로 맞물림 되게 하고, 절환 조절구(8) (8′)의 외측에는 걸림홈(7) (7″)를 형성하여 스프링 (8″′)을 개재한 볼(2″)에 걸림되게 한 배관용 래치트 렌치.
  4. 제3항에 있어서, 구동부(2)의 좌우측에 경사상으로 형성된 안내로(2″)의 하단부에 공실(2″′)을 형성하여 이 공실에는 작동판(9)이 회동 가능하게 축핀(9′)에 의해 설치되어 좌우 절환 조절구(8) (8′)와 접동되어 지게한 배관용 래치트 렌치.
  5. 제1항에 있어서, 트임부(105)가 있는 회동 조임구(104) 내에 큰 협지부(106)와 작은 협지부(106′)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단입부에 베벨기어(104′)를 형성하여 모타(111′)축과 연결된 좌우 베벨기어(107) (107′)와 연동되게 하되, 좌우 베벨기어(107) (107′)의 간격이 회동 조임구(104)의 트임부(105)의 간격 보다 약간 넓게 한 배관용 래치트 렌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4849A 1995-10-08 1995-10-08 배관용 래치트 렌치 KR970020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849A KR970020324A (ko) 1995-10-08 1995-10-08 배관용 래치트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849A KR970020324A (ko) 1995-10-08 1995-10-08 배관용 래치트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24A true KR970020324A (ko) 1997-05-28

Family

ID=6658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849A KR970020324A (ko) 1995-10-08 1995-10-08 배관용 래치트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203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38B1 (ko) * 2011-08-01 2012-05-24 (주)대우건설 양방향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재의 양방향 자동 체결방법
KR101144139B1 (ko) * 2011-08-01 2012-05-24 (주)대우건설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KR20190109145A (ko) * 2018-03-16 2019-09-25 이진석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38B1 (ko) * 2011-08-01 2012-05-24 (주)대우건설 양방향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재의 양방향 자동 체결방법
KR101144139B1 (ko) * 2011-08-01 2012-05-24 (주)대우건설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KR20190109145A (ko) * 2018-03-16 2019-09-25 이진석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089A (en) Screw handle ratchet
JP6660912B2 (ja) 貫通型電動式ラチェットレンチ
US8555750B2 (en) Auto-Adjustable bearing wrench
US3939924A (en) Power torque wrench
US5630343A (en) Power drive multiple socket wrench
US5544553A (en) Off-set geared nutrunner attachment
US4485702A (en) Positive action basin wrench
US6253644B1 (en) Torque wrench
DE2807677A1 (de) Hydraulisches schraubgeraet
US20190210199A1 (en) Screwdriver and ratchet mechanism thereof
KR970020324A (ko) 배관용 래치트 렌치
CN100491750C (zh) 夹持组件的改进
US858894A (en) Wrench.
WO2005059374A1 (en) A joiner
US20140144294A1 (en) Adjustable Open End Ratcheting Flare Wrench
US4453433A (en) Gear wrench having adjustment to assure proper meshing
US3214992A (en) Tool driver attachment
KR970020323A (ko) 배관용 래치트 렌치
KR200286610Y1 (ko) 개량 몽키 스패너
JPS6113261Y2 (ko)
EP0069123A1 (en) Rotary hand tools
JPH08137Y2 (ja) レンチ
US20230105914A1 (en) Fixed angle ratchet adapter
WO2002085576A1 (en) Adjustable wrench/socket with simultaneousely movable jaws
KR100389611B1 (ko) 고속 소켓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