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921A -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 Google Patents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921A
KR20190108921A KR1020180030597A KR20180030597A KR20190108921A KR 20190108921 A KR20190108921 A KR 20190108921A KR 1020180030597 A KR1020180030597 A KR 1020180030597A KR 20180030597 A KR20180030597 A KR 20180030597A KR 20190108921 A KR20190108921 A KR 2019010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gh durability
electrical contact
contact structur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197B1 (ko
Inventor
정민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1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01H15/18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Contacts (AREA)

Abstract

기판에 마련된 제1접점; 단부가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기판과 이격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과 이격된 제2접점;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방에서 이동하여 상기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접점 및 제2접점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HIGH DURABILITY ELECTRIC CONTACT STRUCTURE}
본 발명은 기계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고전류에도 대응 가능한 스위치용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위치 구조는 도 1과 같이, 왕복 마찰에 의해 작동하는 슬라이딩식 스위치와 접점이 부딪혀 작동하는 대항식 스위치가 존재한다. 슬라이딩 스위치의 경우, 접점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두 개의 접점이 닿아 작동하게 되어 기계적 마모에 취약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마모를 개선하기 위해 그리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전류가 흐르는 부품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대항식 스위치의 경우, 고전류를 통과시킬 수는 있지만 작동 방식이 종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횡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계 구조물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기계 구조물의 경우 구동 방향이 제한된다.
기계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고전류에도 대응 가능한 스위치용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는 기판에 마련된 제1접점; 단부가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기판과 이격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과 이격된 제2접점;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방에서 이동하여 상기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접점 및 제2접점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의 상면은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이격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1이격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제1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이격영역 각각의 내면에 상기 제2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상기 제1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임의의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압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의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이격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제2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이격영역 각각의 내면에 상기 제2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상기 제2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합금, 니켈동 합금, 베릴륨동 합금 및 인청동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점 및 제2접점은, 은-구리, 은-니켈, 은-팔라듐 및 은-주석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는 기계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고전류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지 않으며, 플레이트가 접점을 주위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이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나의 상부구조물 요철로 복수의 전기접점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레이트의 돔 구조 주변부의 형상 변형에 의해 작동 시에 절도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의 슬라이딩식 스위치 구조와 대항식 스위치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에서 중앙부의 상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에서 기판에 연결된 플레이트의 고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에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접점의 연결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중량%를 의미하며, 1ppm 은 0.0001중량%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는 기판(20)에 마련된 제1접점(100), 단부가 기판(20)과 연결되고, 중앙부가 기판(20)과 이격된 플레이트(200),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점(100)과 이격된 제2접점(300) 및 플레이트(200) 상방에서 이동하여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00)를 포함한다.
제1접점(100)은 기판(20)에 형성된다. 플레이트(200)는 기판(20) 상에 배치된다. 기판(20)과 연결된 상태의 단부와 기판(20)으로부터 돔(dome) 형태로 이격된 상태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중앙부는 기판(20) 상의 제1접점(1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점(300)은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되며, 제1접점(100)과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가압부(400)는 플레이트(200)의 상방에서 이동하여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중앙부 내면에 형성된 제1접점(100)과 제2접점(300)이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구애되지 않는다. 플레이트(200)는 기판(10) 상방에 위치하는 레일에 연결되어 레일 상에서 평행이동함으로써 플레이트(200)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400)가 플레이트(200) 상방을 이동하다가 중앙부 형성 지점에 이르게 될 때,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400)가 중앙부 형성 지점을 지나치게 되면 플레이트(200)는 복원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된다.
이에 따라 중앙부 내면에 형성된 제1접점(100)과 제2접점(300)의 접촉이 해제되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구된다.
플레이트(200)는 복원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 합금, 니켈동 합금, 베릴륨동 합금 및 인청동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플레이트(200)에서 중앙부의 상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중앙부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경우, 중앙부 내면에 제2접점(300)의 부착이 어려울 수 있고, 가압부(400)의 가압 시, 제1접점(100)과 제2접점(300)의 국부적인 접촉이 발생할 수 있어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없다.
중앙부의 상면이 하방으로 만입된 형태로 형성될 경우, 반복 작동에 의해 플레이트(200)가 파손될 염려가 존재하고, 가압부(400)의 가압 시, 제1접점(100)과 제2접점(300)의 정상적인 접촉이 발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4와 같이, 플레이트(200)은 기판(10)에 슬롯 고정 방식, 열융착 방식, 핀(20) 고정 방식 및 용접 방식 중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핀(20) 고정 방식의 경우, 플레이트(200)의 일 부분이 핀(20)에 의해 기판(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용접 방식의 경우, 플레이트(200)의 일 부분이 용접에 의해 용접부(30)를 형성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접점(100) 및 제2접점(300)은 은-구리, 은-니켈, 은-팔라듐 및 은-주석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C 전류가 이용될 경우, 제1접점(100)과 제2접점(300)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점(100) 및 제2접점(300)이 은-구리 합금 재질로 형성될 경우, 구리(Cu): 20 내지 50 중량% 및 잔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리가 20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내구 강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부식이 일어날 수 있다.
제1접점(100) 및 제2접점(300)이 은-니켈 합금 재질로 형성될 경우, 니켈(Ni): 5 내지 30 중량% 및 잔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니켈이 5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내구 강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니켈 산화물 분진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제1접점(100) 및 제2접점(300)이 은-팔라듐 합금 재질로 형성될 경우, 팔라듐(Pd): 5 내지 99 중량% 및 잔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팔라듐이 5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내구 강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접점(100) 및 제2접점(300)이 은-주석 산화물 재질로 형성될 경우, 주석 산화물(SnO2): 5 내지 20 중량% 및 잔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주석 산화물이 5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내구 강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촉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2접점(300)은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클래딩, 브레이징, 초음파 융착, 리벳팅 및 도금 중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점(300)이 은-주석 산화물 재질로 형성될 수 경우, 클래딩, 브레이징, 초음파 융착 및 리벳팅 중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점(300)이 은-니켈 합금 및 은-팔라듐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경우, 도금을 이용하여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접점(300)이 금, 은, 팔라듐, 루테늄 및 니켈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도금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의 두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는 여러가지 실시예 중 두 가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7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는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제1이격영역(210) 및 제1이격영역(210)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20)과 연결되는 제1연결영역(220)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이격영역(210) 각각의 내면에 제2접점(30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접점(300)의 하방에는 제1접점(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400)는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제1이격영역(21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400)가 복수로 구성된 제1이격영역(210) 상방을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하면서 일측의 제1이격영역(210)부터 타측의 제1이격영역(210)을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하나의 가압부(400)를 이용하여 한 세트의 접점만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세트의 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가압부(400)가 복수로 구성되며,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어 복수의 제1이격영역(210)을 동시에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이격영역(210)은 세 개로 구성되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가압부(400)는 두 개로 구성되되, 복수의 제1이격영역(210)이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가 제1이격영역(210) 상부를 이동함에 따라 첫번째와 가운데 제1이격영역(21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또는 가운데와 세번째 제1이격영역(21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또는 플레이트(200)가 복수로 구성되며, 플레이트(2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가압부(400)는 복수의 플레이트(200) 각각의 중앙부를 동시에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두 개의 플레이트(200)가 플레이트(2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첫번째 플레이트(200)에는 두 개의 제1이격영역(210)이 형성될 수 있다. 두번째 플레이트(200)에도 두 개의 제1이격영역(210)이 형성되되, 어느 하나는 첫번째 플레이트(200)의 제1이격영역(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가 첫번째 플레이트(200)와 두번째 플레이트(200)를 모두 커버할 정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가 이동함에 따라 첫번째 플레이트(200)와 두번째 플레이트(200)의 제1이격영역(21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고, 첫번째 플레이트(200)와 두번째 플레이트(200)의 제1이격영역(210) 중 하나만을 가압할 수 있다.
도 8 내지 9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는 임의의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가압부(400)가 형성된 고정부(500)를 더 포함하고, 플레이트(200)는 고정부(500)의 주변에 형성되며,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는 플레이트(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영역(230) 및 제2이격영역(230)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20)과 연결되는 제2연결영역(240)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이격영역(230) 각각의 내면에 제2접점(30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접점(300)의 하방에는 제1접점(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400)는 고정부(500)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제2이격영역(23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400)가 복수로 구성된 제2이격영역(230) 상방을 플레이트(200)의 원주방향으로 평행이동하면서 일측의 제2이격영역(230)부터 타측의 제2이격영역(230)을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하나의 가압부(400)를 이용하여 한 세트의 접점만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세트의 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가압부(400)가 복수로 구성되며, 고정부(500)에서 플레이트(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제2이격영역(230)을 동시에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2이격영역(230)은 세 개로 구성되어 일정각도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가압부(400)는 두 개로 구성되되, 복수의 제2이격영역(230)이 이격된 각도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가 제2이격영역(230) 상부를 이동함에 따라 첫번째와 두번째 제2이격영역(23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또는 두번째와 세번째 제2이격영역(23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슬라이딩식 스위치(비교예 1), 볼 타입 대항식 스위치(비교예 2) 및 본 발명에 의한 가압부가 직선 형태로 이동하는 첫번째 실시예(실시예 1), 가압부가 로터리 형태로 이동하는 두번째 실시예(실시예 2)의 내구성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구성 비교 시험은 12V, 20A의 조건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1초 동안 ON 상태를 유지하고, 5초 동안 OFF 상태를 유지하는 반복 작동 시험을 수행하였다.
반복 작동에 따라 ON/OFF로의 스위치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때의 횟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았다.
구분 구조 통전 전압/전류 접점 소재 내구 수명
비교예 1 슬라이딩식 스위치 12V/20A 금 도금 823회
비교예 2 볼 타입 대항식 스위치 12V/20A AgSnO2 27350회
실시예 1 직선형 스위치 12V/20A AgSnO2 97820회
실시예 2 로터리형 스위치 12V/20A AgSnO2 127320회
상기 표 1과 같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실시예 1 및 2의 내구 수명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비교예 1 및 2 보다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지 않으며, 플레이트가 접점을 주위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이 가능한 구조적 특징에 기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 및/또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현예 및/또는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기판 20: 핀
30: 용접부
100: 제1접점 200: 플레이트
210: 제1이격영역 220: 제1연결영역
230: 제2이격영역 240: 제2연결영역
300: 제2접점 400: 가압부
500: 고정부

Claims (12)

  1. 기판에 마련된 제1접점;
    단부가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기판과 이격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과 이격된 제2접점;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방에서 이동하여 상기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접점 및 제2접점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상면은 평면 형태인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이격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1이격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제1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이격영역 각각의 내면에 상기 제2접점이 형성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상기 제1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압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의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이격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제2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이격영역 각각의 내면에 상기 제2접점이 형성된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상기 제2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이격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합금, 니켈동 합금, 베릴륨동 합금 및 인청동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 및 제2접점은,
    은-구리, 은-니켈, 은-팔라듐 및 은-주석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KR1020180030597A 2018-03-16 2018-03-16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KR10248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597A KR102487197B1 (ko) 2018-03-16 2018-03-16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597A KR102487197B1 (ko) 2018-03-16 2018-03-16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21A true KR20190108921A (ko) 2019-09-25
KR102487197B1 KR102487197B1 (ko) 2023-01-10

Family

ID=6806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597A KR102487197B1 (ko) 2018-03-16 2018-03-16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86B1 (ko) * 2019-11-12 2020-06-16 덕일산업 주식회사 클래드 타입 마이크로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802A (ko) * 1998-07-10 2001-03-26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제어 스위치 장치
KR20060119643A (ko) * 2005-05-21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KR20160063014A (ko) * 2014-11-26 2016-06-03 희성금속 주식회사 전기 접점의 제조방법
JP2017098175A (ja) * 2015-11-27 2017-06-0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用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802A (ko) * 1998-07-10 2001-03-26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제어 스위치 장치
KR20060119643A (ko) * 2005-05-21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KR20160063014A (ko) * 2014-11-26 2016-06-03 희성금속 주식회사 전기 접점의 제조방법
JP2017098175A (ja) * 2015-11-27 2017-06-0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用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86B1 (ko) * 2019-11-12 2020-06-16 덕일산업 주식회사 클래드 타입 마이크로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197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431B1 (en) Disconnect switch
KR100937817B1 (ko) 스위치 및 접점 모듈
GB2042811A (en) Electric motor speed controller
KR20190108921A (ko)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CN1252760C (zh) 电气开关组件
JP2008246554A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5647194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930251U (zh) 用于阴触头的触指、用于断口组件的阴触头及断口组件
US8927886B2 (en) Load transfer switch for a tap changer
KR102224011B1 (ko) 전기 접점 소재
JPS639759B2 (ko)
US3736395A (en) Direct-action switch
JP2013535829A (ja) 圧電積層アクチュエータ
EP0203373A1 (de) Trennschalter
CN107068462A (zh) 机械式薄膜键盘
DE2458843C2 (de) Kontaktanordnung für Drucktastenschalter
DE2403048C3 (de) Elektrische Schwachstromkontakte
KR102417333B1 (ko) 전기 접점 소재
JP4601246B2 (ja) 真空遮断器
DE3447314C2 (ko)
JP3934788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およびスポット溶接方法
EP3803927B1 (en) Method of adhesion of contacts on aluminum conductors in an electromechanical switching device
JP2920585B2 (ja) スイッチ装置
JP6207115B1 (ja) スイッチ
KR200411186Y1 (ko) 푸시버튼 로터리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