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802A - 제어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802A
KR20010023802A KR1020007002461A KR20007002461A KR20010023802A KR 20010023802 A KR20010023802 A KR 20010023802A KR 1020007002461 A KR1020007002461 A KR 1020007002461A KR 20007002461 A KR20007002461 A KR 20007002461A KR 20010023802 A KR20010023802 A KR 2001002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vable body
control switch
switch device
elastic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따니교오헤이
Original Assignee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filed Critical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9/00347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03407A1/ja
Publication of KR2001002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Abstract

텔레비젼 게임 장치나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캐릭터 등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의 어느 것에 키 상면의 틸팅에 의해 탄성 가동체의 하방의 도전부가 맞닿아서 온되는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상면의 중심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지점 부재가 끼워 맞춰지고, 상기 키 상면에 아무런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키 상면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키 상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다.

Description

제어 스위치 장치{CONTROL SWITCH DEVICE}
일본 실용신안공고 평3-50594호 공보에 기재된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키 상면의 하방 원판부 중앙 하방으로 돌출한 돌기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원판부의 하면은 상기 돌기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원추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키 상면 하면의 돌기는, 배선 기판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써, 탄성 유지부에 의해 상기 배선 기판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41342호 공보에 기재된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도, 실용신안 공고 평3-50594호 공보 기재의 것과 같이, 키 상면의 중심 하부에 반구형상 지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6-162875호에 기재된 제어 스위치 장치에서는, 외부 케이스에 구면형의 돔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돔부의 꼭대기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키 상면의 중앙 통부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의 구면형 돔부의 하방의 구면형 접점 압박부에 상기 키 상면의 중앙 통부가 일체로 압착되고, 상기 구면형 접점 압박부와 그 하방의 배선 기판 사이에 탄성부가 개재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고 평3-50594호의 제어 스위치 장치에서는, 키 상면과 일체인 딱딱한 돌기가, 강성이 높은 배선 기판에 대하여 간극을 둔 상태로, 탄성유지부에 의해 상기 배선 기판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키 상면이 압박된 때에, 상기 배선 기판에 큰 충격력이 작동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고, 또한, 키 상면 하면의 돌기가 배선 기판 표면에 압착되고, 이들 소음이나 진동이나 배전판의 마모에 의해 배선 기판에 바람직하지 못한 악영향이 있었다.
또한, 키 상면의 상부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케이스도 키 상면이 헐겁게 끼워질 수 있도록 십자형으로 절제된 키 상면의 원판이 케이스의 십자형 절결부의 각부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십자편에 대하여 45°의 방향을 향하여 키 상면을 억압할 수가 없고, 배선 기판상에 인접하는 2쌍의 전기 접점을 동시에 온시키기 어렵다.
그리고,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41342호 공보에 기재된 제어 스위치 장치에서도, 반구형상 지점이 키 상면과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키 상면의 압박 조작시에 그 압박력이 배선 기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을 피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6-162875호의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키 상면이 하방으로 압박된 때에, 이 압박력이 외부 케이스의 구면형 돔부에 부담되어, 배선 기판상에 직접 가해지지 않고, 상기 배선 기판에 큰 충격력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배선 기판이 손상될 염려가 없고, 또한, 키 상면은 외부 케이스의 구면형 돔부에 따라서 어떤 방향으로도 기울일 수 있는 결과, 인접하는 2쌍의 전기 접점을 동시에 온시키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6-l62875호의 제어 스위치 장치에서는, 배선 기판에 대한 외부 케이스의 구면형 돔부의 상대적 간격을 정확히 유지할 필요가 있고, 또한, 외부 케이스의 구면형 돔부를 협지해서 키 상면과 구면형 접점 억압부를 일체로 결합해야 하고, 그 결과, 비용과 가공 공정수의 증대를 피하기 어려웠다.
본 출원 발명은, 텔레비전 게임 장치나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캐릭터 등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출원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를 갖춘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다.
도3은 배선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4는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5는 제어 스위치 장치의 키 상면을 억지 시작한 상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6은 제어 스위치 장치의 키 상면을 누르기 끝낸 상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7은 키 상면의 평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정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저면도이다.
도10은 도7의 우측면도이다.
도l1은 도7의 XI-X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l2는 도7의 XII-XII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3은 탄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14는 도l3의 정면도이다.
도15는 도13의 저면도이다.
도16은 도13의 좌측면도이다.
도17은 도13의 XVII -XVII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8은 도l3의 XVIII-XVIII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3의 XIX-XIX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0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를 갖춘 비디오게임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평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정면도이다.
도23은 도21의 좌측면도이다.
도24는 제어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5는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26은 제어 스위치 장치의 키 상면을 누른 상태의 종단정면도이다.
도27은 키 상면의 평면도이다.
도28은 키 상면의 정면도이다.
도29는 키 상면의 저면도이다.
도30은 키 상면의 우측면도이다.
도31은 도27의 XXXI-XXXI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2는 탄성 가동체의 평면도이다.
도33은 탄성 가동체의 정면도이다.
도34는 탄성 가동체의 저면도이다.
도35는 도32의 XXXV-XXXV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37은 도36의 실시 형태와 상이한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38은 도36 및 도37의 실시 형태와 상이한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39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도40은 도39의 분해사시도.
본 출원 발명은, 이러한 난점을 극복한 제어 스위치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배선 기판 상의 여러 쌍의 전기 접점 중 어느 것에, 키 상면의 틸팅에 의해 탄성 가동체의 하방의 도전부가 접촉하여 온되는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 구멍에 지점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키 상면에 아무런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고서 상기 키 상면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 상면의 중심선에 따라서 지점 부재가 탄성 가동체에 끼워지고, 상기 키 상면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지점 부재가 상기 키 상면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결과, 상기 키 상면에 조작력이 가해진 때에, 상기 탄성 가동체가 변형을 일으켜, 상기 키 상면의 하면이 상기 지점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키 상면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지점 부재의 상면을 따라서 상기 키 상면 하면이 이동하므로,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해 큰 충격력이나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상기 배선 기판이 손상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키 상면은 상기 탄성 가동체를 통해 상기 배선 기판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한 외부 케이스의 간극을 고정밀도의 간격으로 유지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지고, 가공성이 대폭 개선되어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은, 그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키 상면의 틸팅시에,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기 키 상면의 틸팅할 수 있으므로, 상기 키 상면의 틸팅을 더 한층 원활히 행할 수 있고,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지점 부재의 하단은, 그 중심부가 하방으로 돌출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키 상면의 틸팅 때에, 상기 지점 부재는, 그 하단 곡면을 따라서 차례로 배선 기판과의 접촉점이 이동하면서, 상기 키 상면의 틸팅에 의한 탄성 가동체의 틸팅 변형에 연동하여 상기 지점 부재도 틸팅할 수 있고, 상기 키 상면이 경쾌하게 틸팅할 수 있고,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이 즉시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점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 상을 이동할 때에, 상기 지점 부재가 상기 배치 기판을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배선 기판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은 그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키 상면의 하면은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키 상면의 틸팅시에, 상기 키 상면의 평면형 하면은 상기 지점 부재가 완만한 상단 곡면을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탄성 가동체에는 상기 키 상면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 가동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더구나,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은 대략 반경 모양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에 접촉하는 키 상면의 하면 중심부에는 대략 반구형의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키 상면의 하면 중심 반구형 돌출부가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 반구 돌기부에 헐겁게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키 상면은, 상기 배선 기판 상면의 소정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되고, 여러 쌍의 전기 접점의 온·오프 특성이 균일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기판상의 여러 쌍의 전기 접점 중 어느 것에, 키 상면의 틸팅에 의해 탄성 가동체의 하방의 도전부가 접촉하여 온되는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상면을 틸팅 가능하게 피봇하는 지점 부재는, 상기 탄성 가동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키 상면에 하등의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고서 상기 키 상면이 직립한 상태로써, 상기 지점 부재는(상기 탄성 가동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키 상면 또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 제어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상기 키 상면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상기 탄성 가동체를 통해 상기 지점 부재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배선 기판에 완만하게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키 상면의 조작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고,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한 악영향이나 상기 각 부재의 손상이 회피된다.
또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과 다른 재질로 구성해도 좋다. 지점 부재에 요구되는 적절한 강성, 유연성, 내마모성의 지점 부재를 선택할 수가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증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를 관통하여 일체로 감착되어도 좋다. 상기 지점 부재를 상기 탄성 가동체에 강고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에 일체로 매설되어도 좋다. 상기 키 상면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탄성 가동체로써 완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한 악영향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각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더구나,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부설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를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가동체에 접촉하는 상기 키 상면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방 도전부보다 좁은 면적으로 상기 도전부의 바로 위의 탄성 가동체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더라도 좋다. 상기 키 상면에 조작력이 가해진 때에, 상기 키 상면의 하면의 돌기부로써 상기 탄성 가동체가 국부적으로 하방으로 크게 변형하여, 그 바로 아래의 하방 도전부가 배선 기판상의 전기 접점에 강하게 눌려, 상기 전기 접점이 확실하고도 즉시 온된다.
또한, 상기 배선 기판에 접하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외주부는,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을 전부 둘러싸도록 형성되더라도 좋다. 상기 배선 기판상의 전체 전기 접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것을 상기 탄성 가동체의 외주부에서 둘러싸서 상기 전기 접점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개폐 동작의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복수 쌍의 전기 접점을 전부 상기 탄성 가동체의 외주부에서 둘러싸기 때문에, 제어 스위치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 기판에 접하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각 도전부의 외주부는,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각 전기 접점을 각각 둘러싸도록 형성되더라도 좋다.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을, 상기 탄성 가동체의 각 도전부의 외주부에서 각각 둘러싸서, 상기 전기 접점을 각각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역시 스위치의 개폐 동작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할 수가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19에 도시된 본 출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및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십자 키형의 제어 스위치 장치(l)는,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0)에 이용되는 것으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위치 장치(1)의 외부에, 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가 있고,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0)의 케이스(6)의 상단에 캡(7)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캡(7)이 제거되고 노출한 부분에는 커넥터(8)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8)는, 도20 내지 도23에 도시된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커넥터(57)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고,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내에 기록된 게임 소프트를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O)에서 읽어들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커넥터(57)보다 커넥터(8)를 인출한 후, 슬립 버튼 스위치(2) 및 모드 버튼 스위치(3)를 누르면, 디스플레이(9)상에 배경이나 캐릭터 등이 표시되고, 제어 스위치 장치(1)의 십자형의 키 상면(36)의 돌출부(37a, 37b, 37c, 37d)중 어느 하나를 누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9)상에 표시된 캐릭터가 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있다.
또한,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0)의 배선 기판(1O)상에는, 제어 스위치 장치(1)에 대한 4쌍의 전기 접점(1la, 1lb, 11c, lld)이 전후 좌우 십자형으로 배치되고, 또한 배선 기판(1O)상에는, 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의 전기 접점 (l2, 13, 14, 15)이 각각 설치되고, 이들은 배선 기판(1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컴퓨터(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의 좌우 전폭에 걸쳐서, 배선 기판(10)상의 각 전기 접점(11, 12, 13, 14, 15)을 덮도록 배선 기판(10)의 상면에 탄성부재(16)(도13 내지 도15 참조)가 배치되고, 탄성 부재(16)의 양측부(16a)가 케이스(6)의 외부 케이스(6a)의 주변과 배선 기판(10)으로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16)에는, 제어 스위치 장치(1)의 탄성 가동체(17)가 형성됨과 동시에, 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의 각 조작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1)이 형성되고,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1)의 각 하면에는, 각각 도전부(22, 23, 24, 25)가 형성되고,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1)의 꼭대기부는 케이스(6)의 외부 케이스(6a)의 구멍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여,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1)의 꼭대기부를 누르면,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1)의 하방의 얇은 외주벽부(27, 28, 29, 30)가 탄성 변형하여, 도전부(22, 23, 24, 25)가 전기 접점(12, 13, 14, 15)에 접촉하여, 상기 전기 접점 (12, 13, 14, 15)은 온 상태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16)의 탄성 가동체(17)에는 4쌍의 전기 접점(la, 1lb, 11c, 1ld)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도전부(31a, 31b, 31c, 31d)가 형성되고, 이들 도전부(31a, 31b, 31c, 31d)를 전부 둘러싸도록 하방의 얇은 외주벽부(32)가 형성되고, 탄성 가동체(17)의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33)이 형성되고, 가이드 구멍(33)에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서 경질 플라스틱제 지점 부재인 스토퍼(34)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스토퍼(34)의 길이(L)는, 자연 방치 상태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체(17)의 두께(D)보다도 짧게 설정되고, 스토퍼(34)의 하부(34a)는 플랜지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스토퍼(34)의 상하 양단은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6)의 탄성 가동체(17)의 상방에 위치하여, 케이스(6)의 외부 케이스(6a)에 개구(35)가 형성되고, 개구(35)에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키 상면(36)이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 가동체(17)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키 상면(36)의 상부에는, 전후 좌우에 위치하여 십자형의 돌출부(37)가 형성됨과 동시에, 키 상면(36)의 하방 외주부에는 플랜지부(38)가 형성되고, 플랜지부(38)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39)가 형성되어 있고, 절취부(39)는 케이스(6)의 외부 케이스(6a)의 개구(35)에 형성된 계지부(40)(도4 내지 도6 참조)에 결합되고, 키 상면(36)은 전후, 좌우 뿐만 아니라 어느 쪽 방향으로도 틸팅할 수 있지만,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도9, 도l1 및 도l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상면(36)의 하부 중앙에는 돌출부(3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십자형의 리브(4l)를 남기고, 4개의 오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41)는 각 도전부(3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 키 상면(36)이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눌려진 때에는, 리브(41)중 어느 하나는 탄성 가동체(17)를 통해 그 바로 아래의 도전부(31)를 배선 기판(10)의 위의 전기 접점(11)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6)의 하면에는 탄성 가동체(17)의 하방의 얇은 외주벽부(32)로 둘러싸인 배선 기판(10)상의 공간과,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1)의 각 하방의 얇은 외주벽부(27, 28, 29, 30)로 둘러싸인 배선 기판(10) 상의 공간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구(43)와, 이들 공간을 외부로 연통하는 연통구(44)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가동체(17),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19), A 버튼(20), B 버튼(2l)이 눌려질 때에, 이들 공간에 차광된 공기가 다른 공기 또는 외부로 자유롭게 흐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19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의 슬립 버튼(18), 모드 버튼(l9), A 버튼(20), B 버튼(21)중 어느 것을 하방으로 누르면, 하방의 얇은 외주벽부(27, 28, 29, 30)중 어느 것이 하방으로 만곡 변형하고, 도전부(22, 23, 24, 25)중 어느 하나가 전기 접점(12, 13, 14, 15)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중 어느 것이 온된다.
또한, 제어 스위치 장치(1)의 키 상면(36) 중 어느 것의 돌출부(37)(예를 들면 참조부호 37a)을 누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7a)의 반대측의 돌출부(37c)의 하방의 플랜지부(38c)가, 돌출부(37c)에 인접한 개구(35)부근의 외부 케이스(6a)의 하면에 결합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키 상면(36)이 우측으로 기울고, 키 상면(36)의 하면이 스토퍼(34)의 꼭대기 단에 접한 후, 키 상면(36)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7a)에 인접한 키 상면(36)의 주위 면부가 개구(35)에 접하고, 돌출부(37a)의 바로 아래의 도전부(31a)가 배선 기판(10)상의 전기 접점(lla)에 밀어붙여지고, 상기 전기 접점(1la)은 도통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37a)가 가압될 때, 우선 반대측의 돌출부(37c)에 인접한 플랜지부(38c)가 개구(35) 부근의 외부 케이스(6a)의 하면에 결합하여 돌출부(37a) 바로 아래의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32a)가 탄성 변형하면서 이 결합점을 중심으로 하여 키 상면(36)이 기울고, 키 상면(36)의 하면이 스토퍼(34)의 꼭대기 단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 충격력이 배선 기판(10)의 상면에 직접 작동하지 않고,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키 상면(36)의 하면이 스토퍼(34)의 꼭대기 단에 접촉한 후, 키 상면(36)의 하면이 스토퍼(34)의 꼭대기 단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스토퍼(34)의 하단이 배선 기판(10)의 상면을 스치는 일이 없고, 배선 기판(10)의 상면의 마모를 피할 수 있고, 배선 기판(l0)의 손상이 저지된다.
또한, 탄성 가동체(17)의 각 도전부(31a, 31b, 31c, 31d)는, 그 바로 위의 리브(41a, 41b, 4c, 41d)로 탄성 가동체(17)의 두께부(45)를 거쳐서 누르기 때문에, 각 도전부(31a, 31b, 31c, 31d)는 전기 접점(1la, 1lb, 11c, 11d)에 균일하게 압박되고, 제어 스위치 장치(1)가 확실하게 온된다.
또한, 키 상면(36)이 억압되었을 때, 탄성 가동체(17)의 두께부(45)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33)이 스토퍼(34)의 외주에 접하여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키 상면(36)의 가압력이 이 미끄럼 이동으로 흡수되고, 상기 충격력이 완화된다.
더구나, 키 상면(36)은 탄성 가동체(17)의 탄력에 의해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고, 키 상면(36)의 플랜지부(38)가 외부 케이스(6)의 개구(35)에 관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 기판(10)에 관한 외부 케이스(6)의 간격은 고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탄성 부재(16)의 탄성 가동체(17)상에 키 상면(36)을 놓고, 케이스(6)의 외부 케이스(6a)와 내부 케이스(6b)를 일체로 합체하는 것만으로 좋은 결과, 가공성,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토퍼(34)의 상하 양단은,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키 상면(36)은 어느 방향으로도 원활하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키 상면(36)의 리브(41)의 하면과 탄성 가동체(17)의 상면이 모두 평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치 상태로 탄성 가동체(17)에 무리한 힘이 작동하지 않고, 탄성 가동체(17)의 내구성이 높다.
또한, 탄성 가동체(17)의 전체 도전부(31a, 31b, 3lc, 31d)는 1개의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32)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이들 도전부(31a, 31b, 31c, 31d)는, 먼지 등으로 더럽혀지는 일이 없고, 더구나 탄성 가동체(17)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더구나, 배선 기판(10)상에서 도전부(22, 23, 24, 25, 3l) 외주의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27, 28, 29, 30, 3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연통홈(43)으로 서로 연통됨과 동시에, 연통홈(44)으로 인해 외부와도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스위치 장치(1),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의 조작으로 이들 공간이 축소되더라도, 이들의 공간 내의 공기는 자유롭게 유동하고, 이들 공간 내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어 스위치 장치(1),슬립 버튼 스위치(2), 모드 버튼 스위치(3), A 버튼 스위치(4), B 버튼 스위치(5)의 동작이 원활히 행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키 상면(36)의 돌출부(37a, 37b)의 사이를 누르면, 키 상면(36)은 그 방향으로 기울고, 전기 접점(1la, 1lb)이 동시에 도통 상태로 된다.
또한, 지점 부재인 스토퍼(34)는 경질 플라스틱제이기 때문에, 알맞은 경도와 자기 윤활성을 갖음과 동시에 저렴하다. 스토퍼(34)를 금속제로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스토퍼(34)를 배선 기판(l0)에 대하여 매끄럽게 할 수 있고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어서, 도20 내지 도35에 도시된 본 출원 청구항 l,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1l 및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십자 키형 제어 스위치 장치(51)는,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에 이용되는 디지탈형의 것으로, 상기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는 도시되지 않은 게임기에 접속되고, 상기 게임기는 도시되지 않는 텔레비젼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로 입력된 각종 입력 신호는 게임기에 입력되고, 상기 게임기에 장입된 CD ROM의 소프트에 따라서 게임이 시작되고, 텔레비젼 장치에 그 화상이 표시됨과 동시에 음성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로서는, 좌측의 제어 스위치 장치(51)에 인접하여 아날로그형의 방향 제어 스위치 장치(52)가 배치되고,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우측에는 각종의 트리거 버튼 스위치(53)가 배치됨과 동시에,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전방 중앙에 스타트 버튼 스위치(54)가 배치되고,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좌우 그립(55)의 전방에 아날로그형의 트리거 스위치(56)가 배치되어 있고, 방향 제어 스위치 장치(52)를 원하는 방향으로 넘어뜨리면, 그 경사 각도에 대응한 아날로그 방향 제어 신호가 발생하여, 화면상의 캐릭터가 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에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0)의 커넥터(8)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커넥터(57)가 설치되어 있고,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O)의 커넥터(8)를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커넥터(57)에 끼워맞춤 접속되면,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데이타가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O)에 독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에 개구(58)가 형성되고,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O)의 커넥터(8)를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커넥터(57)에 끼워맞춤 접속한 상태에서는,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0)의 디스플레이(9)가 개구(58)를 통해서 노출되고, 디스플레이(9)의 화상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의 케이스(59)의 외부 케이스(59a)에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스위치 장치(51)의 십자형 키 상면(62)보다 약간 큰 절결부(60)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결부(60)의 구석부에 인접하여 지지돌기(61)가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키 상면(62)은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전방 절결부(60)에 헐겁게 끼워져, 키 상면(62)의 받침부(63)가 지지 돌기(61)에 걸림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키 상면(62)의 상부에는, 십자형으로 돌출부(64)가 형성되고, 키 상면(62)의 하부 외주에는 외연부(65)가 형성되고, 키 상면(62)의 하부 중앙부에 피봇 오목부(66)가 형성됨과 동시에, 키 상면(62)의 하부에서 돌출부(6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링형의 가압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25 및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59a)의 아래쪽에 배선 기판(68)이 설치되고, 배선 기판(68)의 상면에는, 외부 케이스(59a)의 절결부(60)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키 상면(62)의 가압부(67)에 대응하는 개소로써, 도3의 전기 접점(11)과 같이 전기 접점(69)이 십자형으로 설치되고, 전기 접점(69)은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4쌍의 전기 접점(69)을 탄성 가동체(70)의 외주 직립 부재(부재)(71)으로 전부 둘러싸도록 탄성 가동체(70)가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59a)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리브(59b)가, 탄성 가동체(70)의 외주 직립 부재(부재)(71)에 접하여 탄성 가동체(70)의 외주부를 배선 기판(68)에 가압 걸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5,도26 및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가동체(7O)의 하면에는, 배선 기판(68)의 4쌍의 전기 접점(69)에 각각 대응한 위치로써, 4개의 도전부(72)가 각각 형성되고, 도전부(72)의 각 외주에는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73)가 각각 형성되고,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73)로 둘러싸인 배선 기판(68)상의 각 공간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구(74)가 탄성 가동체(70)의 하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각 공간을 외부로 연통하는 연통홈(75)이 형성되고, 탄성 가동체(70)의 중심에 단차식 가이드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제 피봇 스토퍼(77)는 탄성 가동체(70)의 단차식 가이드 구멍(76)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키 상면(62)의 피봇 오목부(66)에 감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0내지 도35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탄성 가동체(70)의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73)의 탄성력에 의해 도전부(72)의 바로 위의 가압 두께부(78)가 키 상면(62)의 가압부(67)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끌어 올려, 그 반력을 받아 키 상면(62)의 받침부(63)가 외부 케이스(59a)의 지지돌기(61)에 접촉되는 결과,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상면(62)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26에 도시하도록, 키 상면(62)의 돌출부(64)를 하방으로 누르면, 키 상면(62)은 하강하여 키 상면(62)의 피봇 오목부(66)가 피봇 스토퍼(77)의 상단에 결합 지지되고, 피봇 스토퍼(77)의 상단을 중심으로 키 상면(62)이 기울고, 눌려진 돌출부(64)의 바로 아래의 가압부(67)가 탄성 가동체(70)의 가압 두께부(78)를 누르고, 도전부(72)가 전기 접점(69)에 압박되고, 전기 접점(69)이 접속 상태로 된다.
또한, 키 상면(62)에 가해지는 조작력은, 키 상면(62)의 피봇 오목부(66) 및 피봇 스토퍼(77)를 통해 배선 기판(68)에 전달되지만, 피봇 스토퍼(77)의 하면과 배선 기판(68)과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배선 기판(68)에 국부적으로 큰 힘이 작동하지 않고, 그 결과, 배선 기판(68)은 마모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또한, 탄성 가동체(70)의 가압 두께부(78)는,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보다도 면적이 좁은 키 상면(62)의 가압부(67)로 가압 두께부(78)의 중심부가 국부적으로 강하게 밀어 붙여져 눌리기 때문에, 그 하방의 도전부(72)는 배선 기판(68)의 전기 접점(69)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가 있고, 스위치 온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탄성 가동체(70)는 외주 직립 부재(71)의 내주에 접하여 외부 케이스(59a)의 리브(59b)로 배선 기판(68)의 상면에 밀어 붙여지기 때문에, 탄성 가동체(70)는 항상 안정되게 배선 기판(68)의 소정 위치에 보호됨과 동시에, 탄성 가동체(70)와 배선 기판(68)의 공간도 연통홈(75)을 제외하고 외부와 차단되고, 먼지 등의 침입이 억제된다.
또한, 피봇 스토퍼(77)의 상단부는 대략 반구면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키 상면(62)의 피봇 오목부(66)도 피봇 스토퍼(77)의 상단 반구면의 곡률 반경 보다도 조금 큰 곡률 반경을 가진 반구형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봇 스토퍼(77)에 대하여 키 상면(62)은 그 피봇 위치가 엇갈리는 일없이 안정되게 유지됨과 동시에, 피봇 스토퍼(77)의 상단 반구 상부와 키 상면(62)의 반구형 피봇 오목부(66)와의 사이에서는 큰 마찰력이 작동하지 않고, 그 결과, 키 상면(62)은 안정하게 경쾌하게 경사 이동할 수가 있다.
더구나 피봇 스토퍼(77)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그 다음, 도36에 도시된 본 출원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및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36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십자 키형의 제어 스위치 장치(81)는,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0)또는 비디오 게임 입력 장치(50)에 이용되는 것으로, 도1 내지 도l9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의 케이스(6), 배선 기판(10),전기 접점(11),탄성 부재(16) 및 탄성 가동체(17)와 대략 마찬가지 구조로 케이스(82), 배선 기판(83),전기 접점(84),탄성 부재(85) 및 탄성 가동체(86)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리콘제의 탄성 부재(85)의 탄성 가동체(86)에 있어서는, 4쌍의 전기 접점(84a), 전기 접점(84b), 전기 접점(84c), 전기 접점(84d)(전기 접점(84d)은 도시 안됨)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탄성 가동체(86)보다 부드러운 도전부(87a), 도전부(87b), 도전부(87c), 도전부(87d)(도전부(87d)는 도시 안됨)가 형성되고, 이들 도전부(87a), 도전부(87b), 도전부(87c), 도전부(87d)를 전부 둘러싸도록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88)가 형성되고, 탄성 가동체(86)의 중심에 끼워맞춤 구멍(89)이 형성되고, 끼워맞춤 구멍(89)에 자기 윤활성이 풍부하고 키 상면(92)에 비하여 약간 부드러운 실리콘 수지제의 지점 부재(90)가 접착제로 일체로 끼워 붙여지고, 상기 지점 부재(90)의 하단부(90a)는 대략 반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85)의 탄성 가동체(86)의 상방에 위치하여, 외부 케이스(82)에 개구(91)가 형성되고, 개구(91)에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경질 플라스틱제의 키 상면(92)이 감합됨과 동시에 탄성 가동체(86)에 놓여져 있다.
또한, 키 상면(92)의 상부에는, 전후좌우에 위치하여 십자형의 돌출부(93)가 형성됨과 동시에, 키 상면(92)의 하방 외주부에는, 플랜지부(94)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가동체(86)의 탄성 복원력으로, 플랜지부(94)가 개구(9l)의 하단부(91a)에 결합됨과 동시에, 이 결합 상태로서는, 지점 부재(90)의 반구면형의 하단부(90a)는, 배선 기판(8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탄성 부재(85)에는,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88)로 둘러싸인 배선 기판(83) 상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연통홈(95)이 형성되어 있다.
또 키 상면(92)은 중실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1 내지 도19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l)에서의 키 상면(36)과 같이 형성해도 좋다.
도36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제어 스위치 장치(81)의 키 상면(92)중 어느 돌출부(93)(예를 들면 돌출부(93c))를 누르면, 누른 부분과 반대측의 개구(91)의 하단부(91a)에 플랜지부(94)가 결합된 채로 누른 돌출부(93)가 내려가도록 키 상면(92)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기울어짐과 동시에, 눌려진 측으로 이동하여, 지점 부재(90)의 하단부(90a)가 배선 기판(83)의 상면에 접한 후, 또한 키 상면(92)은 경사 이동 방향으로 기울고, 눌려진 돌출부(93c)의 바로 아래의 도전부(87c)가 배선 기판(83)의 전기 접점(84c)에 압박되고, 상기 전기 접점(84c)은 도통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93c)가 눌려졌을 때, 우선 반대측의 돌출부(93a)에 인접한 플랜지부(94a)가 개구(91)의 하단부(91a)에 결합하여 돌출부(93c) 바로 아래의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88c)가 탄성 변형하면서 결합점을 중심으로 키 상면(92)이 기울고, 탄성 가동체(86)와 일체의 지점 부재(90)의 하단부(90a)가 배선 기판(8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충격력이 약간 연질의 실리콘 수지제의 지점 부재(90)로 흡수되고, 배선 기판(83)의 상면에 직접 작동하지 않고,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지점 부재(90)는 탄성 부재(85)의 탄성 가동체(86)보다도 딱딱하고, 키 상면(92)의 가압력은 지점 부재(90)가 받기 때문에, 탄성 가동체(86)의 하면이 깊게 파이는 일이 없고, 인접하는 도전부(87)가 2개 동시에 배선 기판(83) 상의 전기 접점(84)에 접하는 일은 있어도, 3개 이상의 도전부(87)가 배선 기판(83) 상의 전기 접점(84)에 접하는 일은 없다.
또한, 지점 부재(90)는 자기 윤활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지점 부재(90)의 하단부(90a)는 배선 기판(83)의 상면을 가볍게 미끄러질 수 있고, 더구나 배선 기판(83)의 상면의 마모가 방지된다.
또한, 탄성 부재(85)의 탄성 가동체(86)와 지점 부재(90)가 미리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스위치 장치(81)의 조립성이 높다.
또한, 도37에 도시된 본 출원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9 및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37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십자 키형의 제어 스위치 장치(101)는, 도36의 제어 스위치 장치(81)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85)의 탄성 가동체(86)와 지점 부재(90)와의 끼워맞춤 구조를 제외한 다른 부분과 대략 동일 구조로 구성되고, 각각 도36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81)의 각 부재 및 부분에 대응하는 부재 및 부분에는, 제어 스위치 장치(81)의 각 부재 및 부분의 부호에 각각 20을 덧붙인 부호를 붙이고 있다.
양자가 다른 점에 대해서는, 도36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81)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85)의 탄성 가동체(86)에 설치된 끼워맞춤 구멍(89)은 탄성 가동체(86)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지만,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01)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05)의 탄성 가동체(106)에는, 하방에서 상방을 향한 끼워맞춤 막힌 구멍(l09)이 형성되고, 끼워맞춤 막힌 구멍(l09)에, 지점 부재(90)와 대략 같은 재질의 지점 부재(11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끼워 맞춰지고, 접착제로 지점 부재(110)는 끼워맞춤 막힌 구멍(l09)에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지점 부재(110)와 키 상면(112)과 탄성 부재(105)의 탄성 가동체(106)의 일부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지점 부재(110)가 배선 기판(103)에 접촉한 경우의 충격이 제어 스위치 장치(81)에 비하여 더욱 완화되고, 소음이나 진동은 미연에 저지된다.
또한, 도38에 도시된 본 출원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10 및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38에 도시된 십자 키형의 제어 스위치 장치(121)도,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01)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05)의 탄성 가동체(106)와 지점 부재(110)의 끼워맞춤 구조를 제외한 다른 부분과 대략 동일 구조로 구성되고, 각각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01)의 각 부재 및 부분에 대응하는 부재 및 부분에는, 제어 스위치 장치(101)의 각 부재 및 부분의 부호에 각각 20을 덧붙인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01)와 도38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21)와의 차이점에 관하여는,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01)에 있어서 탄성 부재(105)의 탄성 가동체(106)의 하면 중심부에 끼워맞춤 막힌 구멍(10)이 형성되고, 끼워맞춤 막힌 구멍(l09)에 지점 부재(110)가 일체로 끼움 부착되어 있지만, 도38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121)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25)의 탄성 가동체(126)의 중심부 하면에는, 탄성 가동체(126)의 하면 외주부의 도전부(127)를 부착 지지하기 위한 두께부(126a)와 마찬가지인 형상의 두께 부착부(129)가 형성되고, 구의 일부를 잘라낸 형태의 지점 부재(130)의 평면부가 상기 두께 부착부(129)의 하면에 접착제로 일체로 접착되고, 또는 탄성 부재(125)의 성형시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도38에 도시한 제어 스위치 장치(1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125)의 탄성 가동체(126)의 중심부(129)는 두껍게 형성되고, 두께 중심부(129) 하면에 지점 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키 상면(132)이 가압되고, 지점 부재(13O)의 하단부가 배선 기판(123)의 상면에 접촉한 경우에, 접촉 충격력이, 도36 및 도37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81), 제어 스위치 장치(101) 보다도, 더 한층 완화되고, 소음이나 진동은 거의 없다.
도36, 도37 및 도38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81), 제어 스위치 장치(1O1), 제어 스위치 장치(121)의 구성을 도20 내지 도35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51)에 적용할 수가 있고, 이 구체적 구조예는 도39 및 도40에 도시되어 있다.
도39 및 도40에 도시된 십자 키형의 제어 스위치 장치(141)는, 도20 내지 도35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51)와 대략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스위치 장치(14l)의 외부 케이스(142)에는,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상면(145)보다 약간 큰 절결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143)의 구석부에 인접하여 지지돌기(144)가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키 상면(145)은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상기 절결부(143)에 헐겁게 끼워짐과 동시에, 키 상면(145)의 받침부(146)가지지 돌기(14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키 상면(145)의 상부에는, 십자형으로 돌출부(14)가 형성되고, 키 상면(145)의 하부 외주에는 바깥 모서리부(148)가 형성되고, 키 상면(145)의 하부에서 돌출부(14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링형의 가압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42)의 절결부(143)의 내측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키 상면(145)의 가압부(149)에 대응하는 개소로써, 전기 접점(151)이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152)의 탄성 가동체(153)에 있어서는, 4쌍의 전기 접점(151)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도전부(154)가 형성되고, 이들 도전부(154)를 각각 별개로 둘러싸도록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155)가 형성되고, 탄성 가동체(153)의 중심에 끼워맞춤 구멍(156)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구멍(156)에 실리콘 수지제의 지지 부재(159)가 접착제를 통해 일체로 끼워 부착되어 있다.
더구나, 탄성 부재(152)의 외주부에는 외주 직립 부재(157)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케이스(142)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리브(142a)가 탄성 부재(152)의 외주 직립 부재(157)에 접하여 탄성 부재(152)의 외주부가 배선 기판(150)에 가압 상태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방의 얇은 외주 벽부(155)로 둘러싸인 배선 기판(150) 상의 각 공간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홈(158)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각 공간을 외부로 연통하는 연통홈(도시 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도39 내지 도40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4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탄성 부재(152)의 탄성 가동체(l53)의 중심부의 끼워맞춤 구멍(156)에 지지 부재(159)가 일체로 끼워 부착되기 때문에, 도36에 도시된 제어 스위치 장치(81)와 대략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게임 장치나 휴대형 전자 게임 장치용의 제어 스위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7)

  1.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 중 어느 하나에, 키 상면의 경사 이동에 의해 탄성 가동체의 하방의 도전부가 접촉하여 온되는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상면의 중심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 구멍에 지점 부재가 끼워 맞춰지고,
    상기 키 상면에 아무런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키 상면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은, 그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의 하단은, 그 중심부가 하방으로 돌출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은, 그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키 상면의 하면은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은,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점 부재의 상단에 접촉하는 키 상면의 하면 중심부에는 대략 반구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6.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 중 어느 하나에, 키 상면의 경사 이동에 의해 탄성 가동체의 하방의 도전부가 접촉하여 온되는 제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상면의 중심을 경사 이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지점 부재는, 상기 탄성 가동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키 상면에 아무런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키 상면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키 상면 또는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과 다른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가동체를 관통하여 일체로 끼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에 일체로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체에 접촉하는 상기 키 상면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방 도전부보다 좁은 면적으로 상기 도전부의 바로 위의 탄성 가동체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체에 접촉하는 상기 키 상면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하방 도전부보다 좁은 면적으로 상기 도전부의 바로 위의 탄성 가동체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에 접하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외주부는,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을 전부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에 접하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외주부는,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전기 접점을 전부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에 접하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각 도전부의 외주부는,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각 전기 접점을 각각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에 접하는 상기 탄성 가동체의 각 도전부의 외주부는, 상기 배선 기판상의 복수 쌍의 각 전기 접점을 각각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부재는 상기 키 상면과 다른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장치.
KR1020007002461A 1998-07-10 1999-06-29 제어 스위치 장치 KR20010023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96398 1998-07-10
JP19639898 1998-07-10
JP99-181110 1999-06-28
JP11181110A JP2000082364A (ja) 1998-07-10 1999-06-28 制御スイッチ装置
PCT/JP1999/003473 WO2000003407A1 (fr) 1998-07-10 1999-06-29 Commutateur de comman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802A true KR20010023802A (ko) 2001-03-26

Family

ID=2650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461A KR20010023802A (ko) 1998-07-10 1999-06-29 제어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082364A (ko)
KR (1) KR20010023802A (ko)
CN (1) CN12736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31B1 (ko) * 2006-01-27 2007-11-01 박노수 데이터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190108921A (ko) * 2018-03-16 2019-09-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6469B2 (ja) * 2016-04-04 2018-02-28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6538102B2 (ja) * 2017-04-21 2019-07-03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6538108B2 (ja) * 2017-05-23 2019-07-03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2022174844A (ja) 2021-05-12 2022-11-25 任天堂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およびキー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31B1 (ko) * 2006-01-27 2007-11-01 박노수 데이터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190108921A (ko) * 2018-03-16 2019-09-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구 전기접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82364A (ja) 2000-03-21
CN1273681A (zh)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822B1 (ko) 손가락 제어 방식의 다방향 스위치
US20170345589A1 (en) Metal dome switch
JP7353912B2 (ja) 入力装置、ゲーム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装置
JPH03502973A (ja) ジョイスティック
US66578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10023802A (ko) 제어 스위치 장치
US6409600B1 (en) Game controllers keys
US11373819B2 (en) Key structure and keycap assembly thereof
KR20010049151A (ko) 접속 장치
JP2006100084A (ja) 多方向操作装置
JP2000353456A (ja) 多方向スイッチ
WO2000003407A1 (fr) Commutateur de commande
JP3300106B2 (ja) 入力装置
JP4289553B2 (ja) 静電容量式フォースセンサの操作機構
JP3790304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TW202025195A (zh) 具觸控螢幕之旋轉按壓開關
JP7431350B2 (ja) 入力装置、ゲーム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装置
CN220065502U (zh) 一种按键模组和智能眼镜
JP2002313189A (ja) 多方向スイッチ
EP0683499B1 (en) Control key device
JPH08297537A (ja) ジョイステイック装置
KR200259990Y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JP3986263B2 (ja) 揺動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578310Y2 (ja) 多方向スイッチにおけるジョイスティック支持構造
JP2001290200A (ja) 操作釦の構造及びそれを含む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