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826A -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826A
KR20190108826A KR1020180030381A KR20180030381A KR20190108826A KR 20190108826 A KR20190108826 A KR 20190108826A KR 1020180030381 A KR1020180030381 A KR 1020180030381A KR 20180030381 A KR20180030381 A KR 20180030381A KR 20190108826 A KR20190108826 A KR 20190108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unit
substrate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255B1 (ko
Inventor
정재관
강병환
손세호
신승현
Original Assignee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중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3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2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edges of essentially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적으로 곡률진 기재의 좌표값을 용이하게 습득 가능한 3D 맵핑용 헤드 유닛과 이를 포함함으로써 3차원적으로 곡률진 기재에 수지를 정확하게 도포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HEAD UNIT FOR 3D MAPPING AND DISPENC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적으로 곡률진 기재의 좌표값을 용이하게 습득 가능한 3D 맵핑용 헤드 유닛과 이를 포함함으로써 3차원적으로 곡률진 기재에 수지를 정확하게 도포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 (Plasma Display Panel), ELD (Electro LuminescentDisplay),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과 같은 전자/전기 제품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 스마트 폰, 초슬림 노트북,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모바일 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즉, 액정패널)은 시청면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람들에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명확히 인식될 수 있으나, 영상의 몰입감 부분에 있어서는 시청자의 시각 반경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일치하지 않아 시선 주목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에 대한 사람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곡률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이러한 곡률진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 및 하측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및 우측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를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독특한 모서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 및 하측(①)은 x축 방향을 따라 평평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및 우측(③)은 y축 방향을 따라 평평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 부분(②)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으로 감에 따라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동시에 변하는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중 일부 영역에 양면 테이프의 일 면을 부착한 후 양면 테이프의 타 면을 케이스에 부착하여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게 된다.
반면,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동시에 변하는 3차원 곡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하게 양면 테이프로 케이스와 고정할 경우 곡면이 형성된 부분, 특히 모서리 부분이 케이스와 완벽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동시에 변하는 3차원 곡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케이스에 수지를 정확하게 도포 가능하도록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용이하게 습득 가능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을 디스펜서에 적용함으로써 기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케이스)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습득함과 동시에 수지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재와의 z축 갭(gap)을 측정하는 갭 센서 유닛 및 상기 기재를 촬상하여 상기 기재에 대한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는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갭 센서 유닛은 상기 기재를 향해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재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z축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z축 구동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에 설치되며, 기재의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 측에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으로부터 측정된 3차원 좌표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재에 수지를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은 상기 기재와의 z축 갭(gap)을 측정하는 갭 센서 유닛 및 상기 기재를 촬상하여 상기 기재에 대한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는 카메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곡면을 형성하는 기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케이스)에 수지를 정확하게 도포하기 위한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용이 및 신속하게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동시에 변하는 곡면의 좌표값 역시 한번의 스캐닝으로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을 수지를 도포하는 디스펜서에 적용함으로써 기재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습득함과 동시에 수지를 정확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곡률진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다른 형태의 곡률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갭 센서 유닛과 카메라 유닛이 이격되어 구비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에 의해 기재의 좌표값이 측정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에 의해 기재의 좌표값이 측정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0), 프레임(10) 상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x축 구동부(11), x축 구동부(11) 상에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y축 구동부(20) 및 y축 구동부(20)의 일 측에 설치되는 z축 구동부(30)를 포함한다.
x축 구동부(11)는 프레임(10)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x축 구동부(11)에 일련으로 설치된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는 x축 구동부(11)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y축 구동부(20)는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구동 수단(21)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x축 구동부(11)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는 내부에 가동자와 고정자가 내장되고, 가동자와 고정자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으로 직선형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y축 구동부(20)는 x축 구동부(11)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x축 구동부(11)의 이동과는 별개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y축 구동부(20)의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x축 구동부(11)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x축 구동부(11)의 이동이 완료된 후 수행될 수 있다.
y축 구동부 (20)의 일 측에 설치되는 z축 구동부(30)이 하단에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설치된다. z축 구동부(30)는 서보 모터, 볼 스크류 또는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구동 수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z축 구동부(30)는 y축 구동부(20)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y축 구동부(20)의 이동과는 별개로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z축 구동부(30)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y축 구동부(20)의 y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y축 구동부(2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의 구동에 따른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택 타임의 감소를 위해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이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z축 구동부(30)의 하단에 설치된 3차원 맵핑 헤드 유닛(40)을 기재의 3차원 곡면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차원 맵핍용 헤드 유닛(40)을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 역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펜서는 두 개의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두 개의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은 프레임(10)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각각의 3차원 맵힝용 헤드 유닛(40)을 을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 역시 프레임(10)의 양 측에 개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갭 센서 유닛과 카메라 유닛이 이격되어 구비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은 z축 구동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z축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z축 구동부(30)에 플레이트(41)가 설치되며, 플레이트(41)의 일 측에는 기재(예를 들어, 3차원 곡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케이스)의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설치된다.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은 기재를 촬상하여 기재에 대한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는 카메라 유닛(42)과 기재와의 z축 갭(gap)을 측정하는 갭 센서 유닛(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 유닛(42)과 갭 센서 유닛(43)은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의 연속적인 구동에 따라 z축 구동부(30)의 하단에 설치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기재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측정하도록 작동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에 의해 기재의 좌표값이 측정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의 경우, 카메라 유닛(42)의 일 측에 갭 센서 유닛(43)이 설치되며, 카메라 유닛(42)과 접하지 않는 갭 센서 유닛(43)의 타 측에 기재를 향해 수지를 토출하는 토출 유닛(44)이 설치된다.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 유닛(42)은 갭 센서 유닛(43)의 상류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스테이지(50) 상에 위치한 기재(w)의 상부를 스캐닝할 때, 카메라 유닛(42)에 의해 기재(w)의 x축 및 y축 좌표값이 선행적으로 측정되며(①), 이후에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이동하여 기재(w)의 상부에 갭 센서 유닛(43)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기재(w)의 z축 좌표값(즉, z축 갭)을 측정하게 된다(②). 이어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에 의해 기재(w)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때의 좌표값은 기재(w) 상에 수지가 토출되어야 할 일련의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의미함)이 얻어지면 토출 유닛(44)은 이를 기반으로 기재(w)에 수지를 토출하게 된다(③).
도 6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은 기재(w) 상에 카메라 유닛(42)을 위치시킨 후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고, 이어서 기재(w) 상에 갭 센서 유닛(43)을 위치시킨 후 z축 좌표값을 측정해야 하므로, 기재(w)의 특정 지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모두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측정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 경우, 좌표값의 측정 오류를 줄이기 위해 각 측정 동작 사이에는 소정의 랙 타임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기재(w)의 3차원 좌표값 측정 시간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은 z축 구동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z축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z축 구동부(30)에 플레이트(410)가 설치되며, 플레이트(410)의 일 측에는 기재(예를 들어, 3차원 곡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케이스)의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이 설치된다.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은 기재를 촬상하여 기재에 대한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는 카메라 유닛(420)과 기재와의 z축 갭(gap)을 측정하는 갭 센서 유닛(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 유닛(420)과 갭 센서 유닛(430)은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의 연속적인 구동에 따라 z축 구동부(30)의 하단에 설치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기재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측정하도록 작동한다.
이 때, 갭 센서 유닛(430)은 기재를 향해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431) 및 발광부(43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재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420)은 발광부(431)와 수광부(4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갭 센서 유닛(430)에 의한 z축 좌표값 측정이 발광부(431)와 수광부(432)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유닛(420)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발광부(431)의 레이저 발광면과 수광부(432)의 레이저 수광면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유닛(420)은 발광부(431)의 레이저 발광면과 수광부(432)의 레이저 수광면 사이를 지나도록 위치한다. 이 때, 발광부(431)의 레이저 발광면과 수광부(432)의 레이저 수광면 사이를 통과하는 카메라 유닛(420)의 깊이는 발광부(431)와 수광부(432) 사이의 레이저 경로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발광부(431)의 레이저 발광면으로부터 기재를 향해 비스듬하게 조사된 레이저는 기재에 반사되어 수광부(432)의 레이저 수광면으로 수광될 수 있으며, 레이저의 경로는 카메라 유닛(420)에 의해 간섭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에 레이저가 반사되는 지점과 카메라 유닛(420)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의 중심 지점은 서로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3차원 맵핑 헤드 유닛(400)이 기재 상의 특정 지점을 통과할 때, 카메라 유닛(420)과 갭 센서 유닛(430)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동시에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에 의해 기재의 좌표값이 측정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의 경우, 갭 센서 유닛(430)의 발광부(431)와 수광부(432) 사이에 카메라 유닛(420)이 배치되며, 카메라 유닛(420)과 접하지 않는 발광부(431)의 일 측에 기재를 향해 수지를 토출하는 토출 유닛(440)이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는 토출 유닛(440)과 인접한 갭 센서 유닛(430)의 부분이 발광부(431)이나, 발광부(431) 대신 수광부(432)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 유닛(420)과 갭 센서 유닛(430)은 동일한 지점의 좌표값을 측정하도록 이동하므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이 스테이지(50) 상에 위치한 기재(w)의 상부를 스캐닝할 때, 카메라 유닛(420) 및 갭 센서 유닛(430)에 의해 기재(w)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동시에 측정될 수 있다(①). 이어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에 의해 기재(w)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때의 좌표값은 기재(w) 상에 수지가 토출되어야 할 일련의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의미함)을 기반으로 토출 유닛(440)이 기재(w)에 수지를 토출하게 된다(③).
여기서, 기재(w)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기반으로 토출 유닛(440)이 기재(w)에 수지를 토출하는 동작은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400)에 의해 기재(w)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이 측정된 후 이를 기반으로 x축 구동부(11), y축 구동부(20) 및 z축 구동부(30)의 연속적인 구동에 따라 토출 유닛(440)이 지향하는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변경하는 동작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예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예의 경우, 한 번의 측정 동작만으로 기재(w)의 특정 지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값을 모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예와 비교할 때, 각 측정 동작 사이에 발생 가능한 소정의 랙 타임이 없으므로 기재(w)의 3차원 좌표값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기재와의 z축 갭(gap)을 측정하는 갭 센서 유닛; 및
    상기 기재를 촬상하여 상기 기재에 대한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는 카메라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갭 센서 유닛은,
    상기 기재를 향해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재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레이저 발광면과 상기 수광부의 레이저 수광면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발광부의 레이저 발광면과 상기 수광부의 레이저 수광면 사이를 지나도록 위치하며,
    상기 기재에 레이저가 반사되는 지점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의 중심 지점은 서로 일치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의 이동시 상기 갭 센서 유닛에 의한 z축 좌표값 측정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한 x축 및 y축 좌표값 측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5. z축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z축 구동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에 설치되며, 기재의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하는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 측에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으로부터 측정된 3차원 좌표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재에 수지를 토출하는 토출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은,
    상기 기재와의 z축 갭(gap)을 측정하는 갭 센서 유닛; 및
    상기 기재를 촬상하여 상기 기재에 대한 x축 및 y축 좌표값을 측정하는 카메라 유닛;
    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 센서 유닛은,
    상기 기재를 향해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재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x축 구동부; 및
    상기 x축 구동부 상에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y축 구동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z축 구동부는 상기 y축 구동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구동부, 상기 y축 구동부 및 상기 z축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때 상기 갭 센서 유닛에 의한 z축 좌표값 측정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한 x축 및 y축 좌표값 측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디스펜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 상기 토출 유닛이 복수로 구비된,
    디스펜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레이저 발광면과 상기 수광부의 레이저 수광면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디스펜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발광부의 레이저 발광면과 상기 수광부의 레이저 수광면 사이를 지나도록 위치하며,
    상기 기재에 레이저가 반사되는 지점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의 중심 지점은 서로 일치하는,
    디스펜서.
KR1020180030381A 2018-03-15 2018-03-15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224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81A KR102248255B1 (ko) 2018-03-15 2018-03-15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81A KR102248255B1 (ko) 2018-03-15 2018-03-15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26A true KR20190108826A (ko) 2019-09-25
KR102248255B1 KR102248255B1 (ko) 2021-05-06

Family

ID=6806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381A KR102248255B1 (ko) 2018-03-15 2018-03-15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4150A (zh) * 2021-03-11 2021-06-18 深圳市特瑞吉科技有限公司 一种多工位自动点胶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447A (ja) * 1992-09-30 1994-04-19 Kawasaki Steel Corp 表面形状測定方法及び装置
JPH11307567A (ja) * 1998-02-20 1999-11-05 Fujitsu Ltd バンプ検査工程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58217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JP2013004588A (ja) * 2011-06-13 2013-01-07 Oh'tec Electronics Corp 液体定量吐出装置及び液体定量吐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447A (ja) * 1992-09-30 1994-04-19 Kawasaki Steel Corp 表面形状測定方法及び装置
JPH11307567A (ja) * 1998-02-20 1999-11-05 Fujitsu Ltd バンプ検査工程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58217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JP2013004588A (ja) * 2011-06-13 2013-01-07 Oh'tec Electronics Corp 液体定量吐出装置及び液体定量吐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4150A (zh) * 2021-03-11 2021-06-18 深圳市特瑞吉科技有限公司 一种多工位自动点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255B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518B2 (en)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side surface sealing of display panel
US10548225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102177653B1 (ko) 융합된 유리 장치 하우징
CN106773273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CN107277316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8010448A (zh) 一种柔性显示器和显示装置
CN202088619U (zh) 触控板贴合机点胶路径规划系统
US9164626B2 (en) Input/output device
US20140150952A1 (en) Lamination Systems With Temperature-Controlled Lamination Rollers
US20130162918A1 (en) Drive circuit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KR102205083B1 (ko) 디스펜서
KR20070089555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패널 접합 장치
KR102248255B1 (ko) 3차원 맵핑용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US20130335362A1 (en) Touch panel control circuit, drive circuit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13260951A (zh) 基于指距或手接近的淡入用户界面显示
US11749660B2 (en) Display panel, chip on film, display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3293867A (zh) 一种方形基板预对准装置及方法
CN117029674A (zh) 一种光栅对位检测方法、装置及光栅对位系统
CN108393212B (zh) 分配装置
CN103838018B (zh) 显示模块
CN112291390B (zh) 显示装置的装配方法、装配装置以及存储介质
CN116258810A (zh) 路面要素的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941411B (zh) 一种透镜式3d显示器的对位组立装置及方法
US10643581B2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TW201625359A (zh) 動態路徑佈膠方法及應用該方法之佈膠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