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714A -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714A
KR20190108714A KR1020180030087A KR20180030087A KR20190108714A KR 20190108714 A KR20190108714 A KR 20190108714A KR 1020180030087 A KR1020180030087 A KR 1020180030087A KR 20180030087 A KR20180030087 A KR 20180030087A KR 20190108714 A KR20190108714 A KR 2019010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smart
pipelin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304B1 (ko
Inventor
윤택규
윤홍기
Original Assignee
윤택규
윤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택규, 윤홍기 filed Critical 윤택규
Priority to KR102018003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30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18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horizontal holes or inclined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의 설치/해체없이, 지중에 관로/관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매설할 수 있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구간의 양측부와 바닥부에 대한 절토작업을 수행하고 절토된 토사를 중앙으로 모으는 절토부; 절토부가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양측에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측벽트랙이 구비된 이동지지부;
이동지지부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된 토사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토사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토사이송부는 이동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인 토사를 상승이동시키는 버킷컨베이어부와, 이동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버킷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토사를 이동지지부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Smart system porvided for pipeline laying and laying method of pipel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설치없이 관로/관거를 연결/매설할 수 있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관로(가스관 등)를 시공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는 엄지말뚝 수평널(H-PILE+토류벽) 공법, 강널말뚝(SHEET PILE) 공법, 주열식지중벽(S.C.W;SOIL CEMENT WALL) 공법,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C.I.P ; CASTINPLACED PILE)공법 등이 시공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땅을 굴착하고 흙막이를 설치하여 지중에 관로를 매설하는 H-PILE 토류벽 공법 등의 개착식 공법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개착식 공법은 통상적으로 일정간격으로 파일을 박은 후에 파일과 파일 사이에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하고,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된 상태에서 굴삭기를 이용하여 일정깊이로 땅을 굴착한 후, 지중에서 땅고르기를 하여 관로매설 지중의 지면이 일정깊이를 유지하도록 하고, 관을 지중의 지면에 올려놓은 후에 굴삭된 부분을 흙으로 되메워서 관로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착식 공법은 반드시 굴착작업을 위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의 설치작업을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많은 인력 및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공사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을 요구하는 종래의 개착식 공법은,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재가 설치되어야 하나, 상기 버팀재는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므로, 버팀재와 이웃하는 또다른 버팀재 사이로 단위 관이 인하되기 위하여 단위 관의 길이가 짧게 제한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단위 관의 접합부위가 증가되어 시공비가 상승되고, 공사 지연, 관로 품질 저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개착식 공법은 관로매설 지중에 단위 관을 인하하기 위하여 크레인 등의 장비가 사용되어지고 있어, 관로 시공시 관로 시공을 위한 관로 시공지로의 장비이동 및, 설치 등을 위한 영역까지 확보되어야 하므로, 관로 시공을 위한 통제 영역이 확대되게 될 뿐 아니라, 협소한 지역에 대해서는 공사진행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개착식 공법은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 설치, 굴차작업, 관로 설치가 단계별로 순차적 진행되어야 하므로, 시공기간의 단축에 한계가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4324(2010.06.0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88048(2016.12.14)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4724(2000.03.2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34212(2012.12.12)
본 발명의 목적은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의 설치/해체없이, 지중에 관로/관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매설할 수 있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구간의 양측부와 바닥부에 대한 절토작업을 수행하고 절토된 토사를 중앙으로 모으는 절토부; 절토부가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양측에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측벽트랙이 구비된 이동지지부;
이동지지부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된 토사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토사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토사이송부는 이동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인 토사를 상승이동시키는 버킷컨베이어부와, 이동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버킷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토사를 이동지지부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부의 측벽트랙이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기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시공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시간 및 공사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인건비에 따른 비용상승 등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굴삭기에 의해 작업구간내로 지반의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이 투입될 정도로만 굴토되고, 절토부에 의해 바닥부 및 양측부가 절토되어 면정리되므로, 최소굴토작업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로 시공시 관로 시공지 측만 통제하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소면적만이 굴토되므로, 공사완료 후에 지반침하나 변이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일측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및 토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수직절삭기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및 토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일측면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력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절삭기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일측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및 토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수직절삭기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및 토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일측면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력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절삭기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구성을 보인 개략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구간(800)의 양측부(810)와 바닥부(820)에 대한 절토작업을 수행하고 절토된 토사를 중앙으로 모으는 절토부(100); 절토부가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양측에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측벽트랙이 구비된 이동지지부(200); 이동지지부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된 토사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토사이송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토사이송부는 이동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인 토사를 상승이동시키는 버킷컨베이어부(400)와, 이동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버킷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토사를 이동지지부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절토부(10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간(800)의 양측부(810)를 절삭하는 수직절삭기(110)와, 작업구간의 바닥부(820)를 절삭하는 바닥절삭기(120)와, 바닥절삭기(1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절삭된 토사를 중앙으로 모으는 중앙이송스크류(130)와, 수직절삭기(11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최전방패널(140)과, 최전방패널(14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바닥절삭기(120)와 중앙이송스크류(1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패널(150)과, 양측에 위치하는 전방패널(150)간의 간격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이동지지부(200)에 연결지지되는 전방프레임(160)과, 전방프레임(160)과 최전방패널(140)에 연결설치되어 수직절삭기(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수의 위치조절실린더(17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절삭기(110) 및 바닥절삭기(120)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111,121)의 외부면에 복수의 절삭핀(112,122)이 설치되어 있으며, 로울러(111,121)의 회전구동시, 절삭핀(112,122)에 의해 작업구간의 양측부(810)에 대한 면절삭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절삭기(11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스크류 타입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절삭기(110)는 로울러(111)와 일체로 설치된 회전축(113)이 복수의 고정단(181)에 의해 최전방패널(140)에 연결설치되고, 바닥절삭기(120)는 로울러(121)와 일체로 설치된 회전축(123)이 복수의 고정단(182)에 의해 전방패널(150)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절삭기(110)는 회전축(113)의 상/하단이 고정단(181)에 의해 최전방패널(140)에 연결설치될 수 있으나, 복수의 절삭핀(112)이 설치된 로울러(111)가 상단로울러(111a), 중단로울러(111b), 하단로울러(111c)로 분리되고, 상/중/하단로울러(111a,111b,111c)는 회전축(113)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단로울러(111a)과 중단로울러(111b) 사이, 중단로울러(111b)와 하단로울러(111c)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113)에 고정단(181)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단(181)이 로울러(111)의 중간부분에 연결설치될 경우, 수직절삭기(110)의 상측과 하측부위에 절삭사각지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절삭기(120) 역시,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3)의 양측단이 고정단(182)에 의해 전방패널(150)에 연결설치될 수 있으나, 복수의 절삭핀(122)이 설치된 로울러(121)가 2개의 양단로울러(121a,121c)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로울러(121b)로 분리구성되고, 양단로울러(121a,121c)와 중앙로울러(121b)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123)에 고정단(182)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절삭기의 회전축(113) 및 바닥절삭기의 회전축(123)은 각각의 고정단(181,182)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지지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전방패널(140)은 전방패널(150)과 접이용 힌지(190)에 의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전방패널(150)은 전방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최전방패널(140)은 전방프레임(160)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위치조절실린더(170)의 작동에 의해 접이용 힌지(190)를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된다. 즉, 위치조절실린더(170)의 작동에 의해 최전방패널(140)이 회전되어 수직절삭기(110)의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전방패널(15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간의 바닥부(820)에 대한 절삭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측에 바닥절삭기(120)가 설치되는 개방공간(15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패널(150)은 하나의 패널타입으로 형성되고, 전방프레임에 고정지지되어 작업구간의 양측부(810)에 위치하는 토사의 급격한 무너짐을 방지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절삭기(110)가 연결설치된 최전방패널(140) 역시 하나의 패널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방패널(150)을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60)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중간에 길이조절용 프레임(161)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실린더(170)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60)과 최전방패널(140)에 연결설치되어, 전방패널(150)을 기준으로 수직절삭기가 설치된 최전방패널(140)을 회전시킨다. 일 예로 상기 위치조절실린더(170)는 실린더몸체가 전방프레임(160)에 힌지설치되고, 실린더 로드가 최전방패널(140)에 힌지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조절실린더(170)에 의해 수직절삭기가 설치된 최전방패널이 전방패널을 기준으로 약 ± 5°∼20°범위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이송스크류(130)는 수직절삭기(110) 및 바닥절삭기(120)에 의해 절토된 토사를 토사이송부(300)의 버킷컨베이어부(400)가 위치한 중앙으로 모으는 것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절삭기(2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스크류축(131)이 전방패널(150)에 베어링 지지되고, 스크류축(131)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나선형의 스크류(132,1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이송스크류(130)는 양측에 위치하는 나선형 스크류(132,133)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버킷컨베이어부(400)에 의한 토사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이송스크류(130)는 회전구동될 시, 양측에 위치하는 나선형 스크류(132,133)의 회전에 의해 토사가 중앙으로 이송되어 모이게 되며, 중앙으로 이송된 토사는 버킷컨베이어부(400)에 의해 이동지지부(200)의 상측으로 수직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토부(100)는 수직절삭기(110) 및 바닥절삭기(120)에 의해 작업구간(800)의 양측부(810)와 바닥부(820)에 대한 절토(면정리 및 면정렬작업)가 이루어지고, 절토된 토사는 중앙이송스크류(130)에 의해 토사이송부(300)가 설치된 중앙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부(200)는 선단이동체(21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선단이동체(210)에 하나 이상의 단위이동체(220)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관로의 이송 및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부(900)를 구비한다.
상기 선단이동체(210)는 절토부(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업공간이 구비된 선단본체프레임(230)과,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양측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바닥부(820)를 따라 이동되는 하단트랙(240)과, 하단트랙(2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양측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절삭된 양측부(810)를 지지하며 이동되는 측벽트랙(250)과, 선단본체프레임(230)과 절토부(100)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부(100)를 상하이동시키는 높이조절실린더(260)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본체프레임(23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트랙(240) 및 측벽트랙(250)이 연결설치되는 양측프레임(231)과, 상기 양측프레임(231)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폭방향 프레임(232)과, 양측프레임(231)의 내측 및, 폭방향 프레임(232)의 하측에 설치되는 차수벽체(233)와, 절토부의 전방프레임(16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폭방향 프레임에서 연결설치되어 높이조절실린더(260)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3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폭방향 프레임(232)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중간에 길이조절용 프레임(234)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있어서, 작업공간은 작업구간의 바닥부(820)와 차수벽체(233)로 둘러쌓여진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단본체프레임(230)은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트랙(250), 선단중앙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는 버킷컨베이어부(400) 및, 상단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부(500)가 지지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구비한다. 상기 선단본체프레임(230)은 일예로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골조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트랙(240)과 측벽트랙(25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풀리(241,242,251,252)에 의해 트랙부재(243,253)가 순환회전되는 무한궤도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단트랙(240)은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양측프레임(231)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작업구간의 바닥부(820)에 접촉되며 작동됨으로써 선체본체프레임(230)을 이동시킨다.
상기 측벽트랙(250)은 작업구간의 양측부(810)에 접촉되며 이동되어 선단본체프레임(230)을 이동시키는 이동기능을 구비할 뿐 아니라, 양측부(810)의 무너짐을 방지하는 흙막이 기능도 구비한다 .
상기 측벽트랙(250)은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양측프레임(2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측면이 모두 커버되도록 즉, 작업구간의 양측부(810)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부재(253)가 소정의 높이(폭)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트랙(250)은 트랙부재(253)가 양측프레임(2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순환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작업구간의 양측부(810)에 트랙부재(253)가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단트랙(240) 및 측벽트랙(250)은 전/후방풀리(241,242,251,252)를 구동시키는 구동축(도시없음)의 양단이 선단본체프레임(2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60)는 절토부(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지지프레임(235) 및, 절토부의 일측 전방프레임(160)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부(100)를 수직으로 상하이동시킨다. 즉,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60)의 작동에 의해 절토부의 전방프레임(160)이 상하이동되게 되므로, 전방프레임(160)에 고정설치된 전방패널(150), 전방패널에 연결설치된 바닥절삭기(120) 및 중앙이송스크류(130), 전방패널(150)에 힌지연결된 최전방패널(140), 최전방패널에 연결설치된 수직절삭기(110)가 모두 상하이동되게 된다.
상기 단위이동체(22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동체(210)의 후방에 하나 이상이 연속 설치된다.
상기 단위이동체(2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업공간이 구비된 단위본체프레임(230a)과, 단위본체프레임(230a)의 양측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바닥부(820)를 따라 이동되는 하단트랙(240a)과, 하단트랙(240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단위본체프레임(230a)의 양측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절삭된 양측부(810)를 지지하며 이동되는 측벽트랙(250a)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본체프레임(230a)는 선단본체프레임(230)과 지지프레임(235) 및 높이조절실린더(260)의 설치에 차이가 있을 뿐 기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단위이동체의 하단트랙(240a)과 측벽트랙(250a)은 선단이동체의 하단트랙(240) 및 측벽트랙(250)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지지부(200)는, 선단이동체(210)와 하나 이상의 단위이동체(220)가 단위연결구(280)에 의해 연결되며, 차수벽체(233)가 둘러쌓여진 선단이동체의 작업공간 및 단위이동체의 작업공간이 연통되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작업공간부(9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위연결구(28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연결구(281)와 제2단위연결구(282)가 단위연결핀(28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단위연결구(281)는 선단이동체(210) 또는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이동체에 고정설치되고, 제2단위연결구(282)는 후방에 위치하는 또다른 단위이동체에 고정설치되어, 복수의 단위이동체가 회전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마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2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절삭기(110), 바닥절삭기(120), 토사이송부(300), 높이조절실린더(260), 위치조절실린더(170), 하단트랙(240,240a), 측벽트랙(250,250a) 등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수단(700)이 작업공간부(900)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동력수단(700)은 이동지지부의 선단이동체(210)와 각각의 단위이동체(220)에 개별 구비되도록 구성되거나, 이동지지부(200)의 일측에 하나의 동력수단이 설치되어 동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수단(700)은 선단본체프레임의 폭방향 프레임(232), 단위본체프레임의 폭방향 프레임(232a)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지지부(200)는 절토부(100)와 하나 이상의 연결구(270)에 의해 상호 소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270)는 절토부의 전방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271)와, 이동지지부 선단이동체의 선단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272)가 연결핀(27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271)에는 제2연결구(272)가 삽입되는 수직결합홈(2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272)는 제1연결구의 수직결합홈(274)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구(270)는 높이조절실린더(260)에 의해 절토부(100)의 높낮이가 조절될 시, 연결핀(273)을 따라 제1연결구(271)에 형성된 수식결합홈(274)내에서 제2연결구(272)가 상하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절토부(100)와 이동지지부(200) 사이, 이동지지부의 선단이동체(210)와 이에 연결되는 일측 단위이동체(220) 사이, 이동지지부의 단위이동체(200) 사이에는 차수부(29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수부(290)는 절토부의 전방프레임(160), 선단이동체 선단본체프레임(230)의 후단, 단위이동체 단위본체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차수패널(291)과, 이동지지부 선단이동체(210)의 선단, 단위이동체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선단본체프레임 및 단위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2차수패널(292)을 포함하되, 상기 제1차수패널(291)과 제2차수패널(292)은 상호 접촉되며 일정구간이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지지부(200)는 맨 후단에 작업구간 양측부(810)의 급격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관로에 대한 가매설을 위한 가매설공간부(6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매설공간부(600)는 작업구간의 양측부(810)에 밀착 또는 근접되도록 후방패널(610)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패널(610)은 복수의 후방프레임(620)에 의해 간격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매설공간부(600)는 이동지지부의 후단과 단위연결구(280)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이동지지부와 가매설 공간부 사이에는 차수부(29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위연결구(280)와 차수부(290)의 구성은 위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620)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중간에 길이조절용 프레임(621)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사이송부(300)는 버킷컨베이어부(400)가 이동지지부(200) 즉, 선단이동체(210)의 선단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고, 버킷컨베이어부(400)에 의해 이송된 토사가 후방으로 연속이송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 또는 선단본체프레임(230)과 하나 이상의 단위본체프레임(230a) 상단에 이송컨베이어부(50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킷컨베이어부(400)는 회전구동되는 다수의 풀리기어(410)에 의해 2줄의 환상체인(420)이 순환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버킷(430)이 연속순환되어 절토부의 중앙이송스크류부(130)에 의해 중앙으로 모인 토사를 이동지지부의 상부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토사를 수직이송시키는 수직이송부(440)와, 수직이송부(4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토사를 이송컨베이어부의 호퍼(510)내로 투입공급하는 경사이송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이송부(440)와 경사이송부(450)는 선본체프레임(230)에 연결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버킷컨베이어부(400)는 풀리기어(410)와 환상체인(420)의 작동에 의해 토사가 담겨진 복수의 버킷(430)이 수직이동부(440)에 의해 상승이동되고, 선단본체프레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이송부(450)를 따라 호퍼(510) 상측으로 상승되며, 경사이송부(450)의 최상단을 지나면서 버킷(430)내의 토사가 하중에 의해 호퍼(510)내로 자유낙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버킷컨베이어부(400)의 기본 작동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버킷컨베이어부(400)에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장력조절부(4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장력조절부(460)는 높이조절실린더(260)에 의한 절토부(100)의 높낮이 조절에 대응하여 환상체인(42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체인장력조절부(460)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연결설치되고 환상체인(420)을 회전이동시키는 복수의 풀리기어(410)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하단풀리기어(411)를 수직이동시키는 체인조절실린더(461)와, 상기 하단풀리기어(411)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수직 평기어(462)와, 상기 수직 평기어(462)에 치합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설치되는 제1회전기어(463)와, 상기 제1회전기어(463)와 치합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464)와, 상기 제2회전기어(464)에 치합되고 장력조절풀리기어(412)에 일측0.단이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수평 평기어(46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단본체프레임(230)에는 수직 평기어(462)의 수직이동 및, 수평 평기어(465)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수직가이드(466) 및 수평가이드(467)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평기어(462)와 수평 평기어(465)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인장력조절부(460)는, 절토부(100)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실린더(260)와 연동되어 체인조절실린더(461)가 작동되고, 상기 체인조절실린더(461)에 의해 하단풀리기어(461)가 상하이동되고, 상기 하단풀리기어(461)의 이동에 의해 수직 평기어(462)가 이동되며, 수직 평기어(462)의 이동에 의해 제1,2회전기어(463,464)가 작동되어 수평 평기어(465)가 이동되고, 상기 수평 평기어(465)의 이동에 의해 장력조절풀리기어(412)가 수평이동되도록 작동되며, 이로 인해 환상체인(420)의 전체 순환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회전기어(463,464)는 수직이동되는 하단풀리기어(411)의 이동거리와, 수평이동되는 장력조절 풀리기어(412)의 이동거리간 차이를 고려하여 소정의 기어비를 구비하도록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기어(463) 및 제2회전기어(464)는 각각 하나 이상의 기어가 다단으로 연결되어 기어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회전기어의 기어비는 기어설계에 따른 공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부(5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의 상단 즉, 선단이동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호퍼(510)와, 상기 호퍼(510)를 통해 공급된 토사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토사이송컨베이어(5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사이송컨베이어부(520)는 이동지지부(200)가 선단이동체(210)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선단이동체의 선단본체프레임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지지부(200)가 선단이동체(210)와 하나 이상의 단위이동체(220)로 이루어질 경우, 선단이동체(210)에서 최후단에 위치하는 단위이동체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버킷컨베이어부(400)에 의해 퍼올려진 토사를 이동지지부(200)의 후방 일예로, 가매설공간부(600)로 이송시킨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의 변형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작업구간의 깊이에 따라 다단을 적층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측에 위치하는 스마트 관로매설시스템은 중앙이송스크류 및 하단트랙이 없도록 변형하여 적층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은 일예로 높이 약 2∼4m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단으로 적층될 경우, 약 6m 이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을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구간이 굴삭기에 의해 굴토되는 굴토단계; 작업구간내로 스마트 관로매설시스템이 투입되는 머신투입단계; 작업구간의 양측부와 바닥부가 수직절삭기와 바닥절삭기에 의해 절토되면서 스마트 관로매설시스템이 전진이동되는 이동단계; 이동단계 후,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정지되고,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위치하는 작업구간내로 관로가 이송되어 관로연결작업이 진행되는 관로연결단계; 관로연결단계 후, 작업구간의 양측부와 바닥부를 수직절삭기와 바닥절삭기에 의해 절토하면서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다시 전진이동되고, 절토된 토사가 토사이송부에 의해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 후방으로 이송되어 연결된 관로에 대한 가매설이 이루어지는 재이동단계; 상기 관로연결단계 및 재이동단계가 반복되는 반복단계; 관로가 가매설된 작업구간에 굴삭기로 토사를 공급하여 관로를 매설하는 관로매설단계;를 통해 별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설치없이 작업구간내에 관로가 연결 매설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굴토단계는 굴삭기에 의해 작업구간을 굴토하는 단계로, 작업구간의 초입은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굴토한다. 또한, 상기 굴토단계는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투입이 가능할 정도로만 작업구간의 중심부쪽 지반에 대한 굴토작업이 이루어지며, 굴토된 토사는 덤프트럭 등에 상차한다.
상기 머신투입단계는 작업구간의 경사진 부분을 통해 작업구간내로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투입된다.
상기 이동단계는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절삭기 및 바닥절삭기에 의해 작업구간의 양측부 및 바닥부가 면절삭된다.
이때, 작업구간의 양측부 및 바닥부에 대한 면절삭은 하단트랙 및 측벽트랙이 바닥부와 양측부에 각각 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절토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절삭기 및 바닥절삭기에 의해 절삭된 토사는 중앙이송스크류에 의해 작업구간의 중앙부분으로 모이게 되고, 중앙부분으로 모인 토사는 상하 순환회전되는 토사이송부의 버킷컨베이어부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며, 상부로 이동된 토사는 자중에 의해 호퍼내로 자유낙하되어 호퍼에 연결설치된 토사컨베이어부에 의해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후방의 작업구간내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후방으로 이송된 토사는 굴삭기에 의해 작업구간 외부로 이송된다.
상기 관로연결단계는 이동지지부의 작업공간부내로 관로를 이동시켜 관로에 대한 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관로의 이동 및 연결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재이동단계는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절삭기 및 바닥절삭기에 의해 작업구간의 양측부 및 바닥부가 면절삭되고, 수직절삭기 및 바닥절삭기에 의해 절삭된 토사는 중앙이송스크류에 의해 작업구간의 중앙부분으로 모이게 되며, 중앙부분으로 모인 토사는 토사이송부에 의해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의 후방의 작업구간내로 이동/낙하되어, 연결된 관로에 대한 가매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반복단계는 관로연결단계 및 재이동단계가 순차적으로 반복진행되어,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작업구간을 전진이동하면서 관로연결 및 관로가매설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관로매설단계는 굴삭기에 의해 토사를 이동하여, 작업구간내에 위치하는 가매설된 관로를 매립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매설에 있어서 이동지지부의 측벽트랙이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을 기능을 구비하게 되므로, 별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관로연결 및 매설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 작업구간 뿐 아니라, 곡선 작업구간에 대해서도 관로매설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절토부 (110) : 수직절삭기
(111) : 로울러 (111a): 상단로울러
(111b): 중단로울러 (111c): 하단로울러
(112) : 절삭핀 (113) : 회전축
(120) : 바닥절삭기 (121) : 로울러
(121a): 상단로울러 (121b): 중단로울러
(121c): 하단로울러 (122) : 절삭핀
(123) : 회전축 (130) : 중앙이송스크류
(131) : 스크류축 (132,133): 나선형 스크류
(140) : 최전방패널 (150) : 전방패널
(160) : 전방프레임 (170) : 위치조절실린더
(181) : 고정단 (182) : 고정단
(200) : 이동지지부 (210) : 선단이동체
(220) : 단위이동체 (230) : 선단본체프레임
(230a): 단위본체프레임 (231) : 양측프레임
(232) : 폭방향 프레임 (233) : 차수벽체
(234) : 길이조절용 프레임 (235) : 지지프레임
(240,240a): 하단트랙 (241) : 전방풀리
(242) : 후방풀리 (243) : 트랙부재
(244) : 구동축 (250,250a): 측벽트랙
(251) : 전방풀리 (252) : 후방풀리
(253) : 트랙부재 (254) : 구동축
(260) : 높이조절실린더 (270) : 연결구
(271) : 제1연결구 (272) : 제2연결구
(273) : 연결핀 (274) : 장홈
(280) : 단위연결구 (281) : 제1단위연결구
(282) : 제2단위연결구 (283) : 단위연결핀
(290) : 차수부 (291) : 제1차수패널
(292) : 제2차수패널 (300) : 토사이송부
(400) : 버킷컨베이어부 (410) : 풀리기어
(411) : 하단풀리기어 (412) : 장력조절풀리기어
(420) : 환상체인 (430) : 버킷
(440) : 수직이송부 (450) : 경사이송부
(460) : 체인장력조절부 (461) : 체인조절실린더
(462) : 수직 평기어 (463) : 제1회전기어
(464) : 제2회전기어 (465) : 수평 평기어
(466) : 수직가이드 (467) : 수평가이드
(500) : 이송컨베이어부 (600) : 가매설공간부
(610) : 후방패널 (620) : 후방프레임
(700) : 동력발생부 (750) : 작업공간부
(800) : 작업구간 (810) : 양측부
(820) : 바닥부 (900) : 작업공간부

Claims (12)

  1. 작업구간(800)의 양측부(810)와 바닥부(820)에 대한 절토작업을 수행하고 절토된 토사를 중앙으로 모으는 절토부(100);
    절토부가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양측에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측벽트랙이 구비된 이동지지부(200);
    이동지지부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된 토사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토사이송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토사이송부는 이동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인 토사를 상승이동시키는 버킷컨베이어부(400)와, 이동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버킷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토사를 이동지지부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100)는,
    작업구간(800)의 양측부(810)를 절삭하는 수직절삭기(110)와,
    작업구간의 바닥부(820)를 절삭하는 바닥절삭기(120)와,
    바닥절삭기(1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절삭된 토사를 중앙으로 모으는 중앙이송스크류(130)와,
    수직절삭기(11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최전방패널(140)과,
    최전방패널(14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바닥절삭기(120)와 중앙이송스크류(1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패널(150)과,
    양측에 위치하는 전방패널(150)간의 간격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이동지지부(200)에 연결지지되는 전방프레임(160)과,
    전방프레임(160)과 최전방패널(140)에 연결설치되어 수직절삭기(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수의 위치조절실린더(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삭기(110)는, 복수의 절삭핀(112)이 설치된 로울러(111)가 상단로울러(111a), 중단로울러(111b), 하단로울러(111c)로 분리되고, 상/중/하단로울러(111a,111b,111c)는 회전축(113)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단로울러(111a)과 중단로울러(111b) 사이, 중단로울러(111b)와 하단로울러(111c)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113)에 고정단(181)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닥절삭기(120)는, 복수의 절삭핀(122)이 설치된 로울러(121)가 2개의 양단로울러(121a,121c)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로울러(121b)로 분리구성되며, 양단로울러(121a,121c)와 중앙로울러(121b)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123)에 고정단(182)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중앙이송스크류(130)는, 바닥절삭기(2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스크류축(131)이 전방패널(150)에 베어링 지지되고, 스크류축(131)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나선형의 스크류(132,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형 스크류(132,133)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버킷컨베이어부(400)에 의한 토사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절토부(100)에 연결되는 이동지지부(200)는, 선단이동체(21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선단이동체(210)에 하나 이상의 단위이동체(2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관로의 이송 및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부(9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선단이동체(210)는, 내부에 선단작업공간부(910)가 구비된 선단본체프레임(230)과,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양측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바닥부(820)를 따라 이동되는 하단트랙(240)과, 하단트랙(2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의 양측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절삭된 양측부(810)를 지지하며 이동되는 측벽트랙(250)과, 선단본체프레임(230)과 절토부(100)에 연결설치되어 절토부(100)를 상하이동시키는 높이조절실린더(260)를 포함하고,
    단위이동체(220)는, 내부에 단위작업공간부(920)가 구비된 단위본체프레임(230a)과, 단위본체프레임(230a)의 양측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바닥부(820)를 따라 이동되는 하단트랙(240a)과, 하단트랙(240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단위본체프레임(230a)의 양측에 연결설치되어 작업구간의 절삭된 양측부(810)를 지지하며 이동되는 측벽트랙(25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선단본체프레임(230)은, 하단트랙(240) 및 측벽트랙(250)이 연결설치되는 양측프레임(231)과, 상기 양측프레임(231)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폭방향 프레임(232)과, 양측프레임(231)의 내측 및, 폭방향 프레임(232)의 하측에 설치되는 차수벽체(233)와, 절토부의 전방프레임(16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폭방향 프레임에서 연결설치되어 높이조절실린더(260)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35)을 포함하여, 작업구간의 바닥부(820)와 차수벽체(233)로 둘러쌓여진 공간이 선단작업공간부(910)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8. 청구항 6 에 있어서;
    하단트랙(240,240a)과 측벽트랙(250,250a)은 무한궤도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200)는 맨 후단에 작업구간 양측부(810)의 급격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관로에 대한 가매설을 위한 가매설공간부(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매설공간부(600)는 작업구간의 양측부(810)에 밀착 또는 근접되도록 후방패널(610)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패널(610)은 복수의 후방프레임(620)에 의해 간격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10. 청구항 5 에 있어서;
    절토부(100)와 이동지지부(200) 사이, 이동지지부의 선단이동체(210)와 이에 연결되는 일측 단위이동체(220) 사이, 이동지지부의 단위이동체(200) 사이에는 차수부(29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수부(290)는 절토부(100), 선단이동체의 후단, 단위이동체 단위본체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차수패널(291)과, 이동지지부 선단이동체의 선단, 단위이동체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선단본체프레임 및 단위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2차수패널(292)을 포함하되, 상기 제1차수패널(291)과 제2차수패널(292)은 끝단이 상호 접촉되며 일정구간이 겹쳐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11. 청구항 1 에 있어서;
    버킷컨베이어부(400)는 체인장력조절부(46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체인장력조절부(460)는,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연결설치되고 환상체인(420)을 회전이동시키는 복수의 풀리기어(410)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하단풀리기어(411)를 수직이동시키는 체인조절실린더(461)와,
    상기 하단풀리기어(411)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수직 평기어(462)와,
    상기 수직 평기어(462)에 치합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설치되는 제1회전기어(463)와,
    상기 제1회전기어(463)와 치합되도록 선단본체프레임(230)에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464)와,
    상기 제2회전기어(464)에 치합되고 장력조절풀리기어(412)에 일측단이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수평 평기어(4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
  12. 작업구간이 굴삭기에 의해 굴토되는 굴토단계;
    작업구간내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 관로매설시스템이 투입되는 머신투입단계;
    작업구간의 양측부와 바닥부가 수직절삭기와 바닥절삭기에 의해 절토되면서 스마트 관로매설시스템이 전진이동되는 이동단계;
    이동단계 후,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정지되고,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위치하는 작업구간내로 관로가 이송되어 관로연결작업이 진행되는 관로연결단계;
    관로연결단계 후, 작업구간의 양측부와 바닥부를 수직절삭기와 바닥절삭기에 의해 절토하면서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이 다시 전진이동되고, 절토된 토사가 토사이송부에 의해 스마트 관로매설 시스템 후방으로 이송되어 연결된 관로에 대한 가매설이 이루어지는 재이동단계;
    상기 관로연결단계 및 재이동단계가 반복되는 반복단계;
    관로가 가매설된 작업구간에 굴삭기로 토사를 공급하여 관로를 매설하는 관로매설단계;를 통해 별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설치없이 작업구간내에 관로가 연결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을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20180030087A 2018-03-15 2018-03-15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210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87A KR102108304B1 (ko) 2018-03-15 2018-03-15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87A KR102108304B1 (ko) 2018-03-15 2018-03-15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14A true KR20190108714A (ko) 2019-09-25
KR102108304B1 KR102108304B1 (ko) 2020-05-07

Family

ID=6806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87A KR102108304B1 (ko) 2018-03-15 2018-03-15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6195A (zh) * 2020-04-15 2020-07-28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24Y1 (ko) 2000-01-10 2000-06-01 주식회사동양굴착산업 지중 매설용 관로 추진장치의 추진수단
KR20010038697A (ko) * 1999-10-27 2001-05-15 위성길 터널 굴착장치 및 그에 따른 터널 굴착방법
KR100964324B1 (ko) 2007-09-27 2010-06-17 위성배 지중 관로 매설용 거푸집
KR20120134212A (ko) 2011-06-01 2012-12-12 변웅호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20130085772A (ko) * 2012-01-20 2013-07-30 정진덕 저심도 지하 연속 구조물 시공을 위한 흙막이 구조
KR101688048B1 (ko) 2014-11-18 2017-01-02 (주)경기방재연구소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697A (ko) * 1999-10-27 2001-05-15 위성길 터널 굴착장치 및 그에 따른 터널 굴착방법
KR200184724Y1 (ko) 2000-01-10 2000-06-01 주식회사동양굴착산업 지중 매설용 관로 추진장치의 추진수단
KR100964324B1 (ko) 2007-09-27 2010-06-17 위성배 지중 관로 매설용 거푸집
KR20120134212A (ko) 2011-06-01 2012-12-12 변웅호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20130085772A (ko) * 2012-01-20 2013-07-30 정진덕 저심도 지하 연속 구조물 시공을 위한 흙막이 구조
KR101688048B1 (ko) 2014-11-18 2017-01-02 (주)경기방재연구소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6195A (zh) * 2020-04-15 2020-07-28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304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0130C (en) Trenching system with trench wall enhancer, local longitudinal tractor, and concrete pouring facility
US3332249A (en) Trench digging and refilling apparatus
KR20190108714A (ko)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US5009548A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facilitating the excavating and refilling of a trench
CN104452804B (zh) 全断面搅拌切削造墙机
US3650116A (en) Apparatus for use in subterranean excavation
CN109653266B (zh) 一种耙斗链式成槽机
JP2023544796A (ja) 土壌を除去するための、土木機械及び土木工法
KR101738370B1 (ko) 배관 매설방법
JP5315555B2 (ja) 連設型ベルトコンベア、及びそのベルトコンベアを備えたアンダーパス構造躯体構築装置、並びに、そのアンダーパス構造躯体構築装置を用いたエレメント牽引掘進工法
JP3823301B2 (ja) 地中壁の築造工法
US3922802A (en) Earth surfacing apparatus
JP6276440B1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函体の吊り降ろし方法および装置
US11879225B2 (en) Flexible in-ground shield apparatus
CN109629554A (zh) 土壤切割搅拌器、地表土层施工设备、施工方法
JP4647562B2 (ja) パイプルーフ工法
US4091626A (en) Trench shoring machines
US558683A (en) Will giro-itard
JPH06241350A (ja) パイプ繰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管路埋設工法
US2797504A (en) Excavating machine
AU2003244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avating soil material
GB2623979A (en) Earth moving and traversing solutions
JP2017014759A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函体設置工法
RU95055U1 (ru) Экскаватор-трубозаглубитель с одним роторным канавокопателем
DE2559640A1 (de) Einrichtung zum verlegen eines rohres in einem gra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