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48B1 -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048B1
KR101688048B1 KR1020140160951A KR20140160951A KR101688048B1 KR 101688048 B1 KR101688048 B1 KR 101688048B1 KR 1020140160951 A KR1020140160951 A KR 1020140160951A KR 20140160951 A KR20140160951 A KR 20140160951A KR 101688048 B1 KR101688048 B1 KR 10168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pipeline
construction
wall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275A (ko
Inventor
강경식
Original Assignee
(주)경기방재연구소
케이투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기방재연구소, 케이투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경기방재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6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6Travelling trench sh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소형/경량화 및 조립식을 통해 소구경의 관로 공사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되어 사용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과 관로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은, 지중의 관로 시공부의 마주하는 벽 중에서 일측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210,310),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일측면에 상기 벽체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버팀부(220,320),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배면과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 사이에 설치되는 흙막이재(400)로 이루어진 제1,2프레임이 상기 관로 시공부 안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2벽체 지지부가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체에 지지되면서 제1,2버팀부가 서로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관로 시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은, 지중에 관로(2)의 시공을 위하여 지반을 터파기하여 홈 형태의 관로 시공부(1)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시공된 관로 시공부에,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을 시공하되, 관로 시공부의 마주하는 벽 중에서 일측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210,310) 및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일측면에 상기 벽체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버팀부(220,320)로 이루어진 제1,2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 사이에 흙막이재(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흙막이재의 어셈블리를 단일 작업을 통해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보호를 받으면서 상기 관로 시공부의 바닥부에 관로를 설치 및 관이음하여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관로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기 제2단계에서 설치한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철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관로 시공부를 되메우기한 후 노면을 정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ASSEMBLY TYPE PROTECTION WALL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DUIT LINE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흙막이 안전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경량화 및 조립식을 통해 소규모의 관로 공사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되어 사용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관로(가스관 등)를 시공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는 엄지말뚝 수평널(H-PILE+토류벽) 공법, 강널말뚝(SHEET PILE) 공법, 주열식 지중벽(S.C.W;SOIL CEMENT WALL) 공법,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C.I.P ; CAST-IN PLACED PILE)공법 등이 시공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H-PILE 토류벽 공법은 개착식 공법으로 일정 간격으로 H-PILE을 항타 또는 천공 후 삽입하여 설치한 다음에, 도랑 등 터파기 굴착 작업을 진행하면서 상기 H-PILE 사이에 목재 등으로 된 토류판을 끼워 넣어, 벽체를 형성하면서 흙막이를 하는 공법이다.
한편 종래 관로의 지중 시공을 위한 흙막이 구조물은 마주하는 흙막이 벽체가 토압에 의해 붕괴되지 않도록 가로보인 버팀대가 적용된다.
상기 버팀대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또는 다수개 및 다단)가 설치되어 흙막이 벽체를 지지한다.
흙막이 벽에 이들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버팀대가 일정 간격 예를 들어 4m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소구경의 관로를 시공하는 경우 관로 시공부의 깊이가 깊지 않고 많은 작업자가 안전불감증을 갖고 작업하기 때문에 안전시설 없이 관로를 시공하는 실정이며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하여도 이에 적합한 흙막이 시설이 없기 때문에 안전시설 없이 관로를 시공하는 사례가 많으며, 따라서, 지반의 붕괴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5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경량화 및 조립식을 통해 소구경의 관로 공사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되어 사용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은, 지중의 관로 시공부의 마주하는 벽 중에서 일측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일측면에 상기 벽체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버팀부,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배면과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 사이에 설치되는 흙막이재로 이루어진 제1,2프레임이 상기 관로 시공부 안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2벽체 지지부가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체에 지지되면서 제1,2버팀부가 서로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관로 시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은, 지중에 관로의 시공을 위하여 지반을 터파기하여 홈 형태의 관로 시공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시공된 관로 시공부에,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시공하되, 관로 시공부의 마주하는 벽 중에서 일측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 및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일측면에 상기 벽체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버팀부로 이루어진 제1,2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 사이에 흙막이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흙막이재의 어셈블리를 단일 작업을 통해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보호를 받으면서 상기 관로 시공부의 바닥부에 관로를 설치 및 관이음하여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관로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기 제2단계에서 설치한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철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관로 시공부를 되메우기한 후 노면을 정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에 의하면, 안전시설이 현장 조립식을 통해 사용 가능하여 큰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조립 및 설치함으로써 소규모의 관로 공사에서도 작업자와 관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 지주들을 설치하고 상기 지주들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 설치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무지주방식을 취함으로써 취급(물류)이 용이하고 인력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에 적용된 버팀부의 절첩 상태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에 근입장재가 적용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에 적용된 정렬수단의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에 적용된 흙막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에 적용된 버팀부가 이동되는 예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사시도.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은, 지중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관로 시공부(1) 안에 설치되어 관로 시공부(1)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관로 시공부(1)의 좌우 벽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관로 시공부(1)의 벽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 시공부(1)의 붕괴와 흙의 침범을 막는 흙막이재로 구성되며, 관로 시공부(1)에 관로(2)의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프레임은 동일한 구성의 프레임 즉 한 종류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현장에서 조립됨으로써 사용되는 것이며 제1,2프레임(200,300)이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흙막이재(400)는 제1,2프레임(200,30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과 제1,2프레임(200,300)을 관로 시공부(1) 안에 선시공한 후 제1,2프레임(200,300)과 관로 시공부(1)의 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먼저 제1,2프레임(200,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2프레임(200,300)은 각각 관로 시공부(1)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210,310), 제1,2벽체 지지부(210,310)에 각각 연결되며 이웃하는 단부가 서로 조립되어 제1,2벽체 지지부(210,310)를 지지하는 제1,2버팀부(220,320)로 구성된다.
제1,2프레임(200,300)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프레임(200)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제2프레임(300)에 대해서는 제1프레임(200)과 동일한 형식으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제1벽체 지지부(210)와 제1버팀부(220)는 각관, 원형관, 앵글, 빔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제1벽체 지지부(210)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2개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수직대(211), 수직대(211)들을 연결하는 2단 이상(도면에는 3단으로 도시됨)의 횡대(212)로 구성된 틀의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제1벽체 지지부(210)가 구멍을 갖는 틀의 구조이지만 바람직하게 배면에 흙막이재(4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관로 시공부(1)의 흙막이 기능이 가능하다.
수직대(211)는 저부가 관로 시공부(1)의 바닥에 지지되거나 지중에 삽입 정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정착력의 증대를 위하여 뾰족한 정착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버팀부(220)는 일측이 제1프레임(210)의 수직대(211)와 횡대(2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상하 2개의 버팀간(221,222), 상하측 버팀간(221,22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하측 버팀간(221,222)을 연결하는 연결간(223)으로 구성된다.
연결간(223)은 제2버팀부(320)의 연결간(323)과 연결되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제1버팀부(220)는 제1벽체 지지부(21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이 적용 가능하며,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2개 이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 이상의 제1버팀부(220)는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벽체 지지부(2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게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하측 버팀간(221,222)과 연결간(223)은 서로 분해되지 않는 구조도 무방하다.
또한, 상하측 버팀간(221,222)은 제1벽체 지지부(210)에 고정브래킷과 체결구의 고정수단을 통해 분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벽체 지지부(210)와 제1버팀부(220)는 직교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클 수밖에 없어 취급(보관, 운반 등)이 불편하고 물류비가 커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도 4에서처럼, 제1버팀부(220)를 제1벽체 지지부(210)에 힌지(경첩)(230)으로 연결하여 절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취급시에는 도 4의 실선처럼 제1버팀부(220)를 제1벽체 지지부(210)에 붙여 부피를 줄이고 사용시 가상선과 도 2에서처럼 펼쳐 설치한다.
상하측 버팀간(221,222)이 구성됨에 따라 제1벽체 지지부(210)를 균등하게 지지하여 토압에 대한 큰 버팀력을 제공하고 이때, 구조적으로 하측 버팀간(222)의 최적의 위치가 관로(2)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측 버팀간(222)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2프레임(200,300)은 도 2에서처럼 관로 시공부(1)의 내부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사용되며 제1,2버팀부(220,320)가 일렬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이웃하는 제1,2버팀부(220,320)는 결속수단(500)을 통해 서로 결속되어 제1,2프레임(200,300)을 일체화한다. 결속수단(500)은 제1,2버팀부(220,320)에 걸쳐 공유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과 제1,2버팀부(220,320)에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 가능하다. 즉 제1,2프레임(200,300)의 일체화를 통해 토압에 대한 큰 버팀강성을 확보함으로써 지반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막게 된다.
제1,2프레임(200,300)은 설치 구조 상 터파기된 관로 시공부(1)의 붕괴를 막고 관로와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지만, 보다 안정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도 5a와 도 5b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프레임(200,300)의 수직대(211,311)의 저부에는 관로 시공부(1)의 바닥 밑으로 근입되는 근입장재(213,313)를 포함한다.
근입장재(213,313)는 H 빔, 각관, 강관 등 다양한 제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5a는 근입장재(213,313)가 수직대(211,311)에서 연장된 일체형 구조이고, 도 5b는 수직대(211,31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일부분이 수직대(211,311)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지중에 근입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이 때 버팀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입장재(213,313)는 시공 현장에서 수직대(211,311)의 저부에 체결구를 통해 조립되어 사용되거나 공장에서 수직대(211,311)에 고정된 후 사용된다.
한편 제1,2프레임(200,300)의 조립성을 향상하기 위해 정렬수단이 더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정렬수단은 결속수단(500)을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정렬홈(224)과 정렬돌기(324)로 구성되며 물론 정렬홈(224)과 정렬돌기(324)는 위치가 서로 뒤바뀔 수 있다.
상기 정렬수단은 다른 예로서 제1,2버팀부(220,320)에 대향 형성되는 정렬홈,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렬수단에 따르면 제1,2프레임(200,300)의 위치를 일렬로 정렬함으로써 결속수단(500)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흙막이재(400)는 제1,2프레임(200,300)의 배면에 설치되어 흙막이의 기능을 하는 판형이며, 요철형의 판재인 시트파일(도 7a), 판(도 6b), 토목섬유(도 6c), 메시(도 6d)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시트파일과 판은 예컨대 다수개가 인터로킹 및 오버랩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 가능하고, 토목섬유와 메시는 제1,2프레임(200,300)의 제1,2벽체 지지부(210,310)에 인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목섬유는 섬유재, 합성수지재를 총칭하는 것으로 물과 미립자의 침투를 막는 제품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인장강도가 우수한 나일론, 아라미드섬유, 복합섬유 등이 있다.
또한 제1,2버팀부(220,320)는 제1,2벽체 지지부(210,310)에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벽체 지지부(210,310)의 횡대(212,312)는 버팀부 레일(214,314)이 형성되며 제1,2버팀부(220,320)는 버팀부 레일(214,314)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버팀부 레일(214,314)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의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제1,2버팀부(220,320)를 이동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1,2버팀부(220,320)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여 관로 시공부(1)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고 또한 관로(2)의 시공시 제1,2버팀부(220,302)를 관로(2)의 시공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 후 관로(2)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실시예의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은 알루미늄의 재질로 하여 경량화함으로써 대형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운반과 시공이 가능하며, 물론 알루미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2프레임(200,300)의 양쪽 끝에 배치되는 수직대(211,311)에는 인터로킹을 위한 돌기와 홈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와 홈의 조립을 통해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들이 결합되도록 하여 정렬하며 또한 시공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피를 더욱 작게 하기 위하여 제1,2프레임(200,300)은 각각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시공 현장에서 조립에 의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서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것들은 분리식 뿐만 아니라 힌지에 의한 절첩식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이용한지중 관로 시공 공법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관로 시공부 형성.
관로의 설계를 따라 굴착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터파기함으로써 지중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관로 시공부(1)를 형성한다.
(S20)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설치.
제1,2프레임(200,300)을 지상에서 조립한 후 관로 시공부(1) 안에 설치하는 방법, 제1,2프레임(200,300)을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관로 시공부(1) 안에 설치한 후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법 모두가 가능하며, 또한, 흙막이재(400)는 제1,2프레임(200,300)에 고정되어 일체로 운용 가능하고 또는 별도의 작업을 통해 제1,2프레임(200,300)의 시공 후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2프레임(200,300)[흙막이재(400)가 결합되지 않은 것]을 지상에서 조립한 후 관로 시공부(1) 안에 삽입한다.
제1,2프레임(200,300)과 관로 시공부(1)의 벽 사이에 흙막이재(400)를 삽입 설치한다.
(S30) 관로 시공.
관로 시공부(1)의 경로를 따라 조립식 안전시설(100)을 설치하되, 관로 시공부(1)의 전체 구간에 걸쳐 조립식 안전시설(100)을 설치한 후 관로(2)를 시공할 수 있고 또는 관로 시공을 위한 일부분만을 설치하면서 관로(2)를 시공할 수 있다.
조립식 안전시설(100)의 제1,2버팀부(220,320)들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관로(2)를 삽입하여 관로 시공부(1)의 바닥에 안착하고, 이웃하는 관로(2)들을 관이음함으로써 관로(2)를 시공한다.
제1,2버팀부(220,320)가 이동형인 경우 관로(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1,2버팀부(220,320)를 이동하여 관로(2)의 삽입공간을 확보한 후 관로(2)를 기울이지 않고 삽입하고, 관로(2)의 삽입을 완료한 후 제1,2버팀부(220,320)를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켜 관로 시공부(1)를 지지한다.
(S40) 되메우기.
관로(2)의 시공을 완료한 후 관로 시공부(1)를 되메우기 한다.
(S50) 조립식 안전시설 철거.
흙막이재(400)를 먼저 인양하여 철거한 후 제1,2프레임(200,300)을 철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2프레임(200,300)을 분리한 후 제1,2프레임(200,300)을 하나씩 인양하여 철거한다.
<실시예 2>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은, 제1,2프레임(200,300)의 제1,2버팀부(220,320)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절대(600)를 포함하여 관로 시공부(1)의 크기에 맞춰 사용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점이 있다.
간격조절대(600)는 양측이 제1,2버팀부(220,32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2벽체 지지부(210)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며, 각관, 원형관, 앵글, 빔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간격조절대(600)는 자신의 길이를 통해 간격을 조절한 것이며, 좀 더 미세한 간격조절을 통해 제1,2벽체 지지부(210,310)를 흙막이재(400)와 관로 시공부(1)의 벽에 견고하게 밀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제1,2프레임(200,300)의 제1,2버팀부(220,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대(610,620), 제1,2지지대(610,6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2지지대(610,62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구(630)로 구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구(630)는 턴버클식 및 스크류 써포트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를 이용한 관로 시공 공법은 전술한 실시예 1의 시공 공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은, 사용을 완료한 것을 관로(2)를 시공하는 곳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프레임(200,300)의 횡대(212,312) 중에서 가장 상부에 배치되는 횡대(212,312)의 바람직하게 상면에는 운반 레일(215)이 형성되고, 수직대(211,311)의 저부에는 구름부재로서 롤러(216)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조립식 안전시설(100-1,100-2,100-3,100-4)을 설치한 후 관로(2)를 시공할 때, 가장 먼저 설치한 제1조립식 안전시설(100-1)에서 관로(2)의 시공 작업을 완료한 경우 제1조립식 안전시설(100-1)을 인양한 후 롤러(216)를 제2조립식 안전시설(100-2)의 운반 레일(215) 위에 탑재하고 밀거나 당겨 제2 내지 제4조립식 안전시설(100-2,100-3,100-4)를 따라 다음 시공 위치로 운반한다. 제1조립식 안전시설(100-1)을 다음 시공 위치에 삽입 설치한다.
조립식 안전시설(100)은 경량이면서 롤러(216)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운반됨으로써 소수 인원의 작업자가 운반할 수 있다.
1 : 관로 시공부, 2 : 관로
100 :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200,300 : 제1,2프레임
210,310 : 제1,2벽체 지지부, 211,311 : 수직대
212,312 : 횡대, 213,313 : 근입장재
214,314 : 버팀부 레일, 220,320 : 제1,2버팀부
221,222,321,322 : 상하측 버팀간, 223,323 : 연결간
224 : 정렬홈, 324 : 정렬돌기
400 : 흙막이재, 500 : 결속수단
600 : 간격조절대,

Claims (12)

  1. 지중의 관로 시공부의 마주하는 벽 중에서 일측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일측면에 상기 벽체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버팀부,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배면과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 사이에 설치되는 흙막이재로 이루어진 제1,2프레임이 상기 관로 시공부 안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2벽체 지지부가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체에 지지되면서 제1,2버팀부가 서로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관로 시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의 벽체 지지부는, 저부가 상기 관로 시공부의 바닥부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대, 상기 수직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2단 이상의 횡대를 통해 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2프레임의 제1,2버팀부는, 일측이 상기 제1,2프레임의 수직대와 횡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버팀간, 상기 버팀간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다른 버팀부와 조립되는 연결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의 횡대는 상기 수직대의 상부에 형성되면서 상면에 운반 레일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2프레임의 수직대의 저부에는 구름부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름부재가 이웃하는 것의 운반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의 제1,2버팀부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대는 상기 제1,2프레임의 제1,2버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대, 상기 제1,2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지지대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의 제1,2버팀부는 서로 다른 높이의 2개의 버팀간, 상기 2개의 버팀간을 연결하는 연결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팀간 중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버팀간은 상기 제1,2프레임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 시공부에 시공되는 관로와 간섭없이 제1,2프레임을 버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의 수직대의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로 시공부의 지중에 근입되는 근입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근입장재는 상기 수직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거나 상기 근입장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재는 평평한 판재, 요철형의 판재, 토목섬유, 메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버팀부는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에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현장에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의 횡대는 버팀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2프레임의 제1,2버팀부는 상기 버팀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12. 청구항 1에 의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으로서,
    지중에 관로(2)의 시공을 위하여 지반을 터파기하여 홈 형태의 관로 시공부(1)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시공된 관로 시공부에, 청구항 1에 의한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100)을 연쇄적으로 시공하되, 관로 시공부의 마주하는 벽 중에서 일측의 벽을 지지하는 제1,2벽체 지지부(210,310) 및 상기 제1,2벽체 지지부의 일측면에 상기 벽체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버팀부(220,320)로 이루어진 제1,2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관로 시공부의 벽 사이에 흙막이재(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흙막이재의 어셈블리를 단일 작업을 통해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보호를 받으면서 상기 관로 시공부의 바닥부에 관로를 설치 및 관이음하여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관로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기 제2단계에서 설치한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철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관로 시공부를 되메우기한 후 노면을 정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인양하여 하부의 구름부재를 이웃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의 운반 레일에 올려 놓은 후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을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KR1020140160951A 2014-11-18 2014-11-18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KR10168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51A KR101688048B1 (ko) 2014-11-18 2014-11-18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51A KR101688048B1 (ko) 2014-11-18 2014-11-18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75A KR20160059275A (ko) 2016-05-26
KR101688048B1 true KR101688048B1 (ko) 2017-01-02

Family

ID=5610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51A KR101688048B1 (ko) 2014-11-18 2014-11-18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14A (ko) 2018-03-15 2019-09-25 윤택규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2314877B1 (ko) 2021-02-04 2021-10-18 신동훈 트렌치형 2열 시트파일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715B1 (ko) * 2019-12-19 2022-07-25 유치윤 작업자 안전을 위한 관로공사용 흙막이 구조물
KR102438637B1 (ko) * 2020-04-21 2022-08-31 박창군 관로 시공용 흙막이 장치
KR102186630B1 (ko) * 2020-08-18 2020-12-03 청원건설(주)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903Y1 (ko) * 2004-07-16 2004-11-09 주식회사 신기술건설 흙막이용 패널 조립체
KR101256938B1 (ko) * 2012-08-28 2013-04-25 선주토건주식회사 흙막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821A (ja) * 1981-10-13 1983-04-19 Nippon Steel Corp 掘削溝の土留工法及び土留保持枠
KR200416567Y1 (ko) 2006-03-04 2006-05-19 (주)한국에어로테크 파일 챔버식 흙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903Y1 (ko) * 2004-07-16 2004-11-09 주식회사 신기술건설 흙막이용 패널 조립체
KR101256938B1 (ko) * 2012-08-28 2013-04-25 선주토건주식회사 흙막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14A (ko) 2018-03-15 2019-09-25 윤택규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2314877B1 (ko) 2021-02-04 2021-10-18 신동훈 트렌치형 2열 시트파일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75A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048B1 (ko)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JP6286389B2 (ja) 足場モジュール及び足場アセンブリ
KR101474515B1 (ko) 버팀대와 흙막이패널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 시공 공법
US9163418B2 (en) Removable and re-useable construction safety barrier
KR101751496B1 (ko) 경량의 복공판과 받침대를 매개로 한 개착식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공법
JP7212113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
EP2978902A1 (en) A shuttering support and related system
WO2017135238A1 (ja) 山留め工法及び支保工システム
KR101257215B1 (ko) 루프 구조체 및 이 시공 방법
KR101990349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JP7265259B2 (ja) 門形親綱支柱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1169785B1 (ko) 루프 구조체 및 이 시공 공법
KR102186630B1 (ko)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KR101543421B1 (ko) 관로시공 겸용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와 지중 관로 시공 공법
JP6856949B2 (ja) 足場の支持装置
US10689811B2 (en) System,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raised ground cover mat
KR101378097B1 (ko) 복공판
KR101724407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JP6441842B2 (ja) 箱形ルーフ用筒体
KR102526362B1 (ko) 하향식 콘크리트 타설 방식을 이용한 수직구 구조물의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05086A (ko)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KR101248860B1 (ko) 개착공법용 가시설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개착공법용 가시설 구조물
KR200466789Y1 (ko) 시공성 및 휨인성이 우수한 암파쇄 방호장치
JP6247893B2 (ja) 吊り足場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