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305A -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305A
KR20190108305A KR1020180029642A KR20180029642A KR20190108305A KR 20190108305 A KR20190108305 A KR 20190108305A KR 1020180029642 A KR1020180029642 A KR 1020180029642A KR 20180029642 A KR20180029642 A KR 20180029642A KR 20190108305 A KR20190108305 A KR 2019010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solar module
air
support frame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132B1 (ko
Inventor
김주형
조덕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형
조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조덕현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18002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1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지붕이 설치되며, 배기 통로가 형성된 양측벽과 각각 이격된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감된 측벽 마감부재와, 상기 측벽 마감부재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비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비 유입 방지부재가 구비된 지지 골조; 상기 지지 골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지지 골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면서, 배기된 실내의 공기를 통해 상기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환기부와 같이 구동시 전원이 필요한 기기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측벽 마감부재와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의 상부는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마감되고, 상기 지지 골조의 상부에는 상기 환기부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공기 통공이 복수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골조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의 배기를 위해서 설치된 환기부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야 구동되는 장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 가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작업용이 및 시간이 감소되며, 환기부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킴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VENTILATION TYPE ROOF MONITOR WITH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등의 건축물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에 태양광 발전기능을 겸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의 대형 시설물은 그 용도의 특성에 따른 각종 분진 및 가스 등이 발생 되어 실내 공기가 쉽게 오염된다. 오염된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대형시설물들은 통풍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대형 시설물에 적용되는 통풍장치는 크게 강제통풍수단과 자연통풍수단으로 구분되는데, 자연통풍수단은 재차 루프타입(Roof-Type)과 그릴타입(Grll-Type) 및 댐퍼타입(Damper-Type) 통풍장치로 구분된다.
여기서, 루프타입 통풍장치(이하 "지붕 모니터"라 함)는 건물의 지붕보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직사각틀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기초 골격으로 구성하고 지지프레임의 저면과 측면에 각각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개구부와 스커트 지붕을 갖는 통풍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지붕 모니터는 대형시설물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풍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668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316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환기하도록 유입시키는 환기공간에 건물 내부에 환기로 배출되는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회전되는 댐퍼에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형성하고, 댐퍼를 회전하는 작동구에 제어부를 형성하여 계절별, 요일별로 설정된 배출량에 따라 센서의 감지된 회전량으로 작동구를 구동하여 댐퍼의 개방각을 제어하는 배기량이 조절되는 환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작동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부터 천장까지 배선을 통해 연결하여야 하므로 설치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풍구를 임의적으로 제어, 단속할수 있는 개폐수단을 부여되게 함으로서, 우천시 빗물의 실내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실내의 오염 정도 및 난방 유무에 따라 환기량을 선택적으로 조절가능케 하는 루프 모니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역시 루버를 개폐시키는 동력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건물벽에서 천정을 통해 배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6684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3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지지 골조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의 배기를 위해서 설치된 환기부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야 구동되는 장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 가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작업용이 및 시간이 감소되며, 환기부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킴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는, 지붕이 설치되며, 배기 통로가 형성된 양측벽과 각각 이격된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감된 측벽 마감부재와, 상기 측벽 마감부재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비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비 유입 방지부재가 구비된 지지 골조; 상기 지지 골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지지 골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면서, 배기된 실내의 공기를 통해 상기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환기부와 같이 구동시 전원이 필요한 기기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측벽 마감부재와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의 상부는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마감되고, 상기 지지 골조의 상부에는 상기 환기부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공기 통공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저면에는 냉각 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냉각돌출부가 형성된 냉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공은 하부는 면적이 넓고 상부는 면적이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과 상기 환기부의 사이에 실내 공기의 배기 방향을 유도하는 배기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도부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개폐되는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골조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의 배기를 위해서 설치된 환기부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야 구동되는 장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 가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작업용이 및 시간이 감소되며, 환기부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킴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저면에 냉각 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냉각부재를 구비하여 냉각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의 댐퍼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의 댐퍼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유도부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의 댐퍼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의 댐퍼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유도부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100)는 지지 골조(110), 배기 가이드 부재(120), 비 유입 방지부재(124),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26), 태양광 모듈(130), 환기부(140), 배기 유도부(150) 및 댐퍼부(160)를 포함한다.
지지 골조(110)는 건물의 실내 공기가 지붕(111)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받침 골조(112)와, 받침 골조(112)의 상부에 직립 연결되는 상부 골조(114)로 구성된 골조에 설치되어 환기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상부 골조(114)는 상단에 단면 형상이 파형 형태인 천장 마감부재(119)가 마감 설치되도록 천장 골조(116)가 구비되며, 양측벽에 공장 등과 같이 건물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 통로(118)가 각각 형성된다.
배기 가이드 부재(120)는 상부 골조(114)의 양쪽에서 연장된 연장부재(115)에 의해 각각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실내에서 골조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이다. 이때, 배기 가이드 부재(120)는 단면 형상이 대칭된 원호 형태 등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배기 가이드 부재(120)의 바깥쪽에는 단면 형상이 파형 형태인 측벽 마감부재(122)가 설치된다. 측벽 마감부재(122)는 배기 가이드 부재(120)를 덮어 골조가 외풍이나 빗물 등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더욱이, 측벽 마감부재(122)는 상부가 태양광 모듈(130)로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벽 마감부재(122)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측벽 마감부재(122)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사이를 통해 환기용 모니터의 내부 및 외부로 출입하여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비 유입 방지부재(124)는 상부 골조(114)의 양쪽에서 연장된 연장부재(115)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 형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배기 통로(118)를 통해 배기되게 하면서 비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때, 비 유입 방지부재(124)는 측벽 마감부재(122)와 함께 상부가 태양광 모듈(130)로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26)는 상부 골조(114)의 양측벽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비의 유입을 보조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물로, 상부 골조(114)의 양측벽에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결된다.
태양광 모듈(130)은 천장 골조(116)의 상단에 마감된 천장 마감부재(119)의 상면에 설치되어 환기부(140) 등과 같이 구동시 전원이 필요한 장치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도록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태양광 모듈(130)에는 충전식 배터리(도면에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환기부(140) 등에 필요시 공급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지상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무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환기부(140)는 지붕(111)과 이격된 하측인 받침 골조(112)의 천장 저면에 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환기부(140)는 건축물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상승 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건축물 실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고자 할 때에는 역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배기 유도부(150)는 지붕(111)과 이격된 하측인 받침 골조(112)의 상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실내 공기가 지붕(111)과 배기 가이드 부재(12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기의 배출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때, 배기 유도부(150)는 1, 2차 경사면을 갖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차 경사면을 통해 공기가 배기 통로(118)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성을 갖게 한다.
댐퍼부(160)는 회전 과정에서 상부 골조(114)의 내부 공간을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는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부 골조(114)의 하단 중심에 축(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공장 등의 내부에서는 오염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장 내에서 오염된 공기가 발생 되지 않을 경우, 댐퍼부(160)는 상부 골조(114) 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의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부(160)는 상부 골조(114) 상에서 개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퍼부(160)는 상부 골조(114)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댐퍼 개폐 구동부(162)에 의해 개폐 여부 및 개폐량 조절 등이 가능하며, 일 예로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100)는 기본적으로 상부 골조(114)의 양측벽에 형성된 배기 통로(118)에 의해 공장 등의 건물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 경로를 확보하여 배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배기 가이드 부재(120)의 안쪽과, 배기 통로(118)에 비 유입 방지부재(124)와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26)가 각각 설치되어 배기 통로(118)를 통해 비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받침 골조(112)의 천장 저면에 환기부(140)를 설치하여 건물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할 수 있으므로 배기 효율 역시 증대하는 요소가 되면서, 환기부(1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천장 골조(116)의 상단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130)에 의해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받침 골조(112)의 상면에 배기 유도부(150)를 설치하여 건물의 실내 공기가 지붕(111)과 배기 가이드 부재(12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기의 배출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댐퍼부(160)와 댐퍼 개폐 구동부(162)에 의해 상부 골조(114)의 내부 공간을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200)는 지지 골조(210), 배기 가이드 부재(220), 비 유입 방지부재(224),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226), 태양광 모듈(230), 환기부(240), 배기 유도부(250) 및 댐퍼부(260)를 포함하며, 지지 골조(210)와 배기 유도부(250)의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골조(210)는 앞선 그것과 같이 받침 골조(212)와, 상부 골조(214)로 구성되면서 상부 골조(214)의 상단에 구비된 천장 골조(216)와 천장 마감부재(219)에 공기 통공(216a)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상이하다.
즉, 공기 통공(216a)은 환기부(240)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230)의 저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230)은 상면 대비 저면의 온도가 낮을 때 발전 효율이 가장 좋으므로 이를 위해 저면을 냉각하는 것이다.
이때, 공기 통공(216a)은 하부는 면적이 넓고 상부는 면적이 좁은 형태를 유지하는 하광상협(下廣上狹)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도부(250)는 댐퍼부(260)가 개방된 시점에서 태양광 모듈(230)의 저면을 냉각할 때 환기부(240)에 의해 강제 배기된 공기가 태양광 모듈(230)의 저면을 향해 통과하도록 개방홀(252)이 형성된다.
개방홀(252)은 배기 유도부(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slit)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홀(252)은 구동부(256)의 구동에 의해 개폐부재(254)를 이동시켜 개방 또는 폐쇄가 구현된다.
즉, 개폐부재(254)는 일단은 배기 유도부(25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된 구동부(256)에 의해 이동되며, 개방홀(252)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개폐홀(254a)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개폐부재(254)는 평상시에는 개폐홀(254a)이 개방홀(252)과 개방홀(252)의 사이에 오도록 위치되어 있다가 태양광 모듈(230)의 냉각이 요구되면 구동부(256)에 의해 개폐홀(254a)들이 개방홀(252)들과 중첩된 위치로 이동되면서 바람이 통과하도록 한다.
반대로, 태양광 모듈(230)의 냉각이 완료되면 구동부(256)에 의해 개폐부재(254)의 개폐홀(254a)이 개방홀(252)과 개방홀(252)의 사이에 오도록 위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태양광 모듈(230)의 저면에 공냉에 의한 냉각 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냉각돌출부가 설정간격마다 돌출 형성된 냉각부재가 구비되어 냉각 효율 향상과 함께 태양광 모듈(230)의 저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냉각부재는 알루미늄 재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공 형성된 내부에 열전달매체가 순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태양광 모듈(230)의 저면에 냉각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천장 마감부재(219)는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11은 지붕이고, 215는 연장부재이고, 218은 배기 통로이고, 222는 측벽 마감부재이고, 262는 댐퍼 개폐 구동부이며, H는 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100)는 태양광 모듈(130)에서 발전에 의해 얻은 전기를 이용하여 환기부(140)를 작동시키다가 태양광 모듈(130)의 냉각이 요구되면 댐퍼부(16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개폐부재(154)를 이동시켜 배기 유도부(150)에 형성된 개방홀(152)과 개폐부재(154)의 개폐홀(154a)을 중첩시키게 된다. 이렇게 중첩된 개방홀(152)과 개폐홀(154a)을 거쳐 환기부(140)에 의해 건물 실내에서 배기된 공기를 공기 통공(116a)으로 안내하여 태양광 모듈(130)의 저면을 냉각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환기용 모니터 110, 210: 지지 골조
112, 212: 받침 골조 114, 214: 상부 골조
116, 216: 천장 골조 216a: 공기 통공
120, 220: 배기 가이드 부재 124, 224: 비 유입 방지부재
126, 226: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 130, 230: 태양광 모듈
140, 240: 환기부 150, 250: 배기 유도부
160, 260: 댐퍼부

Claims (4)

  1. 지붕이 설치되며, 배기 통로가 형성된 양측벽과 각각 이격된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감된 측벽 마감부재와, 상기 측벽 마감부재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비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비 유입 방지부재가 구비된 지지 골조;
    상기 지지 골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지지 골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면서, 배기된 실내의 공기를 통해 상기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환기부와 같이 구동시 전원이 필요한 기기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측벽 마감부재와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의 상부는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마감되고,
    상기 지지 골조의 상부에는 상기 환기부의 구동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공기 통공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저면에는 냉각 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냉각돌출부가 형성된 냉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공은 하부는 면적이 넓고 상부는 면적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과 상기 환기부의 사이에 실내 공기의 배기 방향을 유도하는 배기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도부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개폐되는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KR1020180029642A 2018-03-14 2018-03-14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KR10215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42A KR102157132B1 (ko) 2018-03-14 2018-03-14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42A KR102157132B1 (ko) 2018-03-14 2018-03-14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05A true KR20190108305A (ko) 2019-09-24
KR102157132B1 KR102157132B1 (ko) 2020-09-17

Family

ID=6806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42A KR102157132B1 (ko) 2018-03-14 2018-03-14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1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7623U (ja) * 1983-05-16 1984-11-28 日新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式排気筒
KR0173316B1 (ko) 1990-11-27 1999-02-01 오스카르 피세러; 베른하르드 요트. 얀스 결정화에 의한 액체 혼합물에서의 물질 분리용 장치
KR100436684B1 (ko) 2001-11-02 2004-06-22 김정훈 전력 및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 장치
JP2009024397A (ja) * 2007-07-19 2009-02-05 Kubota Matsushitadenko Exterior Works Ltd 屋根の棟換気システム
KR20110128094A (ko) * 2010-05-20 2011-11-2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태양전지의 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130077305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승원엔지니어링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7623U (ja) * 1983-05-16 1984-11-28 日新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式排気筒
KR0173316B1 (ko) 1990-11-27 1999-02-01 오스카르 피세러; 베른하르드 요트. 얀스 결정화에 의한 액체 혼합물에서의 물질 분리용 장치
KR100436684B1 (ko) 2001-11-02 2004-06-22 김정훈 전력 및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 장치
JP2009024397A (ja) * 2007-07-19 2009-02-05 Kubota Matsushitadenko Exterior Works Ltd 屋根の棟換気システム
KR20110128094A (ko) * 2010-05-20 2011-11-2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태양전지의 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130077305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승원엔지니어링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132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2194B1 (ja) 吸排気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スキンシステム
EP1785675B1 (en) Ventilation arrangements
KR101764703B1 (ko) 중간흡배기모듈이 구비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지붕
KR101892913B1 (ko) 스마트 버섯재배사
US20180245807A1 (en) Solar powered roof ventilation system
AU2006348055B2 (en) A curtain wall with an air spa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JP4171014B2 (ja) 空気式集熱部材および空気式太陽集熱換気システム
KR101414506B1 (ko) 확장형 지붕 모니터
KR20190108305A (ko) 태양광 발전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모니터
JP3944181B2 (ja) 建物空調システム
JP2020096565A (ja) 栽培ハウス
KR100628982B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374308Y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110107512A (ko) 바닥용 디퓨저
FI109045B (fi) Kaksikuorinen fasadi
KR101521196B1 (ko) 건축물의 송풍 시스템
KR20130114967A (ko) 자연환기가 가능한 친환경 건물
JP3168018U (ja) 建造物用太陽光発電装置
JPH0712869U (ja) 太陽熱利用建築物
JP2000064543A (ja) 建物に設置した太陽電池の冷却構造
JP3202448B2 (ja) 建物及び建物の改装方法
JP3198319B2 (ja) 建物の自然換気装置
JP4430369B2 (ja) 熱気の排気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ブラインド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KR102409729B1 (ko)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