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257A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8257A KR20190108257A KR1020180029549A KR20180029549A KR20190108257A KR 20190108257 A KR20190108257 A KR 20190108257A KR 1020180029549 A KR1020180029549 A KR 1020180029549A KR 20180029549 A KR20180029549 A KR 20180029549A KR 20190108257 A KR20190108257 A KR 201901082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or
- power cable
- rod
- adapter
- bol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0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3 cross-link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44 Liquid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79 medium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1 medium-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62 ultra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0126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55 nanop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ne conductor screwing into anoth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8—Conductive members located parallel to axis of screw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H01R4/363—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with intermediate part between tip and conductive memb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conductor)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절연지 등을 감아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 미터 또는 수십 킬로미터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가공선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중간 접속함은 테이프형 접속함 (TJ), 프리화브형 접속함 (PJ), 프리몰드형 접속함 (PMJ), 이종접속함 등이 있고, 상기 종단접속함에는 케이블의 도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기중 종단접속함(EB-A), 가스중(Gas) 종단접속함(EB-G)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EB-O) 등이 있다.
상기 기중 종단접속함(EB-A)는 옥외용은 옥외변전소에서 가공선과 지중선을 상호연결 접속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스중 종단접속함(EB-G)는 주로 옥내변전소에 설치되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타 건축물과 이격 거리가 제약을 받을 때 사용되며, 상기 유중 종단접속함(EB-O)는 가스중 종단 접속함과 유사하며 케이블과 변압기를 유중케이스 내에서 접속할 때 사용된다.
상기 종단접속함은 절연유(Oil)이 저장된 애관, 상기 애관에 삽입되는 전력케이블, 일단은 상기 전력케이블 내부에 도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애관의 외부에 노출된 도체 인출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를 맞닿게 한 후 압착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압착의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고, 절연층의 탈피과정에서 도전성 물질의 비산으로 잠재적 품질리스크를 가지며, 상당한 작업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가 상기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인출봉과 상기 어댑터는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인출봉은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의 두게는 0.1 mm 내지 1.0 mm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가 상기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삽입되는 중에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서 상기 어댑터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기 수용홈의 내주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가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중에 상기 수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 인출봉은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어댑터의 삽입 높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삽입되는 중에 상기 어댑터가 소정높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기 수용홈의 내주에 형성된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어댑터가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중에 상기 수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어댑터의 삽입 높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체 입자가 수용될 수 있는 도체입자 수용홈과,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가 삽입되는 도체부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체결홀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도체부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사이의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주입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이 최소화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입자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되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어댑터를 통해 전력케이블과의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용이하게 주입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면에 주입된 도체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접속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전력케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력케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전력케이블과 도체 접속장치가 구비된 종단접속함(10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기중 종단접속함의 구조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은 가스중 종단접속함(EB-G)을 비롯한 다양한 접속함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종단접속함(1000)은 절연유(13)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애관(1), 상기 애관에 고정되는 전력케이블(100) 및 일단은 전력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애관(1)의 외부에 노출된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한다.
상기 애관(1)은 절연유(13)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애관(1)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애관 바디, 상기 애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애관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금구(14), 상기 애관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애관 바디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금구(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유(13)는 전력케이블(100)과 상기 애관(1) 내주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여 상기 애관(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애관(1)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애관(1)은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애관(1)의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주름 또는 돌기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주름 또는 돌기부(11)에 의해 절연거리를 증가시키면 절연내력이 향상된다. 상기 애관(1)은 절연내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적당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자기 또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애관(1)에 고정되며, 상기 애관(1)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상단부는 상기 애관(1) 상부에서 도체로 구비된 도체 인출봉(70)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는 구리,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진 단선 또는 복수의 도선이 연합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체부(10)의 직경,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11)의 직경 등을 포함하는 규격은 이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100)의 송전압,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가 다수의 소선(11)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소선(11)들이 절연된 상태로 구비되면 표피효과로 인한 도체 저항을 줄임으로써 전력 전송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구성하는 내부 반도전층(20)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들뜸을 유발하는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 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은 상기 절연층(30)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 국부적인 전계집중 완화 및 외부로부터 절연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과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30)은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고압 케이블의 경우에는 기존의 OF케이블이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 케이블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최외부에 구비되는 외피(60)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케이블(100)의 말단부에는 도체부(10)가 노출된다.
즉,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케이블(100)의 끝단은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상기 외피(60), 차폐층(50), 외부 반도전층(40), 절연층(30) 및 내부 반도전층(20)이 제거되어 상기 도체부(10)의 말단부를 노출시킨다.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끝단을 제외하면,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절연층(30) 및 외부 반도전층(40)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애관(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도체부(10), 절연층(30), 및 외부 반도전층(40)이 상기 애관(1)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애관(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30)이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의 일부가 제거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상기 애관(1) 내부에 삽입된 상태라면, 내부 반도전층과의 사이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외부 반도전층(40)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40) 및 절연층(30)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관(1)의 내부에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1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170)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 반도전층(40)과 연결되는 반도전부(173), 상기 반도전부(173)를 감싸는 절연부(1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170)의 외곽에 구비된 상기 절연부(171)는 일 예로서 액상 실리콘 고무(LSR)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전계완화콘(170)의 외곽에 구비되어 절연성능을 담보하게 된다.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상부금구(1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하단부는 상기 도체부(10)의 말단부에 결합하고, 상단부는 상기 애관(1)의 외부에 노출되는 도전성 부재에 해당한다.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선 절연 전력 케이블(100)을 접속하는 경우, 소선의 절연을 제거하고 도체 인출봉에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상기 도체 인출봉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체 인출봉(70) 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그 중심부에 도체 입자(mp)를 주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종단접속함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80)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어댑터(80)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71a)(도 5 참조)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730)을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와,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에 수용된 도체부(1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수용홈(71a) 중 도체부가 삽입되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공간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는 상기 어댑터(80)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어댑터(80)에 삽입된 길이는 상기 어댑터(80)의 전체길이에 비해 작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를 상기 어댑터(80)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8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어댑터(80)에 삽입한 다음,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수용공간(82)에 투입하여 상기 수용공간(82)을 상기 도체 입자(mp)로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되므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어댑터(80)의 내측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에 투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도체 입자(mp)의 유실을 방지하고 상기 도체부(10)를 안정적으로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댑터(80)는 상기 도체부(10)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82)을 형성하도록 적절한 강성을 가져야 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해야 하므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소정 이상의 토크를 가하는 경우에 관통될 수 있는 범위의 강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80)는 본 발명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에서 상기 도체부(10)의 측면과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의 내측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통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80)는 대략 0.5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지는 구리 재질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댑터(80)의 내측에는 상기 도체부(10)가 삽입되므로 상기 어댑터(80)의 내경(R1)은 대략 상기 도체부(1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거나 소정값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80)는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어댑터(80)의 외경(R2)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경(R3)(도 4 참조)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거나 소정값만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어댑터(80)에 삽입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711)(도 4 참조)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710, 7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개구부(711)가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71a)을 제공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1)는 내부에 수용홈(71a)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서 연장된 연장부(73)는 전술한 종단접속함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가공선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71)에 비해 상기 연장부(73)가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부(71)와 상기 연장부(73) 사이에 경사연결부(7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73)에서 상기 경사연결부(74)를 통해 상기 몸체부(71)와 연결되며, 상기 경사연결부(74)를 통해 상기 연장부(73)에서 상기 몸체부(71)를 향해 외경이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는 복수 개의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기 위한 통전용 체결홀(710)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71)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730)이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몸체부(71)의 하부,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홀(730)이다.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면, 상기 도체부(10)는 체결부위가 소성 변형 또는 관통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길이방향, 또는 도 3에서 수직방향으로 도체부(10)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의 도체 입자(mp)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 상부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용 체결홀(730) 역시 상기 몸체부(71)의 하부 영역,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 영역에 상기 몸체부(7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위치에서 각각의 위치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체결홀들은 상기 몸체부(71)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71)의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고정 효과를 도체부(10)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고, 통전용 볼트(310)에 의한 도체 입자(mp)의 압축 효과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공구로 토크가 인가되는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체결 완료 시 파단되는 영역이고 상기 몸체부는 체결 완료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진입하여 체결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단되어 분리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며, 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 아래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아래에 형성되는 상기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볼트 체결홀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전용 볼트(310)와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 깊이에 따른 체결력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헤드부가 파단되는 파단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파단 볼트로 구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는 종단접속함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접속구조 외측에 절연유 등이 충전되며, 전계집중 방지 등의 이유로 볼트 헤드 등이 전력케이블(100)의 단부에 연결되는 도체 인출봉(7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구조여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도체 접속구조의 도체 접속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방법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하여 상기 어댑터(80)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단계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의 수용공간(820)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와,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상기 어댑터(80)가 고정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삽입된 접속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 사이에 별도의 도체 입자(mp)를 삽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내측 방향으로 체결하여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여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은 도체부(10) 단부의 균일한 면접촉이 쉽지 않아 저항이 증가될 수밖에 없고, 절연 피막을 탈피한 후 압착하는 방법은 훨씬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어댑터(80)를 고정하고,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의 수용공간(82)에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고,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한 후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를 고정하고,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이 최소화되고 도체 입자(mp)들이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의 전기적 연결을 완료하여 전력케이블(100)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접속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여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상기 어댑터(8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어댑터(80)에 삽입된 길이는 상기 어댑터(80)의 전체길이에 비해 작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를 상기 어댑터(80)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8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82)은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의 수용공간(82)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어댑터(8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82)으로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수용공간(82)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통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도체 입자(mp)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체 입자(mp)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금속 와이어를 잘게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 입자(mp)는 구리, 은, 구리합금, 은합금, 은도금구리, 은합금도금구리, 은도금구리합금, 은합금도금구리합금, 구리도금은, 구리합금도금은, 구리도금은합금, 구리합금도금은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들의 재질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이라면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한 다음,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수용홈(71a)으로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을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체결할 필요가 없다. 이는 상기 도체 입자(mp)는 상기 어댑터(8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이 개방된 상태라고 하여도 상기 도체 입자(mp)가 누설된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천장에 닿을 때까지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82)이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천장에 의해 압축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어댑터(8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82)의 높이는 제1 높이(H1)라고 하면,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의 내측에 삽입된 후의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는 제2 높이(H2)로 표시되는데, 상기 제2 높이(H2)가 상기 제1 높이(H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은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에 닿은 다음, 소정길이만큼 더 삽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한 후의 상기 수용공간(82)의 체적이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하기 전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수용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에 삽입한 다음,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도체부(10)를 통전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본 체결과정에서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와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입자들 사이에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며 상기 도체 입자간 접촉면적 및 상기 도체입자와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본체결이 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부(10)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하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나사산이 형성된 부분)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형상을 반구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를 본 체결하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어댑터(8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82)에 도체 입자(mp)가 충진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다.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는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mp)들에 함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몸체부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와 상기 도체부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용 볼트(330)에 의해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통전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용 볼트(330)와 통전용 볼트(310)는 모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어댑터(80)를 관통하게 된다.
이경우, 상기 어댑터(80)는 상기 도체부(10)가 삽입되는 중에도 형상을 유지해야 하므로 대략 0.5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볼트(330)와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도록 체결하는 공정에서 작업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80)가 관통되지 않으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져서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이 벌어질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차이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전력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종단접속함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는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어댑터(80)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730)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삽입되는 중에 상기 어댑터(80)가 소정높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71d)이 상기 수용홈(71a)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체 인출봉(70)은 내측에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상기 수용홈(71a)은 도체부 수용홈(71d)과 도체입자 수용홈(71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은 그 내경(R3)이 대략 상기 어댑터(80)의 외경(R2)에 대응하거나, 소정값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80)가 고정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경은 상기 어댑터(80)의 내경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도체부(1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80)는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과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 사이에는 상기 수용홈(71a)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턱(71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71b)의 상부에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71b)의 하부에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이 형성된다.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어댑터(80)를 상기 도체부(10)의 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에 도체 입자(mp)를 주입한 다음,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도체 인출봉(70)의 내측에 상기 어댑터(80)가 고정된 도체부(10)를 삽입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가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을 지나 상기 걸림턱(71b)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턱(71b)에 걸려 상기 어댑터(80)의 삽입 높이가 제한된다. 반면에 상기 도체 입자(mp)는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를 지나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으로 계속 상승하여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80)는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의 내측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에는 상기 도체 입자(mp)만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80)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를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제1 높이(H1)는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높이(H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여 상기 어댑터(80)가 상기 걸림턱(71b)에 의해 삽입 높이가 제한되어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도체 입자(mp)는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측벽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에서 상기 어댑터(80)의 삽입 높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걸림턱(71b)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수용홈(71a)으로 삽입되는 중에 상기 어댑터(80)의 삽입 높이가 상기 걸림턱(71b)에 의해 제한되어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에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공극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71)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730)이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은 상기 몸체부(71)에서 상기 걸림턱(71b)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의 접속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방법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하여 상기 어댑터(80)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단계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의 수용공간(820)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와,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상기 어댑터(80)가 고정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여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상기 어댑터(8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어댑터(80)에 삽입된 길이는 상기 어댑터(80)의 전체길이에 비해 작도록 구성된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를 상기 어댑터(80)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82)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 사이의 수용공간(82)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어댑터(8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82)으로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8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수용공간(82)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한 다음,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수용홈(71a)으로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 모두에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어댑터(80)가 고정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수용홈(71a)으로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는 중에 상기 어댑터(80)의 삽입높이가 제한되어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으로 노출되므로,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 모두에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적으로 체결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고정용 체결홀(730)에 임시 체결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부가 파단되는 본 체결이 수행되면 고정용 볼트(330)에 의한 도체부(10)의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도체 소선 들이 유입되어 도체 입자(mp)의 투입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는 중에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가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을 지나 상기 걸림턱(71b)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턱(71b)에 걸려 상기 어댑터(80)의 삽입 높이가 제한된다. 반면에 상기 도체 입자(mp)는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를 지나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으로 계속 상승하여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80)는 상기 도체부 수용홈(71d)의 내측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에는 상기 도체 입자(mp)만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80)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를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제1 높이(H1)는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높이(H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여 상기 어댑터(80)가 상기 걸림턱(71b)에 의해 삽입 높이가 제한되어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도체 입자(mp)는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측벽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에 삽입한 다음, 도 7의 (c)와 같이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도체부(10)를 통전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본 체결과정에서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와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입자들 사이에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며 상기 도체 입자간 접촉면적 및 상기 도체입자와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본체결이 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상기 어댑터(80)를 관통하지 않고 바로 도체 입자(mp)에 접촉하여 가압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가 상기 걸림턱(71b)에 의해 삽입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통정요 볼트(710)를 본 체결하는 경우에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용이하고 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바로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하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나사산이 형성된 부분)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형상을 반구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를 본 체결하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측에 도체 입자(mp)가 충진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다.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는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mp)들에 함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71c)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몸체부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와 상기 도체부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도체부
70 : 도체 인출봉
80 : 어댑터
100 : 전력케이블
1000 : 접속함
70 : 도체 인출봉
80 : 어댑터
100 : 전력케이블
1000 : 접속함
Claims (20)
-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가 상기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출봉과 상기 어댑터는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두게는 0.1 mm 내지 1.0 mm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출봉은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가 상기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삽입되는 중에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서 상기 어댑터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기 수용홈의 내주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가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중에 상기 수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출봉은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어댑터의 삽입 높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어댑터;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삽입되는 중에 상기 어댑터가 소정높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기 수용홈의 내주에 형성된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어댑터가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중에 상기 수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어댑터의 삽입 높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체 입자가 수용될 수 있는 도체입자 수용홈과,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가 삽입되는 도체부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은 상기 도체입자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도체부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549A KR102614999B1 (ko) | 2018-03-14 | 2018-03-14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PCT/KR2019/000328 WO2019177248A1 (ko) | 2018-03-14 | 2019-01-09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US16/979,689 US11909156B2 (en) | 2018-03-14 | 2019-01-09 |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and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
EP19767484.9A EP3767768B1 (en) | 2018-03-14 | 2019-01-09 |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and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549A KR102614999B1 (ko) | 2018-03-14 | 2018-03-14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257A true KR20190108257A (ko) | 2019-09-24 |
KR102614999B1 KR102614999B1 (ko) | 2023-12-15 |
Family
ID=6790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549A KR102614999B1 (ko) | 2018-03-14 | 2018-03-14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909156B2 (ko) |
EP (1) | EP3767768B1 (ko) |
KR (1) | KR102614999B1 (ko) |
WO (1) | WO201917724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18813A1 (en) * | 2019-12-12 | 2021-06-1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Coaxial cable connector termination and splice unit requiring no cable prepar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2167A (ko) * | 2015-10-08 | 2017-04-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도체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
WO2018041321A1 (en) * | 2016-09-05 | 2018-03-08 | Relibond Aps |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interface-forming device and use of a cold spraying apparatus for forming a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0643A (ja) * | 1993-12-16 | 1995-07-04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ケーブル終端接続部 |
KR101108309B1 (ko) * | 2010-10-14 | 2012-01-25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종단접속함의 절연유 주입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어댑터 |
PT2608338E (pt) * | 2011-12-21 | 2014-02-2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Dispositivo de ligação de terminais para um cabo de alimentação |
CN105340145B (zh) * | 2013-06-26 | 2019-06-18 | 3M创新有限公司 | 电力电缆端子连接装置 |
JP6247962B2 (ja) * | 2014-03-05 | 2017-12-13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力ケーブルの終端接続部 |
JP2017016910A (ja) * | 2015-07-02 | 2017-01-19 | 株式会社ビスキャス | 電力ケーブルの導体接続部 |
-
2018
- 2018-03-14 KR KR1020180029549A patent/KR102614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09 WO PCT/KR2019/000328 patent/WO2019177248A1/ko unknown
- 2019-01-09 EP EP19767484.9A patent/EP3767768B1/en active Active
- 2019-01-09 US US16/979,689 patent/US1190915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2167A (ko) * | 2015-10-08 | 2017-04-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도체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
WO2018041321A1 (en) * | 2016-09-05 | 2018-03-08 | Relibond Aps |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interface-forming device and use of a cold spraying apparatus for forming a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18813A1 (en) * | 2019-12-12 | 2021-06-1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Coaxial cable connector termination and splice unit requiring no cable prepar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67768A4 (en) | 2022-04-06 |
EP3767768A1 (en) | 2021-01-20 |
KR102614999B1 (ko) | 2023-12-15 |
US11909156B2 (en) | 2024-02-20 |
WO2019177248A1 (ko) | 2019-09-19 |
US20210050679A1 (en) | 2021-02-18 |
EP3767768B1 (en) | 2024-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0622B1 (ko) |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 |
RU2659354C1 (ru) |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 |
US877767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 |
KR102547375B1 (ko)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
KR102614999B1 (ko)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
US2876190A (en) | Duct anode | |
KR102419395B1 (ko) |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 |
US3767835A (en) | Pothead termination comprising a vapor condenser and a tubular conductor extension containing a vaporizable liquid, and method | |
KR102544900B1 (ko)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
KR20140041983A (ko) |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접속함 | |
US20160172073A1 (en) | Power cable polymer joint | |
KR102500202B1 (ko) |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 |
KR102565605B1 (ko) |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 |
US3335215A (en) | Stress relief apparatus | |
US20160172835A1 (en) | Power cable polymer joint | |
CN109802351B (zh) | 全干式电缆终端和电缆组件及其制造、组装或改进方法 | |
JP6628245B2 (ja) | 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 |
US6617512B2 (en) | Wall feedthrough | |
KR102545397B1 (ko) |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 |
KR102547374B1 (ko) |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 |
KR102096111B1 (ko) | Dc 케이블용 중간접속함 | |
KR20190106532A (ko) |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 |
US20240235070A1 (en) | Multi-Dimensional, Flux-Excluding, Low-Inductance Electrical Interconnect | |
US3378627A (en) | Adaptors for terminating devices in high voltage power cables | |
JP7006828B1 (ja) | 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