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57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857A
KR20190107857A KR1020180029109A KR20180029109A KR20190107857A KR 20190107857 A KR20190107857 A KR 20190107857A KR 1020180029109 A KR1020180029109 A KR 1020180029109A KR 20180029109 A KR20180029109 A KR 20180029109A KR 20190107857 A KR20190107857 A KR 2019010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lity value
content
server
display
imag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445B1 (ko
Inventor
최창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45B1/ko
Priority to JP2019030299A priority patent/JP2019165437A/ja
Priority to US16/298,519 priority patent/US10743061B2/en
Priority to EP19768112.5A priority patent/EP3732893A4/en
Priority to CN201980018754.0A priority patent/CN111869226A/zh
Priority to PCT/KR2019/002899 priority patent/WO2019177367A1/en
Publication of KR2019010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 G06F9/30043LOAD or STORE instructions; Clear i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반려동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위한 전용 카페가 거리 곳곳에 생겨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 반려동물의 종류도 다양하여, 강아지나 고양이뿐만 아니라, 햄스터, 이구아나, 뱀 등을 키우는 사람도 적지 않다. 반려동물의 주인들은 반려동물을 키우면 많은 수고로움이 따르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면 정서적 안정감, 자신감, 책임감 등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 요인이 더 많다고 한다.
반면에, 반려동물은 활동 범위가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사육되는데, 주인들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의 시간을 홀로 보내야 한다. 홀로 남겨진 시간이 많은 반려동물일수록 정신적 불안과 우울, 신체적 무기력 등을 느끼고, 심한 경우 과도한 공격, 흥분, 자해 등의 비정상적 행동을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반려동물이 전용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하여, 심신의 안정을 유도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반려동물 전용 컨텐츠가 반려동물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일괄적인 화질 또는 음질로 제공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외면을 받아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특성을 반영한 화질 또는 음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에 대한 반려동물의 반응에 따른 화질 또는 음질의 컨텐츠를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반려동물의 집중을 유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반려동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캡처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는 음성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음성수신부에 의해 획득된 음성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음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상기 제2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3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화질값은,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제3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는,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과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화질값 및 상기 제2화질값은 주파수, 색상, 휘도 또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객체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획득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획득된 음성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음질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상기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화질값은,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제3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객체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화질 또는 음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에 대한 반려동물의 반응에 따른 화질 또는 음질의 컨텐츠를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반려동물의 집중을 유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동작 S42에서의 반려동물의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객체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식별형상모델이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객체정보와 형상모델 간의 비교를 통해 반려동물이 식별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반응정보와 반응모델 간의 비교를 통해 반려동물의 선호도가 판단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반려동물의 음성 반응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선호도가 판단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8의 동작 S44와 동작 S47에서 화질값이 결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4의 동작 S44에서 화질값이 수신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8의 동작 S43에서의 객체정보 또는 S46에서의 반응정보가 서버에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8의 동작 S45 또는 S48에서의 컨텐츠가 변경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구성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TV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장치(1)가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영상, 음성, 문자,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 TV, IP TV(Internet Protocol TV), 스마트 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 셋탑박스, 냉장고 등으로 제한없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 출력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시청 대상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위해 뉴스, 스포츠, 예능, 오락, 팝송, 드라마, 영화 등의 사용자 전용 컨텐츠 서비스뿐만 아니라, 반려견, 반려묘 등을 비롯한 다양한 반려동물을 위해 반려동물 전용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시청 대상인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에 따라, 각각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특성에 적합한 설정값을 적용하여 컨텐츠(이하, '사용자 전용 컨텐츠' 또는 '반려동물 전용 컨텐츠')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컨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적용되는 화질값 또는 음질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질값은 컨텐츠의 영상에 대한 주파수, 색상, 휘도 또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일 수 있고, 음질값은 컨텐츠의 음성에 대한 음고, 세기, 장단, 또는 음색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다만, 설정값이 화질값 또는 음질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시청 대상에 따라 화질값이 변경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 전용 컨텐츠(31)를 사용자에 맞는 화질값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다가, 반려묘 전용 컨텐츠(32)를 반려묘의 시각적 특성에 맞는 화질값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반려견 전용 컨텐츠(33)를 반려견의 시각적 특성에 맞는 화질값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시청 대상에 대응하는 전용 컨텐츠가 변경됨에 따라 화질값이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화질값의 변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시청 대상에 따라 음질값도 변경되어 변경된 음질값으로 전용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청 대상의 시각적 특성에 대응되는 화질값을 적용하여 전용 컨텐츠를 표시하면,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1)를 통해 각자의 전용 컨텐츠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시청 대상이 반려동물인 경우, 서버(5)를 통하여 식별된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화질값에 따라 전용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반려견 전용 컨텐츠(33)를 표시하는 중에, 특정 반려견(21)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객체정보를 서버(5)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5)는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21)을 식별하고,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견(21)을 식별한다는 것은, 반려견(21)의 품종, 나이, 성별,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서버(5)는 반려견(21)을 식별하거나,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의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2화질값을 서버(5)로부터 수신하고, 제1화질값을 제2화질값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전용 컨텐츠(33)를 표시함으로써, 특정 반려견(21)의 시각적 특성에 맞는 컨텐츠(33)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은,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여 변경된 화질값에 따라 반려견 전용 컨텐츠(33)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여 변경된 음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신호수신부(11), 신호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센서부(14), 음성출력부(15), 통신부(16), 저장부(17), 또는 프로세서(18)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수신부(11)는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신호수신부(11)는 CATV(Cable TV) 또는 IPTV(Internet Protocol TV) 서버로부터 케이블 영상신호 또는 IP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외부장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영상신호수신부(11)는 DVD, 스마트 폰,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영상신호수신부(11)를 통해 수신한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처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영상신호 종류에 맞는 디코딩(decod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2)는 음성수신부(142)를 통해 수신한 음성신호에 대해 음성처리를 수행하여, 음성출력부(1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신호처리부(12)는 인쇄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칩셋, 회로, 버퍼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4)는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획득부(141), 음성수신부(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41)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을 캡처하여, 캡처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수신부(142)는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센서부(14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센서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으로 출력된 적외선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에 관한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15)는 신호처리부(13)에 의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6)는 서버(5)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에 따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운영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8)는 미리 정해진 제1설정값을 적용하여 반려동물 전용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 또는 음성출력부(15)를 제어하고, 반려동물 전용 컨텐츠의 출력 중에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도록 센서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는 객체정보를 서버(5)에 전송하고, 서버(5)로부터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제2설정값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6)를 제어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제2설정값을 적용하여 반려동물 전용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 또는 음성출력부(15)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는 구성 전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 이외의 다른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 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조 시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버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 예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외하거나 다른 구성을 상기한 구성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는 전원공급부와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프로세서(18)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전원이나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디스플레이장치(1)의 각 구성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 제어를 위해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프로세서(18)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S41).
일 예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 반려견은 적록색맹에 가깝고, 낮보다 밤에 물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시각적 특성을 가지므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의 제1화질값은 사용자 전용 컨텐츠의 화질값 대비, 높은 그린값과 블루값, 낮은 레드값, 그리고 낮은 휘도를 가지도록 미리 정해지거나, 70-80Hz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는 제1화질값을 적용한 컨텐츠의 표시 중에 센서부(14)를 통하여 획득한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S42), 획득한 객체정보를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S43).
일 예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18)는 반려견 전용 컨텐츠(33)를 미리 정해진 70Hz의 주파수로 표시하는 중에 컨텐츠(33)의 시청 대상인 특정 반려견(21)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정보는 반려견(21)의 형상, 움직임, 음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는 서버(5)로부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으며(S44),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S45).
일 예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 70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컨텐츠(33)는 특정 반려견(21)의 시각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8)는 반려견의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특정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주파수, 예를 들면, 75Hz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2화질값을 서버(5)로부터 수신하고, 75Hz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변경 가능한 화질값은 주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파수, 색상, 휘도 또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개별적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적어도 2이상의 값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은,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여 변경된 화질값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여 변경된 음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동작 S42에서의 반려동물의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8)는 미리 정해진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가 표시되는 동안 이미지 획득부(1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3)의 전방을 캡처할 수 있다. 캡처의 시점과 횟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예를 들어, 컨텐츠(33)가 표시된 직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방을 캡처할 수 있다.
프로세서(18)는 캡처된 이미지(i21)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특징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징점들은 오브젝트의 형상(a1)을 이루는 경계(a2)를 의미할 수 있으며, 경계(a2)가 반려견(21)의 객체정보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8)는 경계(a2)를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미지인식 알고리즘, 예를 들어,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s) 또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5의 객체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식별형상모델이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에 관한 형상모델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반려견형상모델(dm1)을 생성하기 위해서 반려견에 관한 식별 패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71). 여기서, 식별 패치 이미지는 반려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형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하거나, 인터넷 검색 결과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식별 패치 이미지로부터 특징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S72). 여기서, 특징점들은 반려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형상을 이루는 경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식별 패치 이미지로부터 특징점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미지인식 알고리즘, 예를 들어,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s) 또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식별 패치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반려견의 형상의 경계를 다양한 기준 별로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형상의 경계를 그룹화함으로써, 반려견형상모델(dm1)을 생성할 수 있다(S73). 여기서, 반려견의 형상의 경계를 다양한 기준 별로 분류한다는 것은, 반려견의 품종, 나이, 성별, 크기, 생김새, 두상, 포즈 등에 따라 반려견의 형상의 경계를 분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반려견형상모델(dm1)은 다양한 기준 별로 그룹화되는 복수의 형상모델(dm11, dm12, dm1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5)는 반려견형상모델(dm1)을 생성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의 형상모델(cm1)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반려견형상모델(dm1)과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의 형상모델을 포함하는 식별형상모델(m1)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장치(1),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식별형상모델(m1)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은, 서버(5)가 식별형상모델(m1)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5)가 식별형상모델(m1)을 생성하는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식별형상모델(m1)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8)는 이미지 획득부(141)를 통해 캡처하거나, 인터넷 검색 결과로부터 획득하는 등의 방법으로 식별 패치 이미지를 획득하고, 다양한 이미지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식별 패치 이미지로부터 반려견의 형상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반려견의 형상의 경계를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형상의 경계를 그룹화함으로써, 반려견형상모델(dm1)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반려견형상모델(dm1)과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의 형상모델을 포함하는 식별형상모델(m1)을 저장부(17)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5)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프로세서(18)는 식별형상모델(m1)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객체정보와 형상모델 간의 비교를 통해 반려동물이 식별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에 관한 객체정보와 형상모델 간의 비교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객체정보인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를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가 식별형상모델(m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가 반려견형상모델(dm1)의 복수의 형상모델(dm11, dm12, dm13)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서버(5)는 캡처된 이미지(i21)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특정 반려견(21)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상은, 서버(5)가 특정 반려견(21)을 식별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장치(1)도 유사한 과정으로 캡처된 이미지(i21)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특정 반려견(21)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8)는 객체정보인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가 저장부(17)에 저장된 식별형상모델(m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가 반려견형상모델(dm1)의 복수의 형상모델(dm11, dm12, dm13)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프로세서(18)는 캡처된 이미지(i21)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특정 반려견(21)임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서버(5)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프로세서(18)는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21)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 중,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S41 내지 S4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8)는 제2화질값을 적용한 컨텐츠의 표시 중에 반려동물의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반응정보를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S46).
일 예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18)는 특정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 예를 들어, 75Hz의 주파수로 컨텐츠(33)를 표시하는 중에 컨텐츠(33)의 시청 대상인 특정 반려견(21)에 관한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정보는 반려견(21)의 형상, 움직임, 음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5)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한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제2화질값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반려동물의 선호도를 판단하고, 선호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제3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 서버(5)가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75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컨텐츠(33)를 반려견(21)이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75Hz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예를 들면, 78Hz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3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5)부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대응하는 제3화질값을 수신하고(S47),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S48).
일 예로,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18)는 서버(5)로부터 수신한 78Hz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변경 가능한 화질값은 주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파수, 색상, 휘도 또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개별적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적어도 2이상의 값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는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프로그램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소정 룰(Rule)에 따라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5)로부터 동작 수행을 위한 패스 룰(Path Rule)을 수신하여, 수신한 패스 룰에 따라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5)로부터 수신한 패스 룰에 따라 제2화질값을 적용한 컨텐츠(33)의 표시 중 반려견(21)의 반응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반응정보를 서버(5)에 전송하고, 서버(5)로부터 수신된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장치가 서버(5)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하고, 패스 룰에 대응하는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식별 파라미터(State Identification Parameter)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달하여 패스 룰에 따라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이 서버(5)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하면, 패스 룰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달하고, 디스플레이장치(1)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 룰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반려견 전용 컨텐츠(33)에 대한 반려견(21)의 선호도에 따라 화질값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들은 반려견(21)의 선호 반응이 나오기까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만일, 반려견(21)의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변경된 제3화질값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33)에 대해 반려견(21)의 선호 반응이 식별되면, 서버(5)는 해당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3화질값을 과거이력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되는 경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21)이 식별되면, 서버(5)는 반려견(21)의 과거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3화질값을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송하여, 제3화질값에 따라 컨텐츠(33)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반응정보와 반응모델 간의 비교를 통해 반려동물의 선호도가 판단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에 관한 반응정보와 반응모델 간의 비교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반려견반응모델(dm2)을 생성하거나 학습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은 도 6에서 도시된 반려견형상모델(dm1)을 생성하거나 학습하는 과정과 대부분 유사하므로,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서버(5)는 반려견의 반응에 관한 반응 패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 패치 이미지는 반려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형상으로서, 반려견의 반응을 나타내는 형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패치 이미지는 반려견이 무언가에 관심이 있거나 흥미를 느끼는 경우, 또는, 무관심하거나 적대시하는 경우 나타내는 표정, 포즈, 움직임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반응 패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하거나, 인터넷 검색 결과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반응 패치 이미지로부터 반려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반응 형상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이미지인식 알고리즘, 예를 들어,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s) 또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5)는 반려견의 반응 형상의 경계를 표정, 포즈, 움직임 등에 따른 반응 별로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반응 형상의 경계를 그룹화함으로써, 반려견반응모델(dm2)을 생성할 수 있다. 반려견반응모델(dm2)은 반려견의 반응에 따라 그룹화되는 선호반응모델(dm3)과 비선호반응모델(dm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5)는 반려견반응모델(dm2)과 생성하고 학습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반려동물의 반응모델(cm2)을 생성하거나 학습할 수 있고, 반려견반응모델(dm2)과 다른 반려동물의 반응모델(cm2)을 포함하는 반응형상모델(m2)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서버(5)는 디스플레이장치(1),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반응형상모델(m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버(5)는 반응형상모델(m2)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응형상모델(m2)을 마련한 서버(5)는 제2화질값에 따라 컨텐츠(33)의 표시 중에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 획득한 반려견(21)의 반응정보를 수신하고,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제3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i21)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형상(a1)을 이루는 경계(a2)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5)는 반응정보인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가 반려견반응모델(dm2)의 선호반응모델(dm3) 또는 비선호반응모델(dm4)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에 따라 제2화질값으로 표시되는 컨텐츠(33)에 대한 반려견(21)의 선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오브젝트의 형상(a1)의 경계(a2)가 비선호반응모델(dm4) 중 어느 하나의 모델과 대응되어 반려견(21)이 제2화질값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33)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호하지 않는 것에 대응하는 제3화질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3화질값을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은, 서버(5)가 반응형상모델(m2)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5)가 반응형상모델(m2)을 생성하는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반응형상모델(m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는 이미지 획득부(141)를 통해 캡처하거나, 인터넷 검색 결과로부터 획득하는 등의 방법으로 반응 패치 이미지를 획득하고, 다양한 이미지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반응 패치 이미지로부터 반려견의 반응 형상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반려견의 반응 형상의 경계를 표정, 포즈, 움직임 등에 따른 반응 별로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반응 형상의 경계를 그룹화함으로써, 반려견의 반응에 따라 그룹화되는 선호반응모델(dm3)과 비선호반응모델(dm4)을 포함하는 반려견반응모델(dm2)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반려견반응모델(dm2)과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의 반응모델을 포함하는 반응형상모델(m2)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반려동물의 음성 반응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선호도가 판단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의 음성에 관한 반응정보와 반응모델 간의 비교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3)의 전방 또는 근방으로부터 발화된 반려견(21)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음성수신부(142)를 가지며, 제2음질값을 적용한 컨텐츠(33)의 출력 중에 음성수신부(142)를 통하여 수신된 반려견(21)의 음성으로부터 음성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반응정보는 음성으로부터 검출된 음고, 세기, 장단, 음색 등과 같은 음성의 특성(b1)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서버(5)는 음성에 관한 반려견반응모델(dm5)을 생성하거나 학습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은 도 9의 형상에 관한 반려견반응모델(dm2)을 생성하거나 학습하는 과정과 대부분 유사하므로,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서버(5)는 반려견의 반응을 나타내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반려견의 반응을 나타내는 음성은, 예를 들어, 반려견이 무언가에 관심이 있거나 흥미를 느끼는 경우 발화하는 "멍멍"이나 "낑낑"과, 무관심하거나 적대시하는 경우 발화하는 "끄응", "으르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하거나, 인터넷 검색 결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서버(5)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반응 별로 분류할 수 있고, 이를 그룹화함으로써, 음성에 관한 반려견반응모델(dm5)을 생성할 수 있다. 반려견반응모델(dm5)은 반려견의 반응에 따라 그룹화되는 선호반응모델(dm6)과 비선호반응모델(dm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는 반려견반응모델(dm5)과 함께 다른 반려동물의 반응모델(cm5)을 생성하거나 학습할 수 있고, 반려견반응모델(dm5)과 다른 반려동물의 반응모델(cm5)을 포함하는 반응음성모델(m5)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서버(5)는 디스플레이장치(1),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반응음성모델(m5)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버(5)는 반응음성모델(m5)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응음성모델(m5)을 마련한 서버(5)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특성(b1)이 반려견음성모델(dm5)의 선호반응모델(dm6) 또는 비선호반응모델(dm7)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에 따라 제2음질값을 적용하여 출력되는 컨텐츠(33)에 대한 반려견(21)의 선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견(21)의 음성이 "끄응"인 경우, 그 특성(b1)은 비선호반응모델(dm7) 중 하나의 모델(dm71)과 대응되기 때문에, 서버(5)는 반려견(21)이 제2음질값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33)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음질값과 다른 제3음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는 결정된 제3음질값을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동작 S44와 동작 S47에서 화질값이 결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동작 S44에서, 서버(5)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한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반려견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화질값은, 식별된 반려견의 시각적 특성에 기초한 표준 화질값으로 구성되는 표준 테이블(61)에 기초한 것일 수 있으며, 표준 화질값은 표준 주파수(F), 표준 색상(C), 표준 휘도(L), 또는 표준 선명도(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반려견(21)이 식별된 경우, 표준 주파수(F2)가 75Hz인 제2화질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표준 주파수(F2)가 75Hz인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동작 S47에서, 서버(5)는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반려견(21)의 선호도에 대응하는 제3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화질값은, 표준 화질값을 반려견(21)의 반응에 따라 보정한 보정 화질값으로 구성되는 보정 테이블(62)에 기초한 것일 수 있으며, 보정 화질값은, 보정 주파수(F21), 보정 색상(C21), 보정 휘도(L21), 또는 보정 선명도(S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준 주파수(F2)가 75Hz인 컨텐츠(33)에 대한 반려견(21)의 비선호 반응에 대하여, 75Hz의 표준 주파수(F2)를 소정 값만큼 보정한 78Hz의 보정 주파수(F21)을 갖는 제3화질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보정 주파수(F21)가 78Hz인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표준 테이블(61) 또는 보정 테이블(62)은 화질값의 기초가 되는 정보의 일 예이므로, 화질값은 반려견(21)의 객체정보 또는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제한되지 않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서버(5)는 화질값 또는 화질값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4의 동작 S44에서 화질값이 수신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다만, 도 4의 S44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객체정보에 기초한 화질값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기초한 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컨텐츠(33)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를 통해 방송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는 각각 소정 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33)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대응하는 화질값, 즉,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가 컨텐츠(33)의 표시에 적용하는 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적용되었던 화질값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현재 적용되는 화질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현재 적용되는 화질값을 수신하는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 중 A화질값을 적용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수가 B화질값을 적용하는 나머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수보다 많은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A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장치(1)의 반려견(21)에 대응하는 반려견이 시청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 중 A화질값을 적용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수가 B화질값을 적용하는 나머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수보다 많은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A화질값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가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대응하는 화질값은, 서버(5)에 의해 결정되어 서버(5)로부터 수신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의해 결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로부터 직접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13은 도 8의 동작 S43에서의 객체정보 또는 S46에서의 반응정보가 서버에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0)은 제어 및 통신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홈 디바이스(1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홈 게이트웨이(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들(1210)은 홈 내외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1), 무인 감시 카메라(1211), 스마트 폰(1212), 다른 디스플레이장치(1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홈 디바이스들(121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홈 디바이스들(1210)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상호 간에 통신하거나, 서버(5)와 통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홈 게이트웨이(1220)를 경유하여 서버(5)와 통신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들(1210)은 이러한 통신을 통해 반려동물에 관한 정보를 서버(5)에 제공할 수 있다.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홈 디바이스들(1210)은 디스플레이장치(1)가 미리 정해진 반려견에 대응하는 제1화질값이 적용되는 컨텐츠(33)를 표시하는 중에 반려견(21)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반려견(21)의 식별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이 적용되는 컨텐츠(33)를 표시하는 중에 반려견(21)에 관한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를 서버(5)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감시 카메라(1211)는 컨텐츠(33)의 표시 중에 반려견(21)의 이미지 정보 또는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서버(5)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5)는 각 홈 디바이스들(121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견(21)를 식별하여 제2화질값을 결정하거나, 반려견(21)의 선호도를 판단하여 제3화질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도 8의 동작 S45 또는 S48에서의 컨텐츠가 변경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반려견 전용 컨텐츠(33)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프로세서(18)는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제1컨텐츠(33)를 표시하고, 제1화질값을 적용한 제1컨텐츠(33)의 표시 중에 반려견(21)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36)를 제1화질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장치(1)가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반려견(21)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함께 수신하는 경우,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제2컨텐츠(36)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2컨텐츠(36)에 대한 반려견(21)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제3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제2컨텐츠(36)에 대한 반려견(21)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제3화질값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의 개시 내용 및 장점들은 특정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개시 내용 및 권리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청구항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간주되어야 하며,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스플레이장치
11: 영상신호수신부
12: 신호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센서부
141: 이미지 획득부
142: 음성수신부
15: 음성출력부
16: 통신부
17: 저장부
18: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반려동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캡처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는 음성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음성수신부에 의해 획득된 음성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음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상기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3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화질값은,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제3화질값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는,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과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질값 및 상기 제2화질값은 주파수, 색상, 휘도 또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객체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획득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획득된 음성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음질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음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상기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획득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화질값은, 상기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을 저장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에 관한 모델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반려동물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제3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화질값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화질값을 적용한 상기 컨텐츠의 표시 중에 상기 반려동물에 관한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객체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화질값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80029109A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8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09A KR102481445B1 (ko)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30299A JP2019165437A (ja) 2018-03-13 2019-02-22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6/298,519 US10743061B2 (en) 2018-03-13 2019-03-1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768112.5A EP3732893A4 (en) 2018-03-13 2019-03-13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CONTROL PROCEDURE
CN201980018754.0A CN111869226A (zh) 2018-03-13 2019-03-13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9/002899 WO2019177367A1 (en) 2018-03-13 2019-03-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09A KR102481445B1 (ko)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57A true KR20190107857A (ko) 2019-09-23
KR102481445B1 KR102481445B1 (ko) 2022-12-27

Family

ID=6790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09A KR102481445B1 (ko)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43061B2 (ko)
EP (1) EP3732893A4 (ko)
JP (1) JP2019165437A (ko)
KR (1) KR102481445B1 (ko)
CN (1) CN111869226A (ko)
WO (1) WO20191773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36A1 (ko) * 2019-11-14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3850A1 (en) * 2019-12-26 2021-07-01 Organic Intelligence Technologies, Inc. Analyzing media based on non-human animal input
KR102536333B1 (ko) * 2022-02-28 2023-05-30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및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15A (ko) * 2010-07-11 2012-01-18 글로벌테크링크(주)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04812A1 (en) * 2010-04-29 2013-05-02 Ron Levi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pets
US20140118392A1 (en) * 2009-04-22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Video entertainment picture quality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5625B2 (ja) * 2009-06-01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監視カメラ及び監視カメラ制御装置
WO2014011195A1 (en) * 2012-07-12 2014-01-16 Stephens Leah Electromechanical horn for deterring animals
KR20140104653A (ko) 2013-02-21 2014-08-29 홍충식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US20140254659A1 (en) * 2013-03-11 2014-09-11 Mediatek Inc. Video coding method using at least evaluated visual quality and related video coding apparatus
WO2015009487A1 (en) * 2013-07-16 2015-01-22 Forget You Not, LLC Assisted animal activities
KR20150055410A (ko) 2013-11-13 2015-05-21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시청자의 이용패턴을 이용하여 개인별 맞춤형 채널 제공방법 및 콘텐츠 추천방법
KR101549183B1 (ko) 2014-04-30 2015-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용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9807983B2 (en) * 2014-08-22 2017-11-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evice control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of an animal and for determining a control detail for an electronic device
JP6467965B2 (ja) * 2015-02-13 2019-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感情推定装置及び感情推定方法
KR20170020665A (ko) * 2015-08-13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8392A1 (en) * 2009-04-22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Video entertainment picture quality adjustment
US20130104812A1 (en) * 2010-04-29 2013-05-02 Ron Levi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pets
KR20120006115A (ko) * 2010-07-11 2012-01-18 글로벌테크링크(주)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jalmar S.K?hl 외, 1 "Animal biometrics: quantifying and detecting phenotypic appearance",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Volume 28, Issue 7, July 2013, Pages 432-441*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36A1 (ko) * 2019-11-14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3850A1 (en) * 2019-12-26 2021-07-01 Organic Intelligence Technologies, Inc. Analyzing media based on non-human animal input
US11910781B2 (en) 2019-12-26 2024-02-27 Organic Intelligence Technologies, Inc. Analyzing media based on non-human animal input
KR102536333B1 (ko) * 2022-02-28 2023-05-30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및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장치
WO2023163515A1 (ko) * 2022-02-28 2023-08-31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및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2893A1 (en) 2020-11-04
CN111869226A (zh) 2020-10-30
EP3732893A4 (en) 2020-11-04
US20190289360A1 (en) 2019-09-19
US10743061B2 (en) 2020-08-11
JP2019165437A (ja) 2019-09-26
WO2019177367A1 (en) 2019-09-19
KR102481445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169B1 (ko)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148200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703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deo
KR102556492B1 (ko)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699213B2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11603B1 (ko)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170185276A1 (e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KR102420567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304701B1 (ko)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24249A (ko)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977981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apturing photo or video about specific mo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814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30567B1 (ko)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8476258B (zh) 用于电子设备控制对象的方法以及电子设备
US11232790B2 (en) Control method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device, human-computer interaction devic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US20190251355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text comment about content
JP2010224715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25351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14508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596833B1 (ko) 인공지능 기반 애완동물 주변 영역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 증강 방법
CN111223166B (zh)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1901025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1478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00186703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536333B1 (ko)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및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