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115A -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115A
KR20120006115A KR1020100066662A KR20100066662A KR20120006115A KR 20120006115 A KR20120006115 A KR 20120006115A KR 1020100066662 A KR1020100066662 A KR 1020100066662A KR 20100066662 A KR20100066662 A KR 20100066662A KR 20120006115 A KR20120006115 A KR 2012000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broadcast
view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695B1 (ko
Inventor
우효준
김준
Original Assignee
글로벌테크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테크링크(주) filed Critical 글로벌테크링크(주)
Priority to KR102010006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6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n Intelligent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입체 영상을 지원하는 3D TV, 인터넷 회선을 이용한 IPTV 등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방송 수신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송 수신 장치들의 기술 발전은 나날이 가속화되는 추세이다.
앞으로 TV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는 보다 지능적(Smart, intellegent)으로 변화 할 것이며, TV는 PMP나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달리 개인적인 물품이 아닌 가족 구성원 등 다수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가전 제품으로써 보다 편리한 사용자 맞춤식 서비스가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모든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호가 다르며, 시청 패턴이 다를 수 있으므로 그러한 점들을 유용히 잘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시스템이 TV로 인해 제공되어 진다면 사용자는 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TV를 접하거나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결국, 보다 지능적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한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에 특화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식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태에 특화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식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미리 준비된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시청 패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를 통하여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현재 사용자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초기 시청 환경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초기 시청 환경이 적용된 방송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청 패턴 정보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정보, 시청 채널 선호도, 시청 음량 선호도, 선호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 컨텐츠 별 사용자의 표정 및 음성 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청 패턴 정보는 시청 시간대, 시청 요일, 시청 날짜 중 적어도 하나가 더욱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명암, 영상필터 효과 및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효과, 볼륨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시청 환경의 적용은 상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시청 패턴 정보 중 현재 시간에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가장 선호하는 채널, 가장 선호하는 볼륨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안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카메라인 경우 각 사용자의 안면인식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마이크인 경우 각 사용자의 음성이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지문인식기인 경우 각 사용자의 지문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채널 변경 및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의 변경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는 방송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청 패턴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시청 환경이 적용된 방송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이후 상기 사용자 인식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또는 명령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부가 기능이 추가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신호가 상기 채널 변경인 경우, 채널 번호와 관계없이 상기 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채널 선호도 순서로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신호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판단된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동안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방송 수신장치의 전원차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차단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명령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원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송 채널은 주문자 비디오(video on demand) 제공 서버, 인터넷 스트리밍 서버, 인터넷 광고 제공 서버 및 인터넷 영상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인식부에서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메모리부에 미리 준비된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기 현재 사용자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사용자에 대한 시청 패턴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로드하는 단계; 상기 로드된 시청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시청 환경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초기 시청 환경이 적용된 방송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방송 수신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에 특화된 편리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더 이상 방송 수신장치를 시청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시 또는 소정 시간 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방송 수신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 제어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을 위한 사용자 인식부 구성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초기 시청 환경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 제어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1. 장치 구성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방송 수신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방송 수신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주 장치 및 제어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장치(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방송수신부(130), 사용자 인식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메모리부(160) 및 음향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방송 수신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나머지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부(130), 사용자 인식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메모리부(160)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처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다시 메모리부(16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제 디스플레이부(120)에 특정 영상이 표시되거나 음향출력부(170)를 통하여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식부(14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방송 시청 패턴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특정 사용자에 대한 방송 시청 패턴을 읽어와 그에 따른 방송수신부(130), 디스플레이부(120), 음향출력부(17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지화상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특정 채널의 방송 영상(또는 복수의 채널의 썸네일)이나 방송 시청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 Braun tube),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OLED: Transparant OLED)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의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방송수신부(130)를 설명한다.
방송수신부(1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수신부(130)는 이를 위하여 방송 신호/방송 관련 정보의 형태에 따라 유선방송 케이블 입력 단자, 외부 안테나와 연결되기 위한 안테나 연결 단자, 인터넷 회선 입력 단자 또는 자체 내장형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인터넷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방송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송 신호는 IPTV와 같이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스트리밍/패킷 형태의 신호까지 포함하는 개념임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방송 채널이라 함은, 주문자 비디오(video on demand) 제공 서버, 인터넷 스트리밍 서버, 인터넷 광고 제공 서버 및 인터넷 영상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부(130)는,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수신부(130)는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방송)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식부(140)를 설명한다. 사용자 인식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인식 기능을 통한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정보로써 사용자의 안면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음역/음색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별로 할당된 버튼이나 지문 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이나 지문 인식장치는 방송 수신장치의 본체에 구비되거나,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부(150)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는 복수의 하드웨어 버튼이 구비되어 각 버튼에 하나 이상의 명령이 할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하드웨어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조작하는 경우, 조작된 버튼 또는 센서의 위치의 종류 및/또는 조작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신호가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사용자 입력부는 방송 수신장치(100)의 본체와 별도로 유/무선 원격 제어장치(리모컨: remote controller)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식부(140)의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리모컨이 무선으로 구현되는 경우 일반적인 원격 무선 제어장치의 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적외선 송수신기, ZigBee, 블루투스, Wimax/Wibro 및 WLAN 등의 규격을 만족하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별 시청 패턴)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170)는 방송수신부(13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70)는 방송 수신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기능선택/안내음, 시작음, 종료음, 경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7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와 음향출력부(170)를 일체로 "출력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송 수신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예를 들어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카드 또는 USB)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2. 사용자 인식 및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조의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 제어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방송 수신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소정의 조작이 있는 경우 방송 수신장치가 켜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인식이 수행된다(S201).
이때, 사용자의 인식과 방송 수신장치가 켜지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키버튼 누르기인 경우), 방송 수신장치가 켜진 후에야 바로소 사용자의 인식이 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인식은 도 1을 참조한 사용자 인식부(140)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10)가 인식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의 인식 방법은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인식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60)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시청 패턴 정보를 탐색하여 읽어들인다(S202).
여기서 시청 패턴 정보에는 사용자 별로 소정 시간대/기간에 따른 시청 채널, 평균/채널 별 볼륨, 해당 채널에서 시청을 유지한 시간, 선호 분야, 화면/음향 효과 등의 메뉴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청 패턴 정보에 대해서도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시청 패턴 정보를 읽어들이면, 제어부(110)는 패턴 정보에 따라 초기 시청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03).
여기서 초기 시청 환경이라 함은, 사용자가 방송 수신장치를 켠 후 최초로 디스플레이부(120) 및/또는 음향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 영상/음향의 종류/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평일 저녁 시간대에 A라는 사용자가 사용자로 인식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 A가 지금까지 평일 저녁 시간대에 시청해오던 채널 및 음량으로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초기 시청 환경이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후 제어부(110)는 해당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 주기로 시청 패턴 정보를 갱신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S204).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 제어 절차의 각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사용자 인식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을 위한 사용자 인식부 구성의 예들을 나타낸다.
먼저 안면인식 기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할 경우, 도 3의 (a)와 같이 방송 수신장치의 일면에 구비된 카메라가 사용자 인식부로 사용될 수 있다. 안면인식 기법이 사용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가 제어부(110)로 전달되면, 제어부(110)는 영상 신호에서 배경과 사용자의 얼굴을 구분하고 다시 얼굴의 특징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안면인식 기법에서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해야 하므로, 카메라의 위치는 카메라의 위치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메라는 사용자의 인식을 위해 계속 켜져있을 수도 있으나,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특정 버튼(예를 들어 전원 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 활성화되는 것이 전력관리상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식부 구성의 다른 예로, 도 3의 (b)나 (c)와 같이 리모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리모콘 외부의 소정 위치에 지문 인식장치가 구비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지문 인식장치가 리모콘을 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부(110)로 전달하면 제어부가 메모리부(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리모콘이 전송한 지문 정보를 대조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의 (c)에서는 리모콘에 서로 다른 사용자가 할당된 복수의 사용자 인식용 키버튼이 구비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버튼 1이 사용자 A에 할당되고, 버튼 2가 사용자 B에 할당된 경우 사용자가 버튼 1을 눌러 방송 수신장치의 전원을 켜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 A가 현재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부(160)에서 사용자 A의 시청 패턴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A의 시청 패턴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던 중이라도 버튼 2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중간에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B의 시청 패턴 정보를 메모리부(160)에서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후 사용자의 시청 패턴은 사용자 B의 시청 패턴 정보의 갱신에 적용될 수 있다.
리모콘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식을 위한 조작(즉, 도 3의 (b)의 경우에는 지문정보 획득/ 도 3의 (c)의 경우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버튼 조작)이 있는 경우, 사용자 인식을 위한 정보가 전원 켜기 신호와 함께 방송 수신장치 본체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 번의 입력으로 사용자 인식과 전원 켜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수신장치 본체에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또한, 도 3의 (d)와 같이 방송 수신장치 본체나 리모콘에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나 리모콘에 구비된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음역/음색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별로 할당된 버튼이나 지문 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이나 지문 인식장치는 방송 수신장치의 본체에 구비되거나,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컨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방송 수신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메라를 통한 사용자 인식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10)가 복수의 사용자 중 누구의 시청 패턴을 불러와 초기 시청 환경을 제공하고, 갱신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초기 시청 환경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은 사용자 배치가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에서 모든 사용자 영상을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추출된 사용자 중 가장 중심에 오는 사용자에 시청 패턴을 읽어와 해당 사용자의 초기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어느 위치에 사용자를 현재 사용자로 인식할 것인지를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 메뉴 조작을 통하여 직접 변경/지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 우선순위를 미리 지정해두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및 C의 세명의 사용자가 방송 수신장치의 사용자로 메모리부(160)에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A>B>C의 순서로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A와 C의 안면 영상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사용자를 A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B와 C의 안면 영상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사용자를 B라 인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장치들은 각자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인식부로 마이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미리 메모리부(160)에 사용자별 음성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로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미리 메모리부(160)에 사용자별 안면 영상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문인식 기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미리 메모리부(160)에 사용자별 지문 식별을 위한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편집/삭제할 수 있다.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되는 경우, 메모리부(160)에는 새로운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안면 영상, 음성 및/또는 지문 등)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시청 패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파일이 생성되거나 저장 공간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의 안면 영상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검출되거나,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향정보에서 검출되거나, 등록되지 않는 지문이 지문 인식장치에서 인식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10)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할지 여부를 묻는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으로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2) 시청 패턴 정보의 종류 및 학습
이하에서는 시청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를 설명한다.
시청 패턴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로 기록되고 갱신된다. 시청 패턴 정보는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으로 변경되는 출력 정보(채널/음량 변경 등)나 변경 전/후 출력 정보가 유지되는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시청 패턴 정보의 구체적인 예로는 개인별 출력 설정, 시간대별 시청 내역,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출연자, 쟝르 등), 컨텐츠 별 사용자의 반응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설정이란, 화면의 밝기, 명암, 색감, 출력음향의 볼륨/이퀄라이저 설정, 영상 필터(흐리게, 선명하게, 고명도, 고대비 등) 적용 여부를 말한다. 출력 설정에는 시간대 정보가 더욱 고려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현재 인식된 사용자가 낮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출력 음향 볼륨을 크게 두고, 밤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볼륨을 낮게 두는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현재 인식된 사용자가 낮시간대에는 화면 설정을 밝게 설정하고, 밤시간대에는 보다 어둡게 화면 설정을 하는 경우, 이를 해당 사용자의 시청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간대별 시청 내역이란 시간 단위, 하루 단위, 주 단위 등의 소정 시간 단위별로 시청하는 채널의 내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오전/오후 9시부터 10시까지는 채널 3 채널의 뉴스를 매일 시청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를 사용자의 시청 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월요일 및 화요일 저녁 10시 경에는 채널 1의 드라마를 시청하고, 수요일 및 목요일 저녁 10시 경에는 채널 2의 드라마를 시청하는 경우 제어부는 이를 요일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이란 좁게는 사용자의 시청 채널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넓게는 드라마, 영화, 스포츠 중계와 같은 쟝르상의 구분을 말하는 개념이다. 또한,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은 하나의 쟝르, 예를 들어 영화인 경우, 출연 배우나 감독, 배급/제작사의 구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주로 시청하는 채널이 스포츠 채널이거나, 채널이 달라도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을 골라보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해당 사용자가 스포츠 컨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주로 시청하는 드라마에 탤런트 A가 주연 배우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경우, 제어부(110) 탤런트 A가 사용자의 선호 배우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되는 방송 편성표(EPG/ESG 등)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쟝르, 배우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채널의 선호도를 제어부(110)가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해당 채널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길면 해당 채널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짧은 시간 머무는 경우(시청 뿐 아니라 채널 변경시 거쳐가는 시간이 짧은 경우도 포함) 해당 채널의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110)가 소정 주기로 방송 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상에서 특징(동물이나 자동차의 등장 여부 등)을 취합하는 방법으로도 사용자의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별 사용자의 반응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반응은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특정 컨텐츠 시청시 사용자의 표정이나 웃음소리를 수집하고, 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인식하여 해당 컨텐츠의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동안 오래 머무는 채널 또는 채널을 변경하는 동안 사용자의 얼굴표정(웃는 얼굴, 찌푸린 얼굴, 짜증난 얼굴 등)을 인식하여 어떤 장면에서 사용자가 웃는지 찌푸리는지 그 상황의 영상 및 웃음소리 등을 캡쳐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3)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초기 시청 환경 제공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초기 시청 환경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 시청 환경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송 수신장치를 켠 후 최초로 디스플레이부(120) 및/또는 음향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 영상/음향의 종류/상태를 말한다.
초기 시청 환경은 인식된 현재 사용자의 시청 패턴 정보가 반영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가 오전/오후 9시부터 10시까지는 채널 3 채널의 뉴스를 매일 시청하고, 월요일 및 화요일 저녁 10시 경에는 채널 1의 드라마를 시청하며, 수요일 및 목요일 저녁 10시 경에는 채널 2의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으로 시청 패턴 정보에 기록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오후 9시경에 방송 수신장치의 전원을 켜고 자신을 방송 수신장치에 사용자로 인식시키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마지막으로 재생되던 채널이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시청 환경이 제공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재생되던 채널과 관계없이 채널 3번이 최초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월요일 저녁 10시경에 방송 수신장치를 켜서 자신을 인식시키는 경우 채널 1번이, 목요일 저녁 10시경에 방송 수신장치를 켜서 자신을 인식시키는 경우 채널 2번이 최초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낮에는 큰 볼륨에 밝은 화면을 선호하며 밤에는 낮은 볼륨에 어두운 화면을 선호하는 것으로 시청 패턴 정보에 기록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방송 수신장치를 켜는 시간대가 낮인 경우 초기 화면으로 밝은 화면이 제공되며 큰 볼륨의 음향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초기 시청 환경은 시청 패턴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 중 어느 하나만을 고려하거나, 둘 이상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번 방송 수신장치를 켤 때마다 일일이 사용자가 설정이나 채널/볼륨을 바꿀 필요가 없이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따른 초기 시청 환경이 제공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3. 초기 시청 환경 제공 이후의 방송시청 중 부가 기능 제공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 시청환경이 제공된 이후에도 방송 시청 중 사용자의 시청 패턴이나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한 부가 기능이 사용자에 더욱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 제어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5에서 S501 과정 내지 S504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S201 과정 내지 S204 과정과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인식된 사용자에 따라 초기 시청 환경이 제공된 이후,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청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식장치(14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나 명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505).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상태나 명령 입력 및 그에 따라 수행되는 구체적인 부가 기능을 설명한다.
1) 사용자의 상태 인식
사용자의 상태 인식은 사용자 인식부(140)로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를 켜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식이 수행되고 초기 시청 환경이 제공된 이후에도 카메라는 계속하여 사용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소정 시간(이하 "유휴 타이머"라 칭함) 동안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움직임이 유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방송 수신장치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즉시 또는 소정 시간 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소정 시간 후 전원이 차단된다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음향출력부(170)를 통해 동일한 내용의 음성 메시지나 음향효과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나 음향효과가 출력된 이후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소정의 명령입력이 있거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는 유휴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2)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채널 변경을 위해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하여 채널을 하나씩 번호순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음채널(채널 up) 또는 이전 채널(채널 down) 버튼에 조작을 취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채널 번호순으로 다음이나 이전 채널을 표시하지 않고, 해당 사용자의 시청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시간대에 사용자가 자주 보는 채널을 선호도 순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채널을 하나씩 변경하기 위한 버튼 대시 채널 번호를 바로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 버튼으로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최초로 입력된 숫자와 연관된 선호 채널을 탐지하여 자동 완성기능으로 사용자의 채널을 변경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시간대에 사용자가 가장 많이 시청하는 채널이 35번일 때, 사용자가 숫자 버튼의 3을 누르면 바로 채널 35번이 표시되거나, 35번을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제시해준 후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있는 경우 채널이 35번으로 변경될 수 있다.
3)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제공될 수 있는 부가기능
상술한 바와 같이, 시청 패턴 정보에는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EPG/ESG 등의 방송 편성표의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표시되는 채널 이외의 채널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이 검색된 경우 이를 소정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20) 상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시청 패턴 정보와 방송 편성표 정보를 비교함에 있어서, 현재 시간에서 선호 컨텐츠의 주연 배우들의 공통 사항이 있을 경우 선호 배우를 알아내어 해당 배우가 출연하는 컨텐츠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별 사용자의 반응이 시청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동시간대에 방송되는 채널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가 방송되는 채널을 추천해주거나,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채널에 대한 경고를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음향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선호하지 않는 채널의 경우 사용자가 채널 변경을 수행할 때 해당 채널을 건너뛰도록(skip) 할 수도 있다.
채널의 추천 뿐 아니라, 주문형 비디오(vod) 컨텐츠가 있을 경우 구입을 제안하거나 관심 컨텐츠 및 장르에 관련된 제품, 장소 및 서비스 등에 대한 맞춤식 광고도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별로 맞춤식으로 관심 상품, 장소(여행지 등등) 등이 제안되어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관련 컨텐츠를 구매한 사람이 함께 구매한 컨텐츠를 제안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등장하는 제품이나 인물등을 연관지어, 관련 컨텐츠가 제안되거나 맞춤식 광고가 표시될 때,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미리 부여된 태그(tag)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그는 컨텐츠 제공자가 해당 컨텐츠에 미리 삽입해 둘 것이 요구된다. 즉, 한 편의 영화에서도 배우 뿐 아니라 여러 협찬 제품 등 또는 촬영지 등이 다양하므로 컨텐츠 제공자가 그러한 관련 태그 정보들을 함께 결합시켜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의 시청 패턴 또는 선호 상품/장소/광고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방송 수신장치가 현재 재생 컨텐츠 또는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제안하는 유사 켄텐츠 제안 및/또는 광고 서비스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부가 기능으로 시청 제한 기능(즉, parental control)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시청 가능 채널 또는 시청 가능 영상물 등급에 대한 제한을 미리 설정해 두고, 해당 사용자가 현재 사용자로 인식되는 경우, 설정된 제한에 따라 컨텐츠 재생이 차단되거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부가 기능들은 그 사용여부를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소정의 메뉴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6)

  1.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식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미리 준비된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시청 패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를 통하여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현재 사용자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초기 시청 환경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초기 시청 환경이 적용된 방송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패턴 정보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정보, 시청 채널 선호도, 시청 음량 선호도, 선호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 컨텐츠 별 사용자의 표정 및 음성 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청 패턴 정보는,
    시청 시간대, 시청 요일, 시청 날짜 중 적어도 하나가 더욱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명암, 영상필터 효과 및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효과, 볼륨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시청 환경의 적용은,
    상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시청 패턴 정보 중 현재 시간에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가장 선호하는 채널, 가장 선호하는 볼륨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안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카메라인 경우 각 사용자의 안면인식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마이크인 경우 각 사용자의 음성이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지문인식기인 경우 각 사용자의 지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채널 변경 및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의 변경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는 방송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청 패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시청 환경이 적용된 방송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이후 상기 사용자 인식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또는 명령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부가 기능이 추가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신호가 상기 채널 변경인 경우, 채널 번호와 관계없이 상기 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채널 선호도 순서로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신호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판단된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동안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눈동자가 소정 시간동안 감겨져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수신장치의 전원차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차단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눈동자 검출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명령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은,
    주문자 비디오(video on demand) 제공 서버, 인터넷 스트리밍 서버, 인터넷 광고 제공 서버 및 인터넷 영상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
  14.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식부에서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메모리부에 미리 준비된 제 2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기 현재 사용자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사용자에 대한 시청 패턴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로드하는 단계;
    상기 로드된 시청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시청 환경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초기 시청 환경이 적용된 방송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패턴 정보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정보, 시청 채널 선호도, 시청 음량 선호도, 선호 시청 컨텐츠의 공통점, 컨텐츠 별 사용자의 표정 및 음성 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청 패턴 정보는,
    시청 시간대, 시청 요일, 시청 날짜 중 적어도 하나가 더욱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명암, 영상필터 효과 및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효과, 볼륨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시청 환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시청 패턴 정보 중 현재 시간에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 가장 선호하는 채널, 가장 선호하는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현재 사용자의 안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카메라인 경우 사용자의 안면인식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마이크인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지문인식기인 경우 사용자의 지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방송의 채널 변경 및 상기 출력부의 출력 상태 설정의 변경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는 방송의 적어도 일부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청 패턴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인식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또는 명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신호가 상기 채널 변경인 경우, 채널 번호와 관계없이 상기 시청 패턴 정보에 따른 채널 선호도 순서로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신호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판단된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동안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눈동자가 소정 시간동안 감겨져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수신장치의 전원차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이 상기 전원차단인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차단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눈동자 검출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명령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은,
    주문자 비디오(video on demand) 제공 서버, 인터넷 스트리밍 서버, 인터넷 광고 제공 서버 및 인터넷 영상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송 수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66662A 2010-07-11 2010-07-11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662A KR101128695B1 (ko) 2010-07-11 2010-07-11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662A KR101128695B1 (ko) 2010-07-11 2010-07-11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15A true KR20120006115A (ko) 2012-01-18
KR101128695B1 KR101128695B1 (ko) 2012-03-23

Family

ID=4561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662A KR101128695B1 (ko) 2010-07-11 2010-07-11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6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769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5046899A1 (en) * 2013-09-25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19177367A1 (en) * 2018-03-13 2019-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82255A1 (ko) * 2018-03-22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9182265A1 (ko) * 2018-03-21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30180B1 (ko) * 2020-05-15 2021-11-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19A1 (en) 2016-12-21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tent recogniz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57B1 (ko) * 2006-03-03 200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작인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별 맞춤형 스마트 텔레비젼장치 및 방법
KR101227489B1 (ko) * 2006-03-0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769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5046899A1 (en) * 2013-09-25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536493B2 (en) 2013-09-25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836266B2 (en) 2013-09-2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19177367A1 (en) * 2018-03-13 2019-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07857A (ko) * 2018-03-13 201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743061B2 (en) 2018-03-13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82265A1 (ko) * 2018-03-21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182255A1 (ko) * 2018-03-22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30180B1 (ko) * 2020-05-15 2021-11-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695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695B1 (ko)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3378211B2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91914B2 (en) Activating devices based on user location
KR100981700B1 (ko) 개인용 광고방송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010209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47039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luding an automatic program guide channel at multiple locations in a program channel lineup
CN104581413B (zh) Tv及其操作方法
US200803163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in-picture assisted time-adaptive surfing for a content presentation system
US201600371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based on user's intent
JP2000196970A (ja) 情報端末機能付き放送受信機及び同受信機の出力環境設定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50095927A1 (en) Intelligent recording of favorite video content using a video services receiver
CN110719530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2190201A1 (en) Disp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201903496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 channel status information and/or for controlling channel switching
CN108965998B (zh) 一种频道切换方法、系统、智能电视及存储介质
US88065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a smart channel tuner list
US20170164050A1 (en) Presenting alternate content
US20100033637A1 (en) Digital photo frame with television tun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223533B1 (ko)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N113573127B (zh) 一种调整频道控件排序的方法和显示设备
TW201834460A (zh) 顯示裝置、電視接收機、顯示控制方法、控制裝置、控制方法以及記錄媒體
US20190045245A1 (en) Video display system
TW201334536A (zh) 影像顯示裝置與其操作方法
EP3383056A1 (en) Epg based on live user data
US20120263431A1 (en) Video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