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489B1 -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489B1
KR101227489B1 KR1020060022345A KR20060022345A KR101227489B1 KR 101227489 B1 KR101227489 B1 KR 101227489B1 KR 1020060022345 A KR1020060022345 A KR 1020060022345A KR 20060022345 A KR20060022345 A KR 20060022345A KR 101227489 B1 KR101227489 B1 KR 10122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dex parameter
setting
user environment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911A (ko
Inventor
최종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4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28B1/087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the mould being placed on vibrating or jolting supports, e.g. mou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각각에 대한 현재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를 각각의 사용자가 일일이 다시 설정할 필요 없이, 사용자 환경의 설정 대상 항목을 인덱스 파라미터로 추출하고, 그 인덱스 파라미터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다운로드(download) 또는 업로드(upload)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한 명령 조작만으로 사용자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사용자, 환경, 방송, 수신기

Description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DEVICE FOR SETTING OF USER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 환경 설정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 환경 설정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101 : 입력부
102 : 추출부 103 : 제어부
104 : 메모리 105 : 출력부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의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환경 상태를 용이하게 다운로드(download) 또는 업로드(upload)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범위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으로 넓어지면서, 각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콘텐츠도 계속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이와 같이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이나 콘텐츠가 증가됨에 따라, 기능이 계속 증가되고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기능만큼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화면 구현 방식과 기능 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설정 상태를 사용자 자신의 취향이나 선호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제공되는 다양한 채널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만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우선,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조작하여 무수한 채널을 검색하도록 하고, 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등록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작은 대상이 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변경된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반복적인 등록 작업을 거쳐야 한다.
또한, 사용자마다 화질이나 음질 선호도가 각각 다르므로, 이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출시 초기에 기본적인 사용자 설정 상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본인의 선호도에 맞는 화질이나 음질을 맞추기 위해 판단 기준 영 상 또는 음성을 가지고 있는 채널을 검색하여 상당한 노력을 들여 화질이나 음질 상태를 설정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대상이 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바뀐 경우에도 이와 같은 작업이 계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렇게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설정한 상태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마다 동일하게 설정하여 재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기존에 등록한 설정 상태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여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된 사용자 환경을 스캔하여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사용자 환경이 저장되는 메모리, 메모리에 추출된 사용자 환경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사용자 환경을 읽어 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메모리는 탈착이 가능한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추출된 사용자 환경의 암호화/복호화가 가능한 인증부를 더 포함하여 구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은
(a)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현재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를 인덱스 파라미터(Index Parameter)로 추출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b) 단계에서 저장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읽어 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a) 단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인덱스 파라미터로 분류하는 단계와, 분류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스캔하여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 단계는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저장하거나 읽을 때 선택적으로 암호화/복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 단계는 현재 디지털 발송 수신기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의 인덱스 파라미터는 설정 유보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 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여 입력하는 입력부(101)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 환경을 스캔하여 추출하는 추출부(102)와, 상기 추출된 사용자 환경이 저장되는 메모리(104)와, 상기 메모리에 추출된 사용자 환경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사용자 환경을 읽어 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1)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나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상태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추출부(102)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상태의 파라미터 예를 들면, 각 방송 채널을 보여주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로서, PID(Program IDentifier),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나, 사용자가 설정한 화질 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밝기, 명암, 색상이나, 사용자가 설정한 음장 및 음성 상태나, 자동 취침, 기상 시각, 부화면의 화면 크기, 또는, A/V(Audio/Video) 서버, 홈서버(home server) 기능을 담당하게 될 디지털 방송 수신기(디지털 TV) 내의 주소록, 전화 번호 등도 파라미터별로 스캔하여 분류한 후에 인덱스 파라미터로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03)에서는 상기 추출부(102)에서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메 모리(104)에 저장하거나 혹은 메모리(104)에 저장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읽어 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사용자 환경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를 한다. 이때, 메모리(104)에 저장하거나 읽어 올 때 제어부(103)에서는 선택적으로 암호화/복호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 환경 상태를 설정하고자 할 때 만일, 지원하지 않는 기능의 파라미터는 설정을 유보하도록 제어부(103)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04)는 휴대가 용이하고 탈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나 메모리 스틱,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라면 호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드 디스크라면, 외부 충격과 사용자에 의한 오동작에 의해서도 영향받지 않는 별도의 견고한 공간에 보관하게 되며, 메모리 카드라면, 별도의 시스템 디렉토리를 만들어, 이 디렉토리 내에 보관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 환경 설정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현재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를 스캔하여 저장하기 위해, 저장 모드를 선택하고(S201), 다음에 스캔 대상이 되는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202). 다음에 선택한 대상 항목이 맞는지 확인한 후 스캔 대상 항목이 맞지 않다면 다시 설정 대상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고(S202), 스캔 대상 항목이 맞다면 대상 항목별로 스캔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203). 다음에, 대상 항목별로 스캔을 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고(S204), 대상 항목 을 스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205).
다음에 전술한 단계(S205)에서 추출된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의 위치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부에 위치하는지 외부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S206), 만일, 외부에 위치한다면 암호화를 행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여(S207), 암호화 과정을 행한다면 암호화를 행한 후(S208), 외부 메모리에 저장을 하고(S209), 암호화 과정을 행하지 않는다면 바로 외부 메모리에 저장을 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209).
만일 전술한 단계(S206)에서 메모리의 위치가 내부에 있다면 마찬가지로 암호화 과정을 행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고(S210), 암호화 과정을 행한다면 암호화 과정을 행한 후(S211), 내부 메모리에 저장을 하고(S212), 암호화 과정을 행하지 않는다면 바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212).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 환경의 설정 상태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상태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드를 선택하고(S201), 다음에 설정해야 하는 대상 항목의 스캔 데이터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302). 다음에, 상기 스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고(S303), 만일 암호화되어 있다면 복호화를 행한 후에(S304),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로 진행 을 하고(S305), 암호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바로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305).
다음에, 전술한 단계(S305)에서 추출된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이 맞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을 한다(S306). 여기서,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이 맞다면 상기 대상 항목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정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고(S307).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이 맞지 않다면 다시 전술한 설정 대상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여(S305), 전술한 단계를 다시 반복한다.
다음에,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을 설정한 후(S307), 대상 항목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인지 확인을 하고(S308),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라면 설정 상태를 적용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고(S309),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라면 다시 사용자 환경 대상 항목인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을 하여(S306), 전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은 사용자 환경 상태의 대상 항목을 공통된 인덱스 파라미터로 제공하고, 이를 메모리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또는 업로드(upload)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설정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이상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이러한 변경과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 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 각자가 간편한 조작만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환경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설정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에서 인덱스 파라미터(Index Parameter)를 스캔하여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상기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저장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로드(load)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로드되는 인덱스 파라미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복호화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탈착이 가능한 하드디스크, 및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설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가 가능한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현재 사용자 환경 설정 상태에서 인덱스 파라미터(Index Parameter)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암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로드(load)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드되는 인덱스 파라미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라미터(Index Parameter)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각 기능에 기초하여 인덱스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인덱스 파라미터 중, 추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 파라미터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인덱스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드되는 인덱스 파라미터가, 상기 디지털 발송 수신기에서 지원되지 않는 기능의 인덱스 파라미터인 경우, 설정 유보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KR1020060022345A 2006-03-09 2006-03-09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KR10122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345A KR101227489B1 (ko) 2006-03-09 2006-03-09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345A KR101227489B1 (ko) 2006-03-09 2006-03-09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911A KR20070092911A (ko) 2007-09-14
KR101227489B1 true KR101227489B1 (ko) 2013-01-29

Family

ID=3869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345A KR101227489B1 (ko) 2006-03-09 2006-03-09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20B1 (ko) * 2009-06-15 2010-02-02 (주)디티브이인터랙티브 방송신호 파라메터 설정 시스템을 탑재한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128695B1 (ko) * 2010-07-11 2012-03-23 글로벌테크링크(주) 지능형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99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선호 환경 설정장치 및 방법
KR20060005552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99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선호 환경 설정장치 및 방법
KR20060005552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911A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834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선택장치 및 방법
US8290343B2 (en) Electronic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JP4240080B2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50269093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storing media content events on a flash memory device
US20170339451A1 (en) Viewing system, broadcast reception device, portable terminal, program recording and viewing method, and viewing method of recording program
EP2445139A2 (en) Television apparatus,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227489B1 (ko) 사용자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JP2011109171A (ja) 放送受信装置
EP2723084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KR20160041398A (ko)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처리 방법
US105660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781290B2 (en) Display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video signal and/or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EP3111658A1 (en) Two way control of a set top box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CN103974134B (zh) 显示设备及其菜单显示方法
KR100667025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기능을 갖는 디지털 텔레비전
US20090222758A1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EP2306703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3008568A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080664A (ja) 信号再生装置及び信号再生方法
US20090031378A1 (en) Media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JP6454163B2 (ja) 映像再生装置、録画管理システムおよび録画管理方法
EP1890486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nitialization using data localization
WO2015163158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0808198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데이터 녹화 방법
JP4703752B2 (ja) 映像受信装置及び映像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