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775A -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775A
KR20190107775A KR1020180028755A KR20180028755A KR20190107775A KR 20190107775 A KR20190107775 A KR 20190107775A KR 1020180028755 A KR1020180028755 A KR 1020180028755A KR 20180028755 A KR20180028755 A KR 20180028755A KR 20190107775 A KR20190107775 A KR 2019010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soccer
training
postur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303B1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김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환 filed Critical 김진환
Priority to KR1020180028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3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43B5/025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characterised by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은 축구화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축구공을 찰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팅 패드; 및 상기 슈팅 패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가 발생할 때만 상이한 형태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모듈;를 포함하여 슛팅 훈련에 있어 실시간으로 자세에 대한 교정을 할 수 있고, 교정된 자세로 반복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딤딤발의 슛팅 자세가 훈련되고, 또한 올바른 슛팅 자세에서의 디딤발의 근력이 훈련되며, 안정된 디딤발 상태에서 차는 발의 임팩트 포인트, 차는 발의 각도, 차는 발의 근력도 동시적으로 훈련이 이루어져 훈련하는 사람이 정확한 슈팅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SYSTEM FOR FOOTBALL SHOOTING TRAINING AND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축구운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슈팅 자세를 교정하고, 교정된 자세로 슈팅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축구 슈팅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요소인 디딤발 자세, 디딤발 근력, 축구공을 차는 발의 임팩트 포인트, 차는 발의 각도, 및 차는 발의 근력을 훈련시켜 올바른 슈팅자세로 훈련할 수 있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슈팅 연습은 정형화된 도구 없이 훈련하는 방법으로 훈련하는 사람의 개인적인 감각에 의해 스스로 훈련을 하게 된다.
이때 슈팅 자세가 올바른지에 대한 판단을 훈련하는 사람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되고, 뿐만 아니라 올바르지 않은 자세가 즉시 확인이 되지 않아 개인의 감각 차이에 따라 훈련 효과가 없거나,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슈팅 연습을 통해서는 슈팅자세를 교정할 수 없고 객관적으로 훈련효과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축구화는 착용감, 기능 등을 고려해 발에 딱 맞도록 제작되고 있으므로 축구화 자체에 어떠한 센서 등을 넣어 신호를 발생하게 만들기가 어렵고,
축구화에 센서를 내장하더라도, 센서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주변 장치를 내장해야 되는데, 이러한 경우 축구화의 외관에 돌출부가 발생하게 되어 오히려 축구화의 기능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축구화 생산에 있어서도 센서 가격 추가 및 생산 공정의 어려움 등으로 축구화 가격이 크게 상승하여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래 선행기술문헌에 해당되는 특허문헌은 충격 감지센서가 축구화에 내장되어 단지 파워만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본원발명처럼 슈팅 자세를 교정시키고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84710호(2015. 07. 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써, 신호 감지부를 축구화에 내장하지 않고 탈·부착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훈련 시에는 신호 감지부인 패드를 부착하여 연습하고, 실전경기에서는 패드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축구화에도 적용할 수 있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축구화에 부착하여 축구 슈팅의 기본이 되는 요소인 디딤발 자세, 디딤발 근력, 축구공을 차는 발의 임팩트 포인트, 차는 발의 각도, 및 차는 발의 근력을 훈련시켜 올바른 슈팅자세로 훈련할 수 있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은 축구화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축구공을 찰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팅 패드 및 상기 슈팅 패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가 발생할 때만 상이한 형태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은 슛팅 훈련에 있어 실시간으로 자세에 대한 교정을 할 수 있고, 교정된 자세로 반복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딤딤발의 슛팅 자세가 훈련되고, 또한 올바른 슛팅 자세에서의 디딤발의 근력이 훈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은 안정된 디딤발 상태에서 차는 발의 임팩트 포인트, 차는 발의 각도, 차는 발의 근력도 동시적으로 훈련이 이루어져 훈련하는 사람이 정확한 슈팅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의 슈팅 패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을 이용한 디딤발 근력 및 자세 훈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을 이용한 슈팅 임팩트 훈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을 이용한 파워 슈팅 훈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은 간단하게 슈팅 패드(100), 신호발생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슈팅 패드(100)는 축구화의 발등 위치에 밴드 또는 유사 고정 방법으로 고정되어 축구공을 찰 때 시그널을 발생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팅 패드(100)는 패드(110), 플레이트(120), PCB(130), 및 돔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110)는 슈팅 패드(100)의 최 저부에 형성되고, 실리콘 또는 가죽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슈팅 패드(100)를 축구화에 밴드 또는 탄성력이 좋은 실리콘 소재 등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20)는 0.2mm 두께로 상기 패드(11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130)은 0.8mm 두께로 상기 플레이트(120)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돔 스위치(140)는 0.2mm 두께로 상기 PCB 기판(130)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상기 슈팅 패드(100)와 신호 전달용 케이블로 유선연결되거나, 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슈팅 패드(100)의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면, 그 스위칭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다양한 형태로 스위칭 여부를 확인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팅 패드(100)와 연결된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전원부(210), 통신부(220), 부져(230), LED(240), 진동소자(2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210)는 부져(230), LED(240) 및 진동소자(250)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슈팅 패드(100)의 돔 스위치(14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과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슈팅 패드(1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와는 인터넷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서버에 전달하여, 외부서버에서 선수들의 슈팅기록을 저장관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제어부(26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된 경우와 되지않은 경우 모두를 누적하여 슈팅기록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슈팅 패드(100)에는 속도계, GPS모듈과 같은 구성이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속도계, 또는 GPS모듈에서 전달되는 슈팅에 따른 속도변화 또는 위치변화로 슈팅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슈팅이 수행된 복수의 슈팅 중에서, 상기 속도변화 또는 위치변화와 함께 상기 돔 스위치(140)의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면 바른 자세의 교정된 슈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슈팅신호, 및 상기 돔 스위치(140)의 스위칭 신호와 함께 수신한 슈팅신호로 바른 슈팅확률을 산출할 수도 있고, 관리자(감독)는 상기 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로 사용자(선수)의 자세교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부져(230), LED(240), 및 진동소자(250)는 각각 상기 슈팅 패드(100)의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될 때, 소리, 빛,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신호발생모듈(200)과 상기 슈팅 패드(100)가 유무선으로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은 상기 슈팅 패드(100)가 장착된 축구화를 착용한 사용자가 슈팅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될 경우, 상기 전원부(210)의 전원이 상기 부져(230), LED(240) 및 진동소자(25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됨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불빛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확한 슈팅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상기 부져(230), LED(240) 또는 진동소자(25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슈팅자세를 변경하여 소리, 불빛, 또는 진동이 발생할 때까지 슈팅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바른 슈팅자세를 발견할 수 있고, 발견한 자세로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슈팅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부져(230), LED(240) 또는 진동소자(25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게 하거나, 이들의 조합 즉, 부져(230)와 LED(240), 부져(230)와 진동소자(250), LED(240)과 진동소자(250), 부져(230), LED(240) 및 진동소자(250) 모두가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웨어러블 기기로, 사용자가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축구화 고정용 클립(270)이 형성되어 축구화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에 의한 훈련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디딤발 근력 및 자세 훈련의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딤발에서 30cm~40cm앞쪽에 축구공을 위치시키고, 슈팅 발을 축구공 위에 올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으로 축구공을 끌어 슈팅 위치에 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공의 중앙부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팅 패드(100)의 중앙부를 맞춘다.
이때, 상기 슈팅 패드(100)의 임팩트 포인트(더 정확하게는 돔 스위치(140)부분에 해당됨)에 축구공이 제대로 맞으면, 신호발생모듈(200)은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되어 소리, 빛, 또는 진동 형태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알림신호가 발생되는 자세로 슈팅훈련을 반복수행함으로써, 근력을 향상시키고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슈팅 임팩트 훈력의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자리에 서서 디딤발 옆에 축구공을 위치시키고, 슈팅 발을 뒤쪽으로 들어올린 후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공의 중앙부에 상기 슈팅 패드(100)의 임팩트 포인트를 맞춰 축구공을 찬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슈팅 패드(100)의 임팩트 포인트에 축구공이 제대로 맞으면, 신호발생모듈(200)은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되어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알림신호가 발생되는 자세로 슈팅훈련을 반복수행함으로써, 슈팅에 필요한 임팩트 근력 향상, 슈팅 발의 슈팅 각도 훈련, 슈팅자세에 적합한 임팩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워 슈팅훈련의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축구공을 전방 3~5m앞에 위치시키고 축구공을 향해 달려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발을 축구공 옆에 위치시킨 후,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공의 중앙부에 슈팅 패드(100)의 임팩트 포인트를 맞춰 축구공을 찬다.
상기 슈팅 패드(100)의 임팩트 포인트에 축구공이 제대로 맞으면, 신호발생모듈(200)은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되어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알림신호가 발생되는 자세로 파워 슈팅훈련을 반복수행함으로써, 파워슈팅을 위한 실전 자세 훈련 및 축구공의 방향성 조절훈련을 할 수 있고,
축구공의 중앙부분, 중앙 좌측부분, 중앙 우측부분, 중앙 상단부분, 중앙 하단부분에 슈팅 패드(100)의 임팩트 포인트를 맞춰 슈팅을 함으로써, 방향성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의 슈팅 패드(100)를 슈팅발의 발등에 결합시켜 슈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기술하고 도시하고 있지만, 발등뿐만 아니라 슈팅발의 내측에 결합시킬 수도 있고, 발뒤꿈치로 공을 차는 힐킥 등을 훈련하기 위해 발뒤꿈치에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복수의 슈팅 패드(100)를 축구화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슈팅 패드(100)가 신발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각각의 슈팅 패드(100)에서 스위칭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각 스위칭 신호가 상이한 알림구성 즉, 부져(230), LED(240), 진동소자(25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부위에서의 슈팅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슈팅 패드(100)를 슈팅이 이루어지는 발등, 내측부, 발뒤꿈치에 부착시키고, 발등에 부착된 슈팅 패드(100)의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면 상기 부져(230)가 동작하도록 하고, 내측부에 부착된 슈팅 패드(100)의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면 상기 LED(240)가 동작하도록 하며, 발등에 부착된 슈팅 패드(100)의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면 상기 진동소자(250)가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슈팅 패드
110 : 패드
111 : 결합용 홀
120 : 플레이트
130 : PCB
140 : 돔 스위치
200 : 신호발생모듈
210 : 전원부
220 : 통신부
230 : 부져
240 : LED
250 : 진동소자
260 : 제어부

Claims (8)

  1. 축구화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축구공을 찰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팅 패드(100); 및
    상기 슈팅 패드(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가 발생할 때만 상이한 형태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모듈(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패드(100)는
    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구화에 결합가능하도록 결합용 홀(111)이 형성되며 실리콘 또는 가죽 재질의 패드(110);
    상기 패드(110) 상에 적층되어 형성된 플레이트(120);
    상기 플레이트(120)상에 적층되어 형성된 PCB 기판(130); 및
    상기 축구공과 접촉하는 경우 스위칭 되는 상기 돔 스위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부져(230), LED(240), 및 진동소자(250)가 구비된 알림부;
    상기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될 때 상기 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10);
    상기 슈팅 패드(100)와 근거리 통신 또는 외부서버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20); 및
    상기 돔 스위치(140)의 스위칭 여부에 따라 슈팅기록을 산출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슈팅 패드(100)가 장착된 축구화를 착용한 사용자가 슈팅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될 경우에만 상기 전원부(210)의 전원이 상기 부져(230), LED(240) 및 진동소자(25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어, 소리, 불빛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확한 슈팅이 이루어졌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알림부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돔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지않았음을 인지하고, 슈팅자세를 변경하여 알림부가 작동할 때까지 슈팅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바른 슈팅자세를 발견할 수 있고, 발견한 자세로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슈팅자세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패드(100)는 슈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복수의 슈팅 패드(100)에서 스위칭 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져(230), LED(240), 진동소자(250) 중, 상이한 알림구성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모듈(200)은
    웨어러블 기기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도 있고, 일측에 축구화 고정용 클립(270)이 형성되어 축구화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슈팅 패드(100)에 내장된 속도계, 또는 GPS모듈에서 전달되는 슈팅에 따른 속도변화 또는 위치변화로 슈팅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슈팅 중에서, 상기 속도변화 또는 위치변화와 함께 상기 돔 스위치(140)의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면 교정된 슈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KR1020180028755A 2018-03-12 2018-03-12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KR10205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55A KR102051303B1 (ko) 2018-03-12 2018-03-12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55A KR102051303B1 (ko) 2018-03-12 2018-03-12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775A true KR20190107775A (ko) 2019-09-23
KR102051303B1 KR102051303B1 (ko) 2019-12-03

Family

ID=6806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755A KR102051303B1 (ko) 2018-03-12 2018-03-12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388A (ko) 2022-09-07 2024-03-14 조태근 제한된 공간에서 훈련자의 능력 평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678A (ja) * 2001-06-25 2005-03-24 グレゴリー・ピー・スナイダー サッカー用トレーニング靴
KR20140090135A (ko) * 2011-07-14 2014-07-16 엠씨10, 인크 발 또는 신발류 위의 힘의 검출
KR20150084710A (ko) 2015-06-29 2015-07-22 문진호 슛파워 측정 축구화
US20150352419A1 (en) * 2013-06-06 2015-12-10 Kick Coach, Llc Device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kicking sports
CN205611891U (zh) * 2016-05-06 2016-10-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球鞋、终端和智能分析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678A (ja) * 2001-06-25 2005-03-24 グレゴリー・ピー・スナイダー サッカー用トレーニング靴
KR20140090135A (ko) * 2011-07-14 2014-07-16 엠씨10, 인크 발 또는 신발류 위의 힘의 검출
US20150352419A1 (en) * 2013-06-06 2015-12-10 Kick Coach, Llc Device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kicking sports
KR20150084710A (ko) 2015-06-29 2015-07-22 문진호 슛파워 측정 축구화
CN205611891U (zh) * 2016-05-06 2016-10-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球鞋、终端和智能分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303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173B2 (en) Sports training system
US10446051B2 (en) Interactive cognitive-multisensory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essing, profiling, trai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athletes and other populations
US7404263B2 (en) Footwear with force sensing device
US119188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10478698B2 (en) Interactive cognitive-multisensory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essing, profiling, training, and/or improving performance of athletes and other populations
US20180065017A1 (en) Generating an animation depicting a user using motion and physiological data captured using sensors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060032085A1 (en) Tap dance shoe and method of teaching tap dance
US20100050476A1 (en) Map for footwear
WO2009023527A1 (en) Laser ball shooting aid
JP2009106323A (ja) 運動フォーム評価装置および運動フォーム評価プログラム
KR102051303B1 (ko) 축구 슈팅 훈련 및 자세교정 시스템
US7022025B1 (en) Golf grip-training device
KR101093669B1 (ko)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KR20110019570A (ko) 부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호구 운영시스템
US20070037630A1 (en) Golf club and golf club head
KR20150140111A (ko) 타격 훈련 장치 및 타격 훈련 방법
KR20200124826A (ko) 골프 스윙 시 정타를 확인할 수 있는 골프 클럽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JP7161757B2 (ja) トレーニング支援システム
JP2013188452A (ja) 足圧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
WO2016009223A1 (en) Sports shoe
JP2007313291A (ja) ゴルフ練習用具
KR102283912B1 (ko) 체중 이동 연습용 골프화 스파이크
KR200368671Y1 (ko) 골프공 위치 추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