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346A -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346A
KR20190107346A KR1020180028484A KR20180028484A KR20190107346A KR 20190107346 A KR20190107346 A KR 20190107346A KR 1020180028484 A KR1020180028484 A KR 1020180028484A KR 20180028484 A KR20180028484 A KR 20180028484A KR 20190107346 A KR20190107346 A KR 2019010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address
address system
voice information
control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738B1 (ko
Inventor
정호원
Original Assignee
정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원 filed Critical 정호원
Priority to KR102018002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7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스피커장치를, 관제부(관리자) 또는 요 구조자 선택에 따라 다자간 상호 통화가 가능한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전환되게 하여, 화재나 지진, 기타 예상하지 못한 재난상황 발생시, 관제부와 요 구조자 간 쌍방향 통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시간 긴급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긴급한 재산사고현장에서의 초동대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중앙정보 처리모과, 기능전환 스피커와, 소음감지 검출모듈로 구축된 관제부;
그리고, 상기 관제부와 온라인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된 소방관서 서버로 구축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Bidirectional voice information exchang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학교, 백화점, 병원, 대형마트, 터미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건물이나 지역 내에 설치 이용되는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스피커장치를, 관리자(시설의 관재실 또는 방재실 등) 및 이용자 선택에 따라 다자간 상호 통화가 가능한 수음 음향 컨트롤 스피커 장치로 전환되게 하여, 화재나 지진, 기타 예상하지 못한 긴급재난상황 발생시, 그 사고의 원인과 규모, 사고현장의 시급한 대처방안 등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및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재난사고에 대한 초동대처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구조활동 및 사고자들의 탈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오늘날 기상이변의 원인으로 인해 지진, 폭우, 폭설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또한, 선박의 침몰, 항공기의 추락, 열차의 추돌, 기타, 건물의 대형화재 및 붕괴 등과 같은, 인위적인 재난사고 또한 예측하지 못한 장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인바, 따라서,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볼 때, 사람들이 머무는 장소가 그 어디이든, 결코 그곳이 안전지역이라 단언할 수 없음이 오늘날의 불안한 현실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재난사고에 있어, 특히, 건물의 대형화재 및 지진으로 인한 붕괴 등의 사고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운집되어 있는 환경 내지 장소에서 발생하는 특성상, 사고발생시 초동대처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이는,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전관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이라 함은, 빌딩이나 관공서, 학교, 항만, 공항, 마트, 병원 등의 대형시설물에 구축되는 음향설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구축된 전관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은 평상시 시설이용에 필요한 각종 구내 안내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화재나 지진, 기타 긴급한 재난사고 발생시, 비상경고음 내지 대피 안내방송을 출력하여 사고지역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비상탈출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 전관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시설물에 있어, 구내 및 옥외에 일반 안내방송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100)과, 전달된 안내방송 신호를 음향정보로 출력하는 스피커(200)와, 상기 스피커(100)에 출력에너지를 공급하는 전력선(30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 더하여,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과 연계된 구성으로, 비상정보 송출제어장치(400)를 더 마련하여, 화재나 지진, 기타 긴급재난사고 발생시, 사고지역 내에 설치된 센서감지 내지 비상스위치 조작신호, 예컨대, 재난사고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200)를 통해 비상경고음 내지 대피 안내방송을 자동출력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스피커를 통해 전달되는 일반 안내방송 및 대피 안내방송이 단순한 일 방향 송출방식, 예컨대, 시설의 관재실 또는 방재실로부터 전달하고자 하는 음향정보를 단지 송출하는 기능만을 행하는 것일 뿐, 재난지역에 머물고 있는 요 구조자들과의 쌍방향 음향정보 교환은 전혀 불가한 것인바, 따라서, 긴박한 사고현장에 대한 실시간 상황변화 및 요 구조자들의 구체적 위치 등에 관한 정보파악이 실질적으로 불가하고, 따라서, 요 구조자들이 머물고 있는 위치별 상세대피정보, 예컨대, 위치별 비상통로 내지 탈출구의 안내 및 현장상황에 맞는 응급대처방법 등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아수라장 같은 재난현장 상황 및 그에 따른 높은 레벨의 소음발생으로 송출되는 대피 안내방송을 요 구조자가 제대로 청취하지 못한 경우, 그 청취하지 못한 대피 안내정보에 대하여, 요 구조자는 반복 송출을 요청할 수 없고, 구조자(관재실 또는 방재실 등)의 입장에서 또한, 대피안내 정보가 요 구조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파악할 수 없어, 결국 재난사고 초동대처에 실패하고, 번번이 대형 인명피해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상존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방향 음향정보 송출방식을 갖는 종래 전관방송 시스템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 학교, 백화점, 병원, 대형마트, 터미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건물이나 지역 내에 설치되는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스피커장치를, 관제부(관리자) 또는 요 구조자 선택에 따라 다자간 상호 통화가 가능한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전환되게 하여, 화재나 지진, 기타 예상하지 못한 재난상황 발생시, 관제부와 요 구조자 간 쌍방향 통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시간 긴급 정보교환, 예컨대, 요 구조자가 머물고 있는 사고현장의 위치 및 그 현장의 피해상황, 그리고, 사고위치 및 현장상황에 적합한 대피안내 및 대처방안 등에 대한 음성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긴급한 재산사고현장에서의 초동대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긴급 재산상황발생에 의해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스피커장치가 쌍방향 통화가 가능한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전환될 경우, 그 쌍방향 통화음량을 소음감지 검출모듈을 통해 실시간 측정하게 하고, 그와 같이, 측정된 통화음량 정보를 관제부 및 소방관서 서버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실시간 통화음량을 가변조절되게 하여, 아수라장 같은 재난현장의 높은 소음발생 등에 구애받음 없이, 관제부와 요 구조자가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를 통한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전관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무선방송, 감시카메라, 비상벨, 긴급전화 등 대형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지진, 기타 긴급 재난사고 발생시, 비상경고음 내지 대피 안내를 행하는 다양한 통신방식의 유,무선 전자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유지비용을 절감되게 함으로써, 경제성과 이용효율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중앙정보 처리모과, 기능전환 스피커와, 소음감지 검출모듈로 구축된 관제부;
그리고, 상기 관제부와 온라인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된 소방관서 서버로 구축하여 달성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은,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스피커장치를, 관제부(관리자) 또는 요 구조자의 선택에 따라 다자간 음성정보 교환이 가능한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전환되게 하여, 화재나 지진, 기타 예상하지 못한 재난상황 발생시, 관제부와 요 구조자 간 쌍방향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실시간 긴급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긴급한 재산사고현장에서의 초동대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은,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스피커장치가 쌍방향 통화가 가능한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전환될 경우, 그 쌍방향 통화음량을 소음감지 검출모듈을 통해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통화음량 정보를 관제부 내지 소방관서 서버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여, 실시간 통화음량을 가변조절되게 한 것으로써, 이는, 아수라장 같은 재난현장 상황에 따른 높은 레벨의 소음발생 등에 구애받음 없이, 관제부와 요 구조자가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스피커를 통한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전관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무선방송, 감시카메라, 비상벨, 긴급전화 등 대형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지진, 기타 긴급 재난사고 발생시, 비상경고음 내지 대피 안내를 행하는 다양한 통신방식의 유,무선 전자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경제성과 이용효율성 또한, 증대되게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관방송 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중앙정보처리모듈(11)과, 기능전환 스피커(12)와, 소음감지 검출모듈(13)로 구축된 관제부(1), 그리고, 관제부(1)와 온라인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소방관서 서버(2)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관제부(1)에 있어, 중앙정보처리모듈(11)은, 설정 메모리(저장) 된 자동음향신호 또는, 관리자에 의해 전달되는 실시간 음향신호를 자동 내지 수동형태로 선택적 제어하고, 그 제어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시설물의 각 구역 내로 송출하며, 특히, 후술하는 소음감지 검출모듈(13)로부터 전달되는 재난발생지역의 음향신호를 수신 및 제어하여, 온라인 네트워크망을 통해 소방관서 서버(2)로 전송 제공하는 등, 전관방송 시스템 운영에 관련한 일련의 전자적 입,출력 신호를 컨트롤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중앙정보처리모듈(11)은, 상기 일련의 송출 음향신호, 예컨대, 설정 메모리(저장) 된 자동음향신호와 관리자에 의해 전달되는 실시간 음향신호를 제어하는 안내방송 관리모드(111), 그리고, 후술하는 기능전환 스피커(12)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신호와 소음감지 검출모듈(13)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통합제어하는 신호제어모드(112)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제부(1)에 있어, 기능전환 스피커(12)는, 평상시 일반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재난사고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그 재난발생지역에 머물고 있는 요 구조자들의 음성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기능전환 스피커(12)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부(1)와 요 구조자간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능전환 스피커(12)의 기능을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자동 또는 수동전화되게 하는 기능전환 스위치(121)와,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121)에 의해 전환된 마이크로폰 기능에 의해 재난발생지역 내에 머물고 있는 요 구조자들의 음성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정보를 수신 감지하는 소음측정기(122)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제부(1)에 있어, 소음감지 검출모듈(13)은, 전술한, 기능전환 스피커(12)에 있어, 소음측정기(122)를 통해 수신되는 요 구조자들의 음성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신호를 전력선 통신에 의해 전달받고, 그 전달받은 신호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요 구조자들의 음량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레벨과 음향주파수를 측정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소음감지 검출모듈(13)은, 측정된 요 구조자들의 음량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레벨 수치에 따라 통화음량을 조절, 예컨대, 전술한 기능전환 스피커(12)를 통한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시, 통화음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적 조절하게 하는 음량증폭기(131)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방관서 서버(2)는, 전술한 관제부(1)와 온라인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소방서 또는 관공서의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소방관서 서버(2)는, 전술한 관제부(1)에 있어, 소음감지 검출모듈(13)을 통해 측정된 음향신호와, 상기 관제부(1)가 구축되어 있는 시설의 세부 설계도면 파일을 중앙정보처리모듈(11)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소음감지 검출모듈(13)을 통해 측정된 음향신호와 시설 설계도면파일을 매칭시켜, 재난발생지역의 실시간 위치를 그 설계도면 이미지에 점멸 또는 표시신호로 표출되게 하는 재난상황 모니터링 모듈(21)을 더 구축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다자간 통화 음량컨트롤 전관방송시스템의 상화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파트, 학교, 백화점, 병원, 대형마트, 터미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건물이나 지역 내 시설에, 화재나 지진, 기타, 예견하지 못한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제부(1)에 마련된 중앙정보처리모듈(11)에 의한 자동전환 또는, 재난발생지역에 머물고 있는 요 구조자에 의한 기능전화 스위치(121) 수동 터치조작에 의해 기능전환 스피커(12)를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기능전환 스피커(12)가 수음 마이크로폰기능으로 전환되면, 그 기능전환 스피커(12)로 구성된 소음측정기(122)는 재난발생지역 내에 머물고 있는 요 구조자들의 구조요청 음성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정보를 감지 수신하고, 수신된 요 구조자들의 구조요청 음성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정보를 소음감지 검출모듈(13)로 전달한다.
이어, 상기 요 구조자들의 구조요청 음성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정보를 전달받은 소음감지 검출모듈(13)은, 그 전달받은 신호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요 구조자들의 음량과 재난발생지역 주변의 소음레벨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수치에 따라 음량증폭기(131)를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하여, 관제부(관리자)와 요 구조자 간 통화음량을 조절하여, 원활하고, 용이한 쌍방향 음성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관제부(관리자)와 요 구조자간 쌍방향 통화가 이루어짐에 있어, 관제부(1)의 중앙정보처리모듈(11)은, 소음감지 검출모듈(13)에 의해 측정된 음향신호와, 재난발생 시설의 세부 설계도면 파일을 소방관서 서버(2)에 온라인 전송을 통해 실시간 전달하고, 이에, 상기 소방관서 서버(2)는 재난상황 모니터링 모듈(21)을 통해 재난발생지역의 실시간 위치와 상황을 파악하여 현장상황에 적합한 대피안내 및 대처방안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다자간 통화 음량컨트롤 전관방송시스템을 구현한다.
한편, 부연설명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다자간 통화 음량컨트롤 전관방송시스템은, 스피커를 통한 일 방향 음향정보 전달방식의 전관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무선방송, 감시카메라, 비상벨, 긴급전화 등 대형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지진, 기타 긴급 재난사고 발생시, 비상경고음 내지 대피 안내를 행하는 다양한 통신방식의 유,무선 전자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 : 관제부 2 : 소방관서 서버
11: 중앙정보처리모듈 12 : 기능전환 스피커
13 : 소음감지 검출모듈 21 : 재난상황 모니터링 모듈
111 : 안내방송 관리모드 112 : 신호제어모드
121 : 기능전환 스위치 122 : 소음측정기
131 : 음량증폭기

Claims (5)

  1. 중앙정보 처리모듈(11)과, 기능전환 스피커(12)와, 소음감지 검출모듈(13)로 구축된 관제부(1);
    상기 관제부(1)와 온라인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된 소방관서 서버(2)로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정보 처리모듈(11)은, 안내방송 관리모드(111)와, 신호제어모드(112)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전환 스피커(12)는 기능전환 스위치(121)와, 소음측정기(122)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지 검출모듈(13)은, 음량증폭기(131)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서 서버(2)는, 재난상황 모니터링 모듈(21)을 더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20180028484A 2018-03-12 2018-03-12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205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84A KR102051738B1 (ko) 2018-03-12 2018-03-12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84A KR102051738B1 (ko) 2018-03-12 2018-03-12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46A true KR20190107346A (ko) 2019-09-20
KR102051738B1 KR102051738B1 (ko) 2019-12-03

Family

ID=6806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84A KR102051738B1 (ko) 2018-03-12 2018-03-12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285B1 (ko) * 2023-02-13 2023-07-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재실자 파악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2588122B1 (ko) * 2022-12-01 2023-10-11 이정희 전관방송 시스템
KR102642115B1 (ko) * 2022-09-02 2024-02-28 이육금 긴급 호출 통화 기능을 구비한 전관 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247A (ko) * 2000-07-28 2002-02-04 문헌 다목적 경보 시스템
KR20020066920A (ko) * 2001-02-13 2002-08-21 김용선 음성경비시스템
KR100661076B1 (ko) * 2006-06-22 2006-12-22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비상 통제 시스템
KR20070090639A (ko) * 2006-03-03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량 조절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247A (ko) * 2000-07-28 2002-02-04 문헌 다목적 경보 시스템
KR20020066920A (ko) * 2001-02-13 2002-08-21 김용선 음성경비시스템
KR20070090639A (ko) * 2006-03-03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량 조절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 그 동작방법
KR100661076B1 (ko) * 2006-06-22 2006-12-22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비상 통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115B1 (ko) * 2022-09-02 2024-02-28 이육금 긴급 호출 통화 기능을 구비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588122B1 (ko) * 2022-12-01 2023-10-11 이정희 전관방송 시스템
KR102560285B1 (ko) * 2023-02-13 2023-07-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재실자 파악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738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738B1 (ko)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JP6080289B2 (ja) 非常放送設備
KR101844472B1 (ko) 원격 방재 시스템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US20020149491A1 (en) Egress system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JP2018124954A (ja) 防災システム
CN103327283A (zh) 对讲机、对讲系统以及控制对讲机显示面板亮度的方法
KR102000628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하는 소방용 경보 시스템 및 장치
KR20190107344A (ko) 다채널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관방송시스템
EP2983148B1 (en)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KR101547835B1 (ko)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KR101815842B1 (ko) 재난대피 방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1327A (ko) 노약자 및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화재 경보 및 대피 시스템
JP2002245579A (ja) 災害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113419B1 (ko) 영상통화 자동전환을 이용한 재난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6489B1 (ko) 스마트 비상등
JP6105341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端末
JP2018041250A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JP200518991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と案内装置
JP6517035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81347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구조 요청 방법
KR101674575B1 (ko) 무인화상폴대 및 이를 이용한 조기 화재 예방 시스템
TWM578855U (zh) Indoor emergency evacuation navigation system
JP6854945B2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