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884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884A
KR20190106884A KR1020190105724A KR20190105724A KR20190106884A KR 20190106884 A KR20190106884 A KR 20190106884A KR 1020190105724 A KR1020190105724 A KR 1020190105724A KR 20190105724 A KR20190105724 A KR 20190105724A KR 20190106884 A KR20190106884 A KR 20190106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tub
unit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038B1 (ko
Inventor
정종석
김현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20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770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04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며, 상기 히터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 laundry treating apparuts and a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말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 의류처리장치와 대형 의류처리장치가 하나로 병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소형 의류처리장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기 때문에 터브에 물이 조금만 급수되어도 드럼의 바닥면은 쉽게 물에 접촉된다.
상기 소형 의류처리장치가 탑로더 타입으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는 물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형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터를 통해 터브의 물을 가열할 때 터브에 물을 완전히 급수한 상태에서 물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터브에 소량의 물을 급수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후 물을 추가로 급수하여 희석하는 제어방법이 등장하였다. 이는 물이 비열이 매우 큰 물질이므로 작은 양의 물을 가열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소형 의류처리장치의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물이 소량으로 급수되면 통상적으로 상기 교반부가 물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후, 물을 가열하면 상기 교반부가 함께 가열되고, 이후 물이 급수되면 상기 교반부와 상기 가열된 물은 의류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삶음 등이 가능한 정도의 온도까지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교반부가 고온인 상태에서 추가로 급수되는 저온의 물과 접촉되면 상기 교반부의 열수축이 급격하게 발생하여 상기 교반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교반부가 열팽창 계수가 다른 물질로 구성되거나, 표면에 상기 교반부 내부와 열팽창 계수가 다른 금속 등이 도금되어 있는 경우,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상기 교반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 내부 구성품을 손상시키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하여도 상기 교반부가 손상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교반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상기 교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교반부가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거나,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교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교반부가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서서히 단계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며, 상기 히터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은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은 너비가 높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는 표면에 상기 교반부와 열팽창 계수가 다른 재질이 도금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가 물에 잠길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는 시간이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되는 시간보다 짧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가 물에 전부 잠긴 것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연속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가 물에 전부 잠긴 것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주기 또는 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의류를 세탁할 수 있는 수위인지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가 물에 잠기기 전에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온도가 특정온도보다 낮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연속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주기 또는 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히터가 공기 중에 노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교반부 전체가 물에 잠긴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의 말단에 물을 분무할 수 있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분사노즐로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을 분무할 수 있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분사노즐로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의류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의류수용부는 상기 터브와 별도로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1터브와, 상기 제1터브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 내부 구성품을 손상시키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하여도 상기 교반부가 손상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교반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상기 교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교반부가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거나,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교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교반부가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서서히 단계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드럼 및 교반부,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교반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교반부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커플링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모든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메인의류처리장치인 제1처리부(110)와 보조의류처리장치인 제2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부(110)와 제2처리부(120)가 조합 및 결합되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부(110)만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처리부(120)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복수의 처리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은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처리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도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20)는 상기 제2처리부(120)보다 세탁 또는 건조 용량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처리부(120) 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처리부(120)가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속옷, 아기옷, 소량의 의류 등을 신속하게 세탁 또는 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분리되어 상기 제1처리부(110)와 결합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도1(a),(b) 참조), 상기 제1처리부(1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1(b),(c) 참조)
도1(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10)에 결합되어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2캐비닛(111)과 구분되어 구비되는 제2캐비닛(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상기 제1처리부(110)와 함께 구비된다면 상기 제1처리부(110)의 상부, 하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와 간섭을 피하기 위해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처리부(120)는 제2캐비닛(121)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121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121a)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부에 제1처리부(110)가 안착되므로, 상기 제1처리부(110)의 제1캐비닛(111) 하부에는 상기 제2처리부(120)의 제2캐비닛(1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연결부(111a)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기 제2캐비닛(112)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111a)가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는 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부와 상기 제1처리부(110)가 결합되면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어부(700)만 통합적으로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111a)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드로워(121a)가 인출되었을 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처리부(110)가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만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컨트롤패널(C)는 상기 제1처리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처리부 (110) 및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작동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처리부(110)가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부(120)가 프론트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의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1(b)와 도1(c)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일체로 또는 하나의 바디를 이루며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b)와 도1(c)는 상기 제1처리부(110)가 프론트 로드 타입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부(120)가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1(b)는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1(c)는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10)의 상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b)를 참고하면,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캐비닛(1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처리부(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1)과 상기 제2처리부(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121)이 결합되어 하나의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제2캐비닛(121)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121a)와, 상기 드로워(121a)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11)에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컨트롤패널(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처리부(110)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컨트롤패널(C)는 상기 제1처리부(110)가 구비되어 있는 제1캐비닛(111)에 구비될 수 있다.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캐비닛(1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1)에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상기 컨트롤패널(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컨트롤패널(c)는 상기 제2처리부(120)가 구비되어 있는 캐비닛(111)에 구비될 수 있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제1처리부(110)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2(b)는 제1처리부(110)가 상기 제2처리부(120)의 하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a)와 도2(b)는 상기 제1처리부(110)가 상기 제2처리부(120)와 하나의 캐비닛(111) 내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분리되어 구비되어 별도의 캐비닛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2(a)와 도2(b)는 상기 제1처리부(110)가 프론트 로드 타입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부(120)가 탑 로드 타입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서로 다른 타입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제1캐비닛(11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의류수용부(112,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2캐비닛(12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의류수용부(112,113)는 물을 저장하는 제1터브(112), 상기 제1터브(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는 상기 제1터브(11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114)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14), 상기 제1터브(112)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부(115), 상기 제1터브(112)의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114)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114a),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터(114b),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는 회전축(114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터브(112)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와,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고 터브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급수부(115)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1터브(112)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115a)과, 상기 제1급수관(115a)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급수밸브(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부(116)는 상기 제1터브(112)에서 상기 캐비닛(111) 외부에 연장되어 구비된 제1배수관(116a)과, 상기 제1터브(112)의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배수관(116a)에 연통되어 구비된 제1배수펌프(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크기만 다를 뿐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의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제2터브(122)와, 상기 제2터브(1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200)과, 상기 제2터브(12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200)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24)와, 상기 제2터브(120)에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부(125)와, 상기 제2터브(120)의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가능성이 크므로,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보다 부피가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처리부(120)는 세탁효율과, 세탁용적은 일정수준 이상으로 확보해야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드럼(200)은 의류가 출입하도록 구비되는 드럼투입구 또는 바닥면(230)의 직경이 투입구와 인접한 면(210)들의 폭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330)과 수직인 면의 길이가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면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투입구가 상부를 향하는 경우 상기 제2드럼은 너비가 높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드럼(200)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면의 직경을 넓혀 원심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고, 상기 제2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의 세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드럼(200)은 상기 의류가 수용, 지지되는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제2드럼(200)의 세탁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제1터브(112)를 상기 캐비닛(111)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1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2터브(122)를 상기 캐비닛(111)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부(12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112a)와 상기 제2지지부(122a)는 스프링과 댐퍼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고, 브라켓과 연결바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12a)와 상기 제2지지부(122a)는 상기 제1터브(112)와 상기 제2터브(122)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캐비닛(111)은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를 구획하는 격벽(1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11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111a)가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111a) 내부에 상기 제2터브(122)와 상기 제2드럼(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300)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310),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320),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회전축(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제2터브(122)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와,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고 터브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급수부(125)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122)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125a)과, 상기 제2급수관(125a)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급수밸브(125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급수부(125)는 상기 제2급수관(125a)에서 분지된 분지관(125c)와 상기 분지관(125c)의 말단에서 상기 제2터브 내부를 향하여 구비되는 분무노즐(125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관(125c)과 상기 제2급수관(125a)이 연결부분에는 3way valve 등으로 구비되는 분지밸브(125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무노즐(125d)은 상기 제2급수관(125a)의 말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분무노즐(125d)은 공급되는 물을 분무 형태로 상기 제2터브(12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터브(122) 또는 제2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의 포적심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수부(126)는 상기 제2터브(122)에서 상기 캐비닛(121) 외부에 연장되어 구비된 제2배수관(126a)과,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배수관(126a)에 연통되어 구비된 제2배수펌프(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제1터브(110)에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118)와, 상기 제1터브(11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18)는 상기 제1터브(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스히터(sheath heater)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히터(118)는 상기 제1터브(110)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열풍공급부(119)는 상기 제1터브(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119a)와, 상기 덕트(119) 내부에 구비되는 덕트히터(119b)와, 상기 덕트(119b)의 공기를 제1터브(110)로 공급하는 팬(119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10)도 상기 제1처리부(120)와 같이 제2히터(128)와 제2열풍공급부(129)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캐비닛(111)에 구비되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패널(c)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처리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17)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12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 중 건조장치로 구비된 처리부는 급수부, 배수부, 터브, 히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부(200)에는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22b)와, 상기 제2터브(12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2d), 상기 제2드럼(122)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122c)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122b)는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온도센서(122d)는 상기 제2터브(12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하중센서(122c)도 상기 제2드럼(122)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처리부(200)는 상기 제2드럼(20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드럼(200)이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되므로 의류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제2드럼(200)의 바닥면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20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제2드럼(200)의 바닥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20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제2드럼(200)과 반대 방향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제2드럼(20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드럼(200)은 하부면(213)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210), 상기 드럼바디(210)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개방면(213)을 폐쇄하는 드럼바닥면(230), 상기 드럼바디(2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투입구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처럼, 상기 드럼바디(210)의 폭은 상기 드럼바닥면(23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투입구는 드럼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면(211)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바디의 상부 개방면(211)에 밸런서(220)가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투입구는 상기 밸런서(220)에 구비된 관통홀(223)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런서(220)가 상부 개방면(211)에 고정되는 하우징(221),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223, 하우징 관통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유체나 볼(ball)이 순환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225)로 구비될 경우, 상기 관통홀(223)이 드럼투입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로(225) 내부에는 볼과 유체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유체 및 볼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밸런서(220)는 제2드럼(200)이 편심회전할 때 유로(225) 내부의 유체나 볼이 편심을 유발하는 힘(드럼 내부의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드럼의 편심회전(드럼의 진동)을 저감할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바디(210)에는 드럼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2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2터브(122)에 저장된 물은 상기 연통홀(215)을 통해 드럼바디(2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드럼바디(210) 내부의 물은 상기 연통홀(215)을 통해 제2터브(122)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구동부(300)는 상기 드럼바닥면(213)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330)과 상기 드럼바닥면(2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축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제2드럼(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류의 저장공간)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410), 상기 바디에서 상기 드럼바닥면(43)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암(4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0)와 상기 고정암(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바닥면(2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30)은 상기 고정바디(4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암(420)는 상기 제2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된 제1고정암(421), 제2고정암(422) 및 제3고정암(4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암(421), 제2고정암(422) 및 제3고정암(423)가 이격된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서로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암(421), 제2고정암(422) 및 제3고정암(423) 이격된 각도가 서로 같은 경우 그 이격된 각도는 120도일 수 있다.
상기 고정암(420)는 상기 드럼 바닥면(230)에 구비된 베이스(2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2드럼(2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척한다. 상기 제2드럼(200)은 회전속도를 상승 및 감소시키거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상기 제2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를 비벼빠는 효과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마찰력을 도출하여 상기 의류를 세척한다.
다만, 상기 제2드럼(200)의 회전만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를 세척하는 것은 기계적인 마찰력을 생산하는데 부족할 수 있다. 즉, 기계적인 마찰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처리부(120)에는 제2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적인 힘을 더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교반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바닥면(230)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닥면(230)의 중심에서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암(63,65,6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암(63,65,67)은 상기 드럼바닥면(23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닥면(230)은 상기 베이스(231)를 통해 상기 교반부(6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교반부(6) 중 상기 암(63,65,67)이 상기 베이스(231)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베이스(231)는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면 전체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교반부(600)의 중앙에 구비되는 중심부(61)는 드럼바닥면(230)에서 드럼투입구(223)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암(63,65,67)은 상기 교반부(600)의 중심부(61)에서 서로 120도씩 이격된 제1암(63), 제2암(65) 및 제3암(6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암은 더 많이 구비될 수 있고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이 총 3개의 암으로 구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더라도 이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상기 암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것처럼, 드럼바닥면(230)은 상기 교반부(600)와 결합되거나 상기 교반부(600)를 지지할 수 있는 베이스(23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바닥면(210)의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암들(63,65,67)을 지지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31)는 상기 제1암(63)을 지지하는 제1암베이스(231a), 상기 제 2암(65)을 지지하는 제2암베이스(231b), 상기 제3암을 지지하는 제3암베이스(231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제2드럼(200)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드럼(20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의류에 충격을 가하거나, 상기 의류를 드럼바디(210)로 밀어내거나, 상기 제2터브(122)에 수용된 물에 강한 수류를 발생시켜 상기 의류에 가하는 물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5는 상기 교반부(6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230)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바디(620)와, 상기 교반부바디(620)에 수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620)의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드럼바닥면(230)(이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620)를 상기 바닥면(230)에 고정하는 보강결합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교반부(600)가 상기 의류와 세척수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드럼 바닥면(230)에 접촉하는 부분이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상기 교반부바디(620)와 상기 바닥면(230)을 결합시키는 매개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상기 제2드럼(200)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제2드럼(200)과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과 같이 가볍고 가공이나 성형이 쉬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상기 보강결합부(640)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20)은 상기 보강결합부(640)가 그대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6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상기 보강결합부(640)를 수용하는 개구부(622)를 가진 하우징으로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강결합부(6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상기 교반부바디(620)에 수용되되 상기 바닥면(230)의 중앙에 고정되는 보강결합부(640)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교반부(600)의 뼈대를 이루며,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상기 교반부(600)의 표면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가 수용되는 교반부바디 중심부(621)와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이 수용되는 교반부바디 암(623,625,627)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 중심부(621)와 상기 교반부바디 암(623,625,627)은 하나의 연통된 하우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부바디(620)와 보강결합부(640)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교반부바디 중심부(621)와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는 교반부의 중심부(61)를 이루며, 상기 교반부바디 암과 상기 보강결합부 암은 상기 제1,제2,제3암(63,65,67)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상기 보강결합부(640)와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결합돌기(6201)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01)는 상기 개구부(622)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상기 교반부바디(62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고, 그 일부만 수용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결합부(640)가 완전히 상기 교반부바디(62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보강결합부(640)는 하부면(641)만 교반부(6)의 표면에서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교반부바디(6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01)는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의 말단과 양측면과에 구비된 안착홀(646)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에서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이 연장되지 않은 부분에 구비된 안착홀(646)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안착홀(646)도은 상기 안착대(644)에서 상기 결합돌기(6201)와 대응되는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홀(646)은 상기 안착대(644)에서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의 말단과 양측면,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 중 상기 암이 연장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620)는 표면에 금속재질로 도금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도6과 도7은 교반부(600)만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2드럼(200)과 상기 교반부(60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구동부(300)는 상기 교반부(60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표면(650)에 도금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교반부(600)가 제2드럼(200) 보다 가벼운 재질로 구비한 뒤, 표면을 금속재질로 도금 처리하여 관성모멘트를 감소함과 동시에 제2드럼(200)의 내부와 통일성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구동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링(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이 제2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제2터브(122)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교반부(60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시키고,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강성보강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터브(122)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교반부(600)를 향하여 상승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220)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교반부(6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과정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제2드럼(20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의류의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정수위는 상기 교반부(600)가 공기로 노출되는 수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탈수과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의 회전방향을 다르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200)는 상기 제2구동부(300)와 상기 제2드럼(200)의 바닥면(230)을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축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고정부(400)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바디(210)가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축고정부(400)가 정지하면 상기 드럼바디(210)가 정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제2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을 상기 제2드럼(200)에 전달하며,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와 분리되어 상기 동력이 상기 제2드럼(2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서 분리되어 상기 교반부(600)를 향하여 상승하고,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일때는 하강하여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직접 상기 제2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 일때는 상기 교반부(600)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600)만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하여 상기 축고정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플링(500)이 상기 제2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방식 및 상기 축고정부(4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2구동부(300) 상기 제2회전축(3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되 상기 제2회전축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수용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400)는 하부에 상기 축수용부(340)가 결합되며 상기 제2회전축(330)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부(411)을 포함하는 허브(410)와, 상기 허브(41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244)에 결합되는 고정암(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회전축(330)은 상기 제2스테이터(310)와 상기 제2로터(320)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축수용부(400)로 인해 상기 축고정부(40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진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2회전축(330)은 상기 축수용부(340)에서 자유회전하며, 상기 축고정부(40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제2회전축(330)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구동부(300)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교반부(6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제2구동부(300)에서 발생된 동력이 직접 전달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서 상기 제2회전축(330)을 따라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 변화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제2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30)은 상기 제2로터(320)와 연결된 축바디(331)와, 상기 축바디(331)에서 연장되어 상기 허브(410)에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제1기어(332a)를 구비하는 축기어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축기어부(3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332)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내주면에 제2기어(411b)를 구비하는 허브기어(41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회전축(330)은 상기 허브(410)에서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제1기어(33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0)는 내주면에 상기 제1기어(332a)와 치합되며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511a)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상기 동력전달부(510)가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11a)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기어(411b)와 치합되는 제4기어(511b)를 구비하는 커플링기어(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0)은 상기 제2터브(220)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고, 상기 제2터브(220)에 물이 배수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11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510)은 상기 제3기어(511a)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기 제1기어(322a)에 치합되므로 상기 고정회전축(330)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부(510)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 사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제2터브(220)에 물이 급수되어 상기 제2터브(2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에서 이탈하여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축기어부(33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허브기어(441a)는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축고정부(400)와 상기 제2드럼(250)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510)가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 접촉하면 상기 커플링(500)이 상기 교반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단에 고정된다면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제2회전축(330)과 함께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과정 등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200)은 고정되고,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하므로 상기 제2드럼(250) 내부의 수류가 형성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터브(220)의 물이 배수되어 상기 제2터브(2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동력전달부(510)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기어의 제4기어(551b)가 상기 허브기어의 제2기어(411b)와 치합되므로 상기 동력전달부(510)가 상기 축기어부(332)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허브기어(41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510)는 상기 제2구동부(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허브기어(411a)를 통해 상기 축고정부(40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2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드럼(200)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 과정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600)와 제2드럼(200)이 일체로 회전하므로 상기 의류의 꼬임 정도가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커플링기어(511)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커플링기어가 고정되는 고정판(512)과, 상기 허브기어(411a)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판(512)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용리브(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리브(513)와 상기 고정판(512)은 하부에 상기 허브기어(411a)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물이 유입될 수 있어, 상기 제2터브(122)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커플링(500)을 부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수용리브(513)에서 연장되는 연장리브(520)와 상기 연장리브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교반결합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결합부(530)와 상기 연장리브(520)는 하부에 물과 접촉하거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커플링(500)이 물에 더 잘 부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중심부(611)의 하부에 상기 커플링(500)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61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동력전달부(510)를 수용하도록 상기 연장리브(520)에 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리브(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커플링(500)과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고정회전축(33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회전축(330)에 의해 자유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플링(500)의 상기 동력전달부(510) 및 교반결합부(530), 연장리브(520)에 접촉되어 상기 커플링(500)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부(60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제2회전축(330)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관(341)과, 상기 수용관(341)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허브(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용고정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회전축(330)은 상기 축수용부(340)와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동력을 상기 축고정부(400)에 직접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수용관(34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330)의 동력이 상기 축수용부(34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2회전축(330)의 자유회전을 유도하는 수용베어링(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허브(4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허브(4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허브기어(411)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상기 허브(410)에 결합되는 허브결합부(4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허브(410)의 형상이 복잡하므로 상기 축관통부(411)까지 한번에 성형하기 어려울 때 유리할 수 있다.
도7는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에 따라 상기 커플링(500)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커플링(500)의 하부에 물이 유입되어 상기 커플링(500)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의 상부가 상기 교반부의 중심부(610)의 하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커플링(500)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축기어부(332)에 의해 회전하므로 상기 교반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허브기어(411)에서 이탈하였으므로 상기 축고정부(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할 수 있고, 세탁행정이 진행된다면 상기 제2드럼(200)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의류를 적당히 꼬이게 하여 세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터브(2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커플링(500)의 하부에 물이 배출되므로 상기 커플링(500)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의 동력전달부(510)가 상기 허브기어(411a)와 상기 축기어부(332) 사이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축기어부(3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허브기어(411a)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500)의 교반결합부(530)가 충분히 돌출되고, 상기 교반부(600)의 결합리브(620)가 상기 커플링(500)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면, 상기 커플링(500)은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부(60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의 중심부(611)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단에 고정된다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회전과 함께 상기 교반부(600)도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커플링기어(511), 상기 허브기어(411a)는 같은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고정부(400)와 상기 교반부(600)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탈수행정이 진행중이라면, 상기 제2드럼(200)과 상기 교반부(600)가 동시에 일체로 회전하므로 의류의 꼬임이 완화되어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8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의 모든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컨트롤패널(c)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컨트롤패널(C)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C)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급수밸브(115b), 상기 제2급수밸브(125b), 상기 제1구동부(114), 상기 제2구동부(300), 상기 제1배수펌프(116b), 상기 제2배수펌프(126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처리부에 구비되는 제1히터(118)와 제1열풍공급부(119)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에 구비되는 제2히터(128)과 제2열풍공급부(129)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1a)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어부(700)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2히터(118,128)의 구동을 수반하는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터브(112)나 상기 제2터브(122)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상기 제1,2히터(118,128)로 가열하는 히팅(heating)이 수반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스는 의류의 진드기, 미생물을 제거하는 알러지코스나, 상기 의류의 세탁력을 극대화 하는 삶음코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알러지코스는 상기 제1터브(112) 또는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이 50도 이상에서 10분 이상 유지되는 코스 일 수 있고, 상기 삶은 코스는 상기 제1터브(112) 또는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5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시켜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코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삶음코스 또는 상기 알러지코스를 상기 제2처리부(120)에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터브(122)에 삶음코스, 알러지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한 뒤, 물 전체를 삶음코스 또는 알러지코스에서 목표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물은 비열이 크므로 가열하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물을 일정수위까지만 급수한 뒤,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후 목표한 수위로 냉수 또는 온수를 급수하면서 가열된 물과 희석시켜 목표한 가열온도로 맞출 수 있다.
즉, 소량 급수된 물을 제1온도로로 가열하고, 이후 물을 추가로 급수하여 물 전체의 온도를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로 맞출 수 있다. 상기 제1온도는 90도 부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86.4도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온도는 50도 부근일 수 있다.
다만, 의류에 접촉된 물이 제1온도로 가열되면, 상기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을 제1온도로 가열할 때는 상기 제2드럼(200) 내부의 의류가 최대한 물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가열할 경우에는 상기 제2히터(128)는 물에 잠긴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히터(128)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작동하면 과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 상기 히팅을 수반하는 코스를 수행할 때에는 물을 상기 교반부(600)가 일부 잠기는 수위까지 급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터브(122)의 바닥면과 상기 제2드럼(200)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제2히터(128)가 구비되며, 상기 제2히터(128)의 상부에 상기 교반부(600)가 구비되므로 상기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수위이면 제2히터(128)가 물에 충분히 잠기는 수위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2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교반부(600)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교반부(600)의 일부만 물에 잠기는 경우 제1온도의 물에 의류가 노출되는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
*나아가, 상기 히터(118)만 잠기고 상기 교반부(600)가 전부 공기중에 노출되는 수위의 물만을 가열한다면, 가열된 물이 너무 소량이므로 상기 알러지코스 또는 삶음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물을 급수할 시 상기 제2터브(122)의 온도를 제2온도로 맞추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히팅이 수반되는 알러지코스 또는 삶음코스의 수행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센서(122b)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를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수위를 감지할 때 까지 제2급수밸브(125b)를 개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폐쇄하여 급수를 중단한뒤, 상기 히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제1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가 온도센서(122d) 등에 의해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의 온도가 제1온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다시 개방하여 물을 상기 제2터브(122)에 급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히팅이 수반되는 코스에서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터(118)가 잠기고 상기 교반부(600)가 노출되는 수위까지 물을 급수하고 히터(118)를 가동하여 상기 제1온도로 물을 가열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히터(118)가 가동되어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이 제1온도로 가열될때, 상기 교반부(600)는 열평형에 의해 제1온도로 함께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드럼(200)에서 상기 교반부(600) 보다 상부에 구비된 부분은 상기 제1온도로 가열되지 않으므로 상기 교반부(600)와 온도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가열되어 열팽창할 수 있고, 상기 제2드럼(200)의 일부는 열팽창하지 않아 서로의 결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교반부(600)만 가열되는 경우 상기 교반부(600) 또는 상기 제2드럼(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드럼(200) 이나 상기 교반부(600)가 서로 마찰을 발생시키는 등 원할하게 회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가 제1온도로 가열되었을 때, 상기 제1급수밸브(125a)가 개방되어 제1온도 보다 낮은 물이 갑자기 급수되는 경우 상기 교반부(600)에 열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제2드럼(200)과 다른재질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드럼(200)과 다른재질로 구비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드럼(200)과 열수축량이 달라 상기 교반부(6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가 표면이 도금처리가 되어 있거나, 교반부바디(620)와 교반결합부(640)와 같이 서로 다른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열수축량 차이로 인해 상기 교반부(6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교반부(600)의 표면에 크랙, 부풀림,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9는 상기 교반부(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700)가 제2급수밸브(125b)를 개방하여 상기 제2터브(122)에 물을 급수할 때, 상기 제2터브(122)에서 상기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기는 수위를 제1수위(I)로 정의하고, 상기 교반부(600)가 전부 물에 잠기기 시작하는 수위를 제2수위(II)로 정의하며, 상기 히터(118)가 물에 잠기는 수위를 제3수위(III)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수위(III), 상기 제1수위(I), 상기 제2수위(II)로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도2 참조)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를 제어부(700)가 판단하는 방법은 수위센서(122b)를 통해 수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상기 급수밸브(125a)의 개방시간 및 상기 급수관(125b)의 단위시간 당 유량이 데이터화 된 것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히터를 가동하여 물을 가열하는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컨트롤패널(C)을 통해 입력한 코스정보를 상기 제어부(700)가 분석하여 상기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히팅이 수반된 코스가 선택되거나, 상기 히팅이 수반된 코스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S1)과,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의 물을 제1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S2), 상기 펄세이터가 전부 물에 잠기기 시작하는 제2수위까지 단속급수를 수행하는 제1추가급수단계(S3)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수위인 상기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때 가지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가열하고, 상기 히터(118)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급수밸브(125a)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터브(122)에 물을 소량 급수하여 상기 제2히터(128)를 구동함으로써 소량의 물을 고온까지 가열시키고, 이후 제1추가급수단계에서 공급되는 물과 희석시켜 의도하였던 온도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단계(S2)가 완료되면, 상기 교반부(600)는 함께 가열될 수 있고, 열평형에 의해 제1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상기 제1온도 보다 온도가 낮은 물을 단속적으로 급수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물을 제1소정시간 급수한 뒤, 제2소정시간 대기하고, 다시 물을 제1소정시간 급수한 뒤 제2소정시간 대기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교반부(600)의 온도를 서서히 낮출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00)의 온도가 완만하게 낮춰지므로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제2드럼(200)과 다른재질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드럼(200)과 다른재질로 구비된 구성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교반부(60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는 교반부바디(620)와 교반결합부(640)와 같이 서로 다른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열수축량 차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상기 교반부(6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가 표면이 상기 교반부와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재질로 도금 처리되어 있는 경우, 표면과 내부의 열수축량 차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상기 교반부(6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적은 양의 물로도 상기 교반부(600)의 온도가 급격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소정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가 제1소정시간 급수된 물에 의해 전체가 열평형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상기 제2소정시간은 상대적으로 긴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소정시간은 0.1초 일 수 있고, 상기 제2소정시간은 10초 일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18)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급수밸브(125b)가 개방되는 시간은 상기 급수밸브(125a)가 폐쇄되는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드럼(200)을 회전하여 내부에 공기의 유동 및 의류가 상기 교반부(600)에 자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교반부(600)의 냉각을 더욱 원할하게 돕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제2구동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2)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히터(118)는 물에 잠겨있어야 하고, 동시에 상기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급수단계(s1)에서 여러 상황에 의해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는 제3수위 미만이거나, 제1수위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급수단계(s1)에서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이 상기 제3수위의 미만인지와 상기 제1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단계(s1-1)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수위감지단계(s1-1)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제3수위 미만이면 상기 제1수위까지 상기 제2터브(122)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제1수위감지단계(s1-1)에서 감지된 수위가 상기 제1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1수위까지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배수하는 수위조절단계(s1-2)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조절단계(s1-2)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히터(118)의 작동 전에 상기 히터(118)가 공기 중에 노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125a)를 개방하고, 상기 교반부(600) 전체가 물에 잠긴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배수펌프(136a)를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는 상기 제2소정시간의 존재로 인해 세탁 및 건조 행정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히팅이 수반되는 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수위까지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의 단속급수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상기 수위센서(122b)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상기 제2수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단계(S3-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위감지단계(S3-1)에서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제2터브(122)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추가로 물을 상기 제2터브(122)에 목표수위까지 급수하는 제2추가급수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상기 교반부(600)가 전부 물에 잠긴 것을 파악하면 즉시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는 목표수위까지 물을 연속적으로 급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가 연속급수 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상기 교반부(600)가 물에 잠길 때 까지, 즉 제2수위일 때 단속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교반부(600)가 물에 전부 잠긴 경우에는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연속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센서(122b) 등을 통해 상기 제2드럼(200) 또는 상기 제2터브(122) 내부의 수위가 의류를 세탁하거나 헹굼할 수 있는 수위인지를 감지하면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폐쇄할 수 있다.
히팅이 수반된 코스가 수행되더라도 상기 제2터브(122)에 상기 의류를 세탁하거나 헹굼할 수 있는 행정에 포함되므로 그 이상의 수위로 이상으로 물을 급수할 이유가 없다.즉,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의류를 세탁하거나 헹굼할 수 있는 수위는 제4수위(IV)로 정의할 수 있다.(도2참조)
한편,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에도 단속급수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터브(122) 내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상황에서 상기 제2터브(122)에 냉수가 순간적으로 급수되면 상기 제2터브(122)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상기 제2터브(122)가 손상, 변형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도 단속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는 물을 제3소정시간동안 급수하고, 제4소정시간동안 대기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상기 교반부(600)가 물에 전부 잠긴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주기 또는 시간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소정시간은 상기 제1소정시간보다는 길고, 상기 제4소정시간은 상기 제2소정시간보다 짧은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추가급수의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가 물에 완전히 잠기게 되면, 상기 교반부(600) 전체의 온도는 상기 물의 온도와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이후, 냉수가 공급되더라도 상기 냉수는 우선적으로 물과 혼합되기 때문에, 상기 교반부(600)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00)에 물에 완전히 잠기게 되는 경우에는 물을 다량으로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급수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2)이후에,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가 수행되는 도중 상기 교반부(600)에 물에 잠기지 않아도 상기 교반부(600)가 충분히 온도가 낮아져 추가로 급수되는 물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를 상기 제2수위까지 진행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온도센서(122d)를 통해 상기 교반부(6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교반부(600)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 것을 확인하면 그 즉시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교반부(600)의 온도를 상기 제2터브(1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교반부(600)가 물에 잠기기 전에 상기 온도센서(122d)를 통해 상기 제2터브(122) 내부의 온도가 특정온도보다 낮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연속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급수밸브(125a)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주기 또는 시간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온도는 상기 공급되는 냉수의 온도와 대응되는 온도이거나, 섭씨 3도 정도 차이가 나는 온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상기 분지밸브(125e)를 제어하여 상기 분무노즐(125d)로 물을 인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급수밸브(125b)를 단속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분무노즐(125d)로 물을 상기 제2터브(12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3)에서 물이 상기 제2터브(122)로 공급될 때 분무로 공급되어 상기 교반부(600)의 넓은 면적에 소량의 물이 고르게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00)가 서서히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무노즐(125d)은 상기 제2급수관(125b)의 말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급수밸브(125b)만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상기 교반부(600)를 서서히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00)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부(120)에서 히팅이 수반된 코스를 진행할 때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처리부(110)에도 전술한 제어방법과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가 없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독자적인 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제1처리부 11 캐비닛
12 도어 13 제1의류수용부 15 제1조작부
16 제1표시부 20 제2처리부 21 캐비닛
22 도어 23 제1의류수용부 25 제2조작부
16 제2표시부
100 의류처리장치 110 제1처리부 111 캐비닛 111a
112 제1터브 113 제1드럼 114 제1구동부
115 제1급수부 116 제1배수부 117 제1전원부
118 히터 119 열풍공급부
120 제2처리부 121 캐비닛 122 제2터브
125 제2급수부 126 제2배수부 127 제2전원부
200 제2드럼 210 드럼바디 211 개방면
213 하부면 215 연통홀 220 밸런서
221 하우징 223 관통홀 225 유로
230 바닥면 231 베이스 231a 제1암베이스
31b제2암베이스 231c 제3암베이스 240 드럼관통홀
300 제2구동부 310 제1스테이터 320 제2로터
330 제2회전축 331 축바디, 332 축기어부 332a 제1기어
340 축수용부 341 수용관 342 수용고정부 343 수용베어링
400 축고정부 410 허브 411 축관통부 411a 허브기어 411b 제2기어 411c 허브결합부
420 고정암(스파이더)
500 커플링 510 동력전달부 511 커플링기어
600 교반부
620 교반부바디 621 하우징 622 개구부 6201 결합돌기
640 보강결합부 중심부 640 641 하부면 642 수용홈 644 안착대 646 안착홈
600' 교반부 610 교반바디 630 결합리브
700 제어부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높이가 너비보다 더 작게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수용된 물이 상기 투입구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급수된 터브의 물을 가열하며, 상기 히터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가 전부 잠길 때 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교반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고,
    상기 교반부가 전부 잠긴 이후에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거나 연속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표면에 상기 교반부와 열팽창 계수가 다른 재질이 도금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는 시간이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되는 시간보다 짧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의류를 세탁할 수 있는 수위인지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가 물에 잠기기 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온도가 특정온도보다 낮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연속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하는 주기 또는 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히터가 공기 중에 노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교반부 전체가 물에 잠긴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말단에 물을 분무할 수 있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단속적으로 개방할 때 상기 분사노즐로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로 상기 터브의 물을 가열하는 히팅(heating)이 수반된 코스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수위까지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
    상기 급수된 물을 제1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가열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교반부가 전부 물에 잠기는 수위까지 제1시간 동안 물을 급수하고, 제2시간 동안 급수를 정지하는 단속급수를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는 제1추가급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에서 상기 교반부가 전부 물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면 제3시간 동안 물을 급수하고 제4시간 동안 급수를 정지하는 단속급수를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거나, 연속급수를 수행하는 제2추가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05724A 2018-09-19 2019-08-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4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24A KR102545038B1 (ko) 2018-09-19 2019-08-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12A KR102017708B1 (ko) 2018-09-19 2018-09-19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0105724A KR102545038B1 (ko) 2018-09-19 2019-08-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12A Division KR102017708B1 (ko) 2018-09-19 2018-09-19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884A true KR20190106884A (ko) 2019-09-18
KR102545038B1 KR102545038B1 (ko) 2023-06-19

Family

ID=8698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24A KR102545038B1 (ko) 2018-09-19 2019-08-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0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063A (ja) * 2002-04-17 2003-11-05 Lg Electronics Inc パルセ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洗濯機
KR20120073586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삶음세탁 제어방법
KR20160007458A (ko) * 2015-12-28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063A (ja) * 2002-04-17 2003-11-05 Lg Electronics Inc パルセ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洗濯機
KR20120073586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삶음세탁 제어방법
KR20160007458A (ko) * 2015-12-28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038B1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06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2574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598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RU2343239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в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варианты)
EP2252734B1 (en) Laundry treating device
US20080201867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523764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制御方法
US112800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5318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70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21832B2 (en) Detergent box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64902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1770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688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98621B2 (ja) 洗濯機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45979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P412307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31854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730687A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20180098933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094112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