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30A -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30A
KR20190106530A KR1020180028150A KR20180028150A KR20190106530A KR 20190106530 A KR20190106530 A KR 20190106530A KR 1020180028150 A KR1020180028150 A KR 1020180028150A KR 20180028150 A KR20180028150 A KR 20180028150A KR 20190106530 A KR20190106530 A KR 2019010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oupling
pipe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056B1 (ko
Inventor
장재형
Original Assignee
장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형 filed Critical 장재형
Priority to KR102018002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0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파이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호 연결, 확장할 수 있는 연결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체는 삽입부와; 결합부으로; 구성되어 접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 고정돌출부, 날개부 및 체결공을 이용하여 각 연결체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연결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frame assembly jun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파이프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파이프를 확장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파이프, 기둥 등 프레임/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프레임/파이프를 용접하여 접합했다. 그러나, 용접 후에 용접봉의 분순물로 인해 용정부위에 생긴 피박을 제거해야 하고 연마기 이용하여 스파크와 같은 용접부위를 가공해 다듬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제10-2003-0018295호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조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파여져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만곡면과;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이 일체로 돌출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끝단부의 중심에서 상기 만곡면 방향으로 파여지는 홈과; 상기 본체부 및 끼움부의 중심부에 뚫려지는 관통구멍으로 구성됨으로써, 파이프 연결구를 1개 또는 2개를 이용하여 모재파이프에 연결파이프를 T형 또는 +형 등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조립 연결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조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발명은 수직 모재파이프 평면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수직으로 연결구를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기의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 혹은 2기의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를 이용하여, 파이프/프레임 구조를 상하좌우와 전후면의 방향으로 확장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상하좌우전후로 확장할 수 있도록 파이프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가 개방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및 삽입부 개방면의 타면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부에 경사형 접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를 구비한 연결체로; 구성되어 있어, 결합부에 1 내지 2기의 삽입부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삽입부의 개방면을 통해 프레임 혹은 파이프가 삽입부에 삽입결합되고 결합부의 접면부를 이용하여 각 연결체가 상호 결합함으로써 파이프구조를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연결체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용이하게 조립 확장할 수 있으며, 접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 고정돌출부, 날개부 및 체결공을 이용하여 각 연결체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체를 이용하여 도1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파이프/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극대화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사용실시도이다.
도 2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4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연결체에 대한 분리도이다.
도 5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접면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실시도이다.
도 7와 8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은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파이프(1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 (100)를 상호 연결, 확장할 수 있는 연결체(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체(200)는 삽입부(10)와; 결합부(20)로; 구성되어 있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삽입부(10)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면(13)과; 상기 개방면(13)을 통해 파이프 (1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부(11)와; 상기 파이프 (100)가 삽입공간부(11)에 삽입되었을 때 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천공구(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1 내지 2기의 삽입부(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결합부(20)는 상기 삽입부(10) 개방면(13)의 타단이 결합할 수 있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접면부(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면부(22)는 고정홈(23)과; 고정돌출부(24)와; 날개부(25)와; 상기 날개부(25)에 천공된 체결공(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 예로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체부(21)의 양측에 2기의 삽입부(10)가 상호 직교로 형성되어 있거나, 본체부(21)의 1측면에 삽입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삽입부(10)에는 파이프 (100) 혹은 파이프가 삽입되고 필요에 따라 삽입부(10)에 형성된 천공구(12)를 통해 체결구를 삽입부(10)와 파이프(100)에 체결함으로써, 파이프 (100)가 삽입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20)에 형성된 접면부(22)는 양측에 체결공(26)이 천공된 날개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형 접면부(22)에는 고정홈(23)과 고정돌출부(24)가 있는데, 타 연결체(200)의 접면부(22)와 결합할 때, 접면부(22)간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일 연결체(200) 접면부(22)의 고정홈(23)은 타 연결체(200) 접면부(22)의 고정돌출부(24)와 맞물리고 일 연결체(200)의 고정돌출부(24)는 타연결체(200) 접면부(22)의 고정홈(23)과 맞물려, 연결체(200)간 결합 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더욱 견고히하기 위하여, 날개부(25)의 체결공(26)에 나사 등을 포함한 체결구를 이용하여, 연결체(20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도 1과 같이, 1기의 삽입부(10)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200) 혹은 2기의 삽입부(10)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200)를 이용하여, 파이프(100)를 상하좌우와 전후면으로 확장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파이프(100)는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 해석되지 아니며, 선반 제작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삽입부
11. 삽입공간부
12. 천공구
13. 개방면
20. 결합부
21. 본체부
22. 접면부
23. 고정홈
24. 고정돌출부
25. 날개부
26. 체결공
100. 파이프
200. 연결체

Claims (4)

  1.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접면부가 형성된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결합부 및 겹합부의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된 1 내지 2기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연결체로; 구성되어 있어 삽입부에 파이프를 삽입하고 고정할 수 있으며, 접면부를 이용하여 타 연결체와 결합할 수 있어, 파이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접면부는 경사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접면부의 상면에는 고정홈과; 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타 연결체의 접면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 연결체 접면부의 고정홈은 타 연결체 접면부의 고정돌출부와 맞물리고 일 연결체의 고정돌출부는 타연결체 접면부의 고정홈과 맞물려, 연결체간 결합 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접면부는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일체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일 연결체와 타 연결체의 결합 시 체결공을 통해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양 연결체를 고정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삽입부는 체결구가 관통하여 삽입된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천공구와; 파이프가 개방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KR1020180028150A 2018-03-09 2018-03-09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KR10202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50A KR102027056B1 (ko) 2018-03-09 2018-03-09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50A KR102027056B1 (ko) 2018-03-09 2018-03-09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30A true KR20190106530A (ko) 2019-09-18
KR102027056B1 KR102027056B1 (ko) 2019-09-30

Family

ID=6807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50A KR102027056B1 (ko) 2018-03-09 2018-03-09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0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415Y1 (ko) * 2000-06-20 2000-12-01 정순권 침대프레임 연결구
KR20100011293A (ko) * 2008-07-24 2010-02-03 남경표 조립식 구조물
KR101547844B1 (ko) * 2013-10-17 2015-08-27 안혜연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415Y1 (ko) * 2000-06-20 2000-12-01 정순권 침대프레임 연결구
KR20100011293A (ko) * 2008-07-24 2010-02-03 남경표 조립식 구조물
KR101547844B1 (ko) * 2013-10-17 2015-08-27 안혜연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056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977A1 (en) Split connector with circular dove tail
CN105409065A (zh) 用于与印制电路板的触点建立电连接的接触装置
KR102027056B1 (ko)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KR20100007565U (ko) 프로파일파이프의 조인트클립
CN205956146U (zh) 一种微型机床组合连接件
JPH0674219A (ja) パイプの接合具
JP7004367B1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組み立てキット、及び、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CN207588217U (zh) 一种框架型材组合接头
KR20190114267A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도어의 유리문 측면 결합 장치
KR100542147B1 (ko) 관이음용 플랜지
KR101570271B1 (ko) 조립부재 연결구조
JP2015514597A (ja) 取り外し可能な工具ヘッドを備える切削工具組立体
JPH0988490A (ja) 接合構造
JP4319113B2 (ja) 構造材の結合構造
CN214444618U (zh) 一种外壳为异形管件的端面钻孔、攻丝夹具
KR102591375B1 (ko) 패널 결합 구조체
JP2002357096A (ja) 接合構造
KR20190004886A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KR101854518B1 (ko)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N212626151U (zh) 一种半导体元器件针脚插接件
CN211259231U (zh) 一种特钢加工易装配安全组合零件
CN215797019U (zh) 一种防压伤吸笔
JP6758641B2 (ja) 水道栓の取付補助具
CN210949410U (zh) 一种管件连接接头和架子
KR200314408Y1 (ko) 프레임의 용접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