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518B1 -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518B1
KR101854518B1 KR1020160030184A KR20160030184A KR101854518B1 KR 101854518 B1 KR101854518 B1 KR 101854518B1 KR 1020160030184 A KR1020160030184 A KR 1020160030184A KR 20160030184 A KR20160030184 A KR 20160030184A KR 101854518 B1 KR101854518 B1 KR 10185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front plate
expansion tube
protrusion
struc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732A (ko
Inventor
송기근
백승주
구민영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3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5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4Systems for coupling or separating cosmonautic vehicles or parts thereof, e.g. d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4Systems for coupling or separating cosmonautic vehicles or parts thereof, e.g. docking arrangements
    • B64G1/645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는 내부에 선형화약이 내장되고 상기 선형화약을 금속튜브가 둘러싼 띠 형태의 팽창튜브(100); 상기 팽창튜브(100)가 삽입되는 팽창튜브 삽입홈(210)이 형성된 지지대(200);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된 덮개(300); 및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덮개(300)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전단판(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조립 및 기계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Description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A STRUCTURE ASSEMBLY COMBINED TO BE EASILY DIVIDED USING EXPANSION TUB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단판과 선형화약(linear explosive)이 내장된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구조물이 조립된 조립체가 순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팽창튜브(expansion tube)는 선형화약(linear explosive)이 내장된, 얇고, 납작하며, 긴 형태의 금속튜브로서, 선형화약이 기폭되면 납작한 금속튜브가 원형으로 팽창하는 튜브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팽창튜브를 이용한 조립 및 분리기술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노치가 난 두 구조물 사이에 팽창튜브를 넣고 두 구조물을 볼트와 너트로 결합한 후, 팽창튜브에 내장된 선형화약을 기폭시켜 납작한 금속튜브를 원형으로 팽창시킴으로써, 구조물의 노치 부분을 절단하여 두 구조물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볼트-너트 조립방식은 구조물의 노치 부분이 절단되기 위해서, 볼트-너트로 구조물을 견고하게 잡아주어야 했다. 따라서, 많은 볼트-너트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두 구조물의 다수의 볼트체결 구멍도 정확히 일치하도록 가공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실제 제작 및 조립 시, 다수의 볼트-너트 체결 중 일부의 오차로 인해 조립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노치가 난 볼트를 사용하여 상, 하 두 개의 구조물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도 3에서는 구조물을 상, 하로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볼트의 좌우에 조립된 팽창튜브의 선형화약을 기폭시켜, 팽창튜브를 원형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볼트의 노치가 난 부위가 절단하여, 구조물을 상, 하로 분리하였다.
도 4는 리벳과 볼트를 사용하여 상, 하 두 개의 구조물을 결합한 방식이다. 도 4에서는 구조물을 상, 하로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팽창튜브가 작동하여, 상, 하 두 개의 구조물을 결합하고 있는 리벳을 전단시켜, 구조물을 상, 하로 분리하였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기술들은 볼트 또는 리벳 등을 위한 많은 가공이 요구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가공의 정밀도 역시 높은 수준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구조물들의 결합이 매우 어려웠고, 일부 가공의 오차로 인해 구조물들의 결합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3581호 (2003.1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구조물에 얇은 홈을 내고, 그 홈에 노치가 난 길고 얇은 전단판을 끼워 넣어 두 개의 구조물을 조립하며, 분리 시에는 팽창튜브를 사용하여 노치가 난 전단판을 절단하여 두 개의 구조물을 분리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는 내부에 선형화약이 내장되고 상기 선형화약을 금속튜브가 둘러싼 띠 형태의 팽창튜브(100); 상기 팽창튜브(100)가 삽입되는 팽창튜브 삽입홈(210)이 형성된 지지대(200);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된 덮개(300); 및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덮개(300)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전단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는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에 형성되어, 상기 전단판(4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는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에 형성되어, 상기 전단판(4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은 상기 돌출부(310)의 하면(313)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1
)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2
)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판(400)은 상기 전단판(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단판(400)의 수직 방향으로 가공된 노치(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치(410)는 상기 노치(410)의 중심이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이 형성하는 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213)과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이 기설정된 제 1 곡률(R1)을 이루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기설정된 제 2 곡률(R2)을 이루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방법은 지지대(200)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팽창튜브(100)를 삽입하는 단계(S100); 상기 삽입하는 단계(S100) 후, 돌출부(310)가 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덮개(300)를 상기 지지대(200)와 밀착시키는 단계(S200); 및 복수 개의 전단판(400)을 제 1 전단판 삽입홈(212) 및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에 삽입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조립 및 기계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구조물을 볼트-너트로 조립이 어려운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방법의 순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는 팽창튜브(100), 지지대(200), 덮개(300) 및 전단판(400)을 포함한다.
팽창튜브(100)는 내부에 선형화약이 내장되고 상기 선형화약을 금속튜브가 둘러싼 띠 형태의 튜브이다.
지지대(200)에는 상기 팽창튜브(100)가 삽입되는 팽창튜브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에는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이 형성되며,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에는 상기 전단판(400)의 일단이 삽입된다.
덮개(300)에는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에는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이 형성되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에는 상기 전단판(400)의 타단이 삽입된다.
전단판(400)은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덮개(30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단판(400)에는 상기 전단판(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단판(400)의 수직 방향으로 가공된 노치(4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치(410)는 상기 노치(410)의 중심이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이 형성하는 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팽창튜브(100), 지지대(200) 및 덮개(300)의 조립을 위해, 얇고 긴 판 형태의 전단판(400)을 제 1 전단판 삽입홈(212) 및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다수의 볼트 구멍을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가공할 필요도 없으므로, 조립을 위한 가공 역시 종래기술에 비해 용이하다.
이하,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의 경사 및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의 경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은 상기 돌출부(310)의 하면(313)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3
)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4
)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5
)는 팽창튜브(100)의 작동시 지지대(200)와 덮개(300) 사이의 끼임 현상 또는 마찰력 증대를 방지하면서도, 전단판(400)의 노치(410)에 가해지는 전단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도이다.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6
)는 2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팽창튜브의 작동으로 인해, 지지대(200)와 덮개(300)가 분리되는 경우, 지지대(200)와 덮개(300)에 작용하는 힘이 불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00)에 덮개(300)가 끼이는 현상이나, 지지대(200)와 덮개(300) 사이의 마찰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단판(400)의 노치(410)가 절단이 되지 않고, 지지대(200)와 덮개(300) 등 다른 부분이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은 상기 돌출부(310)의 하면(313)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7
)로 경사지도록 하고,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8
)만큼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8은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에 경사가 형성되지 않고, 양 측벽(211)이 서로 평행하게 가공된 조립체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조립체에서 팽창튜브를 작동시킨 이후의 상태이다.
도 10은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이 상기 돌출부(310)의 하면(313)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09
)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과 접하는 부분이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10
)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된 조립체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조립체에서 팽창튜브를 작동시킨 이후의 상태이다.
도 11에서 확인된 것과 같이,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및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에 경사가 형성된 경우에는, 덮개(300)와 지지대(200) 사이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덮개(300)와 지지대(200)가 완전히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의 곡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213)과 상기 삽입홈(210)의양 측벽(211)이 기설정된 제 1 곡률(R1)을 이루도록 가공되며, 상기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기설정된 제 2 곡률(R2)을 이루도록 가공된다.
팽창튜브(100)의 작동시, 직각으로 가공된 모서리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며, 응력집중에 따라 삽입홈(210)의 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 등에서 설계자가 의도하지 않은 절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응력집중을 해소하여 이러한 절단을 방지하고자, 삽입홈(210)의 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 등의 가공시 곡률을 이루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설정된 제 1 곡률(R1)은 상기 하면(213)과 상기 양 측벽(211) 사이에서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률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 2 곡률(R2)은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에서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률이다.
상기 기설정된 제 1 곡률(R1)은 2.0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제 2 곡률(R2)은 1.0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도 8은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직각으로 가공된 조립체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조립체에서 팽창튜브를 작동시킨 이후의 상태이다.
도 9에서 확인된 것과 같이,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직각으로 가공된 경우에는,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 등에서 절단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10은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을 이루도록 가공된 조립체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조립체에서 팽창튜브를 작동시킨 이후의 상태이다.
도 11에서 확인된 것과 같이,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을 이루도록 가공된 경우에는, 삽입홈(210)의 내부모서리,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 등에서 절단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는 팽창튜브(100)의 작동시, 지지대(200)와 덮개(200)의 끼임 또는 마찰력 증가 현상을 방지하고, 지지대(200)와 덮개(200)의 절단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지지대(200)와 덮개(200)를 분리하는 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조립 및 기계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구조물을 볼트-너트로 조립이 어려운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방법은 지지대(200)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팽창튜브(100)를 삽입하는 단계(S100); 상기 삽입하는 단계(S100) 후, 돌출부(310)가 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덮개(300)를 상기 지지대(200)와 밀착시키는 단계(S200); 및 복수 개의 전단판(400)을 제 1 전단판 삽입홈(212) 및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에 삽입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팽창튜브
200 지지대
210 팽창튜브 삽입홈
211 팽창튜브 삽입홈의 측벽
212 제 1 전단판 삽입홈
213 팽창튜브 삽입홈의 하면
300 덮개
310 돌출부
311 돌출부의 측면
312 제 2 전단판 삽입홈
313 돌출부의 하면
400 전단판
410 노치

Claims (10)

  1. 내부에 선형화약이 내장되고 상기 선형화약을 금속튜브가 둘러싼 띠 형태의 팽창튜브(100);
    상기 팽창튜브(100)가 삽입되는 팽창튜브 삽입홈(210)이 형성된 지지대(200);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돌출부(310)가 일측면에 형성된 덮개(300); 및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덮개(300)를 체결하는 복수 개의 전단판(400);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튜브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에 상기 전단판(4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에 상기 전단판(4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이 형성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은 상기 돌출부(310)의 하면(313)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11
    )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상기 돌출부(310)의 양 측면(311)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기설정된 각도(
    Figure 112016024187126-pat00012
    )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판(400)은 상기 전단판(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단판(400)의 수직 방향으로 가공된 노치(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410)의 중심을 이루는 면은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이 형성하는 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0)의 하면(213)과 상기 삽입홈(210)의 양 측벽(211)이 기설정된 제 1 곡률(R1)을 이루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단판 삽입홈(212)의 내부 모서리 및 상기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의 내부 모서리가 기설정된 제 2 곡률(R2)을 이루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10.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지지대(200)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팽창튜브(100)를 삽입하는 단계(S100);
    상기 삽입하는 단계(S100) 후, 돌출부(310)가 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덮개(300)를 상기 지지대(200)와 밀착시키는 단계(S200); 및
    복수 개의 전단판(400)을 제 1 전단판 삽입홈(212) 및 제 2 전단판 삽입홈(312)에 삽입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는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20160030184A 2016-03-14 2016-03-14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85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184A KR101854518B1 (ko) 2016-03-14 2016-03-14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184A KR101854518B1 (ko) 2016-03-14 2016-03-14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32A KR20170106732A (ko) 2017-09-22
KR101854518B1 true KR101854518B1 (ko) 2018-05-03

Family

ID=6003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184A KR101854518B1 (ko) 2016-03-14 2016-03-14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5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0713A2 (en) 2003-10-24 2005-05-06 The Boeing Company Low shock separation joint and method therefore
JP2007509000A (ja) 2003-10-24 2007-04-12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低衝撃分離ジョイントとその動作方法
US20120111218A1 (en) 2009-05-29 2012-05-10 Astrium Sas Device for temporarily connecting and pyrotechnically separating two assembl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0713A2 (en) 2003-10-24 2005-05-06 The Boeing Company Low shock separation joint and method therefore
JP2007509000A (ja) 2003-10-24 2007-04-12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低衝撃分離ジョイントとその動作方法
US20120111218A1 (en) 2009-05-29 2012-05-10 Astrium Sas Device for temporarily connecting and pyrotechnically separating two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32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7686B2 (ja) 膨張管分離デバイス
EP0138309A1 (en) Compliant press-fit electrical contact
JP2022008519A (ja) フローティングソケットコネクタ
US20100021263A1 (en) Bushing assembly
JPS5935732B2 (ja) 緊締子をパネルに組みつき係合させるためのダイス組立体
JP2009509103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及び方法
CN113260795B (zh) 扩张连接件
EP27163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fitting of fitting member
US10738811B2 (en) Clamping clinch fastener
EP3431914B1 (en) Plate laminate type heat exchanger
KR101854518B1 (ko) 팽창튜브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EP3023732B1 (fr) Séparateur pyrotechnique comprenant deux éléments structurels indépendants assemblés l'un à l'autr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JP2007321488A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US10283288B2 (en) Vacuum switching apparatus, and contact assembly and method of securing an electrical contact to an electrode therefor
JP2008540973A (ja) 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ー
WO201619325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of apparatus for locating components of a system
US2630935A (en) Eyelet joi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KR20220147517A (ko) 셀프 펀칭 기능 요소, 부품 어셈블리 및 부품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US20100172713A1 (en) Self locking floating fastener
KR102027056B1 (ko) 조립식 파이프 연결구
CN109794708B (zh) 金属管材内壁面焊接金属薄片的方法
US10682883B2 (en) Connection joint with broach-formed integral chip retainer
KR20170001010U (ko) 선박의 배관용 연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