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301A -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301A
KR20190106301A KR1020180027575A KR20180027575A KR20190106301A KR 20190106301 A KR20190106301 A KR 20190106301A KR 1020180027575 A KR1020180027575 A KR 1020180027575A KR 20180027575 A KR20180027575 A KR 20180027575A KR 20190106301 A KR20190106301 A KR 2019010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ooling water
water storage
discharge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979B1 (ko
Inventor
김종태
박래준
하광순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2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G21C9/06Mean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explosives gases, e.g. recomb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는,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제1 배출부;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와 별개로 설치되며, 상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이송 배관부로 이송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로 설정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Hydrogen Explosion in a Water Storage Tank in a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유체를 냉각수 저장수조로 이송하되 설계 기준 사고 시에는 상기 유체를 밀폐형의 냉각수 저장수조 내로 이송시키고, 상기 유체에 수소가 포함되는 중대 사고 시에는 상기 유체를 개방형의 냉각수 저장수조로 이송시킴으로써 밀폐 공간 내 수소의 농축으로 인한 수소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설계된 대부분의 3세대 가압경수로에서는 사고 시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침원(heat sink)으로 활용될 수 있는 냉각수 저장수조(water storage tank)를 원자로 격납 건물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원자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원자로 내 냉각수가 비등하여 수증기가 발생한다. 사고 시 이와 같이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다량의 수증기는 격납 건물의 압력 하중을 증가시켜 격납 건물을 파손에 이르게 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수 저장수조의 냉각수 내부로 방출하여 응축시킨다.
도 1에는 원자력 발전소 내의 냉각수 저장수조에 종래의 원자로 감압을 위한 수증기 방출 장치가 적용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증기 방출 장치는 원자로(100)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로 이송하여 준다. 냉각수 저장수조(300)는 냉각수(W)를 저장하고 있으며, 냉각수(W) 수면 위의 수증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3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증기 방출 장치는 원자로(100)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이송하는 이송부(2) 및 상기 이송부(2)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수증기를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에 저장된 냉각수(W)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부(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4)는 상기 이송부(2)에 연결되되 냉각수(W) 내부로 배출 단부가 배치된 배출 배관(41) 및 상기 배출 배관(41)의 배출 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된 노즐(43)을 포함한다.
상기 수증기 방출 장치는 원자로(100)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냉각수 저장수조(300)에 저장된 냉각수(W) 내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중대 사고 시 수증기로 인한 격납 건물 내 압력 증가를 방지하여 준다.
한편, 원자로(100) 노심이 손상되는 중대 사고 발생 시 원자로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고온의 핵연료 피복재와 화학반응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수소가 생성된다. 따라서 원자로(100) 중대 사고 시에는 수증기와 함께 수소가 방출되며, 상기 수증기 방출 장치를 통해 수증기 뿐만 아니라 수소도 함께 냉각수 저장수조(300)의 냉각수(W) 속으로 방출되게 된다.
수소는 냉각수(W) 내에서 응축되지 않기 때문에 냉각수(W)의 수면 위로 상승하여 냉각수 저장수조(300)의 수면 위 공간(S)의 공기와 혼합되게 되는데, 냉각수 저장수조(300)는 가능한 대형으로 만들어지는 반면에 수소와 같은 비응축성 기체가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 수면 위 공간(S) 상에서 수소의 농축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공기와 혼합된 수소는 그 농도가 10%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폭발하여 냉각수 저장수조(300)를 파손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건설된 신고리 3호기에서는 이와 같이 중대 사고 시 수소가 냉각수 저장 수조(300)로 방출되어 수소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방 밸브(3-way valve)를 설치하여 중대 사고로 진입할 경우 관리자가 밸브를 돌려 수증기 및 수소가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할 경우 다량의 수증기가 응축되지 않고 원자로 격납 건물 내로 방출되기 때문에 격납 건물 내부에 또 다른 열침원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4605 “원자력발전소 폭발 충격파 저감장치”, 2015. 03. 1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로 중대 사고가 발생하여 원자로에서 수증기와 함께 수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수소를 배출시킴으로써 수소 폭발을 방지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래 도입된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 내부 핵연료 재장전 수조(in-containment refueling water storage tank)를 이용한 원자로 안전 감압 시스템에서 설계기준 사고뿐만 아니라 중대 사고 시에도 수소 폭발 가능성을 배제하여 주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는,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제1 배출부;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와 별개로 설치되며, 상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이송 배관부로 이송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로 설정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원자로 중대 사고가 발생하여 원자로에서 수증기와 함께 수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수소를 배출시킴으로써 수소 폭발을 방지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근래 도입된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 내부 핵연료 재장전 수조(in-containment refueling water storage tank)를 이용한 원자로 안전 감압 시스템에서 설계기준 사고뿐만 아니라 중대 사고 시에도 수소 폭발 가능성을 배제하여 주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 내의 냉각수 저장수조에 종래의 원자로 감압을 위한 수증기 방출 장치가 적용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원자력 발전소 내의 냉각수 저장수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가 적용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계 기준 사고 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서 중대 사고 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는 원자력 발전소 내의 냉각수 저장수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가 적용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는, 이송 배관부(1), 제1 배출부(3),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 제2 배출부(7) 및 유로 설정부(9)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배관부(1)는 원자로(100)에서 발생하는 유체를 외부로 이송하여 주는 부분이다. 이송 배관부(1)는 원자로(100) 사고 시 발생하는 유체를 외부로 이송하여 줌으로써 원자로(100)에서 발생한 수증기로 인해 격납 건물 내 압력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이송 배관부(1)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는 원자로(100) 내 냉각수가 비등하여 발생한 수증기를 포함하며, 원자로(100) 노심이 파손되는 중대 사고 시에는 수증기 뿐만 아니라 고온의 핵연료 피복재와 수증기의 화학반응 결과 발생한 수소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배관부(1)는 원자로(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의 유체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11) 및 원자로(100)에서 고압의 유체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을 위해 이를 감압시키도록 이송 배관(11)에 설치된 감압 밸브(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3)는 이송 배관부(1)와 연결되어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최근 설계된 대부분의 3세대 가압경수로에서는 사고 시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침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냉각수 저장수조(300)를 원자로 격납 건물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냉각수 저장수조(300)는 냉각수(W1)를 저장하고 있으며, 수소 등 비응축성 기체의 방출구가 매우 작거나 없는 밀폐형 구조를 가진다. 이때, 냉각수 저장수조(300)는 사용 전후의 핵연료봉을 보관하는 핵연료 재장전수조(refueling water storage tank)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3)는 원자로(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배출하여 줌으로써 원자로(100)에서 발생한 수증기로 인해 격납 건물 내 압력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제1 배출부(3)는 제1 배출 배관(31) 및 스파저 노즐(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 배관(31)은 일단은 이송 배관부(1)와 연결되고, 타단은 냉각수 저장수조(300)에 저장된 냉각수(W1) 내부에 배치된 배관이다.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수증기는 제1 배출 배관(31)을 통해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의 냉각수(W1) 내로 배출되어 응축되게 된다.
상기 스파저 노즐(33)은 제1 배출 배관(31)의 타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이송 배관부(1)를 통해 이송된 수증기를 수소를 냉각수(W1) 내부로 배출하는 노즐이다. 스파저 노즐(33)은 냉각수(W1)로 방출되는 수증기의 응축률을 높이기 위한 노즐로서 노즐관 표면에 수증기 기포의 크기를 수 밀리미터에서 수십 밀리미터로 축소하기 위한 다수의 작은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파저 노즐(33)은 수증기를 방출함으로써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수증기가 냉각수(W1) 내부로 배출되어 냉각수(W1)와 혼합되게 한다.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는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와 별개로 설치되며, 상부 공간(S2)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냉각수 저장공간이다.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는 원자로(100)의 노심이 손상되는 중대 사고로 인하여 원자로(100)에서 수증기 뿐만 아니라 수소도 발생되는 경우 밀폐형으로 형성된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의 냉각수(W1) 수면 위의 공간(S1)에 수소가 농축되지 않도록 상기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우회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의 저장 용량은 냉각수 저장수조(300)에 비하여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는 설계기준을 벗어난 사고 시에 수소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주된 열침원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의 저장 용량을 냉각수 저장수조(300)에 비하여 작게 만들어줌으로써 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는 냉각수(W2) 수면 위 공간(S2)이 수소의 농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는 냉각수(W2) 수면 위 공간(S2)에 접하는 측면 및 상부의 벽 면적의 10% 이상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냉각수(W2) 수면 위 공간(S2)의 상부는 전체적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원자로(100)에서 수증기 뿐만 아니라 수소가 함께 방출되는 중대 사고 시에도 원자로(100)에서 발생한 유체를 상기 제1 배출부(3)를 통해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배출할 경우 수증기는 냉각수(W1) 내부에서 응축되는 반면, 수소는 냉각수(W1) 수면 위의 공간(S1)으로 상승하여 공기와 혼합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 저장수조(300)는 거의 밀폐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공간(S) 내의 수소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수소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약 10% 이상)이 되면 수소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는 중대 사고 시에는 원자로(100)에서 발생되는 수소를 냉각수(W2) 수면 위 공간(S2)이 개방되어 수소의 농축이 이루어지지 않는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배출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수소 폭발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제2 배출부(7)는 이송 배관부(1)와 연결되어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제2 배출부(7)는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에 저장된 냉각수(W1)를 통해 냉각시켜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부(7)는 상기 이송 배관부(1)로부터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에 저장된 냉각수(W1)를 거쳐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연결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대형인 밀폐형 냉각수 저장수조(300)의 냉각 용량을 활용하면서도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의 수소 농축으로 인한 수소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배출부(7)는 열교환부(71) 및 배출 배관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71)는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에 저장된 냉각수(W1)를 통해 냉각시키는 부분이고, 상기 배출 배관부(73)는 열교환부(71)를 통해 냉각된 유체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열교환부(71)는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711) 및 일단은 상기 이송 배관부(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열교환기(711)에 연결된 열교환 배관(7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711)는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수증기 등의 유체를 냉각수 저장수조(300) 내의 냉각수(W1)를 냉매로 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응축시켜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방출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배출 배관부(73)는 제2 배출 배관(731) 및 스파저 노즐(7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 배관(731)은 일단은 상기 열교환기(7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에 저장된 냉각수(W2) 내부에 배치된 배관이며, 상기 스파저 노즐(733)은 제2 배출 배관(731)의 타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부(71)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 즉, 수증기 및 수소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 내의 냉각수(W2) 내부로 배출하는 노즐이다. 스파저 노즐(733)은 냉각수(W2)로 방출되는 수증기의 응축률을 높이기 위한 노즐로서 노즐관 표면에 수증기 기포의 크기를 수 밀리미터에서 수십 밀리미터로 축소하기 위한 다수의 작은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설정부(9)는 상기 이송 배관부(1)로 이송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설정부(9)는 상기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제1 배출부(3) 및 상기 제2 배출부(7)로 배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의 흐름을 상기 제1 배출부(3) 또는 상기 제2 배출부(7)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 설정부(9)는 상기 이송 배관부(1), 상기 제1 배출부(3) 및 상기 제2 배출부(7)가 만나는 접속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설정부(9)는 3상 밸브(3-way valv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원자로(100)에서 설계 기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원자로(100)에서 발생되는 유체는 수증기로서 밀폐형의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이송되어도 수소 폭발의 위험이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대형인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자로(100)에서 발생되는 유체에 수증기 뿐만 아니라 수소도 포함되는 중대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유체를 상기 제1 배출부(3)를 통해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300)로 배출하면 밀폐형의 냉각수 저장수조(300)에서 수소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소를 포함하는 유체를 냉각수(W2) 수면 위 공간(S2)이 개방되어 수소의 농축이 이루어지지 않는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5)로 배출시킴으로써 수소 폭발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유로 설정부(9)는 설계 기준 사고 시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자로(100)로부터 이송된 유체의 흐름(화살표로 표시)을 상기 제1 배출부(3)로 형성시키고, 중대 사고 시에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화살표로 표시)을 상기 제2 배출부(7)로 형성시키도록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작을 통해 중대 사고 시 수소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원자로 300: 냉각수 저장수조
1: 이송 배관부
11: 이송 배관 13: 감압 밸브
3: 제1 배출부
31: 제1 배출 배관 33: 스파저 노즐
5: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
7: 제2 배출부
71: 열교환부 711: 열교환기
713: 열교환 배관 73: 배출 배관
731: 제2 배출 배관 733: 스파저 노즐
9: 유로 설정부

Claims (9)

  1.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제1 배출부;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와 별개로 설치되며, 상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이송 배관부로 이송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로 설정부;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설정부는 상기 이송 배관부로 이송된 유체의 흐름을 상기 제1 배출부 또는 상기 제2 배출부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설정부는 상기 이송 배관부, 상기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배출부가 만나는 접속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 내에 저장된 냉각수를 통해 냉각시켜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원자로로부터 이송된 유체를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 내에 저장된 냉각수를 통해 냉각시키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냉각된 유체를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로 배출하는 배출 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냉각수 저장수조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 및
    일단은 상기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된 열교환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배관부는,
    일단은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에 저장된 냉각수 내부에 배치된 제2 배출 배관; 및
    상기 제2 배출 배관의 타단에 형성 또는 결합된 스파저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냉각수 저장수조는 냉각수 수면 위 공간이 수소의 농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설정부는 3상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KR1020180027575A 2018-03-08 2018-03-08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KR10207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75A KR102071979B1 (ko) 2018-03-08 2018-03-08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75A KR102071979B1 (ko) 2018-03-08 2018-03-08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01A true KR20190106301A (ko) 2019-09-18
KR102071979B1 KR102071979B1 (ko) 2020-01-31

Family

ID=6807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75A KR102071979B1 (ko) 2018-03-08 2018-03-08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70B1 (ko) * 2019-12-18 2020-12-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가압기 방출 증기 냉각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1559A (ja) * 1995-01-30 1996-08-09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の冷却装置
JP2013246099A (ja) * 2012-05-28 2013-12-09 Toshiba Corp 水素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504605B1 (ko) 2013-12-05 2015-03-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원자력발전소 폭발 충격파 저감장치
KR101505475B1 (ko) * 2014-05-21 2015-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피동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40671B1 (ko) * 2014-04-15 2015-07-31 한국원자력연구원 피동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1559A (ja) * 1995-01-30 1996-08-09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の冷却装置
JP2013246099A (ja) * 2012-05-28 2013-12-09 Toshiba Corp 水素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504605B1 (ko) 2013-12-05 2015-03-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원자력발전소 폭발 충격파 저감장치
KR101540671B1 (ko) * 2014-04-15 2015-07-31 한국원자력연구원 피동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05475B1 (ko) * 2014-05-21 2015-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피동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70B1 (ko) * 2019-12-18 2020-12-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가압기 방출 증기 냉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79B1 (ko)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881B1 (ko) 원자로 설비
JP5006178B2 (ja) 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原子力プラント
JP2642763B2 (ja) 原子炉系
CN104143361B (zh) 无源安全壳喷淋系统
JP4660270B2 (ja) 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原子炉格納容器システム
TWI703582B (zh) 緊急核心冷卻系統及使用其的沸水式反應器設備
US20160247585A1 (en) Passive safety equipment and nuclear power plant including same
JP2014010080A (ja) 原子力プラントおよび静的格納容器冷却系
US4959193A (en) Indirect passive cooling system for liquid metal cooled nuclear reactors
JP3159820B2 (ja) 原子炉格納設備
JPH02201293A (ja) 原子炉プラント格納構造用の自然循環式受動冷却系
KR101505475B1 (ko) 피동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250479B1 (ko) 안전보호용기를 구비한 피동형 비상노심냉각설비 및 이를 이용한 열 전달량 증가 방법
JP5727799B2 (ja) 原子炉格納容器の熱輸送装置
JP2011058895A (ja) 原子炉格納設備
KR102071979B1 (ko) 원자력 발전소 내 냉각수 저장수조의 수소 폭발 방지 장치
CN106251918B (zh) 一种长时效非能动安全壳冷却系统
JP2993155B2 (ja) 原子炉及び原子炉冷却設備並びに原子力発電プラント
JP2017067725A (ja) 非常用炉心冷却系の代替循環冷却方法および原子力発電所
KR101658476B1 (ko) 원자로냉각재계통 감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02395B1 (ko) 피동 격납부 살수 및 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JP5687440B2 (ja) 原子炉格納容器除熱装置及び除熱方法
KR101540671B1 (ko) 피동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441488B1 (ko) 피동안전설비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JP2018072068A (ja) 原子炉格納容器及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