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101A -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 Google Patents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101A
KR20190106101A KR1020180027091A KR20180027091A KR20190106101A KR 20190106101 A KR20190106101 A KR 20190106101A KR 1020180027091 A KR1020180027091 A KR 1020180027091A KR 20180027091 A KR20180027091 A KR 20180027091A KR 20190106101 A KR20190106101 A KR 2019010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rt
discharge passage
passag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082B1 (ko
Inventor
남병욱
김성훈
김희승
이근호
김대연
김태중
김성근
Original Assignee
남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병욱 filed Critical 남병욱
Priority to KR102018002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0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particular valve, seal or sept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9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medical instruments into the body, e.g. endoscope, surgical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수술 과정에서 인체로부터 분리된 부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다.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가 형성된 포트 몸체(11);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도 경로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 유닛(15); 및 배출 통로(15)의 개폐를 위한 통로 클램프(1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A Medical Guide Port with a Discharging Passage}
본 발명은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수술 과정에서 인체로부터 분리된 부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 과정은 다양한 형태의 피부 절개를 수반하지만 의료 기술이 발달에 따라 절개 부분이 최소로 되도록 하는 수술 도구가 개발되어 다양한 수술 과정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응고, 절삭 또는 지혈을 위한 다양한 수술 도구가 가이드 포트를 통하여 인체 내부로 삽입이 될 수 있고, 가이드 포트는 예를 들어 배꼽과 같은 부위를 통하여 또는 배 부위를 최소로 절개하면서 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하여 가이드 포트는 그에 적절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복강경과 같은 수술 과정에서 인체 일부가 절삭될 수 있고, 절삭된 인체 부위는 수술이 완료될 때까지 인체 내부에 유지되거나, 가이드 포트의 위쪽 부분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또는 수술 과정에서 가이드 포트가 인체로부터 분리되어 절삭 부위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삭 부위의 배출 방법은 절삭 부분의 크기에 따라 불가능하거나, 수술 과정이 중단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0-1052644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술 과정 중 발생하는 적출물을 튜브 몸체에 형성된 적출물 주머니에 담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술 도구 가이드 포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수술이 완료될 때까지 적출물이 적출물 주머니에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적출물은 수술 과정에서 외부로 완전히 배출이 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선행기술은 그와 같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1052644호(서오남, 2011년07월28일 공고)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드 포트
본 발명은 수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인체 내부의 절삭 부위의 외부 배출이 가능한 배출 통로가 형성된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가 형성된 포트 몸체; 포트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도 경로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 유닛; 및 배출 통로의 개폐를 위한 통로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로 클램프는 통로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트 몸체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는 유도 캡 및 유도 캡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다리에 접하는 가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고정 다리 및 가이드 밸브에 형성된 밀폐 돌기 및 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절삭 부위가 임의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절삭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냄새 유발 성분을 비롯한 다양한 유해 성분이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다수 개의 절삭 부위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형성된 배출 통로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형성된 배출 통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형성되는 유입 탭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용 가이드 포트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가 형성된 포트 몸체(11);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도 경로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 유닛(15); 및 배출 통로(15)의 개폐를 위한 통로 클램프(16)를 포함한다.
포트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포트 몸체(11)의 위쪽 면에 원판 형상의 보호 유닛(12)이 결합될 수 있고, 포트 몸체(11)는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 부분은 두 겹이 겹쳐진 사각 형상이 될 수 있다. 수술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면 포트 몸체(11)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보호 유닛(12)은 전체적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드럼 형상이 될 수 있고, 포트 몸체(11)에 비하여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 유닛(12)의 아래쪽 부분은 포트 몸체(11)에 연결이 되고, 포트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천정 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유닛(12)의 천정 면에 적어도 하나의 유입 탭(17a, 17b, 17c, 17d)이 형성될 수 있고, 유입 탭(17a, 17b, 17c, 17d)을 통하여 수술 도구가 포트 몸체(11)의 내부를 경유하여 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 탭(17a. 17b, 17c, 17d)을 통하여 유입된 수술 도구는 포트 몸체(11)를 경유하여 인체 내부로 투입되어 필요한 부위에 대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입 탭(17a, 17b, 17c, 17d)을 통하여 카메라, 절삭기 또는 이와 유사한 수술 도구가 인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보호 유닛(12)의 측면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도 도관(18a, 18b)이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유도 도관(18a)으로 기체가 주입될 수 있고, 다른 유도 도관(18b)으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유도 도관(18a, 18b)은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보호 유닛(12)에 형성된 결합 홀(181)에 한쪽 끝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포트 몸체(11)의 아래쪽에 고정 링(13)이 결합되고, 포트 몸체(11)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링(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될 수 있다. 삽입 링과 고정 링(13)에 의하여 포트 몸체(11)에서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결정될 수 있다. 포트 몸체(11)의 일부가 인체 내부로 삽입이 되면 유입 탭(17a, 17b, 17c, 17d) 및 유도 도관(18a, 18b)을 통하여 수술 도구 및 기체가 포트 몸체(11)의 내부로 주입되어 수술이 진행될 수 있다. 수술 진행 과정에서 인체 부위가 절삭이 될 수 있고, 절삭된 부위가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가이드 포트는 전체적으로 밀폐 구조를 가지므로 절삭 부위의 외부 배출이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트 몸체(11)에 형성된 유도 경로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 유닛(15)이 형성되어 절삭 부위가 포트 몸체(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통로 유닛(15)은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포트 몸체(11)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출 통로 유닛(15)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배출 통로 유닛(15)의 끝 부분에 통로 클램프(16)가 결합될 수 있다. 통로 클램프(16)에 의하여 배출 통로 유닛(15)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의 절삭 부위가 인체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배출 통로 유닛(15)에 투입되면 통로 클램프(16)를 제거하여 절삭 부위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클램프(16)에 의하여 배출 통로 유닛(15)이 밀폐되어 수술이 진행될 수 있다.
통로 클램프(16)는 통로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배출 통로 유닛(15)의 열린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통로 클램프(16)에 의하여 배출 통로 유닛(15)이 닫힐 수 있고, 통로 클램프(16)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 통로 유닛(15)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형성된 배출 통로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출 통로 유닛(15)은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포트 몸체(11)가 팽창된 상태에서 포트 몸체(11)의 측면에 형성된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배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 통로 유닛(15)은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로 클램프(16, 16a)는 배출 통로 유닛(15)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통로 클램프(16)는 배출 통로 유닛(15)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배출 통로 유닛(15)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어 포트 몸체(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배출 통로 유닛(15)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도 2의 오른쪽 부분을 참조하면, 배출 통로 유닛(15)은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입구를 형성하면서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포트 몸체(11)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두 겹이 겹쳐진 사각 형상이 될 수 있고,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배출 통로 유닛(15)도 마찬가지로 두 겹이 겹쳐진 평면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포트 몸체(11)의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면 포트 몸체(11)가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배출 통로 유닛(15)의 입구는 포트 몸체(11)의 접힘 선 또는 가장자리 선(FL)을 지름으로 양쪽으로 대칭 형상으로 열리는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다.
포트 몸체(11)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 통로 유닛(15)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배출 통로 유닛(15)이 통로 클램프(16, 16a)에 의하여 밀폐되거나 열릴 수 있다. 배출 통로 유닛(15)은 입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출 통로 유닛(15)은 절삭 부위가 수용되는 수용 부분(151); 수용 부분(151)과 포트 몸체(11)를 연결하는 유도 부분(152); 및 수용 부분(151)을 밀폐시키는 밀폐 부분(153)으로 이루어진다.
배출 통로 유닛(15)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통로 클램프(16b, 16b)가 배출 통로 유닛(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수용 부분(151)은 포트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수용 부분(151)은 유도 부분(152)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도 부분(152)에 비하여 큰 부피 또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분(153)은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거나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통로 클램프(16a)는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 밀폐 돌기(163)가 형성된 고정 부재(161); 고정 부재(161)에 한쪽 끝이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면서 선형 밀폐 돌기(16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선형 삽입 홈(164)이 형성된 결합 부재(1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재(161)와 결합 부재(162)는 결합된 한쪽 끝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되어 맞물리거나 분리될 수 있고, 고정 부재(161)와 결합 부재(162)의 끝 부분에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걸림 훅(166)과 고정 돌기(165)가 형성될 수 있다. 선형 밀폐 돌기(163)가 선형 삽입 홈(164)에 삽입되면서 밀폐 부분(153)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상태에서 걸림 훅(166)과 고정 돌기(165)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 부재(161)와 결합 부재(162)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다.
통로 클램프(16a)는 유도 부분(152) 또는 밀폐 부분(153)을 밀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형성된 배출 통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도 부분(152) 또는 밀폐 부분(153)은 수용 부분(151)에 비하여 다른 두께를 가지거나, 밀폐 패턴(41, 42)을 가진다. 유도 부분(152)과 밀폐 부분(153)에 통로 클램프가 결합되므로 통로 클램프의 결합 또는 분리 과정에서 손상이 방지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통로 클램프가 결합되는 유도 부분(152)과 밀폐 부분(153)은 상대적으로 두꺼우면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밀폐 패턴(41, 4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부분(152) 또는 밀폐 부분(153)에 다양한 방향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선형 돌기 또는 엠보싱과 같은 밀폐 패턴(41, 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밀폐 부분(153)에 산과 골로 이루어진 실링 구조(4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부분(153)은 서로 마주보는 1, 2 면(153a, 153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1, 2 면(153a, 153a)의 안쪽 면에 공기 유동 방향(AD)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어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산과 골은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실링 구조(43)에 의하여 통로 클램프에 의한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도 부분(152) 또는 밀폐 부분(153)은 다양한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형성되는 유입 탭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트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는 유도 캡(54) 및 유도 캡(54)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다리(542)에 접하는 가이드 밸브(52)를 포함하고, 고정 다리(542) 및 가이드 밸브(52)에 형성된 밀폐 돌기(542a) 및 고정 돌기(521a)를 포함한다.
유입 탭(17a)은 위쪽 부분에 결합되는 유도 캡(5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 탭(17a)의 위쪽 부분에 유입 가이드(51)가 형성되고, 유입 가이드(51)에 가이드 밸브(52)가 결합될 수 있다. 유도 캡(54)은 유입 가이드(51)를 둘러싸는 머리 부분(541)과 머리 부분(54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고정 다리(5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머리 부분(541)의 천정 면에 수술 도구가 삽입되는 유도 홀(543)이 형성될 수 있고, 천정 면은 둘레로부터 점차로 두꺼워지면서 유도 홀(543)의 형성을 위하여 상하로 돌출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이드 밸브(52)의 위쪽에 실린더 형상의 접촉 고정 부분(521)이 형성될 수 있고, 접촉 고정 부분(521)은 유도 가이드(51)의 둘레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고정 부분(521)에 고정 돌기(521a)가 형성되고, 접촉 고정 부분(521)의 안쪽 면과 접촉되는 유입 가이드(51)의 바깥쪽 둘레 면에 고정 돌기(521a)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다리(542)의 안쪽 둘레 면에 밀폐 돌기(542a)가 형성되고, 접촉 고정 부분(521)의 바깥쪽 둘레 면에 밀폐 돌기(542a)가 삽입되는 밀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521a)와 밀폐 돌기(542a)는 둘레 면을 따라 돌출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고정 돌기(521a)는 밀폐 돌기(54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돌기(521a)에 의하여 가이드 밸브(52)가 유입 가이드(5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밀폐 돌기(542a)에 의하여 기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다리(542)의 외부에 맞물림 이빨을 가진 고정 링(53)이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유도 캡(54) 또는 가이드 밸브(52)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유입 탭(17a)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절삭 부위가 임의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절삭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냄새 유발 성분을 비롯한 다양한 유해 성분이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다수 개의 절삭 부위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포트 몸체 12: 보호 유닛
13: 고정 링 15: 배출 통로 유닛
16, 16a: 통로 클램프 17a, 17b, 17c, 17d: 유입 탭
18a, 18b: 유도 도관 41, 42: 밀폐 패턴
43: 실링 구조 51: 유입 가이드
52: 가이드 밸브 53: 고정 링
54: 유도 캡 151: 수용 부분
152: 유도 부분 153: 밀폐 부분
153a, 153b: 1, 2 면 161: 고정 부재
162: 결합 부재 163: 선형 밀폐 돌기
164: 선형 삽입 홈 165: 고정 돌기
166: 걸림 훅 181: 결합 홀
521: 접촉 고정 부분 521a: 고정 돌기
541: 머리 부분 542: 고정 다리
542a: 밀폐 돌기 543: 유도 홀
AD: 공기 유동 방향 FL: 가장자리 선

Claims (3)

  1.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가 형성된 포트 몸체(11);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도 경로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 유닛(15); 및
    배출 통로(15)의 개폐를 위한 통로 클램프(16)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통로 클램프(16)는 통로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포트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는 유도 캡(54) 및 유도 캡(54)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다리(542)에 접하는 가이드 밸브(52)를 포함하고, 고정 다리(542) 및 가이드 밸브(52)에 형성된 밀폐 돌기(542a) 및 고정 돌기(521a)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
KR1020180027091A 2018-03-07 2018-03-07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KR10204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91A KR102040082B1 (ko) 2018-03-07 2018-03-07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91A KR102040082B1 (ko) 2018-03-07 2018-03-07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01A true KR20190106101A (ko) 2019-09-18
KR102040082B1 KR102040082B1 (ko) 2019-11-05

Family

ID=6807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091A KR102040082B1 (ko) 2018-03-07 2018-03-07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253A (ko) * 2019-11-14 2021-05-24 최영광 개폐 탭 결합 구조의 포트 덮개 및 이를 가진 의료용 포트
KR20210059959A (ko) * 2019-11-18 2021-05-26 박상민 개폐 방식의 포트 덮개 및 이를 가진 의료용 포트
KR20220015058A (ko) * 2020-07-30 2022-02-08 서지윤 수술도구 가이드포트용 도구진입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644B1 (ko) 2011-05-12 2011-07-28 서오남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KR101089101B1 (ko) * 2011-04-22 2011-12-06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
KR20160059200A (ko) * 2014-11-18 2016-05-26 이영애 복강 세절 절제물 반출주머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01B1 (ko) * 2011-04-22 2011-12-06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
KR101052644B1 (ko) 2011-05-12 2011-07-28 서오남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KR20160059200A (ko) * 2014-11-18 2016-05-26 이영애 복강 세절 절제물 반출주머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253A (ko) * 2019-11-14 2021-05-24 최영광 개폐 탭 결합 구조의 포트 덮개 및 이를 가진 의료용 포트
KR20210059959A (ko) * 2019-11-18 2021-05-26 박상민 개폐 방식의 포트 덮개 및 이를 가진 의료용 포트
KR20220015058A (ko) * 2020-07-30 2022-02-08 서지윤 수술도구 가이드포트용 도구진입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082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082B1 (ko)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CA2540999C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JP4021552B2 (ja) 手術器具を密閉するためのシー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シ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た手術用トロカール
JP6887517B2 (ja) シングルルーメンガス密封アクセスポートおよびシングルルーメン弁密封型アクセスポートを備えたガス循環システム用のマルチルーメン管セット
JP5535904B2 (ja) 流体排出機能を備えたダックビル型シール
US977564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ed surgery
KR102040079B1 (ko)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위한 밀폐 캡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JPH10502841A (ja) 多重ポート套管針
CN113660969B (zh) 用于机器人辅助外科手术的具有气体密封进入盖和阀密封进入盖的气体循环系统
JP2012075929A (ja) 低プロフィールジンバルシールを備えるイントロデューサーシールアセンブリ
BRPI0505782B1 (pt) conjunto de vedação e conjunto de trocarte
CA2631618A1 (en) Access assembly with ribbed seal
KR102196662B1 (ko) 투관침 수술용 시일
US20120010569A1 (en) Access device with twist locking removable cap
KR20200063248A (ko) 회전하는 멀티포트 액세스를 구비한 최소 침습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4116889A1 (en) Surgical seal assembly including an overlapping guard structure for a seal
KR20200063249A (ko) 폼 지지 하우징을 갖는 최소 침습성 수술 수행 장치
JP2010227561A (ja) シールド部材を含む外科用アクセスアセンブリ
KR20200065083A (ko) 벨로우즈 지지 하우징을 갖는 최소 침습성 수술 수행 장치
EP2238929B1 (en) Surgical portal apparatus with expandable cannula
KR101731472B1 (ko) 트로카용 배기필터 조립체
EP3141277B1 (en) Medical joint and check valve module thereof
JP2020089726A (ja) 外科用アクセス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90136356A (ko) 분리 구조의 의료용 가이드 포트
KR102559853B1 (ko) 의료용 개창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