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873A -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873A
KR20190105873A KR1020180026510A KR20180026510A KR20190105873A KR 20190105873 A KR20190105873 A KR 20190105873A KR 1020180026510 A KR1020180026510 A KR 1020180026510A KR 20180026510 A KR20180026510 A KR 20180026510A KR 20190105873 A KR20190105873 A KR 2019010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ker
coffee
filter
dutch coffee
b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520B1 (ko
Inventor
채영우
Original Assignee
채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영우 filed Critical 채영우
Priority to KR102018002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5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이하 개시된 내용은, 찬물이나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는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는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를 구비하되, 각각의 제1 및 제2 수납부는 더치커피가루가 충전되는 다수개의 여과비이커와,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여과비이커의 하부에 대응 위치되는 커피병과, 각각의 여과비이커에 물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물공급호수가 설치된 호수설치부를 구비하는 수납케이스 및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여과비이커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시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FOR MASS PRODUCTION}
이하 개시된 내용은, 찬물이나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는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는 찬물이나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제조방법은 원두를 넣고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3 ~ 4시간, 길게는 8 ~ 12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한다.
오랜 시간에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일반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원두의 분쇄 정도와 물의 맛, 추출 시간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보통, 추출된 커피 원액은 기밀해서 냉장 보관하는데, 하루 이틀 정도 저온 숙성하면 풍미가 더 살아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외부환경과 노출된 상태에서 더치커피를 추출하였기 때문에 추출과정에서 세균에 노출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되었으며 드리핑 과정에서 공기중에 노출되어 풍미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추출되는 특성상 일반커피에 비교하여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0452호의 더치커피 기구가 있다.
KR 10-2014-0040452 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품질의 더치커피를 한 번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위생적인 환경에서 더치커피를 추출 및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풍부한 풍미를 가진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장시관 보관에도 불구하고 더치커피의 추출시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대량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는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를 구비하되, 각각의 제1 및 제2 수납부는 더치커피가루가 충전되는 다수개의 여과비이커와,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여과비이커의 하부에 대응 위치되는 커피병과, 각각의 여과비이커에 물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물공급호수가 설치된 호수설치부를 구비하는 수납케이스 및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여과비이커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시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1 및 제2 수납부는 다수개의 커피병이 놓이는 받침판과, ?침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여과비이커를 거치하는 거치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받침판에는 커피병과 접하는 부분에 하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납부의 배면을 이루는 배면부는 육면체 형상의 챔버로 구성되되, 냉각시스템부와 연통되어지고 전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시스템부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와, 호스 설치부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배면부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배면부로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플레이트의 전단부에는, 여과비이커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진 비이커거치부가 다수로 형성되고, 비이커거치부의 상측 주변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완충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여과비이커가 커피병과 밀착되도록, 비이커거치부에 안착된 여과비이커를 탄성가압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가압부는,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과비이커의 하단면에는 유출구가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여과비이커가 제1 위치에 있을때에는, 유출구가 커피병의 유입구와 이격되고, 여과비이커가 제2 위치에 있을때에는, 유출구가 커피병의 유입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여과비이커의 하단면이 커피병의 유입구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여과비이커의 하단면에는 기밀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고품질의 더치커피를 한 번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생적인 환경에서 더치커피를 추출 및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추출과정에서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풍부한 풍미를 가진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장시관 보관에도 불구하고 더치커피의 추출시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구성 중 냉각시스템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구성 중 탄성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및 B-B' 종단면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여과비이커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a)는여과비이커가 제1위치에 있을 때를, (b)는 제2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는 다수의 여과비이커(121, 141)와 커피병(122, 142)이 배열되는 수납케이스(10)와, 수납케이스(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각시스템부(20)를 포함한다.
수납케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고, 좌·우측면부(111, 112), 전면도어(115), 배면부(114), 상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도어(115)와 좌·우측면부(111, 112)는 외부에서 내부 상태를 볼 수 있도록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납케이스(10)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부(114, 도2 참조)는 육면체 형상의 챔버로 구성되되, 냉각시스템부(20)와 연통되어지고 전면에는 다수의 통공(114a)이 형성된다.
한편, 수납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제1 수납부(12)와 제2 수납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수납부(11, 12)는 다수개의 여과비이커(121, 141) 및 커피병(122, 142)과 각각의 여과비이커(121, 141)에 물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호수가 설치된 호수설치부(125, 14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비이커(121, 141)와 커피병(122, 142)은 상하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각 수납부마다 8개씩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여과비이커(121)에는 더치커피가루가 충전되게 되는데, 충전된 더치커피가루가 여과 추출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는 여과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과필터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 의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과비이커(121 ,141)는 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테두리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거치플레이트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121a) 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하단면에는 추출된 커피가 커피병(122, 142)에 수용되도록 유출구(121b)가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유출구(121b)의 길이는 후술할 완충패드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커피병(122, 142)은 각각의 여과비이커(121)의 하부에 대응 위치되며 여과비이커(121, 141)에 의해 추출된 추출커피가 채워지게 된다.
호수설치부(125, 145)에는 후술할 냉각시스템부(20)에 구비된 물공급부(222)의 공급호수(미도시)에서 분기된 다수의 호수들이 설치되고, 그 끝단에는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급수조절밸브(126, 146)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케이스(10)를 두 개의 층에 존재하는 제1, 제2 수납부(12, 14)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층에 존재하는 제1 내지 제n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제1 및 제2 수납부(12, 14)는, 다수개의 커피병(122, 142)이 놓이는 받침판(123, 143)과, ?침판(123, 143)의 상부에 위치하여 여과비이커(121, 141)를 거치하는 거치플레이트(124, 1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받침(123, 143)판에는 커피병(122, 142)과 접하는 부분에 하중센서(127, 147)가 구비될 수 있다.
하중센서(127, 147)는 더치커피 추출시 커피병(122, 142)의 하중 차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체크된 신호값을 기존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기존 설정된 값과 일치할 경우 급수조절밸브(126, 146)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는 여과필터의 상태에 따라 그 추출량이 달라, 각각의 커피용기에 적정량의 커피가 수용되는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커피추출이 완료되는 시점이 되면 자리를 지켜야 하고 적정량의 커피가 채워질때까지 기다려 커피용기를 하나씩 꺼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병(122, 142)에 더치커피가 기 설정된 양만큼 수용될 때 하중센서(127, 147)에 의해 급수조절밸브(126, 146)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자리를 지켜 일일이 꺼내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고, 커피병(122, 142)의 개수와 상관없이 각각의 커피병(122, 142) 모두에 커피가 일률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구성 중 냉각시스템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시스템부(20)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220)와, 호스 설치부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22), 송풍팬(2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수납케이스(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여과비이커(121, 141)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고,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된 냉각핀을 통하여 물공급부(222)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물공급부(222)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낮추게 된다.
냉각기(220)는 냉각시스템부(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는 종래 공지의 기술에 의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공급부(222)는 호수설치부(125, 145)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식수용 물통 또는 수도관과 연결된 물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공급부(222)의 일측에는 물공급부(222)의 물을 호수설치부(125, 145)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물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부(222)의 물을 호스설치부(125, 145)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납케이스(10)의 배면부(114)의 일측에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주호수(미도시)가 구비되며, 이 주호수는 호수설치부(125, 145)의 후단에서 다수의 호수들로 분기된다.
송풍팬(224)은 배면부(114)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냉각기(220)에서 발생된 냉기를 배면부(114)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면부(114)의 냉기는 그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4a)을 통하여 수납케이스(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여과비이커(121, 141)와 커피병(122, 142)이 배열된 수납케이스(10)가 다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더치커피를 한 번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추출과정 및 보관과정에서 저온 상태가 유지되므로 위생적인 이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의 구성 중 탄성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및 B-B'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여과비이커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6의 (a)는 여과비이커가 제1위치에 있을 때를, (b)는 제2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거치플레이트(124, 144)의 전단부에는 여과비이커(121, 141)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진 영문자 U자 형상의 비이커거치부(124a)가 다수로 형성되고, 비이커거치부(124a)의 상측 주변에는 완충패드(18)가 구비된다.
여기서, 완충패드(18)는 여과비이커(121, 141)의 상단부가 거치플레이트(124, 144)에 거치될 때 접촉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동시에, 후술할 탄성가압부(16)에 의해 여과비이커(121, 141)가 탄성가압될 때 그 폭이 줄어듬으로써 여과비이커(121, 141)가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완충패드(18)는 스펀지 등 수축력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탄성가압부(16)는 거치플레이트(124, 144)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이커거치부(124a)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이커거치부(124a)의 좌우측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가압부(16)는, 비이커거치부(16)에 안착된 여과비이커(121, 141)를 탄성가압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여과비이커(121, 141)는 커피병(122, 142)과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가압부(16)는 여과비이커(121, 141)를 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판스프링(162)과, 판스프링(162)을 고정하는 판스프링 고정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162)은, 상측에 위치한 수평판(162a)과, 수평판(162a)의 끝단에서 하방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하부판(16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스프링 고정부재(164)는 거치플레이트(124, 14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면에는 판스프링(162)의 수평판(162a)이 고정되는 제1 슬릿홈(164a)과, 제1 슬릿홈(164a)의 하부에 위치하고 판스프링(162)의 하부판(162b)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릿홈(164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릿홈(164a)에 고정되는 수평판(162a)은 나사(R2)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슬릿홈(164b)에는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강화하도록 코일스프링 등이 제2 슬릿홈(164b)의 윗쪽면과 하부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판스프링 고정부재(164)의 중심부와 거치플레이트(124, 144)에는 관통공(164c, 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에는 리벳(R1) 등의 고정구가 삽입되어 판스프링 고정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여과비이커(121, 141)가 거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비이커(121, 141)를 거치플레이트(124, 144)의 전방에 구비된 완충패드(18)에 안착시킨다. 이때, 완충패드(18)에 안착된 여과비이커(121, 141)의 위치는 제1 위치가 되며, 완충패드(18)의 폭은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w1이 된다.
이 상태에서 판스프링 고정부재(164)를 좌측으로 돌리게 되면, 도 4의(b)와 같이, 판스프링(162)의 하부판(162b)이 여과비이커(121, 141)의 상단과 접촉함에 따라 여과비이커(121, 141)에 판스프링(162)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여과비이커(121, 141)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여과비이커(121, 141)의 위치는 제2 위치가 되며, 완충패드(18)의 폭은 w2가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여과비이커(121, 14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a)와 같이, 여과비이커(121, 141)의 유출구(121b)가 커피병(122)의 유입구(122a)와 이격된다. 따라서, 여과비이커(121, 141)를 비이커거치부(124a)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여과비이커(121, 141)의 하단이 커피병(122)의 상단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b)와 같이, 여과비이커(121, 14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여과비이커(121, 141)의 유출구(121b)가 커피병(122)의 유입구(122a)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됨과 동시에 여과비이커(121, 141)의 하단면이 커피병(122)의 유입구(122a)와 밀착된다. 이에 따라 여과비이커(121, 141)와 커피병(122, 142)의 접촉부분의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비이커(121, 141)의 하단면과 커피병(122, 142)의 유입구(122a)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여과비이커(121, 141)의 하단면에는 기밀패드(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기밀패드(19)는 무독성인 소재인 실리콘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추출과정에서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풍부한 풍미를 가진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장시관 보관에도 불구하고 더치커피의 추출시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생적인 환경에서 더치커피를 추출 및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수납케이스 12: 제1수납부
14: 제2 수납부 16: 탄성가압부
18: 완충패드 19: 기밀패드
20: 냉각시스템부 111: 좌측면부
112: 우측면부 113: 상면부
114: 배면부 121, 141: 여과비이커
122, 142: 커피병 123, 143: 받침판
124, 144: 거치플레이트 125, 145: 호수설치부
126, 146: 급수조절밸브 127, 147: 하중센서
162: 판스프링 164: 판스프링 고정부재
220: 냉각기 222: 물공급부
224: 송풍팬

Claims (7)

  1.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를 구비하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는 더치커피가루가 충전되는 다수개의 여과비이커와,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이 상기 각각의 여과비이커의 하부에 대응 위치되는 커피병과, 상기 각각의 여과비이커에 물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물공급호수가 설치된 호수설치부를 구비하는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비이커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며,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시스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는 상기 다수개의 커피병이 놓이는 받침판과, 상기 ?침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여과비이커를 거치하는 거치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커피병과 접하는 부분에 하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배면을 이루는 배면부는 육면체 형상의 챔버로 구성되되, 상기 냉각시스템부와 연통되어지고 전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시스템부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와, 호스 설치부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배면부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배면부로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전단부에는, 상기 여과비이커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진 비이커거치부가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비이커거치부의 상측 주변에는, 수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비이커가 상기 커피병과 밀착되도록, 상기 비이커거치부에 안착된 상기 여과비이커를 탄성가압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비이커의 하단면에는 유출구가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여과비이커가 제1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유출구가 상기 커피병의 유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여과비이커가 제2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유출구가 상기 커피병의 유입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여과비이커의 하단면이 상기 커피병의 유입구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비이커의 하단면에는 기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끝단에서 하방 내측으로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면에 상기 수평판이 고정되는 제1 슬릿홈과, 상기 제1 슬릿홈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판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릿홈이 각각 형성된 판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추출장치.
KR1020180026510A 2018-03-06 2018-03-06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KR10210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10A KR102106520B1 (ko) 2018-03-06 2018-03-06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10A KR102106520B1 (ko) 2018-03-06 2018-03-06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73A true KR20190105873A (ko) 2019-09-18
KR102106520B1 KR102106520B1 (ko) 2020-05-28

Family

ID=6807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10A KR102106520B1 (ko) 2018-03-06 2018-03-06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20140040452A (ko)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엔젤테크 더치커피 기구
KR20150109706A (ko) * 2014-03-20 2015-10-02 정병원 더치커피 대량 제조 장치
KR101741954B1 (ko) * 2016-07-07 2017-06-15 임성현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20140040452A (ko)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엔젤테크 더치커피 기구
KR20150109706A (ko) * 2014-03-20 2015-10-02 정병원 더치커피 대량 제조 장치
KR101741954B1 (ko) * 2016-07-07 2017-06-15 임성현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520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541B1 (en) Apparatus for making purified water and related drinks
ES2763639T3 (es) Máquina de bebida elaborada en vacío y método de elaboración en vacío
KR101188513B1 (ko) 냉장고
EP3431577B1 (en) Beverage maker
ES2909780T3 (es)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hielo para un refrigerador
WO2008030020A2 (en)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KR20190105873A (ko) 더치커피 대량 추출장치
KR101834657B1 (ko) 저온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0481426Y1 (ko)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ES2345351T3 (es) Aparato de refrigeracion que comprende una bandeja para cubitos de hielo.
KR101153136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 구조
JP3681056B2 (ja) 飲料抽出装置
ES2248439T3 (es) Soporte de nevera para botes desmontable y desplazable horizontalmente.
JP6310124B1 (ja) コーヒー抽出装置
CN204806817U (zh) 酒架和具有其的冰箱
CN100467979C (zh) 小型饮水机
CN219722955U (zh) 一种医学检验用试管架
CN209147547U (zh) 一种冷藏柜
KR102059111B1 (ko) 회전판이 구비된 더치커피의 제조장치
BR112020017851A2 (pt) Cobertura para um recipiente de armazenamento de um refrigerador, conjunto de prateleira para armazenar itens alimentares dentro de um gabinete de um refrigerador e método para montar o conjunto de prateleira
CN213488503U (zh) 一种儿科多功能洗浴装置
KR20190136167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CN217919101U (zh) 一种高洁净度的立式晶圆出货盒
KR100820058B1 (ko)
CN214016873U (zh) 多重密封的衬里蝶阀收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