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190A -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 Google Patents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190A
KR20190105190A KR1020180025235A KR20180025235A KR20190105190A KR 20190105190 A KR20190105190 A KR 20190105190A KR 1020180025235 A KR1020180025235 A KR 1020180025235A KR 20180025235 A KR20180025235 A KR 20180025235A KR 20190105190 A KR20190105190 A KR 20190105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sh
light emitting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975B1 (ko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18002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7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ound e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동작되도록 수중동작부를 구비하고 자석스위치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발광부의 동작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기밀유지효율을 증대시키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고기유인하우징과;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설정된 발광색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발광패널로 구성되는 발광부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기 저장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거나 음향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음향입출력부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송수신부와; 상기 발광부, 음향입출력부 및 초음파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발광부의 점멸 및 점멸주기를 제어하고 음향입출력부 및 초음파송수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Fish Attraction apparatus with increased attra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동작되도록 수중감지부를 구비하고 자석스위치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발광부의 동작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기밀유지효율을 증대시키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업분야에서 물고기 유인등을 통해 추광성 어류를 잡는 분야가 점차 커지고 있다. 물고기 유인등을 이용한 수산업의 특성은 불빛으로 대상어종의 행동을 제어하여 단시간에 대량의 조획을 하는 것으로, 빛의 환경에 따른 어종의 행동에 관해 종합적으로 해석한 연구는 거의 없지만 대체적으로 불빛에 의해 플랑크톤 등이 맨 먼저 모이게 되고 다음에 치어류 또는 준 치어류가 모이며 오징어 등의 경우는 마지막에 모이는 본능적으로 형성된 어류의 행동 습성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동물성 플랑크톤이 주간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잠수하고 야간에는 수면 근처로 부상하는 수직일주운동 습성을 물고기 유인등으로 부분 제어해서, 선박 하단의 음영영역에서 플랑크톤이 부상되게 유도하여, 치어류와 준 치어류가 밀집되게 하는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오징어 등의 조획대상어종을 대량으로 조획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최근 오징어 채낚기 어업의 경우 선박에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30~100여 개를 설치하여 밤바다를 대낮같이 밝혀 오징어를 잡고 있다.
그러나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 비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오징어 채낚기 어선의 물고기 유인등은 선박의 상부에 다량으로 설치하지만 그 광량이 수중으로 투과되는 량은 극히 미미하다.
이는 물고기 유인등의 설치 위치가 선박 구조상 수면에서 대략 최소 4m 정도의 높이와 대략 45도에 근접한 경사각이 소요하게 되므로 이 거리에 따른 수중 도달 광량이 줄어들게 되고, 또한 물고기 유인등의 수직면에서 약 16미터 떨어진 지역에서의 입사각은 76도를 넘게 되며, 이 경우 도달된 광량의 약 20%가 해수면에서 표면 반사로 인한 손실로 실제 총광량의 6~10% 정도만 수중으로 투과되어 집어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은 소비전력이 높은 만큼 광량이 매우 크나 360도 전방위로 방출되므로 인해 실제 수중으로 유입되는 양은 전광속의 대략 6% 이하가 된다.
물고기 유인등의 수중 광력을 높이기 위해 집어등에 반사판(경)을 사용하는 기술도 있지만 선박에서 반사판(경)을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되게 하는 일은 번거롭고, 풍랑 등의 영향으로 빛의 흔들림이 증가될 수 있어 사용자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물고기 유인등의 수중 광력을 높이기 위한 공개기술로서 선체 롤링에 대응하는 집어등 장치(특허출원번호 10-2007-7029354) 등의 기술도 선박에서 비용대비 효과성이 낮고, 풍랑과 선박진동 등의 악조건에서 장기적으로 유지 관리가 어려운 점 등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가 된다.
최근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한 물고기 유인등의 경우는 절전효과로 인해 선박 유류 절감에 있어 점차 각광을 받지만 종래 메탈할라이드 램프와 같은 수준의 광량 구현을 위해서는 넓은 발광표면적이 요구되거나, 보다 많은 수량, 보다 큰 방열장치 등이 요구되어 커지게 되며, 따라서 선박에서 바람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게 되어 선박안전에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엘이디(LED)를 이용한 물고기 유인등 장치중에는 수중으로 광력을 높이기 위해 오징어 채낚기 채반에 설치할 수 있는 물고기 유인등 장치(특허출원번호 10-2007-0054300)도 있지만 거친 어업 환경에서 고가의 전기장치가 선박의 채반부에 장치되어 유지관리가 어려운 점이 있고, 또한 어류의 집어 측면에서 조획대상어종의 빛의 인지나 상대행동 특성을 고려시 수중에 명암부의 명확한 경계를 동시에 제공되어야 하는 측면에서 볼때, 채반에서 수중으로 향한 막연한 광원조사는 오징어 등 포식자의 몸을 숨길 공간인 음영영역이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수중 물고기 유인등은 수중에 직접적으로 침하시켜 수중 내에서 발광이 되게 하는 조명의 수중조사 효율은 수상 물고기 유인등에 비해 월등히 높다.
그러나 조획대상어종이 멸치 등의 크기인 치어가 아닌 포식자로서 대형 어종인 경우는 수중에 명암부의 명확한 경계를 동시에 제공하는 광학적 측면에서 조명이 고려되어야 하며, 동시에 수중의 깊이에 따른 다양한 수압조건과 해류이동 및 파도충격 등 악조건의 수중 환경에서도 수백, 수천 회의 수중 침하작업에서도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특히 채낚기 등 조획 방식에 따라 수중조명이 낚싯줄 등에 방해받거나 파도, 조류 등의 영향으로 광원의 조사방향이나 유동이 어류에 민감하지 않게 되는 기계적 장치 측면에서도 고려되어야하지만 이에 적합한 물고기 유인등 또는 물고기 유인등 장치로서 공개된 기술은 아직 없다.
따라서 집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발광될 수 있는 물고기 유인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물고기 유인 효과를 보다 증대시키도록 광을 이용한 유인 효과 외에 다양한 형태의 유인 효과를 동시에 구비하는 물고기 유인장치의 제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에서 기밀유지를 위해 자석스위치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발광부의 동작제어가 이루어지며 수중에서 동작되도록 수중감지부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함은 물론 유인 대상 어종에 따른 다양한 음향 출력을 통해 물고기 유인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물고기 유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고기유인하우징과;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설정된 발광색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발광패널로 구성되는 발광부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기 저장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거나 음향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음향입출력부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송수신부와; 상기 발광부, 음향입출력부 및 초음파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발광부의 점멸 및 점멸주기를 제어하고 음향입출력부 및 초음파송수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의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단자로부터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부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부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부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이 수중에 위치됨을 감지하여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중감지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수중감지부는 상기 한 쌍의 노출단자로 물고기유인하우징이 수중에 위치되면 양 노출단자 간 전기적 연결을 통해 현재 수중에 위치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발광부의 다수개 발광패널 별 점멸 조합 및 점멸주기를 설정하는 점멸제어부와, 상기 음향입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음향제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수중 내 설정 수심 위치에 해당 온도를 측정하여 일시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무선통신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전송하는 수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스위치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발광부의 동작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기밀 유지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발광색을 가지는 다수의 발광패널이 구비되어 다양한 프로세스로 순차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순 점멸시보다 물고기 유인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수중동작부를 구비하여 수중에서 물고기 유인장치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중이 아닌 경우 배터리 소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 절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유인 대상 어종에 따른 다양한 음향 출력을 통해 물고기 유인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중 마이크를 구비하여 대상 어종의 식이음, 포식음 또는 유영음 등을 녹음할 수 있음에 따라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유인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부상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100)는 크게 본 발명은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고기유인하우징(10)과,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어 설정된 발광색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발광패널(21)로 구성되는 발광부(20)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기 저장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거나 음향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음향입출력부(30)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송수신부(40)와, 상기 발광부(20), 음향입출력부(30) 및 초음파송수신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 및 상기 발광부(20)의 점멸 및 점멸주기를 제어하고 음향입출력부(30) 및 초음파송수신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부(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베이스하우징(11)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1) 상, 하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캡부(12)와, 상기 한 쌍의 캡부(12) 외측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13)와, 상기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13) 각 모서리 측에 관통되는 가압부재(1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14)는 상기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13) 각 모서리 측 간에 관통 연결되되 가압플레이트(13)의 상부 및 하부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관통봉(14a)과, 상기 관통봉(14a)의 돌출 부분에 관통봉(14a)과 나사선 결합하는 너트부재(14b)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관통봉(14a)이 상, 하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13) 간에 관통 결합되면 상, 하로 각각 돌출되는 관통봉(14a) 돌출 부위에 너트부재(14b)가 나사선결합하여 가압플레이트(13)를 강하게 베이스하우징(11) 측으로 가압시키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 구성으로 베이스하우징(11)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강한 기밀성을 유도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하우징(11)과 한 쌍의 캡부(12) 또는 한 쌍의 캡부(12)와 가압플레이트(13) 간에는 'O'링이 개재되어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캡부(12)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석이 인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캡부(12) 외부측으로는 자석이 결합되고 해당 자석의 인력에 의해 한 쌍의 캡부(12) 내부측에 위치되는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12)의 자석 결합을 통한 스위칭 구성을 통해 스위칭 제어 버튼 또는 키패드와 같은 사용자 설정수단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이와의 내부 연결을 위한 연결시 연결통로가 형성될 수 밖에 없어 기밀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아울러 다양한 설정을 위해 캡부(12)에는 다수개의 자석결합홈(12a)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자석결합홈(12a)별로 별도의 스위칭이 제어되도록 캡부(12) 내측의 스위칭 회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결합홈(12a)이 일실시예에 따라 4개소 형성되는데, 어느 하나는 충전 연결을 위한 자석결합홈(12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점멸 설정을 위한 자석결합홈(12a)이 형성되며, 나머지 2개소는 점멸 주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석결합홈(1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 설정수단은 자석 결합을 통한 스위칭 제어를 통해 이루어짐과 동시에 별도의 무선통신방식의 리모트컨트롤러(R)를 통해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방식의 리모트컨트롤러(R)를 통해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송수신부(80)가 구비되어 리모트컨트롤러(R)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어 설정된 발광색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발광패널(21)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발광패널(21)은 각 발광패널(21)별로 다양한 발광색으로 발광된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발광패널(21)은 후술할 스위칭부(60)에 의해 각 발광패널(21)의 점멸 조합 및 점멸과 점멸 주기가 제어되는데, 예를 들면 백색의 발광패널(21)과 청색의 발광패널(21)이 점멸 조합으로 설정되고, 해당 점멸 조합으로 점멸 즉, ON/OFF가 이루어지며 백색 발광패널(21)이 1초간 점등(ON)되었다가 소등되고(OFF) 청색의 발광패널(21)이 1초간 점등(ON)되었다가 소등되고(OFF) 이후 이를 계속 반복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발광패널(21)로는 백, 청, 적, 분홍, 황 등 다양한 발광색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입출력부(30)는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기 저장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거나 음향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음향정보는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해당 대상 어류의 식이음, 유영음, 포식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정보는 음향입출력부(30)의 음향입력부(31)에 의해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했다가 특정 위치에서 음향출력부(3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음향출력부(32)를 통해 음향정보의 출력시 주파수별, 음압별, 간헐음 또는 연속음의 다양한 설정에 따라 사전에 입력, 저장되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음파송수신부(40)는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초음파송수신부(40)는 특정 위치 또는 설정 시간별로 초음파를 송신하였다가 수신되는 시간차를 통해 수심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측정된 수심 데이터는 별도의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해당 수심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전술한 상기 발광부(20), 음향입출력부(30) 및 초음파송수신부(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는 배터리부(51)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의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단자(52)로부터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부(51)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부(53)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부(51)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원공급부(50)는 스위칭부(6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이 단속되어 발광부(20) 및 음향입출력부(30), 초음파송수신부(40)의 구동이 수행되게 된다.
아울러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을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감지부(90)의 감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수중감지부(90)는 별도의 물 속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수단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50)의 유선충전부(53)의 전원 인가를 위한 한 쌍의 노출단자(52)를 이용하여 물 속에 위치될 때 두 단자 간이 서로 접속되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물 속에 위치되어 두 단자 간이 서로 접속되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60)는 상기 발광부(20)의 다수개 발광패널(21) 별 점멸 조합 및 점멸주기를 설정하는 점멸제어부(61)와, 상기 음향입출력부(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음향제어부(6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점멸제어부(61)는 전술한 상기 발광부(20)의 다수개 발광패널(21) 별 점멸 조합 및 점멸주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점멸제어부(61)의 제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석의 결합 위치에 따라 점멸 제어는 물론 점멸 조합, 점멸주기가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점멸제어부(61)의 제어는 자석 결합을 통한 사용자 설정 외에 별도의 무선 통신 리모트컨트롤러(R)를 통해 사용자 설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제어부(62)는 음향입력부(31) 및 음향출력부(32)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100)에는 수중 내 설정 수심 위치에 해당 온도를 측정하여 일시 저장하는 수온도측정부(7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온도측정부(70)는 특정 수심 또는 특정 시간 경과 후에 동작이 수행되어 해당 시점에 수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온도데이터가 별도의 메모리수단에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100)의 회로구성은 충전 또는 점멸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3)와, 음향입출력부(30)의 음향입력부(31) 및 음향출력부(32)의 구동을 수행하는 제3스위치(S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스위치(S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와 같은 음향입력부(31)의 구동을 위한 연결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노출단자(52)가 구성되어 유선 충전시에는 제1스위치를 ON하고, 외부전원을 인가하면 배터리부(51)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자기 유도를 통해 배터리부(5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무선충전부(54)가 구성되어 외부 무선 전력의 공급을 통해 배터리부(51)에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노출단자(52)가 물 속에 위치하여 서로 접속되고 배터리부(51)로부터 저항(R)을 경유하여 한 쌍의 노출단자(52)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제2스위치(S2)가 ON되면 배터리부(51)의 전원이 발광부(20)에 공급됨과 동시에 음향입출력부(30), 초음파송수신부(40), 수온도측정부(70), 무선통신 송수신부(80)가 동작준비를 한다.
이에 따라 수중에 한 쌍의 노출단자(52)가 침지되지 않으면 배터리부(51)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전기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스위치(S4)가 ON되면 음향입출력부(30)의 음향입력부(31) 또는 음향출력부(32)가 구동되어 마이크와 같은 음향입력부(31)를 통한 녹음이 이루어지거나 녹음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100)의 물고기유인하우징(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찌와 같은 형태 또는 물고기 형태로 형성되어 유인하고자 하는 대상어종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물고기유인하우징(10)의 외측에는 한 쌍의 노출단자(52)가 형성되어 배터리부(51)의 충전시 또는 수중감지부(90)의 역할을 동시게 기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부상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유인장치(100)는 부상제어장치(9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부상제어장치(91)는 물고기유인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물고기유인하우징(10)의 수심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상제어장치(91)는 물고기유인하우징(10) 일측에 결합되는 압축진공펌프(92)와, 상기 압축진공펌프(9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압축진공펌프(92)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압축공기탱크(93)와, 상기 압축진공펌프(92)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94)와, 상기 압축진공펌프(92)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거나 공기를 배출하도록 연결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튜브(95)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수심 보다 더 깊이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튜브(95) 내 공기를 인출하여 압축공기탱크(93)로 압축, 공급하고, 현재 수심 보다 더 높이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튜브(95) 내 공기를 공급하여 튜브(95) 공기에 따른 부상력을 통해 물고기 유인장치(100)를 부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상제어장치(91)의 튜브 공기 공급 또는 배출은 무선통신 송수신부(80)를 통해 외부의 리모트컨트롤러(R)로 이루어지거나 사전 설정을 통해 일정 시간 경과 후 부상제어장치(91)의 튜브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중으로 침하 후 부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물고기유인하우징 20 : 발광부
21 : 발광패널 30 : 음향입출력부
40 : 초음파송수신부 50 : 전원공급부
60 : 스위칭부 70 : 수온도측정부
80 : 무선통신 수신부 90 : 수중감지부
91 : 부상제어장치 100 : 물고기 유인장치

Claims (5)

  1.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고기유인하우징(10)과;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어 설정된 발광색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발광패널(21)로 구성되는 발광부(20)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기 저장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거나 음향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음향입출력부(30)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수심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송수신부(40)와;
    상기 발광부(20), 음향입출력부(30) 및 초음파송수신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 및
    상기 발광부(20)의 점멸 및 점멸주기를 제어하고 음향입출력부(30) 및 초음파송수신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는 배터리부(51)와,
    상기 물고기유인하우징(10)의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단자(52)로부터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부(51)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부(53)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부(51)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물고기유인하우징(10)이 수중에 위치됨을 감지하여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중감지부(9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수중감지부(90)는
    상기 한 쌍의 노출단자(52)로 물고기유인하우징(10)이 수중에 위치되면 양 노출단자(52) 간 전기적 연결을 통해 현재 수중에 위치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60)는
    상기 발광부(20)의 다수개 발광패널(21) 별 점멸 조합 및 점멸주기를 설정하는 점멸제어부(61)와,
    상기 음향입출력부(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음향제어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중 내 설정 수심 위치에 해당 온도를 측정하여 일시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무선통신 송수신부(80)를 통해 무선전송하는 수온도측정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KR1020180025235A 2018-03-02 2018-03-02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KR10208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235A KR102089975B1 (ko) 2018-03-02 2018-03-02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235A KR102089975B1 (ko) 2018-03-02 2018-03-02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90A true KR20190105190A (ko) 2019-09-16
KR102089975B1 KR102089975B1 (ko) 2020-03-17

Family

ID=6806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235A KR102089975B1 (ko) 2018-03-02 2018-03-02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913A (ko) * 2005-01-25 2005-11-22 박교양 낚시용 탐지장치
KR100759469B1 (ko) * 2005-10-14 2007-10-15 이주헌 집어기
KR20100028155A (ko) * 2008-09-04 2010-03-12 박상일 루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913A (ko) * 2005-01-25 2005-11-22 박교양 낚시용 탐지장치
KR100759469B1 (ko) * 2005-10-14 2007-10-15 이주헌 집어기
KR20100028155A (ko) * 2008-09-04 2010-03-12 박상일 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975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286B2 (en) Aquarium with wireless lighting
US11147263B2 (en) Fishing light
US7707764B1 (en) Light emitting fishing lure
US20090025271A1 (en) Illuminated submersible bait apparatus
WO2005029952A1 (ja) 集魚灯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159025B1 (ko) 어신감지용 전자찌
US20170122536A1 (en) Fishing Light
US8402686B1 (en) Light emitting fishing teaser
US9445583B1 (en) Deep sea fishing lure
US20040216355A1 (en) Fish attractor
KR101373816B1 (ko) 수중 조명용 집어등
KR102261650B1 (ko) 물고기 유인 시스템
KR20190105190A (ko) 유인 효율이 증대되는 물고기 유인장치
KR102437754B1 (ko) 루어 낚시용 인공지능 인조 미끼 및 그의 챔질 제공 시스템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1293582B1 (ko) 집어용 발광 그물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상체
KR20210044479A (ko) 수중 집어등 장치
JP3622925B2 (ja) 発光ルアー
KR100558139B1 (ko) 핸드폰을 이용한 어군확인 초음파 낚시찌
KR101408087B1 (ko) 카메라를 갖는 집어등
KR102495020B1 (ko) 어류 군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업 시스템
CN219679551U (zh) 一种仿生诱鱼灯
KR102533907B1 (ko) 수중 집어등 제어 시스템
CN203523589U (zh) 一种声光漂浮聚鱼器
US20210332974A1 (en) Adjustable Depth Anchoring System for an Underwater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