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795A -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795A
KR20190104795A KR1020180025333A KR20180025333A KR20190104795A KR 20190104795 A KR20190104795 A KR 20190104795A KR 1020180025333 A KR1020180025333 A KR 1020180025333A KR 20180025333 A KR20180025333 A KR 20180025333A KR 20190104795 A KR20190104795 A KR 2019010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sensor
coil
voltage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488B1 (ko
Inventor
김정석
박유경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4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G01N33/48721Investigating individual macromolecules, e.g. by translocation through nanop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01N27/3278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gaps or 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기공센서를 통과하는 DNA를 자기장 제어하여 DNA 통과속도를 높이고 시간해상도를 향상시키는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DNA motion control system using a nanopore sensor and its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나노기공센서를 이용한 DNA 염기분석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DNA 염기는 아데인, 구아닌, 시토신, 티민으로 구성되고, 이 염기 서열들의 서열에 따라 고유한 유전형질이 발현된다.
이에 다른 DNA 염기서열 분석은 정확한 질병 진단, 불치병 예측, 맞춤형 신약개발, DNA 보유개체의 성격파악, 범죄자 검거 등 다양한 분양에 활용된다.
현존하는 DNA 염기분석 기법 중 나노기공(Nanopore)센서를 활용한 염기서열 분석이 차세대 유전자 검사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바, 여기서 나노기공센서는 자연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사용하거나, 인위적으로 나노물질을 합성하여 만들 수 있다.
도 1은 나노기공센서의 일례로서, (a)는 KCL 용액이 채워진 cis 챔버와 trans 챔버 사이에 나노기공이 존재하는 구조이며, 일정한 전압을 클램핑(
Figure pat00001
)하면 나노기공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하여 이온 전류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이 흐르기 시작하고, cis 챔버에 위치한 음전하를 띤 외가닥 DNA가 전기영동법에 의해 trans 챔버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외가닥 DNA가 나노미터 크기를 가진 구멍을 통과할 때 염기 종류에 따라 미세하게 변조된 이온전류가 발생하는데, (b)와 같이 이 전류의 순차적인 변화를 측정하여 염기서열을 판독할 수 있다.
나노기공센서를 이용한 염기분석 기법은 판독시간이 빠르고, 분석 비용이 저렴하며, DNA 염기 정보 처리량이 높은 장점을 가지나, DNA 분자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시간해상도가 낮아 정확한 DNA 염기서열의 신호를 판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인 등록 특허 제1777483호(자성입자 제어를 통한 분자 인식 가속시스템 및 방법)는 분자 반응 챔버 외부에 설치된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자성입자 제어를 통한 분자 인식 가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운 노이즈 스펙트럼형(복합체의 자연적인 브라운 운동 형상을 그대로 증폭)의 자기장을 발생하여, DNA 시퀀싱, 약물 스크리닝, 앱타머 선별 등의 어레이형 분자결합 판별에 이용하고자 한다.
이는 나노기공센서의 챔버구조에서의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조절하여 DNA 분자 속도를 제어하려는 본 발명과는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나노기공센서를 통과하는 DNA 분자를 자기장 세기와 방향으로 제어하여 DNA 통과속도를 낮춰서 시간해상도를 향상시키는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기비드가 연결된 DNA가 통과하는 나노기공을 포함하여 DNA 통과시 이온전류의 변화를 발생하는 나노기공센서; 상기 나노기공센서에 일정 전압을 클램핑하는 전압인가부; 상기 나노기공센서의 나노기공의 방향과 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나노기공센서 외부 양측에 상호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마그네틱 피드백 루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일; 및 상기 나노기공센서, 전압인가부 및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인가부 및 상기 코일의 구동 또는 전압을 제어하며, 상기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DNA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집 분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압인가부의 전압이 증가하여 DNA 통과속도가 상승할 때 상기 코일이 구동되어 상기 나노기공센서 내에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DNA 통과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마그네틱 성분이 있는 나노비드를 시퀀싱 타겟인 DNA 분자와 연결하는 자기 비드 연결단계; 자기 비드가 연결된 DNA 시료를 나노기공센서의 cis 챔버에 넣는 DNA분자 cis 챔버 투입단계; 전압인가부에 의해 나노기공센서의 trans 챔버에 인가하는 trans 챔버 전압인가단계; 전기영동법에 의해 DNA 분자들이 trans 챔버로 이동하면서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trans 챔버 이동단계; 코일을 동작시켜 나노기공센서 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자기 비드가 cis 챔버쪽으로 이동하면서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cis 챔버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코일 자기장의 세기와 전기영동법의 전기장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DNA 분자들이 나노기공에서 움직이는 속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장에 의한 DNA 이동제어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어, 전압을 상승시켜 DNA 분자 속도를 높이더라도 높은 시간 해상도를 제공하는바, 나노기공 염기서열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나노기공의 방향과 코일의 축 방향이 일치하여 DNA 이동제어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도 1은 종래 나노기공센서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기공센서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플랫폼 아키텍쳐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나노기공 염기서열 분석에 있어서, DNA 신호의 SNR(신호대잡음비)과 시간해상도가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DNA 신호의 SNR과 시간해상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어렵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나노기공센서 외부에 한 쌍의 코일로서 헬름홀츠코일을 설치하며,
Figure pat00004
증가 → DNA 신호의 SNR 향상 → 통과속도 상승 → 헬름홀츠코일 작동 → 센서내 자기장 형성 → 자기비드 제어 → 통과속도 감소 → 시간해상도 증가의 과정으로 DNA 통과속도를 제어한다.
즉, 헬름홀츠코일을 사용하여 마그네틱 피드백 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인데, 전압
Figure pat00005
를 변화시켜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나노기공센서는 전압
Figure pat00006
에 의한 전기장뿐 아니라 전압
Figure pat00007
에 의한 자기장 영향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DNA 분자 움직임은 전압
Figure pat00008
에 의해 속도
Figure pat00009
로 제어되고, 자기 비드(bead) 움직임은
Figure pat00010
에 의해 속도
Figure pat00011
으로 제어되며, 이로써 DNA 통과속도를 낮춰 시간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DNA 통과 속도는 VDNA=VE-VM 혹은 VE-VM 으로 정의가 된다. 여기서 +과 -는 방향을 가르키며 이는 코일에 걸리는 자기장의 방향으로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나노기공센서(10), 전압인가부(20), 코일(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고, 도 4는 도 3의 구성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아키텍쳐를 나타낸다.
나노기공센서(10)는 자기 비드가 연결된 DNA가 통과하는 나노기공을 포함하여 DNA 통과시 이온전류의 변화 등의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이다.
상기 자기 비드는 streptavidin 코딩된 자기비드를 사용하고, biotin을 사용하여 DNA와 자기비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전압인가부(20)는 나노기공센서(10)에 일정 전압을 클램핑하여 이온전류를 생성하고 감지하는 장치로서 초저잡음 전위가변장치(퍼텐쇼스탯,potentiostat)가 적용될 수 있다.
코일(30)은 헬름홀츠코일과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나노기공센서(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코일(30)은 그 축 방향이 나노기공센서(10)의 나노기공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자기비드를 부착한 DNA의 분자속도제어(비드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40)는 나노기공센서(10), 전압인가부(20) 및 코일(30)에 연결되어, 전압인가부(20) 및 상기 코일(30)의 구동 또는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DNA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집 분석한다.
제어부(40)는 전압인가부(20)를 구동하고, 적정 전압을 승인하여 DNA 통과속도를 제어하며, 이때 센서 내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코일(30)의 전압-전류 컨버터를 구동하여 헬름홀츠코일을 작동시키고 적정전압을 승인한다.
헬름홀츠코일의 작동에 의한 자기장은 DNA 에 부착된 자기 비드에 작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를 조절함으로써 DNA의 통과속도를 요구되는 수준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전압인가부(20)의 전압이 증가하여 DNA 통과속도가 상승할 때 상기 코일이 구동되어 나노기공센서(10) 내에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DNA 통과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제어부(40)는 나노기공센서(10)의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DNA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집 분석하는 컴퓨팅 수단과 연결되어 수집 및 분석작업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DNA 동작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자기 비드 연결단계(s10), DNA분자 cis 챔버 투입단계(s20), trans 챔버 전압인가단계(s30), trans 챔버 이동단계(s40), 자기장 형성단계(s50) 및 cis 챔버 이동단계(s60)를 포함한다.
자기 비드 연결단계(s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성분이 있는 나노비드를 시퀀싱 타겟인 DNA 분자와 연결한다.
DNA분자 cis 챔버 투입단계(s20)는 자기 비드가 연결된 DNA 시료를 나노기공센서(10)의 cis 챔버에 넣는다.
trans 챔버 전압인가단계(s30)는 전압인가부(20)에 의해 나노기공센서(10)의 trans 챔버에 인가한다.
trans 챔버 이동단계(s40)는 전기영동법에 의해 DNA 분자들이 trans 챔버로 이동하면서 나노기공을 통과한다.
자기장 형성단계(s50)는 코일(30)을 동작시켜 나노기공센서(10) 내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cis 챔버 이동단계(s60)는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자기 비드가 cis 챔버쪽으로 이동하면서 나노기공을 통과한다.
이때 자기장의 세기와 전기영동법의 전기장 세기를 조절하여 DNA 분자들이 나노기공에서 움직이는 속도와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현재 나노기공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인 DNA 통과속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장치의 핵심 구성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0 : 나노기공센서 20 : 전압인가부
30 : 코일 40 : 제어부

Claims (4)

  1. 자기비드가 연결된 DNA가 통과하는 나노기공을 포함하여 DNA 통과시 이온전류의 변화를 발생하는 나노기공센서;
    상기 나노기공센서에 일정 전압을 클램핑하는 전압인가부;
    상기 나노기공센서의 나노기공의 방향과 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나노기공센서 외부 양측에 상호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마그네틱 피드백 루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일; 및
    상기 나노기공센서, 전압인가부 및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인가부 및 상기 코일의 구동 또는 전압을 제어하며, 상기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DNA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집 분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압인가부의 전압이 증가하여 DNA 통과속도가 상승할 때 상기 코일이 구동되어 상기 나노기공센서 내에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DNA 통과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헬름홀츠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부는 퍼텐쇼스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마그네틱 성분이 있는 나노비드를 시퀀싱 타겟인 DNA 분자와 연결하는 자기 비드 연결단계;
    자기 비드가 연결된 DNA 시료를 나노기공센서의 cis 챔버에 넣는 DNA분자 cis 챔버 투입단계;
    전압인가부에 의해 나노기공센서의 trans 챔버에 인가하는 trans 챔버 전압인가단계;
    전기영동법에 의해 DNA 분자들이 trans 챔버로 이동하면서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trans 챔버 이동단계;
    코일을 동작시켜 나노기공센서 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자기 비드가 cis 챔버쪽으로 이동하면서 나노기공을 통과하는 cis 챔버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코일 자기장의 세기와 전기영동법의 전기장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DNA 분자들이 나노기공에서 움직이는 속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방법.



KR1020180025333A 2018-03-02 2018-03-02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5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33A KR102059488B1 (ko) 2018-03-02 2018-03-02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33A KR102059488B1 (ko) 2018-03-02 2018-03-02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95A true KR20190104795A (ko) 2019-09-11
KR102059488B1 KR102059488B1 (ko) 2019-12-27

Family

ID=6794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333A KR102059488B1 (ko) 2018-03-02 2018-03-02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3058A (zh) * 2020-11-20 2021-03-02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磁珠检测控制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US11892445B2 (en) 2021-12-08 2024-02-0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mart fluids to control translocation speed through a nanopo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6894B2 (en) * 2022-02-16 2024-04-0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Low noise amplifiers with feedback for nanopore applications
US11940404B2 (en) 2022-02-16 2024-03-2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Low noise amplifiers with shields for nanopore Applic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348A1 (en) * 2007-04-25 2010-03-18 Nx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e detection using nanopores
US20100243449A1 (en) * 2009-03-27 2010-09-30 Oliver John 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biomolecules and probes bound thereto
US20110133255A1 (en) * 2008-08-20 2011-06-09 Nx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e detection using nanopores
US20150284791A1 (en) * 2014-04-08 2015-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tion of entropic barrier of polyelectrolyte molecules in a nanopore device with agarose g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348A1 (en) * 2007-04-25 2010-03-18 Nx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e detection using nanopores
US20110133255A1 (en) * 2008-08-20 2011-06-09 Nx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e detection using nanopores
US20100243449A1 (en) * 2009-03-27 2010-09-30 Oliver John 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biomolecules and probes bound thereto
US20150284791A1 (en) * 2014-04-08 2015-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tion of entropic barrier of polyelectrolyte molecules in a nanopore device with agarose ge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 Peng et al, Nanotechnology, Vol.20(18), pp. 1-15.(2009.05.0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3058A (zh) * 2020-11-20 2021-03-02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磁珠检测控制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CN112433058B (zh) * 2020-11-20 2023-09-15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磁珠检测控制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US11892445B2 (en) 2021-12-08 2024-02-0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mart fluids to control translocation speed through a nanop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488B1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488B1 (ko) 나노기공센서를 사용한 dna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731131B2 (ja) タンパク質の等電点電気泳動
US9863912B2 (en) Dual-pore device
Wang et al. Current enhancement in solid-state nanopores depends on three-dimensional dna structure
JP2021509265A (ja) 生体サンプルからの複数の分析物の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174205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particles
JP2017509899A (ja) 生体分子配列決定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019814B (zh) 一种基于纳米孔的核酸测序装置、核酸测序方法
JP4860693B2 (ja) 並行かつ同時分離を伴う電気泳動方法
CN106978334B (zh) 一种基于光诱导介电泳技术和纳米孔的dna测序装置和测序方法
Schiel et al. Diffusion and trapping of single particles in pores with combined pressure and dynamic voltage
CN109266537A (zh) 使用单分子多次通过纳米孔达到精密测序的基因测序仪
Al Sulaiman et al. Length-dependent, single-molecule analysis of short double-stranded DNA fragments through hydrogel-filled nanopores: A potential tool for size profiling cell-free DNA
Nouri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vent rate in glass nanopore sensors
Hu et al. A course of hands-on nanopore experiments for undergraduates: single-molecule detection with portable electrochemical instruments
Dematties et al. Deep learning of Nanopore sensing signals using a bi-path network
Sui et al. Aerolysin nanopore identification of single nucleotides using the AdaBoost model
CN103529038A (zh) 一种凝胶中dna条带智能识别系统及方法
KR20180086388A (ko) 개선된 핵산 분자 분석용 장치
US20170212077A1 (en) Methods of isotachophoresis detection
WO2022024389A1 (ja) 学習済みモデルを生成する方法、生体分子の塩基配列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生体分子計測装置
CN113390940B (zh) 一种集成纳米孔的分子隧穿检测装置
Branton et al. The development of nanopore sequencing
Tang et al. Key Parameters That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Decrease in Current in Nanopore Blockade Sensors
Gebhard et al. Isotachophoresis with Oscillating Sample Zones to Control the Spatial Overlap of Co-focused Spe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