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544A -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 - Google Patents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544A
KR20190104544A KR1020197020488A KR20197020488A KR20190104544A KR 20190104544 A KR20190104544 A KR 20190104544A KR 1020197020488 A KR1020197020488 A KR 1020197020488A KR 20197020488 A KR20197020488 A KR 20197020488A KR 20190104544 A KR20190104544 A KR 2019010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nit
housing unit
hydraulic pump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버 니그린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1C21/104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 F01C21/108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with an axial surface, e.g. s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88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96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5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of the electric motor in 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03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15/0023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04C15/002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aling of the lateral face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e.g. gear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04C2210/206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B2260/201Heat transfer, e.g. cooling by impingement of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10)에 관한 것으로서, 이 펌프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14)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용 구역(16)이 있는 제1 하우징 유닛(12)과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유닛(12)에 수납된 제2 하우징 유닛(20),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2 하우징 유닛(20)에 수납되고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유압액을 이송하는 최소한 하나의 회전자(26) 및 특히 편리하게 구동 유닛에 유압액을 공급하는 데 사용하는 채널 시스템(46)이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 개념에 따른,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특히 차량용의 유압 펌프는 현재의 일반적인 기술 수준과 특히 차량을 대량으로 제조하면서 이미 충분히 알려져 있다. 그러한 유압 펌프에는 제1 하우징 유닛이 있는 바, 이 유닛에는 최소한 하나의 구동 유닛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용 구역이 있다. 더 나아가 이 유압 펌프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유닛에 수용된 제2 하우징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2 하우징 유닛에 수용된,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자가 있다. 이 회전자에 의해 유압액이 이송될 수 있는 바, 이때 이 회전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를 위해 회전자는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유압 펌프는 기계적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구동되는 유압 펌프이므로 기계식 유압 펌프인 바, 이러한 펌프에서는 회전자가 구동 유닛을 통해 기계식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유압 펌프를 전기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가동시킬 수 있는 전동식 유압 펌프의 형태를 지닌 유압 펌프를 생각할 수 있는 바, 즉 여기서는 유압 펌프의 이송 유닛으로서 작동하는 회전자를 전기로, 다시 말하여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구동 유닛이 전동 모터의 구성품 또는 전동 모터라는 형태를 지니므로, 전동 모터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용 구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유압 펌프를 발전시켜, 구동 유닛을 특히 편리하게 냉각 및/또는 윤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의 특징을 지닌 유압 펌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편리한 다른 발전 형태는 나머지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의 종단면 도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에는 제1 하우징 유닛이 있는 바, 이 유닛에는 최소한 하나의 구동 유닛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용 구역이 있거나 또는 그러한 구역에 경계가 이루어져 있다. 더 나아가 이 유압 펌프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유닛에 수용된 제2 하우징 유닛과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2 하우징 유닛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자가 있다. 이 회전자에 의해 유압액이 이송될 수 있는 바, 이때 이 회전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를 위해 회전자는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유닛을 특히 편리하게 윤활 및/또는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에는 유압 펌프의 축 방향으로 회전축과 제1 하우징 유닛 사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측면판이 있다. 이때 유압 펌프의 축 방향은 회전축의 방향과 일치하거나 회전축을 따라 진행되는 바, 여기서 유압 펌프의 축 방향은 전체적으로 볼 때 회전자의 축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축 방향으로 측면판과 제1 하우징 유닛 사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배치된, 예를 들어 디스크 스프링의 형태를 띤 스프링 유닛을 설치하려고 하는 바, 이 스프링 유닛을 지나 측면판이 축 방향으로 제1 하우징 유닛에서 특히 최소한 간접적으로나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제2 하우징 유닛은 이 측면판을 지나 축 방향으로 스프링 유닛에 지지되어 있다. 더 나아가 유압 펌프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회전자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이송 구역이 있으며, 이 구역을 지나 유압액이 회전자에 의해 이송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에는 채널 설비 또는 채널 장치라고도 부르고 적어도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측면판에 의해 경계를 이룬 제1 채널이 있는 채널 시스템이 있는 바, 이 제1 채널에 의해 유압액이 이송 구역에서 나누어져 흐를 수 있으며 유압 펌프의 외측 방사 방향으로, 특히 제2 하우징 유닛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에는 각각 부분적으로 스프링 유닛과 제1 하우징 유닛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최소한 하나의 챔버가 있으며 이 챔버는 측면판의, 축 방향에서 회전자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제1 하우징 유닛으로 향한 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도 이 채널 시스템에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통과한 유압액을 챔버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주로 또는 완전히 측면판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한편으로는 유체역학적으로 제1 채널과 결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 제1 채널을 통과하는 유압액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채널이 있다. 이는 제1 채널을 통과하는 유압액 또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채널에 의해 이송 구역에서 분기되어 흐르는, 제1 채널에서 나온 유압액 부분이 제2 채널에서 흘러 나오고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채널에 의해 분기된 흐름 부분이 챔버 안으로 흐르므로 이 분기된 흐름 부분이 예컨대 먼저 챔버 안으로 흘러든 다음 예컨대 그 챔버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시스템에는 유압액을 챔버에서 수용 구역으로, 특히 수용 구역에서 수납할 수 있거나 또는 수납한 구동 유닛으로 유도하는 최소한 하나의, 유체역학적으로 챔버와 연결된 제3 채널이 있다. 따라서 수용 구역에, 그러므로 구동 유닛에 특히 편리하게 유압액 또는 분기된 유압액을 공급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냉각 및/또는 윤활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예컨대 펌프 모터 또는 펌프 모터의 구성품인 바, 여기서 이송 유닛으로서 작동하는 회전자가 펌프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때 이 회전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펌프 모터는 예컨대 기계식 펌프 모터이므로 예컨대 회전자는 구동 유닛에 의해서나 또는 이 유닛을 통해 기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는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작동 또는 가동되는 유압 펌프, 즉 기계식 유압 펌프라는 형태를 지닌다.
더 나아가 회전자가 구동 유닛에 의해서나 또는 구동 유닛을 통해 전기식으로 구동되도록 펌프 모터를 전기식 드라이브의 형태, 특히 전동 모터의 형태를 지니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는 예컨대 전기로 가동될 수 있거나 또는 구동될 수 있는 유압 펌프라는 형태, 즉 전동식 유압 펌프라는 형태를 지닌다. 이때 예컨대 유압 펌프를 완전히 제작된 상태에서 펌프 모터는, 특히 전동 모터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주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수용 구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바, 이 구역은 예건대 축 방향에서 측면판으로 그리고/또는 외측 방사 방향으로 각각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2 하우징 유닛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압 펌프 전체의 방사 방향은 회전자의 방사 방향과 일치하고 최소한 기본적으로 회전축에 대해서나 또는 축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된다.
이때 본 발명은 유압 펌프의 펌프 모터에는 대개의 경우 각 유압 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유압액 일부가 공급되므로 유압 펌프의 저마모 운전이 실현된다는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로 인해 유압 펌프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펌프 모터를 윤활시키고 냉각시키기 위해 유압액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상이한 매질의 유압액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대개의 경우 유압 펌프에 의해 이송된 유압액의 부분 유량이 형성되어 이 유량이 펌프 모터로 계속 이송하여 냉각 및 윤활 작용을 한다. 부분 유량이 형성되어 계속 이송되기 위해서는 대개의 경우 추가되는 모듈의 수가 많아지고 따라서 유압 펌프의 비용이 비싸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유압 펌프가 특히 설치 직경이나 그 펌프의 방사 방향 확장 및 축 방향 설치 길이와 관련하여 상당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도록 요구하는 바, 이로 인해 부분 유량의 형성 및 계속 이송에 필요한 부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펌프 모터에는 각 유압 펌프의 이송 유량 전체가 통과하므로, 예컨대 섭씨 0도 미만의 차가운 온도에서 각 유압 펌프의 입구에서 원하지 않은 압력 하강이 발생하여 손실과 음성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추가 모듈을 이용하여 일종의 초크나 플러싱 밸브를 장착하여 상기 부분 유량과 따라서 필요한 유압액의 일부를 분기할 수 있다. 이 유압액 일부는 대개의 경우 유압 펌프의 압력 구역에서 분기되어 펌프 모터로 공급되므로, 이로 인해 펌프 모터가 냉각되고 윤활된다. 이때 플랜지를 볼트로 고정한 펌프 하우징을 장착하므로 유압 펌프의 방사 방향 설치 공간이 커진다. 또한 예컨대 구멍 형태의 관통 개구를 이용하여 펌프 모터에 유압액을 적절히 공급하여 펌프 모터를 윤활시키고 냉각시킬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유압 펌프의 압력 구역과 흡입 구역 사이에서 원하지 않는 유체역학적인 우회가 발생할 수 있다.
유압 펌프의 흡입 구역이란 유압 펌프가 운전 중 유압액을 흡입 구역 내에서나 그 구역을 통해 흡입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구역에는 유압 펌프가 운전 중 운전하는 동안 유압액을 흡입하는 흡입면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압력 구역이란 유압 펌프가 운전 중 유압액을 흡입 구역에서 압력 구역으로나 또는 그 구역 안으로 이송하여 예컨대 유압 펌프에 의해 이송된 유압액이 압력 구역을 통해 유압 펌프에서 흘러나와 예컨대 최소한 하나의 소비 기기로 흐를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압력 구역에는 대개의 경우 소위 말하는 압력면이 있어, 이 면에서 유압액이 유압 펌프로부터 흘러나온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문제와 단점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에서 특히 채널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는 바, 왜냐하면 이 채널 시스템은 유압 모터에 유압액을 간단하고 특히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펌프 모터를 윤활시키고 냉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압 펌프의 필요한 설치 공간, 부품 개수 및 중량을 상당히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경우 제3 채널을 초크로서 작동하여 규정된, 펌프 모터 또는 수용 구역에 공급되는 예컨대 오일 형태를 지닌 유압액의 양을 설정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을 윤활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냉각시키기 위해 채널 시스템 또는 최소한 제3 채널을 통과하는, 수용 구역에 공급되는 따라서 구동 유닛에 공급되는 유압액은 유압액의 일부 또는 부분 유량인 바, 이러한 일부 또는 유량은 기본적으로, 회전자에 의해 예컨대 유압 펌프의 압력 구역이라는 형태를 지닌 이송 구역을 통과하고 채널 시스템 안으로 분기되어 흐르지 않는 이송량 또는 이송 유량보다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이나 펌프 모터에 유압 펌프에 의해 이송된 유압액의 이송량 전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펌프 모터에 이송량 전체가 통과함으로 인해 발생한 과도한 압력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채널 시스템을 이용하여 펌프 모터의 냉각 및/또는 윤활을 위한 유압액의 규정된 부분 유량을 제시한다.
챔버는 예컨대 분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링 채널이라는 형태를 띠고 있는 바, 이로 인해 예컨대 플러싱 오일 구멍의 형태를 지닌 제3 채널을 유연하게나 또는 필요에 맞추어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유압 펌프의 필요한 설치 공간과 비용을 특히 적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용한 형태에서는 제1 채널이 축 방향에서 제2 하우징 유닛으로 향하고 축 방향에서 그 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한, 측면판의 제2 면에 배치되도록 고안하였다.
이때 제1 채널이 측면판에서 측면판의 홈 형태를 띠고 축 방향에서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해 개방된 홈 형태를 띠는 것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제1 채널은 특히 간단하고 가성비가 우수한 방식으로, 예컨대 측면판을 펀칭하여 그리고/또는 스탬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모델 형태는 제2 채널이 유압 펌프의 방사 방향에서 제1 하우징 유닛으로 향한, 측면판의 라이너 면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필요한 설치 공간을 특히 적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이 측면판에서 측면판의 홈 형태를 띠고 축 방향에서 제1 하우징 유닛에 대해 개방된 홈 형태를 띠는 것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제2 채널은 특히 가성비가 우수한 방식으로, 예컨대 측면판을 펀칭하여 그리고/또는 스탬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모델 형태의 특징은 특히,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을 아주 적은 개수의 부품을 사용하고 측면판에 추가되도록 설계된 어셈블리 없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규정된 분량을 유압액을 구동 유닛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그 구동 부재를 냉각 및/또는 윤활시킨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한 모델 형태에서는 스프링 유닛에 최소한 하나의 평평해진 벽 구역이 있는 바, 이 구역을 통해 스프링 유닛이 특히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제1 하우징 유닛에 지지되고 제1 하우징 유닛에 대해 밀폐된다. 따라서 유압액의 최소한 어느 한 일부가 스프링 유닛과 제1 하우징 유닛 사이의 채널에서 이 유닛의 프레임 내로 흘러나오는, 원치 않는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모델 형태의 특징은 스프링 유닛에 최소한 하나의 평평하게 한 벽 구역이 있고, 이 구역을 통해 스프링 유닛이 특히 직접적으로나 최소한 간접적으로 측면판에 지지되어 있고 측면판에 대해 밀폐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의해서도 유압액이 스프링 유닛과 측면판 사이의 챔버에서 이 측면판의 프레임 내로 흘러나오는 누설이 방지되므로 수용 구역에, 따라서 구동 유닛에 유압액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구동 유닛의 냉각 및/또는 윤활을 보장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모델 형태에서는 따라서 예컨대 디스크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유닛을 제1 하우징 유닛 또는 스프링 유닛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모서리 대신, 평평하게 한 벽 구역을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 유닛이 위에서 기술한 모서리를 통해 제1 하우징 유닛이나 스프링 유닛에 지지되면, 스프링 유닛과 하우징 유닛 또는 측면판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기본적으로 선 형태를 띤 지지대를 설치한다. 이제 우선적으로 평평하게 한 벽 구역을 통해 디스크 스프링을 하우징 유닛이나 스프링 유닛에 고정하기 때문에, 디스크 스프링이 최소한 기본적으로 선 형태로 하우징 유닛이나 측면판에 지지되거나 또는 스프링 유닛과 하우징 유닛이나 측면판 사이가 최소한 기본적으로 선 형태로 접촉하지 않고, 평평하게 한 벽 구역을 통해 스프링 유닛을 하우징 유닛이나 또는 측면판에 각각 지지함으로써 최소한 기본적으로 평평한, 스프링 유닛의 링 지지대를 하우징 유닛이나 측면판 또는 최소한 기본적으로 평평한 링 접점을 스프링 유닛과 하우징 유닛 또는 측면판에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히 유용한 밀폐 기능이 보장되므로 챔버가 특히 우수하게 밀폐될 수 있다. 평평하게 한 각 벽 구역은 예를 들어 설치 장소로서, 이 장소에서나 또는 이 장소를 통해 디스크 스프링이 특히 직접적으로 하우징 유닛이나 측면판에 지지된다.
평평하게 한 각 벽 구역이 스프링 유닛의 스탬핑에 의해, 특히 엠보싱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특히 유용한 것으로 드러난다. 이는 평평하게 한 각 벽 구역이 예를 들어 스프링 유닛의 스탬핑 또는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엠보싱은 예를 들어 약간의 평평한 엠보싱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는 예를 들어 최소한 기본적으로 평평한 고리면의 형태를 띠고, 이 고리면을 통해 스프링 유닛의 면과 하우징 유닛 또는 측면판의 면이 서로 적절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 기능이 극히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유닛 자체는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바, 따라서 이 스프링 유닛을 특히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제작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 펀칭 후 및/또는 펀칭하는 동안 스프링 유닛이 예컨대 압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각 엠보싱이 실현되므로,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각 벽 구역이나 각 모서리를 평평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평평하게 한 벽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밀폐 효과를 구현하고 따라서 챔버를 특히 적절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모델 형태에서는 스프링 유닛에 최소한 하나의 탄성 중합체를 부착하는 바, 이 중합체를 통해 스프링 유닛이 제1 하우징 유닛에서 및/또는 측면판에 지지되고 제1 하우징 유닛 및/또는 측면판에 대해 밀폐된다. 특히 적절하게 밀폐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특히 이 탄성 중합체가 평평하게 한 각 벽 구역에서 그 구역 안에 배치되도록 고안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압 펌프가 특히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는 바, 왜냐하면 이송 구역에서 분기되어 냉각 및/또는 윤활을 위해 구동 유닛에 공급되어야 할 일부분의 유압액이 특히 적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탄성 중합체가 가황 경화 처리를 통해 스프링 유닛에 부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달리 말하자면 그 탄성 중합체는 예컨대 최소한 하나의, 예컨대 금속제 소재로 제작된 스프링 유닛의 부분 구역에서 가황 경화 처리되든지 또는 그 구분 구역에 부착된 상태로 가황 경화 처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과 특징 및 구체적인 사항은 선호하는 예시 모델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을 통해 드러난다. 위의 기술에서 언급한 특징과 결합된 특징 및 아래의 도면 설명에서 언급한/언급하거나 한 하나의 도면에서만 도시된 특징 및 결합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술한 결합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결합이나 또는 독자적인 특징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은 단 하나의 도면(즉,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의 종단면 도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단 하나의 도면은 종단면 도면에서 10으로 표시된,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특히 승용차와 같은 차량 전용 유압 펌프 전체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오일과 같은 유압액을 이송하기 위해 유압 펌프(10)를 사용한다. 유압 펌프(10)는 예컨대 기어 펌프로서 고안되었는 바, 이때 예컨대 특히 크레센트 펌프와 같은 내접 기어 펌프로서 고안되었다. 특히 이 유압 펌프(10)를 기어링 펌프 또는 지로터 펌프로 고안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대신 유압 펌프(10)를 베인 펌프로서 고안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면에서 알기 쉽게 도시한 예시 모델에서 유압 펌프(10)에는 제1 하우징 유닛(12)이 있는 바, 이 하우징 유닛에는 도면에서 특히 도식적으로 도시한 최소한 하나의 구동 유닛(14)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용 구역이 있거나 또는 그러한 구역에 경계가 이루어져 있다. 유압 펌프(10)가 완전히 제작된 상태에서 구동 유닛(14)은 도면에서 (16)으로 표시된, 제1 하우징 유닛(12)의 수용 구역 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주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수납되어 있다. 구동 유닛(14)은 예를 들어 전동 모터의 구성품이거나 전동 모터라는 형태를 지니고 있는 바, 여기에는 고정자와 회전자가 있다. 이때 고정자는 예를 들어 최소한 간접적으로 제1 하우징 유닛(12)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자는 고정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따라서 제1 하우징 유닛(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자는 고정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유압 펌프(10)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제1 하우징 유닛(12)에 수납된 제2 하우징 유닛(20)이 있는 바, 이 제2 하우징 유닛은 예컨대 최소한 하나의, 특히 O-링 형태를 지닌 실링 유닛(22)에 의해 하우징 유닛(12)에 대해 밀폐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기 쉽게 도시한 예시 모델에서 실링 유닛(22)은 대응하는, 예를 들어 홈 형태를 지닌, 하우징 유닛(20)의 시트(24)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있으며, 이때 이 실링 유닛은 하우징 유닛(12)과 (20)에 지지되어 있다.
그 외에도 유압 펌프(10)에는 위에서 기술한 유압액을 이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제2 하우징 유닛(20) 안에 수납되어 있고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과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자(16)가 있다. 도면에서 알기 쉽게 도시한 예시 모델에서 회전자(26)는 내측 회전자의 형태를 지닌다. 이때 유압 펌프(10)에는 외측 회전자 형태를 지닌 제2 회전자(28)이 있는 바, 여기서 회전자(26)(내측 회전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외측 회전자(회전자(28))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내측 회전자의 종방향 구역은 내측 회전자의 외측 방사 방향으로 외측 회전자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이때 예컨대 내측 회전자는 회전자(26)의 외측 방사 방향으로 외측 회전자에 의해 덮여 있다. 여기서 회전자(26)의 방사 방향은 전체적으로 유압 펌프(10)의 방사 방향과 일치하며, 여기서 이 방사 방향은 최소한 기본적으로 회전축(18)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된다. 회전축(26)의 종방향은 전체적으로 유압 펌프(10)의 종방향과 일치하고, 이 종방향은 회전축(18)을 따라 진행된다.
예를 들어 외측 회전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과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바, 이때 이 제2 회전축은 예컨대 제1 회전축(18)과 일치하지 않고 제2 회전축은 제1 회전축(18)에 대해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어 제1 회전축과 거리를 두고 있으므로 내측 회전자는 외측 회전자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 회전자에는 외치 기어의 형태를 띤 제1 기어가 있으며, 외측 회전자에는 내치 기어의 형태를 띤 제2 기어가 있다. 여기서 외치 기어는 내치 기어와 체결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가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 및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리고 이 두 기어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외측 회전자는 내측 회전자에 의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 및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자(26)와 (28)이 이렇게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과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압액이 회전자(26 및 28)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내측 회전자가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내측 회전자가 구동 유닛(14)에 의해서나 또는 이 구동 유닛을 통해 구동된다. 여기서 예컨대 내측 회전자는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하우징 유닛(12 및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핀들(19)과 내토크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내측 회전자는 스핀들(19)을 통해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이 스핀들(19)은 최소한 하나의, 주로 볼베어링 형태를 지닌 베어링(21)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 유닛(12)에 위치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전동 모터는 예를 들어 회전자(26)를 구동시키는 펌프 모터인 바, 도면에서 알기 쉽게 도시한 예시 모델에서는 이 펌프 모터가 전동식 펌프 모터의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10)는 전동식 유압 펌프의 형태를 지닌다. 또한 그 대신 펌프 모터가 기계식 펌프 모터의 형태를 지녀 유압 펌프(10)가 기계식 유압 펌프일 수 있다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때 유압 펌프(10)에는 흡입 구역 또는 흡입면이 있는 바, 이를 통해 또는 여기서 유압 펌프(10)가 운전 중 유압액을 흡입한다. 유압 펌프(10)는, 특히 회전자(26)와 (28)는 유압액을 흡입 구역 또는 흡입면에서 유압 펌프(10)의 압력 구역(30)이라는 형태를 지닌 이송 구역으로나 또는 이 구역 안으로 이송한다. 대개의 경우 P라고 표시되는 압력 구역(30)에는 압력면이 있는 바, 이 면으로 유압액이 흡입 면에서 회전자(26)와 (28)에 의해 이송된다. 압력면에서는 유압액이 회전자(26 및 28) 또는 유압 펌프(10)에 의해 흘러나와 예를 들어 유압액의 이송에 의해 이 유압액이 공급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소비 기기로 이송된다. 압력 구역(30)은 이때 최소한 부분적으로 내측 회전자 및 외측 회전자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압 펌프(10)에는 주로 하우징 유닛(20)에 의해 형성된 연결 지지대(32)가 있는 바, 이 지지대 안으로 예컨대 호스 유닛의 상응하는 연결부(34)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34)에는 유압액이 관통하여 흐르는 채널(36)이 있으며, 이 채널은 유체역학적으로 압력 구역(30)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액은 회전자(26 및 28)에 의해 흡입면에서 압력면으로, 압력면에서 채널(36)로 그리고 특히 이 채널 안으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유압액을 유압 펌프(10)에 의해 채널(36)을 통과하고 이때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소비 기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실링 유닛(38)이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유닛은 예컨대 O-링의 형태를 지닌다. 이 실링 유닛(38)은 홈 형태를 띤, 연결부(34)의 해당 수납부(40)에 수납되는 바, 이때 이 실링 유닛은 한편으로는 연결부(34)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부 지지대(32)에 지지되므로 연결부(34)는 연결부 지지대(32)에 대해 밀폐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10)에는 유압 펌프(10) 또는 회전자(26)의 축 방향으로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또는 완전히 회전자(26)와 제1 하우징 유닛(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측면판(42)이 있는 바, 이 측면판은 유압 펌프(10)의 축 방향으로도 회전자(28)와 제1 유압 펌프(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도 유압 펌프(10)에는 축 방향으로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측면판(42)과 제1 하우징 유닛(12)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간단히 제작할 수 있는 디스크 스프링(44) 형태의 스프링 유닛이 있다. 이때 제2 하우징 유닛(20)은 측면판(42)을 통해 축 방향으로 디스크 스프링(44)에 지지되어 있다. 더 나아가 측면판(42)은 디스크 스프링(44)을 통해 축 방향으로 제1 하우징 유닛(12)에서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하우징 유닛(20)과 측면판(42)이, 특히 유압 펌프(10)를 장착할 때, 축 방향에서 하우징 유닛(12)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면 이로 인해 예컨대 디스크 스프링(44)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응력을 받는다. 더 나아가 유압 펌프(10)에는 압력 구역(30)이 있는 바, 이 구역은 회전자(26)와 (28)에 의해 각각 부분적으로 경계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형성된다. 유압 펌프(10)는 운전 중 유압액을 압력 구역(30)을 통과시키며 이송한다.
이제 적은 개수의 부품만을 사용하여 구동 유닛(14)을 특히 유용하게, 특히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냉각 및 윤활시키고 유압 펌프(10)의 필요한 설치 공간, 중량 및 비용을 특히 적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46으로 표시한 채널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시스템을 통해,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하겠지만, 수용 구역(16) 또는 구동 유닛(14)에 유압 펌프(10)에 의해 이송되는 유압액을 일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 유닛(14) 또는 위에서 기술한 펌프 모터에 위에서 기술한 일부분의 유압액을 공급하여 결과적으로 이를 냉각 및/또는 윤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채널 시스템(46)에는 적어도 하나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측면판(42)에 의해 경계를 이루거나 형성된 제1 채널(48)이 있는 바, 이 채널은 유체역학적으로 압력 구역(30)과 결합되어 있다. 제1 채널(48)을 이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냉각 및/또는 윤활하기 위해 구동 유닛(14)에 이송된, 이송 구역(압력 구역(30))을 통과하며 흐르는 유압액의 일부분이 압력 구역(30)에서 분기할 수 있으며 유압 펌프(10)의 외측 방사 방향에서, 특히 하우징 유닛(12)의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유압 펌프(10)에는 압력 구역(30)에서 예컨대 최소한 기본적으로 바나나 형태의 또는 신장 형태의 압력 포켓(50)과 그 반대편에는 압력 보상 포켓(52)가 있는 바, 이 압력 보상 포켓은 회전자(26)와 (28)의 압력을 유체역학적으로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예컨대 채널(48)이 압력 보상 포켓(52)의 방사형 익스텐션에 설치되어 있는 바, 이때 채널(48)은 최소한 기본적으로 직선 또는 직선 형태의 방사 방향으로 뻗는 진행 경로를 갖는다.
또한 채널 시스템(46)에는 최소한 하나의, 각각 부분적으로 디스크 스프링(44)과 제1 하우징 유닛(12)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챔버(54)가 있는 바, 이 챔버는 축 방향에서 회전자(26 및 28)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제1 하우징 유닛(12) 방향으로 향하는 면(57), 특히 측면판(42)에 배치되어 있는 전면이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46)에는 적어도 하나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특히 최소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측면판(42)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형성된, 한편으로는 유체역학적으로 제1 채널(48)과 결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채널(48)과 제2 채널(56)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압액을 챔버(54)로 유도하기 위해 챔버(54)로 유입되고 제1 채널(48)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압액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채널(56)이 있다. 그 외에도 채널 시스템(46)에는 최소한 하나의, 유체역학적으로 챔버(54)와 결합되어 있고 예컨대 플러싱 오일 구멍의 형태를 띤 제3 채널(58)이 있어 유압액을 챔버(54)에서 수용 구역(16)으로 그리고 특히 이 구역 안으로 유도한다.
제3 채널(58)을 통해 유압액이 챔버(54)에서 수용 구역(16)에 및 특히 구동 유닛(14)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 유닛(14)에 압력 구역(30)에서 분기한, 위에서 언급한 유압액을 일부분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체널(58)은 특히 초크 역할을 하는 바, 이 초크에 의해 위에서 언급한 일부분의 분기된 유압액이 규정된 일부분의 유압액 또는 부분 유량으로서 전체적으로 보아 유압 펌프(10)에 의해 이송된 유압액이 구동 유닛(14)에 공급됨으로써 구동 유닛(14)이 필요에 맞추어 적절하게 냉각되고 윤활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정의된 오일량으로서 언급된 일부분의 유압액을 압력 구역(30)에서 예컨대 전동 모터라는 형태를 띤 구동 유닛(14)로 유도하기 위해 특히 제3 채널(58)이 사용된다. 특히 회전자(26)와 (28)은 각 회전축을 통해 측면판(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측면판(42)은 하우징 유닛(12)과 (20)에 대한 상대적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필요한 설치 공간을 특히 작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채널(48)이 축 방향에서 제2 하우징 유닛(20)으로 향하고 축 방향에서 그 면(57)의 반대 방향으로 향한, 측면판의 제2 면(60)에, 특히 측면판(42)의 제2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1 채널(48)은 측면판(42)에 형성되어 있고, 특히 측면판(4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축 방향에서 제2 하우징 유닛(20) 방향으로 열린, 측면판(42)의 홈 형태를 띠고 있다. 이때 이 홈은 예를 들어 작고 좁은 홈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 홈은 둥글거나 각이 진 형태일 수 있다.
제2 채널(56)은 유압 펌프(10)의 방사 방향에서 제1 하우징 유닛(12)으로 향한, 측면판(42)의 라이너 면(62)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기 쉽게 도시한 예시 모델에서 제2 채널은 측면판(42)에 형성되어 있고, 특히 측면판(4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방사 방향에서 제1 하우징 유닛(12) 방향으로 열린, 측면판(42)의 제2 홈 형태를 띠고 있다. 이때 제2 채널(56)은 예컨대 작고 좁은 홈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 홈은 특히 둥글거나 각이 진 형태일 수 있다. 제1 채널(48)은 외측 방사 방향에서 제2 채널(56)로 진행되는 바, 이 제2 채널은 예컨대 최소한 기본적으로 축 방향에 대해 직선 또는 직선 형태로 평행하게 뻗는다.
특히 각 채널(48) 또는 (56)은 작고 국소적이며, 경우에 따라 직각이거나 둥근 채널 형태를 지니는 바, 이때 각 채널(48) 또는 (56)은 예컨대 측면판(42)의 국소적 스탬핑의 형태를 띤다. 달리 표현하자면, 각 채널(48) 또는 (56)은 예컨대 측면판(42)을 국소적으로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되는 바, 예컨대 인그레이빙 또는 엠보싱 형태를 띤다. 전체적으로 보아, 채널 시스템(46)은 채널 시스템(46)에 의해 분기된 유량의 흐름 방향에서 플러싱 구멍의 역할을 하는 제3 채널(58)의 업스트림 방향으로 압력 구역(30)에서 나온 상기 부분 유량을 분기하고 이 유량을 예컨대 펌프 구동장치라고 명명한 펌프 모터로 전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디스크 스프링(44)은 자신의 기하학적 형태 및 디스크 스프링(44)에 의해 의해 발생한 초기 장력에 의해 양면 밀폐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크 스프링(44)은 특히 직접적으로 하우징 유닛(12)에 지지되고 따라서 하우징 유닛(12)에 대해 밀폐되는 바, 이로 인해 챔버(54)가 밀폐된다. 또한 디스크 스프링(44)은 예컨대 직접 측면판(42)에 지지되고 측면판(42)에 대해 밀폐되므로 챔버(54)는 밀폐된다.
특히 유용한 밀폐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스프링(44)에는 디스크 스프링(44)이, 특히 직접 하우징 유닛(12)에 지지되어 있는, 제1 설치 장소(S1)에서 예컨대 디스크 스프링(44)을 스탬핑하여 제작한, 평평하게 한 제1 벽 구역(64)이 있는 바, 이 벽을 통해 디스크 스프링(44)이, 특히 직접적으로 제1 하우징 유닛(12)에 지지되고 따라서 제1 하우징 유닛(12)에 대해 밀폐된다.
그 외에도 디스크 스프링(44)에는 디스크 스프링(44)이, 특히 직접 측면판(42)에 지지되어 있는, 제2 설치 장소(S2)에서 예컨대 디스크 스프링(44)을 스탬핑 또는 엠보싱하여 제작한, 평평하게 한 제2 벽 구역(66)이 있는 바, 이 벽을 통해 디스크 스프링(44)이, 특히 직접적으로 측면판(42)에 지지되고 따라서 측면판(42)에 대해 밀폐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챔버(54)가 특히 유용하게 밀폐되므로 원치 않는 누설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판(42)과 스프링 디스크(44)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하우징 유닛(20)의 면(68)에서 이것은, 특히 최소한 간접적으로나 직접적으로, 예컨대 스냅 링 형태를 지닌, 유압 펌프(10)의 고정 링에 지지되어 있다. 고정 링(70)은 예컨데 홈 형태의 상응하는, 하우징 유닛(12)의 수납부(72)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며 이로 인해 축 방향 및 방사 방향에서 하우징 유닛(12)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링(70)에 의해 하우징 유닛(20)은 축 방향에서 하우징 유닛(12)에 고정되어 있다. 유압 펌프(10)가 완전히 제작된 상태에서 디스크 스프링(44)은 장력을, 특히 초기 장력을 받으므로 디스크 스프링(44)은 고정 링(70)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초기 장력으로 이용되는 이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하우징 유닛(20)은 초기 장력을 받는 바, 이때 하우징 유닛(20)은 고정 링(70)에 의해 디스크 스프링(44)이 제공하는 스프링력의 반대 방향으로 축 방향에서, 특히 하우징 유닛(12)에 고정된다. 하우징 유닛(20)이 이렇게 축 방향에서 하우징 유닛(12)에 고정됨에 따라 디스크 스프링(44)은 계속 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크 스프링(44)은 지정된 지지 위치에서 측면판(44)과 하우징 유닛(12)으로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스프링(44)은 측면판(42)과 하우징 유닛(12)에 대해 특수 우수하게 밀폐되며, 이로 인해 챔버(54)가 아주 우수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유닛(20)에는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익스텐션 x2와 결합된 결합체(74)가 있으며, 이때 고정 링(70)은 내측 방사 방향으로 결합체(74)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고정 링(70)은 결합체(74)에 의해 운전 중 원치 않은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된다.
유압 펌프(10)를 장착할 때 예컨대 최소한 회전자(26)와 (28), 하우징 유닛(20) 및 측면판(42)이 있는 펌프 유닛(10)은 축 방향에서 하우징 유닛(12)에 삽입되며, 이때 디스크 스프링(44)로 먼저 지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예컨대 먼저 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간격(x1)이 압력 패드로 덮이고 따라서 디스크 스프링(44)이 장력을 받는다. 그러면 예건대 고정 링(70)이 설치되고, 그 다음 압력 패드가 제거되거나 이 패드에 가해지는 부하가 없어진다. 그러면 펌프 유닛이 축 방향에서 디스크 스프링(44)의 지지를 받거나 또는 디스크 스프링(44)이 제공하는 스프링력의 지원을 받아 고정 링(70) 방향으로 후퇴하므로 간격(x1)이 발생한다. 이러한 후퇴로 인해 펌프 유닛이 결합체(74)로 고정 링(70)을 내측 방사 방향에서 확실하게 고정시킨다.
전체적으로 보아, 채널 시스템(46)은 펀칭과 엠보싱에 의해 간단하고, 따라서 가성비가 우수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왜냐하면 디스크 스프링(44)이 펀칭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따라서 구동 유닛(14)에 유압액을 공급하여 구동 유닛(14)을 냉각시키고 윤활하기 위해 채널 시스템(46)을 간단하고 가성비가 우수한 플러싱 채널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설치 공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한 추가 모듈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그러한 추가 모듈의 개수를 특히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스프링(44)이 제공하는 스프링력의 유체역학적인 지지를 예컨대 링 채널이나 링 챔버의 형태를 지진 챔버(54)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크 스프링(44)에 의해 유격이 보정되므로, 이로 인해 예컨대 열에 의한 및/또는 제작과 관련된 공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유압 펌프(10)의 유입 및 방출 연결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한 바, 왜냐하면 디스크 스프링(44)이 고정 링(7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판(42)의 면(57)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서 유압 펌프(10)의 설치 직경(D)을 알 수 있다. 구동 유닛(14)에 유압액을 공급하기 위해 채널 시스템(46)을 사용함으로써 설치 직경(D)을 특히 작게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펌프의 기하학적 행정 용적을 되도록 크게 하기 위해 펌프 설치 직경이라고 명명한 설치 직경(D)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펌프의 출력-중량 비가 상당히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펌프의 축 방향 접촉면을, 특히 하우징 유닛(12)을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결합체(74)에 의해 고정 링(70)의 분실 및 개방 방지를 특히 유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용 유압 펌프(10)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14)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용 구역(16)이 있는 제1 하우징 유닛(12),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에 수납된 제2 하우징 유닛(20),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 유닛(20)에 수납되고 상기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 유닛(12, 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유압액을 이송하는 최소한 하나의 회전자(26), 및 상기 구동 유닛에 유압액을 용이하게 공급하는 데 사용하는 채널 시스템(14)을 포함하되,
    상기 유압 펌프는,
    - 상기 유압 펌프(10)의 축 방향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회전자(26)와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측면판(42);
    - 축 방향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판(42)과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유닛(44)으로서, 상기 스프링 유닛을 통해 상기 측면판(42)이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42)을 통해서 상기 제2 하우징 유닛(20)이 축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유닛(44)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 유닛(44);
    -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회전자(26)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이송 구역(30)으로서, 상기 이송 구역을 통해 유압액이 상기 회전자(26)에 의해 통과하여 이송 가능한, 상기 이송 구역(30); 및
    - 채널 시스템(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시스템은,
    -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판(42)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48)로서, 상기 제1 채널에 의해 이송 구역(30)을 통과하는 유압액의 일부가 상기 이송 구역(30)에서 분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펌프(10)의 외측 방사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는, 상기 제1 채널(48);
    - 각각 부분적으로 이송 유닛(44)과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챔버(54)로서, 상기 챔버는 축 방향에서 상기 회전자(2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으로 향하는, 상기 측면판(42)의 면(57)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챔버(54);
    -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판(42)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56)로서, 한편으로는 유체역학적으로 상기 제1 채널(48)과 결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채널(48)과 상기 제2 채널(56)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압액을 상기 챔버(54)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챔버(54)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채널(48)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압액이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제2 채널(56); 및
    유압액을 상기 챔버(54)에서 상기 수용 구역(16)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체역학적으로 상기 챔버(54)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채널(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48)이 축 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 유닛(20)으로 향하고 축 방향에서 면(57)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측면판(42)의 제2 면(6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48)이 상기 측면판(42)에서 상기 측면판(42)의 홈 형태를 띠고 축 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 유닛(20)에 대해 개방된 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56)이 유압 펌프의 방사 방향에서 제1 하우징 유닛(12)으로 향한, 상기 측면판(42)의 라이너 면(6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56)이 상기 측면판(42)에서 상기 측면판(42)의 홈 형태이고, 방사 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 유닛(20)에 대해 개방된 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44)에 적어도 하나의 평평하게 한 벽 구역(64)이 구비되되, 상기 벽 구역을 통해 상기 스프링 유닛(44)이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에 대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44)에 적어도 하나의 평평하게 한 벽 구역(66)이 구비되되, 상기 벽 구역을 통해 상기 스프링 유닛(44)이 상기 측면판(42)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42)에 대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평평하게 한 벽 구역(64, 66)이 상기 스프링 유닛(44)의 스탬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44)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합체가 부착되어 있되, 상기 탄성 중합체를 통해 상기 스프링 유닛(44)이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 및/또는 상기 측면판(42)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유닛(12) 및/또는 상기 측면판(42)에 대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는 가황 경화 처리에 의해 상기 스프링 유닛(4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 펌프(10).
KR1020197020488A 2017-01-13 2018-01-02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 KR20190104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0485.1A DE102017200485B3 (de) 2017-01-13 2017-01-13 Hydraulikpump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200485.1 2017-01-13
PCT/EP2018/050074 WO2018130434A1 (de) 2017-01-13 2018-01-02 Hydraulikpump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544A true KR20190104544A (ko) 2019-09-10

Family

ID=6091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488A KR20190104544A (ko) 2017-01-13 2018-01-02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104544A (ko)
DE (1) DE102017200485B3 (ko)
WO (1) WO2018130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3626A1 (de) * 2019-03-18 2020-09-24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Gerotorpump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ckagestroms in einer Gerotorpumpe
WO2023117103A1 (en) 2021-12-23 2023-06-29 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Automotive electric liquid pum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7963A (en) * 1953-05-05 1957-04-09 Sundstrand Machine Tool Co Pump
US3877851A (en) 1973-02-16 1975-04-15 Sanpei Komiya Rotary compressor with integrally connected, diametrically aligned vanes
DE19900926B4 (de) 1998-01-28 2015-01-22 Magna Powertrain Bad Homburg GmbH Pumpe
DE19927792A1 (de) 1998-06-23 2000-03-16 Jidosha Kiki Co Ölmpumpe
US6861777B2 (en) * 2002-02-28 2005-03-01 Standex International Corp. Motor pump with balanced motor rotor
JP5126588B2 (ja) * 2008-01-08 2013-01-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動ポンプ
DE102011001041B9 (de) * 2010-11-15 2014-06-26 Hnp Mikrosysteme Gmbh Magnetisch angetriebene Pumpenanordnung mit einer Mikropumpe mit Zwangsspuelung und Arbeitsverfahren
US20120288380A1 (en) * 2011-05-10 2012-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ump-motor assembly
JP5511770B2 (ja) * 2011-11-08 2014-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ポンプ、及び電動ポンプの製造方法
DE102015011732B3 (de) * 2015-09-08 2016-08-04 Thomas Magnete Gmbh Hydrostatische 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00485B3 (de) 2018-06-21
WO2018130434A1 (de)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279B2 (ja) モータ−ポンプユニット
CN103807166B (zh) 涡旋压缩机
US9017205B2 (en) Transmission unit
US20200208629A1 (en) Pump assembly having two pumps provided in a single housing
CN102297130B (zh) 高效固定排量叶片泵
EP1243794B1 (en) Vane hydraulic motor
CN102947594B (zh) 车用内齿轮式油泵
US11719242B2 (en) Axial pressure relief in slide bearings of pumps
KR20190104544A (ko) 특히 차량용 유압 펌프
US20120288380A1 (en) Pump-motor assembly
CN111664089A (zh) 电子油泵
US7467934B2 (en) Axial piston engine with integrated filling pump
CN103857916A (zh) 改进的真空泵
GB2205611A (en) A pump assembly
CN112533783A (zh) 马达单元
CN111828822B (zh) 车辆用电动机的轴承的润滑机构
CN216045343U (zh) 齿轮箱和具有其的车辆
JP4427426B2 (ja) 変速機のオイルクーラ設置構造
US6205779B1 (en) Integral hub driven gears
WO2022202423A1 (ja) 電動ポンプ
CN102003244A (zh) 三斜齿轮机油泵
CN212672054U (zh) 一种电子油泵
CN110230594B (zh) 旋转泵
CN114320881A (zh) 电动机油泵
US10982669B2 (en) Hydraulic motor disc valve optim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