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339A - 양말 - Google Patents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339A
KR20190104339A KR1020197020154A KR20197020154A KR20190104339A KR 20190104339 A KR20190104339 A KR 20190104339A KR 1020197020154 A KR1020197020154 A KR 1020197020154A KR 20197020154 A KR20197020154 A KR 20197020154A KR 20190104339 A KR20190104339 A KR 20190104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number
area
region
number changing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829B1 (ko
Inventor
노리오 오타
마사히코 스케노
Original Assignee
마루베니 가부시키가이샤
스케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베니 가부시키가이샤, 스케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베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양말(1)은 통 모양의 레그부(L)와 통 모양의 솔부(S)와의 사이의 힐부(H)를 구비하고, 힐부(H)는 니팅 축(K)을 따라서 배치된 메쉬수 변화 영역(V1-V6)과,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통 모양 영역(C1-C5)을 구비한다. 메쉬수 변화 영역은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V1),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V6) 및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V2-V5)을 포함한다.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1)는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6) 및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2-CV5)보다도 적다. 메쉬수 변화 영역은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V1, V3, V5) 및 메쉬수 감소 영역(V2, V4, V6)으로 구성된다. 통 모양 영역의 코스수(CC1-CC5)는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1-CV6)보다도 적다.

Description

양말
본 발명은 양말에 관한 것이다.
통 모양의 레그(leg)부와, 통 모양의 발(foot)부와, 이들 레그부와 발부와의 사이의 힐(heel, 발뒤꿈치)부를 구비하며, 힐부가, 레그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메쉬수(mesh數) 감소 영역, 힐 상부의 통 모양 니팅(knitting) 영역, 메쉬수 증감 영역, 힐 중앙의 통 모양 니팅 영역, 메쉬수 증감 영역, 힐 하부의 통 모양 니팅 영역, 및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양말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이와 같이 양말을 형성하면, 발의 힐 부분의 형상에 가까운 형상의 힐 부분을 구비한 양말을 실현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10-242262호 공보
그렇지만, 예를 들면, 연령, 성별, 인종 등에 의해서, 착용자의 발 길이 또는 사이즈는 다양하다. 따라서, 복수의 착용자에게 적합한 양말을 제공하려면, 복수 종류의 양말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즉, 착용자의 발 길이의 다양성에 대응 가능한, 이른바 사이즈 프리(size-free)의 양말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앞서 설명한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과제가 어디에도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당연히, 그 해결 수단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니팅 축을 따라 환(丸) 니팅(circular knitting) 또는 평(平) 니팅(flat knitting)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통 모양의 레그(leg)부와, 통 모양의 솔(sole)부와, 이들 레그부와 솔부 사이의 힐(heel)부를 구비하며, 상기 힐부가,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모든 2개의 인접하는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ourse數)가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및 상기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고,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코스수가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은 양말이 제공된다.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6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5개이거나 또는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8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7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니팅 축을 따라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통 모양의 레그부와, 통 모양의 솔부와, 이들 레그부와 솔부 사이의 힐부를 구비하며, 상기 힐부가,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모든 2개의 인접하는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코스수가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은 양말이 제공된다.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착용자의 발 길이의 다양성에 대응 가능한, 소위 사이즈 프리의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양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양말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은 양말의 부분 확대 전개도이다.
도 4는 니팅기의 실린더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양말의 부분 개략 측면도이다.
도 6는 착용자의 발 길이가 여러 가지인 경우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양말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착용시에 있어서의 양말의 부분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메쉬수 변화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힐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9는 양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의 양말(1)은, 입구인 탑부(R, top part), 레그부(L, leg part), 힐부(H, heal part), 솔부 또는 발부(S, sole part or foot part) 및 토우부(T, toe part))를 구비한다.
이 양말(1)은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서, 힐부(H)로부터 레그부(L)를 향하는 방향을 상부 방향, 힐부(H)로부터 솔부(S)를 향하는 방향을 하부 방향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양말(1)은 니팅 축을 따르면서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탑부(R), 레그부(L), 힐부(H), 솔부(S), 토우부(T)의 순서로 형성된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니팅 축(K)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된다. 그 결과, 복수의 메쉬 또는 스티치(stich)가 니팅 축(K)에 수직인 방향으로 줄지어 정렬된다. 일반적으로 이 메쉬의 줄을 코스(course)라고 한다. 어떤 코스에 형성된 메쉬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하면, 이 코스의 니팅은 완료되며, 그리고 나서 다음 코스(즉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의 더 낮은 코스)의 니팅이 시작된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양말(1)은 니팅 축을 따르면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의 양말(1)의 힐부(H) 주위의 전개도를, 도 3은 그 부분 확대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의 힐부(H)는, 니팅 축(K)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과,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을 구비한다. 이 점,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과 복수의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이 교호로 배치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혹은,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이 각각 대응하는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특히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레그부(L)의 하부 가장자리(LL)에 메쉬수 변화 영역(V1)의 상부 가장자리(V1U)가 연결된다.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의 하부 가장자리(V1L)에 제1 통 모양 영역(C1)의 상부 가장자리(C1U)가 연결된다. 제1 통 모양 영역(C1)의 하부 가장자리(C1L)에 제2 메쉬수 변화 영역(V2)의 상부 가장자리(V2U)가 연결된다. 제2 메쉬수 변화 영역(V2)의 하부 가장자리(V2L)에 제2 통 모양 영역(C2)의 상부 가장자리(C2U)가 연결된다. 제2 통 모양 영역(C2)의 하부 가장자리(C2L)에 제3 메쉬수 변화 영역(V3)의 상부 가장자리(V3U)가 연결된다. 제3 메쉬수 변화 영역(V3)의 하부 가장자리(V3L)에 제3 통 모양 영역(C3)의 상부 가장자리(C3U)가 연결된다. 제3 통 모양 영역(C3)의 하부 가장자리(C3L)에 제4 메쉬수 변화 영역(V4)의 상부 가장자리(V4U)가 연결된다. 제4 메쉬수 변화 영역(V4)의 하부 가장자리(V4L)에 제4 통 모양 영역(C4)의 상부 가장자리(C4U)가 연결된다. 제4 통 모양 영역(C4)의 하부 가장자리(C4L)에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5)의 상부 가장자리(V5U)가 연결된다.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5)의 하부 가장자리(V5L)에 제5 통 모양 영역(C5)의 상부 가장자리(C5U)가 연결된다. 제5 통 모양 영역(C5)의 하부 가장자리(C5L)에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6)의 상부 가장자리(V6U)가 연결된다.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6)의 하부 가장자리(V6L)에 솔부(S)의 상부 가장자리(SU)가 연결된다.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것에 따라 메쉬수/스티치수 또는 폭이 변화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제1, 제3, 및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1, V3, V5)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하는 것에 따라 메쉬수가 단조 증가하는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2, 제4,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2, V4, V6)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하는 것에 따라 메쉬수가 단조 감소하는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은, 니팅 축(K)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며, 레그부(L)에 연결된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은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고, 솔부(S)에 연결된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6)는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A, B, C, D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되는 니팅기의 실린더의 원주 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린더가 그 원주 길이의 일부, 예를 들면 대체로 원주의 반에 걸쳐 정역 왕복 회전하면서 니팅하는 것에 의해,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이 형성된다. 이 경우, 메쉬수 증가 영역을 형성해야 할 때에는, 니팅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진행하는 것에 따라, 실린더의 회전 각도 범위가 크게 된다. 한편, 메쉬수 감소 영역을 형성해야 할 때에는, 니팅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진행하는 것에 따라, 실린더의 회전 각도 범위가 작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양말(1) 또는 메쉬수 변화 영역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한편,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함에 따라 메쉬수가 변화하지 않고, 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는,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린더가 원주 전체에 걸쳐 정회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탑부(R), 레그부(L), 및 솔부(S)도,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와 마찬가지로,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을 형성할 때,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의 측 가장자리(V1S)가 레그부(L)의 하부 가장자리(LL)에 니팅된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고어(gore) 라인(G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통 모양 영역(C2)을 형성할 때, 제2 메쉬수 변화 영역(V2)의 측 가장자리(V2S)가 제2 통 모양 영역(C2)의 상부 가장자리(C2U)에 니팅되어 제2 고어 라인(G2)가 형성된다. 제3 메쉬수 변화 영역(V3)을 형성할 때, 제3 메쉬수 변화 영역(V3)의 측 가장자리(V3S)가 제2 통 모양 영역(C2)의 하부 가장자리(C2L)에 니팅되어 제3 고어 라인(G3)이 형성된다. 제4 통 모양 영역(C4)을 형성할 때, 제4 메쉬수 변화 영역(V4)의 측 가장자리(V4S)가 제4 통 모양 영역(C4)의 상부 가장자리(C4U)에 니팅되어 제4 고어 라인(G4)이 형성된다.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5)을 형성할 때,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5)의 측 가장자리(V5S)가 제4 통 모양 영역(C4)의 하부 가장자리(C4L)에 니팅되어 제5 고어 라인(G5)이 형성된다. 솔부(S)를 형성할 때,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6)의 측 가장자리(V6S)가 솔부(S)의 상부 가장자리(SU)에 니팅되어 제6 고어 라인(G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의 코스수 또는 높이(CV1)는, 다른 메쉬수 변화 영역, 즉 제2 메쉬수 변화 영역 내지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2, V3, V4, V5, V6)의 코스수(CV2, CV3, CV4, CV5, CV6)보다도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6)의 코스수(CV6)는, 제2 메쉬수 변화 영역 내지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2, V3, V4, V5)의 코스수(CV2, CV3, CV4, CV5)보다도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제2 메쉬수 변화 영역 내지 제5 메쉬수 변화 영역(V2, V3, V4, V5)의 코스수(CV2, CV3, CV4, CV5)는 서로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레그부(L)에 연결된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을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라고 하고, 솔부(S)에 연결된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6)을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라고 하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의 사이의 메쉬수 변화 영역(V2, V3, V4, V5)을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이라고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는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및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 및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는 각각,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는 서로 실적적으로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제1 통 모양 영역 내지 제5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의 코스수(CC1, CC2, CC3, CC4, CC5)는, 제1 메쉬수 변화 영역 내지 제6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의 코스수(CV1, CV2, CV3, CV4, CV5, CV6)보다도 적다. 또한, 제1 통 모양 영역 내지 제5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의 코스수(CC1, CC2, CC3, CC4, CC5)는 서로 실질적으로 같다.
예를 들면,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1)는 10이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6)는 14이고,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CV2, CV3, CV4, CV5)는 각각 24이며, 통 모양 영역의 코스수(CC1, CC2, CC3, CC4, CC5)는 각각 6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힐부(H)에,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이 니팅 축(K)을 따라 늘어 놓여 배치된다. 여기서, 메쉬수 변화 영역은, 힐부(H)를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켜(입체화하여), 착용자의 힐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기능을 가진다. 그 결과, 착용자의 발 길이가 작은 경우에도 그리고 큰 경우에도, 힐부(H)의 어떤 부분이, 착용자의 힐을 확실히 감싸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착용자의 발 길이가 비교적 작을 때에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주로, 양말(1)의 힐부(H) 중 솔부(S)에 가까운 부분이 착용자의 힐(WH)을 감싼다. 착용자의 발 길이가 비교적 클 때에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주로 양말(1)의 힐부(H) 중 레그부(L)에 가까운 부분이 착용자의 힐(WH)을 감싼다. 착용자의 발 길이가 중간 정도 때에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주로, 양말(1)의 힐부(H) 중 니팅 축(K)방향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힐(WH)을 감싼다. 이와 같이 하여, 착용자의 발 길이에 관계없이, 양말(1)이 착용자의 발에 피트(fit)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착용자의 발 길이의 다양성에 대응 가능한, 이른바 사이즈 프리의 양말(1)이 제공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V1, V2, V3, V4, V5, V6)이 복수의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환언하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메쉬수 변화 영역(예를 들면, 제1 메쉬수 변화 영역(V1)과 제2 메쉬수 변화 영역(V2))이 그 사이의 통 모양 영역(예를 들면, 제1 통 모양 영역(C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그 결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메쉬수 변화 영역이 서로에 대해서, 상대 이동하기 쉬워진다. 이것은, 힐부(H) 또는 메쉬수 변화 영역이 착용자의 힐의 형상에 추종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 길이에 관계없이, 양말(1)이 착용자의 힐에, 지속적으로 확실히 피트될 수 있다. 또한, 통 모양 영역(C1, C2, C3, C4, C5)이 개재함으로써, 힐부(H)가 커지고, 이에 따라서 보다 폭넓은 발 길이 다양성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른바 사이즈 프리의 양말(1)이 제공되는 한,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 및 통 모양 영역의 수는 어떻게 설정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 및 통 모양 영역의 수를 많이 하면 할수록, 폭넓은 발 길이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 및 통 모양 영역의 수가 너무 많으면, 힐부(H)가 과도하게 커지거나, 또는, 메쉬수 변화 영역 및 통 모양 영역의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6개이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5개이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8개이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7개이다.
또한 기존의 양말에는, 예를 들면 「25-27㎝」의 범위에서, 착용자의 발 길이의 다양성에 대응하려고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 기존의 양말은, 소재의 신축에 의해서, 일정 범위의 발 길이에 대응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와 같이, 양말의 구조 또는 니팅에 의해서 착용자의 발 길이의 다양성에 대처한다고 하는 기술적 사상은,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런데, 착용자의 발 길이가 비교적 작을 때에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것과 같이, 힐부(H) 중 레그부(L)에 가까운 부분이 착용자의 아킬레스건(WAT) 주위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힐부(H)가 착용자의 아킬레스건(WAT) 주위에서 늘어지게 되는 것은, 착용감이나 미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레그부(L)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V1)의 코스수(CV1)가,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V6)의 코스수(CV6) 및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V2, V3, V4, V5)의 코스수(CV2, CV3, CV4, CV5)보다도 적게 설정된다. 그 결과, 착용자의 아킬레스건(WAT) 주위에 늘어짐이 생기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발 길이에 관계없이, 힐부(H)가 착용자의 발에 지속적으로 피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쉬수 변화 영역(V1, V3, V5)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며, 메쉬수 변화 영역(V2, V4, V6)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환언하면, 니팅 축(K)에 따라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보면, 메쉬수 변화 영역의 메쉬수가 증가와 감소가 교호로 반복되고, 메쉬수의 증가로 시작하여 메쉬수의 감소로 끝난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고어 라인(G1)과 제2 고어 라인(G2)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제2 고어 라인(G2)와 제3 고어 라인(G3)은 서로 가깝게 위치하며, 제3 고어 라인(G3)과 제4 고어 라인(G4)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제4 고어 라인(G4)와 제5 고어 라인(G5)은 서로 가깝게 위치하며, 제5 고어 라인(G5)와 제6 고어 라인(G6)은 서로 떨어져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고어 라인은, 그 길이 방향의 신축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힐부(H) 중, 니팅 축(K) 방향에서 보아, 제1 고어 라인(G1)과 제2 고어 라인(G2)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 제3 고어 라인(G3)과 제4 고어 라인(G4)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 및 제5 고어 라인(G5)과 제6 고어 라인(G6)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에는, 고어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원주 방향의 신축성이 비교적 높은 고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H)이 형성된다. 또한, 힐부(H) 중, 니팅 축(K) 방향에서 보아, 제2 고어 라인(G2)과 제3 고어 라인(G3)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 및 제4 고어 라인(G4)과 제5 고어 라인(G5)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에는, 2개의 고어 라인이 서로 근접하고 있으므로, 원주 방향의 신축성이 비교적 낮은 저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L)이 형성된다. 이 경우, 고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H)의 면적 또는 코스수는, 저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L)의 면적 또는 코스수보다도 크다.
그 결과, 고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H)에서, 착용자의 힐을 확실히 감쌀 수 있고, 동시에, 저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L)은, 착용자의 힐이 니팅 축(K)방향으로 양말(1)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착용자의 발 길이에 관계없이, 양말(1)이 착용자의 힐에, 더욱 확실하게 지속적으로 피트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힐부(H)에 인접하는 솔부(S)의 부분의 신축성이, 솔부(S)의 다른 부분, 레그부(L), 힐부(H), 토우부(T)의 신축성보다도 높여질 수 있다. 그 결과, 양말(1)이 착용자의 발에 보다 지속적으로 피트될 수 있다. 신축성의 조절은, 예를 들면, 니팅 방법이나 소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은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메쉬수 변화 영역을 메쉬수 증감 영역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메쉬수 증감 영역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함에 따라 메쉬수가 증가하는 적어도 1개의 부분과,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함에 따라 메쉬수가 감소하는 적어도 1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메쉬수 증감 영역의 여러 가지의 예가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V)의 메쉬수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함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그 다음에 감소한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V)의 메쉬수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함에 따라 먼저 감소하고 그 다음에 증가한다. 또한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있어서, X는 레그부(L) 또는 통 모양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Y는 통 모양 영역 또는 솔부(S)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은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메쉬수 변화 영역을, 메쉬수 증가 영역, 메쉬수 감소 영역, 및 메쉬수 증감 영역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는, 모든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감 영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은,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힐부(H)에는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3개의 고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H)과 2개의 저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L)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메쉬수 변화 영역은,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힐부(H)에는, 2개의 고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H)과 3개의 저원주 방향 신축성 부분(EL)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예를 포함한다.
(예 1)
니팅 축을 따라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 통 모양의 레그부와,
- 통 모양의 솔부와,
- 상기 레그부와 상기 솔부와의 사이의 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힐부가,
-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의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가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및 상기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다.
(예 2)
예 1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예 3)
예 2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예 4)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하나의 예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6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5개이거나 또는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8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7개이다.
(예 5)
니팅 축을 따라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 통 모양의 레그부와,
- 통 모양의 솔부와,
- 상기 레그부와 상기 솔부와의 사이의 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힐부가,
-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의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된다.
(예 6)
니팅 축을 따라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 통 모양의 레그부와,
- 통 모양의 솔부와,
- 상기 레그부와 상기 솔부와의 사이의 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힐부가,
-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의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착용자의 발 길이에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6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5개이거나 또는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8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7개이다.
1 : 양말 L : 레그부
H : 힐부 S : 솔부
V1, V2, V3, V4, V5, V6 : 메쉬수 변화 영역
V1 :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 V6 :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
V2, V3, V4, V5 :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
C1, C2, C3, C4, C5 : 통 모양 영역
CV1 :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CV6 :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CV2, CV3, CV4, CV5 :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K : 니팅 축

Claims (5)

  1. 니팅 축을 따라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 통 모양의 레그부와,
    - 통 모양의 솔부와,
    - 상기 레그부와 상기 솔부와의 사이의 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힐부가,
    -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 모든 2개의 인접하는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의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course)수(數)가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 및 상기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고,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코스수가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은 양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는 양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6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5개이거나 또는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수가 8개이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수가 7개인 양말.
  4. 니팅 축을 따라 환 니팅 또는 평 니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양말로서,
    - 통 모양의 레그부와,
    - 통 모양의 솔부와,
    - 상기 레그부와 상기 솔부와의 사이의 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힐부가,
    -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메쉬수 변화 영역과,
    - 모든 2개의 인접하는 메쉬수 변화 영역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통 모양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 상기 레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솔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과의 사이의 복수의 중간 메쉬수 변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이 상기 니팅 축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된 메쉬수 증가 영역 및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 모양 영역의 코스수가 상기 메쉬수 변화 영역의 코스수보다도 적은 양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증가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메쉬수 변화 영역이 메쉬수 감소 영역으로 구성되는 양말.
KR1020197020154A 2018-02-26 2019-01-30 양말 KR102058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2433 2018-02-26
JP2018032433A JP6473530B1 (ja) 2018-02-26 2018-02-26 靴下
PCT/JP2019/003232 WO2019163456A1 (en) 2018-02-26 2019-01-30 S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39A true KR20190104339A (ko) 2019-09-09
KR102058829B1 KR102058829B1 (ko) 2019-12-23

Family

ID=6544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154A KR102058829B1 (ko) 2018-02-26 2019-01-30 양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407893A1 (ko)
EP (1) EP3551792B1 (ko)
JP (1) JP6473530B1 (ko)
KR (1) KR102058829B1 (ko)
CN (1) CN110446807B (ko)
TW (1) TWI678162B (ko)
WO (1) WO20191634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23Y1 (ko) * 2019-01-15 2020-06-10 장영원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양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338A1 (ja) 2019-08-09 2021-02-1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泡保持性を有する飲料および飲料における泡保持性を改善する方法
US11717033B2 (en) * 2019-09-05 2023-08-08 Nike, Inc. Easy Don and Doff sock
AU2021467589A1 (en) * 2021-10-06 2024-02-2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Compression gar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659728B1 (ko) * 2022-04-21 2024-04-19 김수만 크기가 조절되는 양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2262A (ja) 2009-04-07 2010-10-28 Horihokku:Kk 靴下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338A (en) * 1883-01-30 Stocking
JPS5269334U (ko) * 1975-11-17 1977-05-23
US5103656A (en) * 1990-03-27 1992-04-14 Nk Mills, Inc. Split-heel sock
JPH10131002A (ja) * 1996-10-28 1998-05-19 Nitto Globe Kk ゴムレス成形靴下及びゴムレス成形靴下の編成方法
JPH111849A (ja) * 1997-06-11 1999-01-06 Nitto Globe Kk 靴下等の爪先部分の筒状編み地
JP3343732B2 (ja) * 1999-12-10 2002-11-11 株式会社ナイガイ 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JP4182025B2 (ja) * 2004-04-19 2008-11-19 株式会社ホリホック 靴下
WO2008078623A1 (ja) * 2006-12-22 2008-07-03 Shima Seiki Mfg., Ltd. 靴下踵部の編成方法
JP2009249790A (ja) * 2008-04-09 2009-10-29 Shima Seiki Mfg Ltd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0012175A (ja) 2008-07-07 2010-01-21 Sea Shell:Kk 靴下類及びその製造方法
JP5517534B2 (ja) * 2009-09-08 2014-06-11 丸紅株式会社 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JP5269835B2 (ja) * 2010-06-11 2013-08-21 岡本株式会社 靴下
JP5603387B2 (ja) * 2012-08-21 2014-10-08 株式会社ホリホック 靴下
CN103238941B (zh) * 2013-05-23 2014-10-08 四川大学 一种减少皮肤过敏的夏季使用的网格袜
JP6262955B2 (ja) * 2013-08-07 2018-01-17 吉谷靴下株式会社 靴下
JP6315968B2 (ja) * 2013-12-13 2018-04-25 コーマ株式会社 くつ下
JP6535552B2 (ja) * 2015-09-04 2019-06-26 吉谷靴下株式会社 靴下の編成方法
CN205648939U (zh) * 2016-05-18 2016-10-19 义乌市麻尚生针织品有限公司 一种棉麻丝抗菌保健袜
CN206119200U (zh) * 2016-08-26 2017-04-26 诸暨市沁悦针织有限公司 一种五指袜
JP3208596U (ja) * 2016-11-10 2017-01-26 株式会社ナイガイ 靴下
CN107156929A (zh) * 2017-03-06 2017-09-15 西宁驼铃袜业有限公司 一种加固棉袜及其纺织工艺
CN206699426U (zh) * 2017-05-12 2017-12-05 海宁汉德袜业有限公司 银纤维马术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2262A (ja) 2009-04-07 2010-10-28 Horihokku:Kk 靴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23Y1 (ko) * 2019-01-15 2020-06-10 장영원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3530B1 (ja) 2019-02-20
CN110446807B (zh) 2020-08-04
US20200407893A1 (en) 2020-12-31
KR102058829B1 (ko) 2019-12-23
WO2019163456A1 (en) 2019-08-29
EP3551792B1 (en) 2022-03-09
JP2019148020A (ja) 2019-09-05
EP3551792A1 (en) 2019-10-16
CN110446807A (zh) 2019-11-12
TWI678162B (zh) 2019-12-01
TW201936071A (zh)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829B1 (ko) 양말
KR102516617B1 (ko)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KR102203676B1 (ko)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JP6106865B2 (ja) 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こ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及び靴下
KR101889803B1 (ko) 덧버선 의류, 그러한 덧버선 의류의 제작 방법 및 니트웨어 또는 양말류용 환편기
US20180317568A1 (en)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20170335495A1 (en) Knitted part
US9402423B2 (en) Leg wear
EP0964091A2 (en) Stocking, particularly of the pantyhose type, with shaping effect for slender and straight legs
US7059156B2 (en) Method for knitting socks
US1890299A (en) Stocking and method of knitting same
JP2007262636A (ja) 靴下
JP3208596U (ja) 靴下
EP3802935B1 (en) Knit gar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2384392A (en) Knitted fabric
US11486069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intarsia knitted item by means of a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US2288672A (en) Stocking
US2121857A (en) Hosiery
KR101564305B1 (ko) 양말의 제조방법
US2115627A (en) Elastic fabric
US2246246A (en) Article of wearing apparel and method of making it
JP2023162684A (ja) 足被覆具
US1179045A (en) Shaped knitted web.
US2254982A (en) Two-way stretch strain absorbing band with elastically closed relaxed meshes
IT201800005729A1 (it) Tessuto contenitivo, indumenti comprendenti tale tessuto, e relativi metodi di produ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