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003A -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 Google Patents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003A
KR20190104003A KR1020190024412A KR20190024412A KR20190104003A KR 20190104003 A KR20190104003 A KR 20190104003A KR 1020190024412 A KR1020190024412 A KR 1020190024412A KR 20190024412 A KR20190024412 A KR 20190024412A KR 20190104003 A KR20190104003 A KR 2019010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d
overlapping portion
adhesive
sheet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ublication of KR2019010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003A/ko
Priority to KR102019017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Abstract

본 발명은 하절기에 사용되는 냉 매트에 관한 것으로,어느 한층에는 냉매물질이 충전되고 인접하는 타층에는 공기가 충전토록, 3장의 시트를 중첩토록 한 후 3장의 시트를 돗트형식으로 접착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현토록 할 경우에 각각의 접착부를 중앙에는 접착되지 않는 환테로 형성하여 접착부의 터짐방지와 그 테두리의 터짐을 방지토록 하고, 또한 3장의 시트를 각각의 내공간이 형성되는 제1중첩부와 제2중첩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1중첩부의 내공간에는 냉매물질을 충전토록 하고, 제2중첩부의 내공간에는 공기를 충전토록 함으로서 제1중첩부의 냉매물질이 탱탱하게 충전되지 않을 경우에도 공기가 충전되는 제2중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중이 발생시에도 냉매물질이 바닥까지 밀려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쿠션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차가운 온도가 서로 다르게 양면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돗트형식의 접착부를 중앙부분은 접착되지 않게 환테로 형성함으로서 고주파접착시 접착조건의 변화로 인한 접착부의 터짐을 방지하고, 3장의 시트를 접착할 경우에 접착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돗트형식의 환테로 이루어진 접착부를 중첩된 3장의 시트에 일정간격으로 구현할 경우에 4개의 모서리에 돗트형식의 환테의 접착부를 형성한 후 그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환테의 접착부가 배치토록 하고, 그 상태에서 내측으로 돗트형식의 환테의 접착부를 지그재그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냉매물질이 충전된 부분의 접착부의 접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터짐을 방지하고, 냉매물질이 충전된 제1중첩부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2중첩부에 공기가 충전될 경우에도 냉 매트의 모서리가 상측으로 말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른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A Cool mat for double-sided use}
본 발명은 하절기에 사용되는 냉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션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차가운 온도가 서로 다르게 양면으로 사용 가능하고, 사용시 직하중에 의한 냉매 물질의 밀림이 없도록 하면서도 쿠션력을 우수하게 하고, 동시에 직하중에 의하여도 냉매물질이 충전된 부분의 접착부의 접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터짐을 방지하고, 공기가 충전될 경우에도 모서리 부분의 컬링현상이 최소로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현재 냉매물질이 충전되는 냉 매트는 냉매물질의 균일한 분포를 위하여 2장의 시트(예를 들면 동일한 PVC시트)를 준비하여 시트의 내측면 만을 고주파로 접착하여 용융되면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형상은 돗트 형식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접착부를 배령하며, 이러한 돗트 형식의 접착부는 통상 일정한 마름모 형태의 배열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즉 돗트형식의 접착부가 냉 매트의 전체적인 배열상태에서 지그재그(이격된 사이사이에 위치됨을 의미)로 위치토록 하고 그 연결선의 형태는 마름모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2장의 시트 사이로 냉매물질이 충전되면 지그재그로 배열된 돗트형식의 접착부 사이의 유로(이격된 사이)를 통하여 연통되고, 이때 지그재그로 배열된 돗트형식의 접착부의 또 다른 사이에 구비되는 중앙부에는 냉매물질이 다른 곳에 비하여 모여서 집중되면서 상,하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볼록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돗트형식의 접착부 구조가 통상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고주파에 의한 접착방식이어서 2장의 시트가 중첩된 시트의 내측면으로 일정직경을 갖는 원 형상의 면적 전체가 용융되면서 용착되면서 접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주파 가열접착의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융착될 경우에 그 주변도 용융되면서 시트의 형태 변화가 발생된되며, 그 상태에서 중첩된 시트의 내측면으로 냉매물질이 충전될 경우에 눌림에 의한 바닥면의 노출방지를 위하여 완충전이 이루어지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면이 더 빵빵하게 돌출되어지고, 이 상태에서 사용을 위하여 눕거나 발로 디딜 경우에 볼록면의 특정부위에 직하중에 의하여 냉매물질의 밀림이 발생되는데 빵빵하게 충전됨으로 인하여 밀릴 부분이 없게 되면서 접착력이 취약한 돗트형식의 접착부의 주변의 터짐이 발생되면서 시트를 사용치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이러한 주변의 터짐방지를 위하여 용융의 정도를 낮게 할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하게 되면서 펴짐현상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통상 2장의 시트가 중첩된 시트의 내측면만 융착되는 접착부의 접착력을 강하게 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접착부 테두리의 경계부분이 용융되면서 테두리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인장력이 약해지면서 접착부의 테두리의 터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부의 접착온도나 프레스 압력을 약하게 할 경우에는 접착부 테두리의 터짐이 발생되지는 않지만 접착력이 약해지면서 도 7과 같이 직하중이 발생할 때 냉매물질이 유동되는 압력에 의하여 접착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터짐방지를 위하여 통상 냉매물질을 적정량을 채움토록 하여 볼록면에 직하중의 발생시 냉매물질의 이동이 가능하게 충전함으로서 직하중이 발생되면 냉매물질이 일측으로 몰리게 되면서 돗트형식의 접착부의 터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볼록면에 하중이 전달되면 냉매물질이 이동되어져 하중이 많이 발생되는 특정부위에는 냉매물질이 없어지게 되면서 그 부분이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실질적인 냉매트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냉 매트는 표면과 이면이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게 됨으로 사용자의 체온상태에 따라서 너무 차갑게 느껴질 경우에는 이러한 냉매트를 사용치 못하거나 또는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 매트에 또 다른 직물 매트 등을 깔아서 사용함으로 하절기에 사용되는 냉매트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볼록면에 냉매물질이 빵빵하게 충전된 상태에서도 직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도 돗트형태의 접착부의 터짐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냉매물질이 적정하게 충전된 상태에서도 사용시에는 볼록면이 빵빵함을 유지토록 하여 직하중에 의하여도 냉매물질이 밀림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쿠션력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냉매트에 지그재그로 배열된 돗트형식의 접착부의 터짐도 방지되고, 또한 양면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냉 매트를 사용시 냉매트의 차가움을 느낄 경우에는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에 덜 차가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볼록면이 빵빵함을 유지할 경우에 지그재그로 배열된 돗트형식의 접착부로 인하여 냉매트의 모서리 부근에 말림 현상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느 한층에는 냉매물질이 충전되고 인접하는 타층에는 공기가 충전토록, 3장의 시트를 중첩토록 한 후 3장의 시트를 돗트형식으로 접착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현토록 할 경우에 각각의 접착부를 중앙에는 접착되지 않는 환테로 형성하여 접착부의 터짐방지와 그 테두리의 터짐을 방지토록 하고, 또한 3장의 시트를 각각의 내공간이 형성되는 제1중첩부와 제2중첩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1중첩부의 내공간에는 냉매물질을 충전토록 하고, 제2중첩부의 내공간에는 공기를 충전토록 함으로서 제1중첩부의 냉매물질이 탱탱하게 충전되지 않을 경우에도 공기가 충전되는 제2중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중이 발생시에도 냉매물질이 바닥까지 밀려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돗트형식의 접착부를 중앙부분은 접착되지 않게 환테로 형성함으로서 고주파접착시 접착조건의 변화로 인한 접착부의 터짐을 방지함은 물론 3장의 시트를 접착할 경우에 접착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돗트형식의 환테로 이루어진 접착부를 중첩된 3장의 시트에 일정간격으로 구현할 경우에 4개의 모서리에 돗트형식의 환테의 접착부를 형성한 후 그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환테의 접착부가 배치토록 하고, 그 상태에서 내측으로 돗트형식의 환테의 접착부를 지그재그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냉매물질이 충전된 제1중첩부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2중첩부에 공기가 충전될 경우에도 냉 매트의 모서리가 상측으로 말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냉매물질을 적정량을 사용하면서도 규션력이 우수하게 됨은 물론 냉매물질이 하중에 의하여 밀림도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냉 매트의 공기충전시에도 모서리의 말림이 방지되는 것이고, 환테에 의하여 접착의 용이성은 물론 터짐이 방지토록 한 것이고, 공기충전층과 냉매충전층을 뒤집어서 사용함으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서 차가움 정도를 선택하여 사용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냉 매트에 환테로 이루어진 접착부의 배치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냉매물질이 공기가 충전되면서 빵빵함을 유지하는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냉매물질이 하중에 의하여 가압될 경우에 공기층이 변화되는 일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냉매트에 공기층으로 냉이 올라오는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3장의 시트로 이루어진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시트 접합 구조를 나타낸 실시 예
도7은 도 6의 시트가 적용된 냉 매트의 단면구조도
도8은 종래의 냉매트에 접착부로 인하여 그 테두리가 터짐이 발생되는 일실시예
도9는 종래의 냉매트에 접착부의 펴짐이 발생되는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해당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제작하고자 하는 매트(100)의 크기 대로 재단되어진 상층, 중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지는 3장의 시트(10,20,30)를 중첩토록 한 후, 상층과 중층이 중첩되는 제1중첩부(1)와 중층과 하층이 중첩되는 제2중첩부(2)로 형성한 후 3장의 시트(10,20,30)의 테두리만을 접착토록 하여 접착테두리(110)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접착테두리는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2열로 형성하여 내측과 외측의 접착라인(110a,110b)으로 형성하고, 상기 2열로 형성된 내측의 접착라인(110a)의 내측의 매트면(130)으로는 제1,2중첩부의 사이로 상층과 하층으로 분리되는 내공간(131,132)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내공간(131,132)은 중첩된 3장의 시트(10,20,30)의 상층과 하층으로는 돗트형식으로 접착되어진 접착부(120)를 일정간격의 배열 즉, 종이나 횡으로 연속될 경우에 상기 접착부(120)의 위치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위치토록 배열토록 하여 접착부(120)가 마름모 형태로 배열되어져 각각의 내공간(131,132)으로 냉매물질이 충전된 냉매물질면과 공기가 충전되는 공기충전면이 구비되어 냉매물질과 공기가 채워지면서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볼록하게 이루어지는 볼록면(140)이 형성되면서 상기 볼록면(140)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착부의 사이로는 각각의 유로(150)를 형성하면서 제1중첩부(1)와 제2중첩부(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공간(131,132)이 상하로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돗트형태로 일정면적으로 접착되어지는 접착부(120)는 중앙부(120b)는 접착치 아니하고 테두리만을 접착토록 하여 접착환테(120a)로 형성하여 접착되는 부분을 최소로 하여 매트의 사용시 유연성을 유지토록 하고, 접착환테(120a)를 형성할 경우에 접착을 위해 열이 가해지는 부분을 최소로 하여 열이 직접 전달되는 상층과 하층 시트(10,30)는 물론 중층 시트(20)의 손상을 방지토록 하면서도 접착의 용이성과 첩착력을 증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부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의 4개의 모서리에 위치토록 한 후 그 직각으로 연장되면서 접착부를 균일하게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접착부를 지그재그로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공기가 충전될 경우에 매트가 부풀어오를 경우에도 모서리에 접착부가 균일하게 형성되어져 모서리가 상층으로 말리게 되는 현상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 제1중첩부(1)의 내공간(131)에는 액상의 냉매물질을 충전토록 하고, 제2중첩부(2)의 내공간(132)에는 공기를 충전토록 하면 액상의 냉매물질이나 공기가 마름모 형태로 배열되는 접착환테(120a)의 사이로 형성되는 유로(150)를 통하여 볼록면(140)에 모이게 되면서 접착환테(120a)가 잡아주지 않는 중앙부(120b)의 상층으로 볼록하게 볼록면(14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중첩부(1), 제2중첩부(2)를 형성하기 위하여 3장의 시트를 중첩한 상태에서 테두리에 2열의 내측과 외측의 접착라인(110)를 형성할 경우에, 어느 한변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냉매물질을 제1중첩부(1)의 내공간(131)에 충전토록 하고, 충전된 상태에서 어느 한변을 접착함으로서 구현가능한 것이다.
또한, 공기가 충전되는 제2중첩부(2)의 내공간(132)도 어느 한변을 개방한 상태에서 어느 한변에 공기주입구(160)를 장착하여 동시에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공기주입구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양한 방식의 공기주입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공기나 냉매물질이 접착환테(120a) 사이의 유로(150)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주입이 이루어지면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되다가 유로(150)를 형성하는 접착부(120)가 고정되어 있어 그 사이는 좁아지면서 유로(150)에는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볼록면(140)으로만 냉매물질이나 공기가 모이게 되면서 볼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중첩부(1)의 내공간(131)이나 제2중첩부(132)의 내공간에는 고주파에 의한 접착환테(120a)를 형성할 경우에 냉매물질을 충전한 상태에서 가압하여 접착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매트(100)가 평상시에는 제2중첩부(2)의 내공간(132)에는 공기를 충전하지 않게 됨으로 부풀음이 적어 매트(100)의 보관이나 운반시 부피를 종래의 매트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사용시에만 공기주입구(16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3장의 시트(10,20,30)는 모두 PVC의 재질로 제작되어진 시트를 사용한 것이고, PVC가 아닌 우레탄이나 기밀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사용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때 반듯이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과 같이 3장의 시트(10,20,30)중에서 상층 및 하층 시트(10,30)의 노출되는 표면(10a,30a)에는 별도의 합지시트(50)를 합지토록 함으로서 매트(100)로 제작된 상태에서 합지시트(50)에 인쇄되어지는 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디자인성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합지시트(50)에 코팅되어지는 다양한 항균이나 발향 등의 기능성의 물질에 의하여 다기능의 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합지시트(50)는 3장의 시트와 다른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성이나 다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합지시트(50)는 매트(100)로 제작된 상태에서의 사용자가 누웠을 경우에 매트 표면의 끈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직물은 면직물일 경우 즉, 서로 다른 특성의 재질일 경우에는 별도의 매체가 필요함으로 별도의 접착환테에 의하여 가압하여 접착토록 하는 것이고, 동일한 재질로 직조되어진 합성직물일 경우에는 열에 의하여 간단하게 합지가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층과 중층 시트가 중첩되는 제1중첩부(1)의 내공간(131)에 충전되는 냉매물질이 적정량으로 충전된 상태에서 매트(100)의 상층으로 직하중이 발생되면 중층과 하층이 중첩되어지는 제2중첩부(2)의 내공간(132)에 충전된 공기층에 의하여 제1중첩부(1)의 내공간(131)에 충전된 냉매물질이 제2중첩부의 내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의 부풀어오름에 접착환테(120a)가 형성되지 않는 볼록면(140)이 볼록하게 되면서 이 부분이 가압될 경우에 제2중첩부(2)의 내공간(132)의 볼록면(140)에 충전된 공기로 인하여 냉매물질의 밀려남이 줄어들게 되면서 냉매물질면이 피부와 밀착되어짐이 유지되면서 시원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매트를 사용할 시에 냉매물질이 충전된 부분을 바닥면으로 하고 공기가 충전된 부분을 피부와 접촉되게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에는 덜 차가움을 원하는 사용자도 냉매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제1중첩부 2:제2중첩부
10:제1시트 10a:표면
20:제2시트
30:제3시트 30a:표면
40:제4시트
50:합지시트
100:매트
110:접착테두리 110a,110b:접착라인
120:접착부 120a:접착환테
120b:중앙부
130:매트면 131,132:내공간
140:볼록면
150:유로
160:공기주입구

Claims (2)

  1. 어느 한층에는 냉매물질이 충전되고 인접하는 타층에는 공기가 충전되도록, 3장의 시트를 중첩한 후 3장의 시트를 돗트형식으로 접착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현토록 하되, 각각의 접착부는 중앙에는 접착되지 않는 환테로 형성하여 접착부의 터짐방지와 그 테두리의 터짐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3장의 시트를 각각의 내공간이 형성되는 제1중첩부와 제2중첩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1중첩부의 내공간에는 냉매물질을 충전토록 하고, 제2중첩부의 내공간에는 공기를 충전토록 함으로서 제1중첩부의 냉매물질이 탱탱하게 충전되지 않을 경우에도 공기가 충전되는 제2중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중이 발생시에도 냉매물질이 바닥까지 밀려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상기 돗트형식의 접착부를 중앙부는 접착되지 않게 접착환테로 형성하여 고주파접착시 접착조건의 변화로 인한 접착부의 터짐을 방지는 물론 3장의 시트를 접착할 경우에 접착의 용이성도 제공하고,
    상기 돗트형식의 접착환테로 이루어진 접착부를 중첩된 3장의 시트에 일정간격으로 구현할 경우에 4개의 모서리에 돗트형식의 접착환테의 접착부를 형성한 후 그 직각으로 각각 연장되게 접착환테로 이루어진 접착부가 접착라인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지게 배치토록 하고, 그 상태에서 내측으로 돗트형식의 접착환테로 이루어진 접착부를 지그재그로 동일한 이격간격을 갖도록 구현토록 함으로서 냉매물질이 충전된 제1중첩부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2중첩부에 공기가 충전될 경우에도 냉 매트의 모서리가 상측으로 말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공기증과 냉매물질을 사용자가 원하는 차가움에 따라 뒤집에서 사용가능토록 되는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른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중첩부의 표면으로는 인체와 접촉시 부드러움을 제공토록 하는 합지시트가 합지되어지는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른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KR1020190024412A 2018-02-28 2019-02-28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KR20190104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19A KR102167787B1 (ko) 2018-02-28 2019-12-27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05 2018-02-28
KR20180024905 2018-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03A true KR20190104003A (ko) 2019-09-05

Family

ID=679499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12A KR20190104003A (ko) 2018-02-28 2019-02-28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KR1020190177019A KR102167787B1 (ko) 2018-02-28 2019-12-27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19A KR102167787B1 (ko) 2018-02-28 2019-12-27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040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806B1 (ko) * 2022-11-11 2023-05-09 주성호 기능성 에어찜질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456B2 (ja) * 1998-05-22 2006-1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ーマ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エアーマット入り敷布団
KR200403334Y1 (ko) * 2005-06-16 2005-12-09 서영심 에어쿠션 기능을 가진 냉온찜질팩
KR101225088B1 (ko) * 2012-06-12 2013-01-25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겔 밀림 방지 및 쿠션 물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다중 구획식 쿨 매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787B1 (ko) 2020-10-19
KR20200105392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889A (en) Thermal neck wrap having means for position maintenance
US5170781A (en) Protective bandage having improved impact protection
JP2014526346A (ja) 粘着性ゲルを用いて改質した身体支持具、および粘着性ゲルを用いた身体支持具の製造方法
US20130303041A1 (en) Composite cushioning material with multiple strata
JP4566109B2 (ja) パンティライナー
JP2003275237A (ja) 生理用ナプキン
WO2007023676A1 (ja) エアマットレス
KR20190104003A (ko) 쿠션이 유지되면서 차가움이 다르게 양면사용이 가능한 냉 매트
WO2018156776A1 (en) Cold cup sleeve
TWM525772U (zh) 折合式瑜珈墊
CN101511688A (zh) 带袋嘴的袋
JP6284499B2 (ja) 流体充填敷物
TW200841833A (en) Breast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548027B2 (ja) 吸収性物品
JP3184144U (ja) 包装袋
CN109423227B (zh) 单面胶材及二次电池
US20180319125A1 (en) Inflatable pad structure
KR20160121842A (ko)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
CN107972969A (zh) 袋体构造部件、袋体以及一次性怀炉
CN101374736B (zh) 存储包裹材料
JP2012130418A (ja) 便座シート
KR102096097B1 (ko) 냉매물질 충전물의 쏠림 방지 및 시트 접착부의 터짐방지를 위한 목베개
JPH11245325A (ja) 防水シート
JP2012140153A (ja) 包装袋
JPH0591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