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949A -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949A
KR20190103949A KR1020190013496A KR20190013496A KR20190103949A KR 20190103949 A KR20190103949 A KR 20190103949A KR 1020190013496 A KR1020190013496 A KR 1020190013496A KR 20190013496 A KR20190013496 A KR 20190013496A KR 20190103949 A KR20190103949 A KR 2019010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conditioning composition
hair condition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4249B1 (ko
Inventor
김민진
이경미
빈성아
최장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TW10810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76023B/zh
Priority to CN201910140100.7A priority patent/CN110200850A/zh
Publication of KR2019010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에 컨디셔닝감(모발 상태 개선감)을 부여하는 제품은 씻어내는 유형의 제품(세척형 제품)과 씻어내지 않는 유형의 제품(비세척형 제품)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씻어내는 제품의 경우에는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팩, 헤어마스크, 헤어앰플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로 유화제형에서 4급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소량의 실리콘 오일 또는 합성, 천연 오일류 등의 컨디셔닝 성분으로 모발에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한다.
씻어내지 않는 유형의 제품의 경우에는 헤어미스트,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헤어오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형으로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한다.
씻어내지 않는 유형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은 그 종류나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동일한 화학구조를 가진 실리콘 오일이라 하더라도, 그 사용감적인 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실리콘은 분자량 및 점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데, 분자량 및 점도가 가장 낮은 휘발성 형태에서 분자량 및 점도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액체, 점성 있는 액체, 검, 겔, 엘라스토머 및 레진의 형태를 띤다. 즉, 실리콘의 분자량이 증가하면 점성 또한 증가한다.
상기 씻어내지 않는 유형의 제품 중 특히 헤어세럼은 과량의 실리콘 오일을 분산하는 제형으로, 모발에 사용시 즉각적으로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으나, 과량의 실리콘 오일로 인한 사용상의 끈적임, 모발에서의 눅진함 등을 단점으로 가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제형)은 모발에 즉각적으로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는 있으나, 그 지속력이 짧고 손과 모발에서 오일리(Oily)한 잔여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이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과량의 실리콘 오일 및 휘발성 실리콘 오일, 가벼운 사용감의 에몰리언트들을 사용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능이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사용상의 끈적임 및 모발에서의 무거운 처짐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49305호(2013.05.14)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24126(2001.03.26)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모발 컨디셔닝 효능(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매끄러움 향상 등)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서 낮은 함량의 고분자 디메치콘올과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트리실록산)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면, 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로서,
상기 디메치콘올의 평균 분자량(molar mass, M)은 600,000~1,300,000g/mol, 바람직하게는 700,000~1,200,000g/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000~1,1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모발(특히, 손상된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동시에 끈적임이 적어 산뜻하고 매끄럽게 발리는 특성을 구비하며, 사용자에게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모발 도포 전후에 따른 모발의 윤기의 지속력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모발 도포 전후에 따른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부드러움 증가율(도포 전 대비)로 환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모발 도포 전후에 따른 모발의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매끄러움 증가율(도포 전 대비)로 환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관능평가 전문패널 11명을 대상으로 모발 및 피부에 도포한 후, 15점 척도로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농도, 함량, 길이, 면적, 부피, 온도, 각도, 시간(기간)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디메치콘올(dimethiconol)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로서,
상기 디메치콘올의 평균 분자량은 600,000~1,3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700,000~1,200,000g/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000~1,100,000g/mol이다. 만약 상기 디메치콘올의 평균 분자량이 600,000g/mol 미만이면 모발 코팅의 지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디메치콘올의 평균 분자량이 1,300,000g/mol을 초과하면 모발 코팅의 지속 효과상 큰 증가 없이 사용감만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은 트리실록산(trisiloxane), 디실록산(disiloxane) 및 디메치콘(dimethico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실록산 및 디메치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5.1~34.9 : 1.0~27.5, 바람직하게는 12.0~32.0 : 5.0~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6.0~24.0 : 6.0~10.0이다.
상기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예컨대, 트리실록산)의 혼합비(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의 지속력 개선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중량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디메치콘올의 함량은 5.1~34.9중량%, 바람직하게는 12.0~3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6.0~24.0중량%이다. 만약 상기 디메치콘올의 함량이 5.1중량% 미만이면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디메치콘올의 함량이 34.9중량%를 초과하면 모발 컨디셔닝 효과상 큰 증가 없이 사용감만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중량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함량은 1.0~27.5중량%, 바람직하게는 5.0~2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10.0중량%이다. 만약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끈적임 개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함량이 27.5중량%를 초과하면 끈적임 개선 효과상 큰 증가 없이 사용감만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2-Octyldodecyl Myrist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Isopropyl Myrist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터계 오일(Ester Oil)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을 더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은 3.0~25.0중량%, 바람직하게는 4.0~2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22.0중량%이다. 만약 상기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모발 컨디셔닝 유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이 25.0중량%를 초과하면 모발 컨디셔닝 유지 효과상 큰 증가 없이 사용감만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호바 오일(Jojoba oil), 해바라기 오일, 카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아비시니아케일씨 오일(Crambe Abyssinica seed oil) 및 콩 오일(예컨대, 검은콩 오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호호바 오일, 코코넛 오일, 아비시니아케일씨 오일 및 검은콩 오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호호바 오일을 더 함유한다.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물성 오일의 함량은 0.05~7.0중량%, 바람직하게는 0.1~6.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6.0중량%이다. 만약 상기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모발 컨디셔닝 유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면 모발 컨디셔닝 유지 효과상 큰 증가 없이 제형의 불안정성만 증가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트리실록산(Cyclotrisiloxane),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Cyclotetr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헵타실록산(Cycloheptasilox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함량은 21.5~78.5중량%, 바람직하게는 22.0~38.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4.0~26.0중량%이다. 만약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함량이 21.5중량% 미만이면 산뜻한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함량이 78.5중량%를 초과하면 효과상 큰 증가 없이 부드러운 사용감의 지속력 또한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의 점도는 60,000~160,000cs, 바람직하게는 65,000~150,000cs, 가장 바람직하게는 77,000~140,000c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디메치콘올의 점도가 60,000cs 미만이면 모발 코팅의 지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디메치콘올의 점도가 160,000cs를 초과하면 효과상 큰 증가 없이 제형의 불안정성만 증가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점도는 0.5~2.5cs, 바람직하게는 0.65~2.0cs,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5c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점도 범위는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휘발성을 유지하기 위한 점도 범위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점도는 3.0~5.0cs, 바람직하게는 3.2~4.8cs, 가장 바람직하게는 3.5~4.5c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점도 범위는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휘발성을 유지하기 위한 점도 범위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메치콘올,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예컨대, 트리실록산 등) 및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예컨대, 사이클로메치콘 등) 각각의 점도는 LVT 모델 점도계(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로 30rpm의 회전 속도에서 4번 스핀들 바(Spindle ba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분간 측정한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데이터 미도시).
상기 디메치콘올,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예컨대, 트리실록산 등) 및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예컨대, 사이클로메치콘 등) 각각의 안정도는 가혹 조건하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60℃의 항온조 조건 또는 온도범위를 -15℃~45℃로 12시간 간격으로 변경하는 온도 사이클 조건하에서 한 주간 유화 안정도를 관찰하여 안정, 약간 불안정, 수상부/유상부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여 유화 안정도를 평가한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데이터 미도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보습제(폴리올 등), 왁스, 점도 조절제, 점증제, pH 조정제, 지방,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및/또는 모발에 유용한 기능성을 부과하기 위해, 글리세린 등의 보습 성분, 항산화제 등의 항산화/항노화 성분, 티로시나아제 억제제, 각질 재생 촉진제 등의 미백 성분, 자외선 차단제 등의 보호 성분, 히알루론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상처 치유 성분, 소염제 등의 함염 성분 등을 적절 함량으로 더 포함하여 피부 및/또는 모발에 대한 보습, 항노화, 미백, 보호, 상처 치유 등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컨디셔닝(모발의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의 정도 및 지속 기간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신체에 있는 어떤 모발이나 털, 예컨대,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콧수염, 턱수염, 가슴털, 등털, 팔털, 다리털, 생식기털, 콧털 또는 귓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모발은 염색 및 퍼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시술, 물리적인 손상, 스트레스 또는 영양 결핍에 의해 발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연고, 헤어화장수,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트리트먼트,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헤어린스, 포마드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품학적 용도를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에 배합되는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참고예 ]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 및 표 2와 같은 조성과 함량을 가지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고분자 디메치콘올은 800,000~1,10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저분자 디메치콘올은 450,000~59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아래 표 1 및 표 2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의 혼합물(중량비=1:1) 25.0 25.0 25.0 25.0 25.0 25.0
디메치콘올(고분자량) 20.0 30.0 22.7 12.5 20.0 20.0
디메치콘올(저분자량) - - - - - -
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중량비=1:1, 에스터계 오일) 10.0 10.0 10.0 10.0 5.0 20.0
호호바 오일 1.0 1.0 1.0 1.0 0.1 5.0
트리실록산 5.0 20.0 2.3 12.5 5.0 5.0
향료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의 혼합물(중량비=1:1)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디메치콘올(고분자량) - - 20.0 20.0 3.0 35.0 - 5.0
디메치콘올(저분자량) 20.0 20.0 - - - - 5.0 -
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3.0 3.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중량비=1:1; 에스터계 오일) - 10.0 - 10.0 10.0 10.0 10.0 10.0
호호바 오일 - 1.0 - 1.0 1.0 1.0 1.0 1.0
트리실록산 - - - -  0.1 25.0 1.0 1.0
향료 0.5 0.5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 시험예 1] 모발의 윤기 지속력 평가
위 참고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의 윤기 지속력(코팅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모발의 윤기 지속력 측정 방법 >
시험 대상:
(1) 정상 모발: 표준 모발로, 약 10cm 길이의 정상 흑모(Tress, BM-B10, Beaulax 社, 일본).
(2) 손상된 건조모발: 상기 정상 모발을 탈색제로 약 30분간 탈색 처리한 다음, 샴푸로 처리한 후, 약 30℃의 온도에서 약 3분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준비한 손상 건조모발.
시험에 사용되는 트레스(정상 모발 또는 손상된 건조모발)는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샴푸로 세척하고, 물로 약 1분간 헹굼 다음,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도포한 다음, SAMBA 기기(SAMBA Hair system, Bossa Nova Technologies 社)를 이용하여 모발의 표면의 윤기의 정도를 시간 경과(도포 직후, 1, 2, 3 시간 경과 후)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기서, 모발의 윤기 지속력은 모발의 빛 조사 각도(-45° ~ +45°)에 따른 빛의 최대 반사량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 아래 표 3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①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3)은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1)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윤기의 정도가 높았고,
②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에스터계 오일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식물성 오일인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2)은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1)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윤기의 정도가 높았으며,
③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 5 및 6)은 고분자 디메치코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3)보다 도포 직후부터 장시간 동안 모발의 윤기의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고분자 디메치코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4)은 실시예 1, 5 및 6에 따른 조성물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윤기의 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제시).
이와 달리,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2, 3 및 4)은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과 비슷하게 도포 직후부터 장시간 동안 모발의 윤기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제시).
또, 손상된 건조모발을 대상으로 실시예 1, 2, 3, 4, 5 및 6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에 따른 모발의 윤기 지속력을 평가한 결과, 아래 표 3 및 도 1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데이터 미제시).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규명하여 정의한 함량으로 주성분인 고분자 디메치콘올과, 조성분인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모발의 윤기 지속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래 표 3은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모발 도포 전후에 따른 정상 모발의 윤기의 지속력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단위: %).
시간 경과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도포 전 0 0 0 0 0 0
도포 직후 58.22 67.51 70.13 83.26 75.55 91.98
1 시간 42.65 56.67 59.34 67.12 64.86 82.35
2 시간 34.11 52.18 50.21 63.64 59.47 76.61
3 시간 27.65 45.30 38.95 52.13 50.22 65.89
[ 시험예 2] 모발의 부드러움 평가
위 참고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의 부드러움(유연성)의 정도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모발의 부드러움 정도 측정 방법 >
시험에 사용되는 트레스(정상 모발 또는 손상된 건조모발; 시험예 1 참조)는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샴푸로 세척하고, 물로 약 1분간 헹굼 다음,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도포한 다음, MTT 175 기기(Miniature Tensile Tester, Dia-Stron 社)를 이용하여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는 대조군 시료 대비 모발의 빗질에 대한 저항력을 gmf값으로 수치화한 것으로, 모발의 저항력 값이 낮으면 모발이 엉킴 없는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아래 표 4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①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3)은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1)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높았고,
②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2)은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1)보다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높았으며,
③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4)은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3)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높았고,
④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 및 2)은 고분자 디메치코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3)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⑤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은 고분자 디메치코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4)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일지라도, 조성물 중 고분자 디메치코올의 함량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경우(비교예 8에 따른 조성물),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달리, 고함량의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3, 4, 5 및 6)은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조성물과 비슷하게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손상된 건조모발을 대상으로 실시예 1, 2, 3, 4, 5 및 6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에 따른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아래 표 4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데이터 미제시).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규명하여 정의한 함량으로 주성분인 고분자 디메치콘올과, 조성분인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모발의 부드러움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래 표 4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모발 도포 전후에 따른 정상 모발의 부드러움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부드러움 증가율(도포 전 대비)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단위: %).
 시료  도포 전 도포 후
비교예1 0 46
비교예2 0 55
비교예3 0 56
비교예4 0 69
비교예7 0 40
비교예8 0 59
실시예1 0 71
실시예2 0 82
실시예3 0 77
실시예4 0 73
실시예5 0 70
실시예6 0 80
[ 시험예 3] 모발의 매끄러움 지속력 평가
위 참고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의 매끄러움 지속력(마찰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모발의 매끄러움 지속력 측정 방법 >
시험에 사용되는 트레스(정상 모발 또는 손상된 건조모발; 시험예 1 참조)는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샴푸로 세척하고, 물로 약 1분간 헹굼 다음,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도포한 다음, MTT 175 기기(Miniature Tensile Tester, Dia-Stron 社)를 이용하여 모발의 매끄러움의 정도를 시간 경과(도포 직후, 1, 2, 3 시간 경과 후)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기서, 모발의 매끄러움의 정도는 대조군 시료 대비 모발의 표면 마찰력을 gmf값으로 수치화한 것으로, 모발의 마찰력 값이 낮으면 모발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아래 표 5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①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3)은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1)보다 도포 직후부터 모발의 매끄러움의 정도가 높았고,
②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6)은 고분자 디메치코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3)보다 도포 직후부터 장시간 동안 모발의 매끄러움의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손상된 건조모발을 대상으로 실시예 1, 2, 3, 4, 5 및 6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에 따른 모발의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평가한 결과, 아래 표 5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데이터 미제시).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규명하여 정의한 함량으로 주성분인 고분자 디메치콘올과, 조성분인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모발의 매끄러움 지속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래 표 5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모발 도포 전후에 따른 정상 모발의 매끄러움의 지속력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매끄러움 증가율(도포 전 대비)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단위: %).
시료  도포 전 도포 직후 도포 후 1시간 도포 후 2시간 도포 후 3시간
비교예 1 0 40.19 30.22 28.15 20.36
비교예 3 0 53.34 44.03 38.37 31.10
실시예 1 0 62.94 55.72 50.21 47.87
실시예 2 0 68.55 61.10 60.32 57.64
실시예 3 0 64.12 57.50 55.02 51.36
실시예 4 0 61.20 54.98 52.71 46.19
실시예 5 0 61.80 52.34 50.92 48.51
실시예 6 0 66.72 63.45 60.69 58.07
[ 시험예 4] 사용감 평가
위 참고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관능평가 전문패널 11명을 대상으로 모발 및 피부에 도포한 후, 15점 척도로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15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5점]그저 그렇다-[10점]높다-[15점]매우 높다'로 확인하였음).
< 모발의 사용감 관능평가 방법 >
시험에 사용되는 트레스(정상 모발 또는 손상된 건조모발; 시험예 1 참조)는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샴푸로 세척하고, 물로 약 1분간 헹굼 다음,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을 도포한 다음, 7가지 항목(손퍼짐성(손으로 바를때의 용이성), 손산뜻함, 부드러움, 모발발림성, 모발흡수성, 모발뭉침, 모발윤기)에 대해 관능평가 전문패널 11명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6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능평가 전문패널 11명의 평균 점수에 따른 관능평가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3~6에 따른 조성물은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조성물에 비해 7가지 항목(손퍼짐성(손으로 바를 때의 용이성), 모발 감촉(손산뜻함, 부드러움), 모발발림성, 모발흡수성, 모발뭉침, 모발윤기)의 종합 평가에서 효과상 우위를 나타내어 모발 컨디셔닝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중 실시예 1, 3, 4, 5, 6에 따른 조성물은 고분자 디메치코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3) 또는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4)보다 관능평가의 종합 점수(합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2)은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과 비슷하게 모발의 매끄러움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제시).
또한, 손상된 건조모발을 대상으로 실시예 1, 2, 3, 4, 5 및 6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에 따른 사용감을 평가한 결과, 아래 표 6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데이터 미제시).
한편, 고분자 디메치콘올을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중 비교예 5에 따른 조성물은 저함량의 고분자 디메치콘올로 인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고 부드러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분자 디메치콘올을 함유하면서,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조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7)은 모발 끈적함과 오일리(oily)함이 심하여 사용감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 미제시).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규명하여 정의한 함량으로 주성분인 고분자 디메치콘올과, 조성분인 트리실록산,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의 혼합물과 호호바 오일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모발의 매끄러움 지속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래 표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관능평가 전문패널 11명을 대상으로 정상 모발 및 피부에 도포한 후, 15점 척도로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손퍼짐성 손산뜻함 부드러움 모발발림성 모발흡수성 모발뭉침
없음
윤기 합계
비교예3 7.2 5.9 7.5 8.8 8.1 6.6 9.7 53.8
비교예4 8.3 6.1 9.9 11.0 8.5 7.0 11.1 61.9
실시예1 9.2 7.8 11.0 12.2 10.0 7.4 11.6 69.2
실시예3 8.5 6.5 11.9 11.1 9.1 7.1 13.3 67.5
실시예4 10.6 9.1 10.3 13.5 12.6 9.2 10.9 76.2
실시예5 8.6 8.8 10.5 11.1 10.8 8.7 11.1 69.6
실시예6 11.1 5.8 12.2 13.3 8.4 6.5 14.2 71.5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로서,
    상기 디메치콘올의 평균 분자량은 600,000~1,3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은 트리실록산, 디실록산 및 디메치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C12-15 알킬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터계 오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카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아비시니아케일씨 오일 및 콩 오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은 사이클로메치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의 점도는 60,000~160,000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점도는 0.5~2.5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점도는 3.0~5.0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올 및 직쇄형 실록산계 화합물의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5.1~34.9 : 1.0~2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은 염색 및 퍼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시술, 물리적인 손상, 스트레스 또는 영양 결핍에 의해 발생된 손상된 모발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 헤어화장수,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트리트먼트,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헤어린스 및 포마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0190013496A 2018-02-28 2019-02-01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684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06349A TWI776023B (zh) 2018-02-28 2019-02-25 毛髮調理組合物
CN201910140100.7A CN110200850A (zh) 2018-02-28 2019-02-26 毛发调理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814 2018-02-28
KR20180024814 2018-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949A true KR20190103949A (ko) 2019-09-05
KR102684249B1 KR102684249B1 (ko) 2024-07-11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126A (ko) 1997-09-17 2001-03-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오일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130049305A (ko) 2011-11-04 2013-05-14 애경산업(주)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126A (ko) 1997-09-17 2001-03-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오일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130049305A (ko) 2011-11-04 2013-05-14 애경산업(주)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6168A (zh) 2019-09-16
TWI776023B (zh)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9106B2 (en) Compositions and dispersions containing particles comprising a polymer
KR102360719B1 (ko) 모발의 건조 시간 단축 및 부드러움 개선을 위한 조성물
ES2714733T3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cómodas, de larga duración y resistentes a la transferencia con un alto brillo y una sensación no pegajosa
US6248339B1 (en) Fragrant body lotion and cream
AU2018229799A1 (en) Chemical composition
WO2017036135A1 (en) A hair styling composition for hair care containing lotus flower oil and use thereof
WO2018018487A1 (en) A hair composition for hair care containing rose hip oil and use thereof
WO2018018488A1 (en) A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rose hip oil and use thereof
WO2019070920A1 (en)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FOR ENHANCING A ZONE OF SKIN OR HAIR
JP2001181156A (ja) ヘアーリンス組成物
KR102684249B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20190103949A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CA2802752C (en) Clear leave-on hair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minosilicone and its solvent
WO2018018720A1 (en) Hair oil composition for hair care containing rose hip oil and use thereof
WO2018227515A1 (en)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cymbidium grandiflorum flower extract
CN110200850A (zh) 毛发调理组合物
WO2017110979A1 (ja) 毛髪化粧料
EP2621464A2 (de) Pflegeprodukte zum schützen colorierter haare mit silikonharzen
US1165409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ranched alkanes, silicones, and non-silicone fatty compounds
JP7251780B2 (ja) 毛髪化粧料
JP7091282B2 (ja) ジェル状化粧料
US20210299027A1 (en) Leave-on light oil hair composition
WO2018228847A1 (en) A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cymbidium grandiflorum flower extract
JP2023020477A (ja) 組み合わせ化粧料
JP2021104965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