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669A -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669A
KR20190103669A KR1020180024368A KR20180024368A KR20190103669A KR 20190103669 A KR20190103669 A KR 20190103669A KR 1020180024368 A KR1020180024368 A KR 1020180024368A KR 20180024368 A KR20180024368 A KR 20180024368A KR 20190103669 A KR20190103669 A KR 20190103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argo
vessel
calculation system
resil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330B1 (ko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현 filed Critical 유지현
Priority to KR102018002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3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draught or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63J2099/0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선박의 화물출입구 내측에 위치하며 선적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온보드계근부와; 온보드계근부를 통과한 선적대상물의 고유성을 파악하는 진입측인식부와; 선적대상물의 도착 층수를 파악하는 선척층수확인부와; 선적대상물의 위치에 따른 흘수변화를 감지하는 흘수센서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와 진입측인식부와 선적층수확인부와 흘수센서부가 파악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선적위치에 따른 선박의 복원력을 파악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은, 화물의 적재 시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화물의 개별 중량은 물론 해당 화물이 적재된 수평 및 수직위치 정보와, 화물의 중량에 의한 흘수의 변화 정보를 중앙컴퓨터로 보내어, 중앙컴퓨터가 복원력 계산 소프트웨어를 통해 선박의 복원력을 자동으로 산출하게 함으로써, 선박의 복원력 관련 사항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운항 중에도, 흘수센서부를 이용해 흘수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연료나 선내 물의 소모 정도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를 실시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알맞은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운항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Automatic Calculation System of Ship Resilience}
본 발명은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적재 시는 물론 운항 중에도 선박의 복원력을 자동적으로 실시간 계산하여 안전한 운항을 할 수 있게 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령, 카페리(Car Ferry)나 컨테이너선 또는 유조선이나 대형 어선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은, 화물의 적재나 하역 시 또는 운항 중, 선박의 복원성(復原性)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복원력을 수시로 검사한다. 복원성이라 함은 물에 수직으로 떠 있는 선박이 외력에 의해 기울어졌을 때 다시 원래의 수직 상태로 복귀하는 성질로서, 어느 만큼의 기울어짐을 견딜 수 있는지의 성능을 의미한다.
청수나 기름을 운반하는 선박의 경우, 액체를 적재하는 것이니 만큼 적재물이 화물창의 내부에 고른 분포로 위치하므로 복원력의 계산은 어느 정도 수월하다. 하지만, 개별적 형태와 다양한 무게를 갖는 일반 화물의 경우에는 개별 화물의 무게와 선박내에서의 수평 및 수직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 선박의 복원력을 산출할 방법이 없다. 화물이 선박의 무게중심점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화물의 적재 시 개별 화물의 무게와 적재 위치를 선박의 도면에 일일이 표기하며 수기로 계산하여 복원력 값을 산출하고 있다. 즉, 선박 내 개별 화물의 위치와 높이와 무게 및 흘수표(吃水標) 등을 빠짐없이 확인한 후 복원력 계산표를 통해 산출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므로, 현실적으로는 생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선박의 복원력은 안전과 직결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복원력 산출에 긴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이유로 생략하는 것은 대규모 수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2695호 (선박의 복원성을 위한 실시간 자동 분석 시스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1234호 (선박 복원력 상실 판단 방법 및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자동 경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화물의 적재 시,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화물의 개별 중량은 물론 해당 화물이 적재된 수평 및 수직위치 정보와, 화물의 중량에 의한 흘수의 변화 정보를 종합하여 선박의 복원력 관련 사항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선박의 운항 중에도, 연료나 선내 물의 소모 정도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를 실시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알맞은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운항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은, 다층구조의 화물창이 구비되어 있는 선박의 화물출입구 내측에 위치하며, 화물출입구를 통해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선적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온보드계근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를 통과한 후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선적대상물의 고유성(固有性)을 파악하는 진입측인식부와; 상기 선박의 내부로 진입한 선적대상물의 최종 선적 층수를 파악하는 선척층수확인부와; 상기 선박의 흘수(吃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선적대상물의 위치에 따른 흘수변화를 감지하는 흘수센서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와 진입측인식부와 선적층수확인부와 흘수센서부가 파악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으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복원력 계산 소프트웨어를 통해 선적대상물의 중량과 선적위치에 따른 선박의 복원력을 파악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적대상물은, 화물을 싣고 있는 차량 또는 비화물용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측인식부와 선적층수확인부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작동한다.
또한, 상기 온보드계근부는; 상기 선박의 화물출입구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화물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계근판과, 상기 계근판에 가해진 하중을 계산하는 하중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중측정부는; 계근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 하중을 계량하는 하부저울과, 계근판의 측부에 위치하며 계근판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계량하여 수직하중으로 환산하는 측부저울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선적층수확인부는; 상기 화물창의 각 층별 출입 통로에 배치되며, 해당 층으로 올라와 통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해당 차량이 상기 온보드계근부를 통해 계근된 차량임을 확인하고, 상기 중앙컴퓨터로 해당 차량의 도착 사실을 전달하는 센서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흘수센서부는; 선박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단부는 선박 외부의 수면 상부로 개방되고, 하단부는 수면 하부로 개방되어, 그 내부로 도입된 물의 수위를 기초로 현재 흘수선의 위치를 나타내 보이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흘수센서부는; 선박의 외벽면에 배치된 상태로 수면의 높이를 감지하여 흘수선의 위치를 파악하는 다수의 수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흘수센서부는; 선박의 선수부 양측, 선미부 양측, 중앙부 양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중앙컴퓨터를 통한 계산 결과 복원력이 안전범위를 벗어날 때, 작업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부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컴퓨터는, 지상의 관리서버와 접속되며, 현재의 선박의 상태 및 복원력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은, 화물의 적재 시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화물의 개별 중량은 물론 해당 화물이 적재된 수평 및 수직위치 정보와, 화물의 중량에 의한 흘수의 변화 정보를 중앙컴퓨터로 보내어, 중앙컴퓨터가 복원력 계산 소프트웨어를 통해 선박의 복원력을 자동으로 산출하게 함으로써, 선박의 복원력 관련 사항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운항 중에도, 흘수센서부를 이용해 흘수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연료나 선내 물의 소모 정도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를 실시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알맞은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운항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인 흘수센서부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한 흘수센서부의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온보드계근부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도 6의 40)은, 선박 자체에 온보드계근부와 흘수센서부와 진입측인식부와 선척층수확인부 등의 측정 및 감지용 구성요소를 설치하고, 상기 구성요소를 중앙컴퓨터에 연결하여, 중앙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선박의 복원력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목적 및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화물창이 구비되어 있는 선박의 화물출입구 내측에 위치하며, 화물출입구를 통해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선적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온보드계근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를 통과한 후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선적대상물의 고유성(固有性)을 파악하는 진입측인식부와, 상기 선박의 내부로 진입한 선적대상물의 최종 선적 층수를 파악하는 선척층수확인부와, 상기 선박의 흘수(吃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선적대상물의 위치에 따른 흘수변화를 감지하는 흘수센서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와 진입측인식부와 선적층수확인부와 흘수센서부가 파악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으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복원력 계산 소프트웨어를 통해 선적대상물의 중량과 선적위치에 따른 선박의 복원력을 파악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40)의 일부 구성요소인 흘수센서부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물위에 떠 있는 선박(10)의 벽면에 다수의 흘수센서부(20)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흘수센서부(20)는 선박(10)의 흘수를 실시간 감지하고 감지한 데이터를 중앙컴퓨터(도 6의 4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종전에는 선박의 외측면에 마킹되어 있는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흘수를 가늠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자동 계산 시스템은, 흘수 자체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흘수를 자동을 센싱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행 중에도 필요시 또는 수시로 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흘수센서부(20)는 선박의 선수부와 선미부와 중앙부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두 6개소에 배치된 상태로 화물의 선적시 무게 변화에 따른 선박의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말하자면, 화물을 선적하는 동안 선박(10)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한쪽으로 경사지는지 등의 상황을 센싱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흘수센서부(20)의 구성이나 작동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선박(10)의 화물출입구(도 5의 17) 내측에는 온보드계근부(30)와 진입측인식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온보드계근부(30)는 부두(B)에 걸쳐 있는 출입경사판(11)을 통과해 선박(10) 내부로 진입한 선적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선적대상물은, 화물을 싣고 있는 차량 또는 비화물용 차량을 포함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적대상물을 차량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온보드계근부(30)는 선박(10)으로 진입하는 모든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중앙컴퓨터(45)로 전달한다. 또한 진입측인식부(41)는 온보드계근부(30)와 동시에 작동하여 현재 무게가 측정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인식 정보를 중앙컴퓨터(45)로 보낸다. 중앙컴퓨터(45)는 무게를 측정한 차량의 번호와 무게를 매칭 및 기억한다.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한 흘수센서부(20)의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흘수센서부(20)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하단부가 선박(10)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표시부(20a)와, 표시부(20a)에 나타난 수위를 감지하여 중앙컴퓨터(45)로 전달하는 수위센서(20c)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20a)는, 선박의 내측에 설치된 투명한 파이프형 부재로서, 그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수면이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표시부(20a)의 상단부는 선박 외부의 수면 상부로 개방되고, 하단부는 수면 하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선박 외부의 물은 표시부(20a)의 내부로 유입하며 표시부(20a) 내에서 수면(A)의 위치, 즉 수위(z)를 나타낸다. 선박의 바닥면에 대한 표시부(20a)의 높이는 알고 있으므로, 상기 수위(z)를 통해 현재의 흘수를 계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면부호 20b는 눈금이다. 상기 눈금(20b)을 통해 흘수를 센치미터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수위센서(20c)는 표시부(20a)가 디스플레이하는 수위(z)를 읽는 역할을 한다. 즉 현재의 수위(z)가 얼마인지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흘수센서부(20)는 다수의 수면감지센서(20d)를 포함한다. 수면감지센서(20d)는 다수 개가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현재 수면의 위치를 감지하여 중앙컴퓨터(45)로 전달한다. 각각의 수면감지센서(20d)는 그 자신이 물속에 잠겼는지 수면위로 노출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온보드계근부(3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선박의 바닥부(12)에 설치공간부(13)가 마련되어 있고, 설치공간부(13) 내측에 온보드계근부(3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설치공간부(13)는 선박의 화물출입구(17) 내측의 바닥부(12)에 형성되며 온보드계근부(30)를 설치하기 위한 홈이다. 설치공간부(13)의 깊이는, 설치된 온보드계근부(30)의 상면이 바닥부(12)과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설계된다.
상기 온보드계근부(30)는 화물출입구(17)를 통해 선박(10)의 내부로 진입한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설치공간부(13)의 내측에 위치하며 화물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계근판(31)과, 계근판(31)에 가해진 하중을 계산하는 하중측정부를 구비한다. 하중측정부가 측정한 데이터는 중앙컴퓨터(45)로 즉시 전달된다.
상기 계근판(31)은 차량이 그 위에 올라서는 수평의 강철플레이트로서, 지상의 계근소에 배치되는 일반적인 계근판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중측정부는, 계근판(31)의 하부에 설치되며 계근판(31)을 통해 전달되는 차량의 수직 하중을 계량하는 다수의 하부저울(32)과, 계근판(31)의 측부에 위치하며 계근판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계량하여 수직하중으로 환산하는 다수의 측부저울(33)을 포함한다.
하부저울(32)은 계근판(31)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계근판(31)을 통해 전달되는 차량의 수직하중을 측정한다. 상기 측부저울(33)은, 계근판(31)의 측부를 둘러싸며 설치공간부(13)의 내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계근판(31)에 측방향 하중이 가해질 때의 힘을 측정한다. 계근판(31)에 측방향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측부저울(33)은 동작하지 않는다.
계근판에 측방향 하중이 가해질 때는 선박이 기울어질 때 이다. 즉, 상기 측부저울(33)을 적용한 이유는 선박이 흔들려 계근판(31)이 기울어질 것을 대비한 것이다. 선박(10)이 정박하고 있더라도, 물위에 떠 있는 이상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아 흔들릴 수 있으므로, 선박의 흔들림에 따라 계근중의 계근판(31)도 기울어질 수 있다.
계근판(31)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어진 방향으로 차량의 하중이 편중되고, 편중된 힘은 측부저울(33)에 의해 측정된다. 측부저울(33)이 측정한 데이터는 그 자체가 차량의 하중이 아니므로, 수직하중으로 환산된 후 중앙컴퓨터(45)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의 구동 원리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10)의 내부에 화물창(10a)이 배치되어 있다. 화물창(10a)은 선적된 화물이 밀집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다층구조를 이루는 바닥부(12)을 갖는다. 상기 바닥부(12)은 층별통로(15)를 통해 개방된다. 층별통로(15)를 통해 해당 층의 바닥부(12)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설명에서의 용어 바닥부(12)는 바닥부(12) 및 바닥부가 제공하는 선적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바닥부에 있어서, 위아래 바닥부(12)는 층간이동로(14)를 통해 연결된다. 층간이동로(14)는 차량이 주행하는 경사로로서, 마치 건물 주차장의 주차램프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물출입구(17)를 통해 1층으로 진입한 차량은 층간이동로(14)와 층별통로(15)를 통과해 원하는 층의 바닥부(12)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각 층별통로(15)에는 선적층수확인부(43)가 배치된다. 선적층수확인부(43)는 해당 층으로 올라온 차량의 번호를 확인하고, 그 사실을 중앙컴퓨터(45)로 전송한다. 각 층에 배치되어 있는 선적층수확인부(43)는 선박 내부로 진입한 모든 차량을 빠짐없이 감지한다.
중앙컴퓨터(45)는 선적층수확인부(43)로부터 전달된 차량 정보와, 진입측인식부(41)와 온보드계근부(30)를 통해 전달받았던 차량 정보를 대조하여, 말하자면, 조금 전 진입측인식부(41)를 통과한 몇 톤짜리 차량이 몇 층으로 올라갔는지 알아내며 알아낸 정보를 복원력 계산의 기초 자료로 사용한다.
참고로, 해당 층으로 진입을 마친 차량이, 선수측으로 갔는지 선미로 갔는지, 중앙부에 위치했는지 외곽부에 위치했는지 등은 흘수센서부(20)에 의해 파악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40)의 전체적인 구조 및 동작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차량이 출입경사판(11)을 넘어 선박(10)의 화물출입구(17)로 진입한 후 온보드계근부(30)위에 멈춘다. 온보드계근부(30)는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중앙컴퓨터(45)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진입측인식부(41)는 온보드계근부(30)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중앙컴퓨터(45)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앙컴퓨터(45)는 어떤 번호를 갖는 차량이 얼만큼의 중량이 나가는지 파악하고 저장한다.
상기 과정은 차량이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결국 선박(10) 내에 선적된 모든 차량의 번호와 해당 차량의 무게 정보는 중앙컴퓨터(45)에 빠짐없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온보드계근부(30)로부터 내려와 진입측인식부(41)의 하부를 통과한 차량은, 화물창(10a)의 층별 바닥부(12) 위의 빈공간에 채워진 상태로 결박된다. 차량은 당연히 최하층에서부터 채워진다. 화물창(10a)에 차량이 채워짐에 따라 선박의 흘수는 점차 커지며, 흘수의 변화는 상기한 흘수센서부(20)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된다. 참고로 차량이 바닥부(12)의 우현측으로 편중되면 우현측 흘수가 증가하고, 반대로 좌현측으로 편중되면 좌현측 흘수가 증가한다.
최하층의 공간이 채워진 후에는, 차량이 층간이동로(14)를 통해 2층으로 이동해 채워지고, 2층이 채워졌다면 3층으로, 3층이 채워졌다면 4층으로 이동하여 화물창을 채운다.
특히 2층 이상의 바닥부(12)에 선적되는 차량은, 해당층의 층별통로(15)를 통과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층별통로(15)에는 선적층수확인부(4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어떤 번호의 차량이 몇 층으로 진입하였는지는 바로 바로 파악 된다. 몇 톤짜리 화물이 수면으로부터 몇 미터 높은 지점에 위치했는지는, 중앙컴퓨터(45)에 의한 선박 복원력의 계산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인자이다.
상기한 선적과정을 통해, 중앙컴퓨터(45)에는, 몇 톤짜리 어떤 차량이 몇 층으로 올라 갔는지와, 해당 차량에 의해 선박의 흘수가 얼 만큼 변화했는지 등의 사항이 모두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는 중앙컴퓨터(45)가 선박의 복원력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기초자료이다.
결국, 중앙컴퓨터(45)는, 화물의 선적이 진행되는 동안 흘수센서부(20)를 통해 선박(10)의 기울기를 계속적으로 파악하며, 온보드계근부(30)와 진입측인식부(41)와 선박층수확인부(43)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선박의 복원력을 자동을 계산하며 화물의 선적이 잘못되고 있는지 파악한다. 중앙컴퓨터(45)는 선적하는 동안 선박(10)이 허용치 이상 기울어질 경우 경고부(47)를 작동시킨다. 경고부(47)는 알람이나 경광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선내 작업자에게 선박내 화물의 위치를 재조정하게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계산된 화물 적재량과 안전성을 나타내는 복원력값은, 지상에 위치한 지상관리서버(51)와,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운항관리실(53), 해양경찰서(55), 해양수산부(57), 재난안전센타(59)로 전달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선박 10a:화물창 11:출입경사판
12:바닥부 13:설치공간부 14:층간이동로
15:층별통로 17:화물출입구 20:흘수센서부
20a:표시부 20b:눈금 20c:수위센서
20d:수면감지센서 30:온보드계근부 31:계근판
32:하부저울 33:측부저울 40:자동계산시스템
41:진입측인식부 43:선적층수확인부 45:중앙컴퓨터
47:경고부 51:지상관리서버 53:운항관리실
55:해양경찰서 57:해양수산부 59:재난안전센터

Claims (10)

  1. 다층구조의 화물창이 구비되어 있는 선박의 화물출입구 내측에 위치하며, 화물출입구를 통해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선적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온보드계근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를 통과한 후 선박 내부로 진입하는 선적대상물의 고유성(固有性)을 파악하는 진입측인식부와;
    상기 선박의 내부로 진입한 선적대상물의 최종 선적 층수를 파악하는 선척층수확인부와;
    상기 선박의 흘수(吃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선적대상물의 위치에 따른 흘수변화를 감지하는 흘수센서부와;
    상기 온보드계근부와 진입측인식부와 선적층수확인부와 흘수센서부가 파악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으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복원력 계산 소프트웨어를 통해 선적대상물의 중량과 선적위치에 따른 선박의 복원력을 파악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대상물은, 화물을 싣고 있는 차량 또는 비화물용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측인식부와 선적층수확인부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계근부는;
    상기 선박의 화물출입구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화물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계근판과,
    상기 계근판에 가해진 하중을 계산하는 하중측정부를 구비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측정부는;
    계근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 하중을 계량하는 하부저울과,
    계근판의 측부에 위치하며 계근판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계량하여 수직하중으로 환산하는 측부저울을 포함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층수확인부는;
    상기 화물창의 각 층별 출입 통로에 배치되며, 해당 층으로 올라와 통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해당 차량이 상기 온보드계근부를 통해 계근된 차량임을 확인하고, 상기 중앙컴퓨터로 해당 차량의 도착 사실을 전달하는 센서부인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센서부는;
    선박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단부는 선박 외부의 수면 상부로 개방되고, 하단부는 수면 하부로 개방되어, 그 내부로 도입된 물의 수위를 기초로 현재 흘수선의 위치를 나타내 보이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센서부는;
    선박의 외벽면에 배치된 상태로 수면의 높이를 감지하여 흘수선의 위치를 파악하는 다수의 수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센서부는;
    선박의 선수부 양측, 선미부 양측, 중앙부 양측에 배치된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컴퓨터를 통한 계산 결과 복원력이 안전범위를 벗어날 때, 작업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부가 더 구비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컴퓨터는,
    지상의 관리서버와 접속되며, 현재의 선박의 상태 및 복원력을 실시간 전송하는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KR1020180024368A 2018-02-28 2018-02-28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KR10202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68A KR102027330B1 (ko) 2018-02-28 2018-02-28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68A KR102027330B1 (ko) 2018-02-28 2018-02-28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69A true KR20190103669A (ko) 2019-09-05
KR102027330B1 KR102027330B1 (ko) 2019-10-01

Family

ID=6794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68A KR102027330B1 (ko) 2018-02-28 2018-02-28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53B1 (ko) 2021-01-28 2023-01-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침몰안전성 요소 추정 및 침몰안전성 판별 방법
KR20240015873A (ko) 2022-07-28 2024-02-06 국립목포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어선의 침몰방지를 위한 안전성 평가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651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2695A (ko) 2014-08-20 2016-03-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복원성을 위한 실시간 자동 분석 시스템
KR20170071234A (ko) 2015-12-15 2017-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복원력 상실 판단 방법 및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자동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651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2695A (ko) 2014-08-20 2016-03-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복원성을 위한 실시간 자동 분석 시스템
KR20170071234A (ko) 2015-12-15 2017-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복원력 상실 판단 방법 및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자동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330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330B1 (ko) 선박 복원력 자동 계산 시스템
CN111444624A (zh) 一种港区内停靠船舶作业状态安全的判断方法及系统
US20150134293A1 (en) Capsize risk level calculation system
KR101736577B1 (ko)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arpov et al. The integration of the video monitoring, inertial orientation and ballast systems for container ship's emergency stabilization
USRE36971E (en) Method of determining and analyzing a ship's weight
House Seamanship techniques: shipboard and marine operations
KR20160022695A (ko) 선박의 복원성을 위한 실시간 자동 분석 시스템
Rahman et al. An innovation approach for improving passenger vessels safety level: overload problem
KR20180127976A (ko) 선박의 해치 커버(hatch cover)의 중량 및 컨테이너와 같은 그 위의 부하의 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배열과, 지지 부재(a support member)
JP4505395B2 (ja) 海上輸送監視システム
EP3254068B1 (en) Locking device for securing a corner casting of a container, as well as weigh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a container or a stack of containers
Karanassos Commercial Ship Surveying: On/Off Hire Condition Surveys and Bunker Surveys
Ivče et al. Ship’s cargo handling system with the optical fiber sensor technology application
KR101878202B1 (ko) 안벽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RU169161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остойчивости судна
WO2019197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vements of cargo while a vessel is en route
House Marine emergencies: for masters and mates
KR101606149B1 (ko) 선박 적재 화물 및 탑승객 계측 관리 시스템
Rahman et al. An Innovation Approach For Improving Borneo Inland Passenger Water Transport Safety Level: Overload Problem
KR102653419B1 (ko) 횡요 운동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의 안전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ng et al. Application of Embedded Sensor Systems to Improve Safety for Container Ships in Cargo Loading or Unloading Operations.
Kurniawan et al. English in Maritime Vocation
KR20220089749A (ko) 선박 계류 확인 시스템
Greening et al. Verification of onboard loading computer by laser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