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660A -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660A
KR20190103660A KR1020180024350A KR20180024350A KR20190103660A KR 20190103660 A KR20190103660 A KR 20190103660A KR 1020180024350 A KR1020180024350 A KR 1020180024350A KR 20180024350 A KR20180024350 A KR 20180024350A KR 20190103660 A KR20190103660 A KR 20190103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eacon
signal
sensor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169B1 (ko
Inventor
양성열
서영훈
오승택
윤석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169B1/ko
Priority to US16/253,419 priority patent/US11079460B2/en
Publication of KR2019010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및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비콘 및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만 비콘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과,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센서부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온/오프한다.

Description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 terminal}
본 발명은 비콘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비콘 및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비콘 및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만 비콘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 군사용으로 개발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은 최근 항법, 측량 및 지도제작 등의 민간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수신기를 측위 센서로 이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Service)도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GPS 수신기는 실내, 고층빌딩이 많은 도심지역, 지하주차장, 지하철 및 터널 등지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GPS 수신기는 실내에서 사용자에게 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에 비콘을 설치하고, 비콘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고자 하는 단말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비콘은 비콘 신호를 계속해서 송신하게 된다. 즉, 비콘은 위치에 변화가 없더라도 계속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게 되어 비콘의 배터리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콘 또는 단말에 부착되는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비콘 또는 단말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만 비콘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과,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과, 단말에 부착되어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고, 단말은 제1 센서부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온/오프한다.
여기서, 제1 센서부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모션센서 및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수신 모드를 온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은 감지 신호가 변화되지 않으면 수신 모드를 오프한다.
또한, 비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센서부는 비콘에 부착된다.
또한, 제2 센서부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모션센서 및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비콘은 제2 센서부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비콘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비콘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단말은 비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를 기초로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측정부가 판단한 단말의 위치를 중앙 제어부로 전송한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비콘과,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비콘은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비콘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단말은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를 기초로 비콘의 위치를 판단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는 단말이 이동하더라도 정확한 위치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는 비콘이 이동하는 경우에만 비콘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므로 비콘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는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만 비콘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므로 단말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이동한 경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이 이동한 경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및 단말이 이동한 경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100)는 비콘(110), 단말(120), 제1 센서부(130), 제2 센서부(140), 측정부(150) 및 중앙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110)은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비콘(110)은 비콘(110)의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120)에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110)은 다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비콘(110)은 각각의 위치에서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비콘(110)과 단말(120)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비콘(110)은 제2 센서부(140)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30)는 단말(120)에 부착되어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30)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모션센서 및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30)가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 신호는 단말(120)의 이동 여부, 단말(120)이 이동한 거리나, 이동한 방향 등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센서부(130)는 주기적으로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단말(120)이 이동하지 않은 경우 감지 신호는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다. 반면, 단말(120)이 이동하는 경우 감지 신호는 변화될 수 있다.
단말(12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20)은 제1 센서부(130)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모드는 단말(120)이 비콘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드를 온/오프하는 것은 단말(120)의 블루투스를 온/오프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20)은 단말(120)이 움직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 모드를 온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단말(120)은 단말(120)이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 모드를 오프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온/오프하여 단말(120)이 이동하지 않았음에도 불필요하게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부(130)가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 제1 센서부(130)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일정하면, 단말(120)은 단말(120)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모드를 오프할 수 있다.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오프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 센서부(130)가 단말(130)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 제1 센서부(130)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단말(120)은 단말(120)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모드를 온할 수 있다.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온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2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단말(120)은 비콘(110)이 출력하는 비콘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단말(120)은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단말(120)이 이동하는 방향, 이동 거리 및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단말(120)이 이동한 경우에만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단말(120)은 비콘들(11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를 기초로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는 측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은 수신하는 비콘 신호가 많을수록 측정부(150)는 단말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측정부(150)는 다수의 위치에서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에 기초하여 단말(120)과 각 비콘들(110)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단말(120)과 비콘들(110)간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부(150)는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여 중앙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60)는 측정부(150)에서 전송받은 단말(120)의 위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40)는 비콘(110)에 부착되어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40)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모션센서 및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40)가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 신호는 비콘(110)의 이동 여부, 비콘(110)이 이동한 거리나, 이동한 방향 등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센서부(140)는 주기적으로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비콘(110)이 이동하지 않은 경우 감지 신호는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다. 반면, 비콘(110)이 이동하는 경우 감지 신호는 변화될 수 있다.
비콘(110)은 제2 센서부(140)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비콘(110)은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감지 신호가 변화되지 않으면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비콘(110)은 비콘(110)이 움직인 것으로 것으로 판단되면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은 비콘(110)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측정부(150)는 새로 수신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부(140)는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 제2 센서부(140)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일정하면 비콘(110)은 비콘(110)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2 센서부(140)가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 제2 센서부(140)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비콘(110)은 비콘(110)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비콘(110)이 이동한 경우 비콘(110)은 계속적으로 비콘 신호를 출력하고 단말(12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정확하게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콘(110)은 비콘(110)이 이동한 경우에만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송신하므로 비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콘(110)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130)의 감지 신호가 변화되고, 제2 센서부(140)의 감지 신호도 변화되는 경우, 단말(120) 및 비콘(110)이 모두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비콘(110)은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12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모드를 온하여 비콘(110)이 송신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이동한 경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콘(11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비콘(112) 및 제2 비콘(114)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은 제1 비콘(112) 및 제2 비콘(114)의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단말(120)에는 제1 센서부(130)가 부착되어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이 제1 위치(10)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1 센서부(130)의 제1 감지 신호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단말(120)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감지 신호를 통해 단말(120)이 정지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오프할 수 있다.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오프하여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단말(120)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음에도 불필요하게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120)의 배터리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이 제1 위치(10)에서 제2 위치(20)로 이동한 경우 제1 센서부(130)의 감지 신호는 변화될 수 있다. 단말(120)은 변화된 감지 신호를 통해 단말(120)이 이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고,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온할 수 있다.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온하여 비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단말(120)의 위치가 변하였으므로, 변화된 위치를 다시 판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150)는 제1 비콘(112) 및 제2 비콘(114)에서 각각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고, 단말(120)의 위치를 중앙 제어부(160)에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60)는 전송받은 단말(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제어부(160)는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랫폼일 수 있고, 이러한 플랫폼은 스마트 팩토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창고 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선반에 비콘(110)이 부착되고 물건 각각에 단말(120)이 부착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건이 이동하게 되면 단말(120)은 제1 센서부(130)를 통해 물건이 이동하였음을 판단하여 수신 모드를 온할 수 있다. 비콘(11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므로, 단말(120)이 수신 모드를 온하면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20)은 비콘 신호를 통해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고, 중앙 제어부(160)에 단말(12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60)는 전송된 단말(120)의 위치를 통해 물건이 어느 선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이 이동한 경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20)은 비콘(110)의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비콘(110)에는 제2 센서부(140)가 부착되어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110)이 제3 위치(30)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2 센서부(140)의 제2 감지 신호는 일정할 수 있다. 비콘(110)은 일정하게 나타나는 제2 감지 신호를 통해 비콘(110)이 정지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비콘(110)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음에도 불필요하게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콘(110)의 배터리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비콘(110)이 제3 위치(30)에서 제4 위치(40)로 이동한 경우 제2 센서부(140)의 제2 감지 신호는 변화될 수 있다. 비콘(110)은 변화된 제2 감지 신호를 통해 비콘(110)이 이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고, 비콘(110)은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비콘(110)의 위치가 변하였으므로, 변화된 위치에서 비콘(110)과 단말(120)간의 거리를 다시 판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잇다.
측정부(150)는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단말(120)의 위치를 중앙 제어부(16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제어부(160)는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랫폼일 수 있고, 이러한 플랫폼은 스마트 팩토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창고 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선반에 단말(120)이 부착되고 물건 각각에 비콘(110)이 부착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건이 이동하게 되면 비콘(110)은 제2 센서부(140)를 통해 물건이 이동하였음을 판단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120)은 비콘(110)이 송신한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고, 중앙 제어부(160)에 단말(12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60)는 전송된 단말(120)의 위치를 통해 물건이 어느 선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및 단말이 이동한 경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20)은 비콘(110)의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단말(120)에는 제1 센서부(130)가 부착되어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비콘(110)에는 제2 센서부(140)가 부착되어 비콘(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이 제1 위치(10)에 정지하고 있고, 비콘(110)이 제3 위치(30)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1 센서부(130)의 감지 신호 및 제2 센서부(140)의 감지 신호는 일정할 수 있다. 단말(120)은 일정하게 나타나는 감지 신호를 통해 단말(120)이 정지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비콘(110)은 일정하게 나타나는 감지 신호를 통해 비콘(110)이 정지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단말(120) 및 비콘(110)이 모두 이동하지 않았으므로 비콘(110)은 불필요하게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고,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오프하여 불필요하게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이 제1 위치(10)에서 제2 위치(20)로 이동하고, 비콘(110)이 제3 위치(30)에서 제4 위치(40)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센서부(130)의 감지 신호 및 제2 센서부(140)의 감지 신호는 변화될 수 있다. 단말(120)은 변화된 감지 신호를 통해 단말(120)이 이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고, 비콘(110)은 변화된 감지 신호를 통해 비콘(110)이 이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단말(120) 및 비콘(110)이 모두 이동하였으므로 비콘(110)은 단말(12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120)은 수신 모드를 온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20) 및 비콘(1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비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도록 하여 단말(120) 및 비콘(110)의 배터리가 절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콘 및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비콘 및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만 비콘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110: 비콘
120: 단말
130: 제1 센서부
140: 제2 센서부
150: 측정부
160: 중앙 제어부
10: 제1 위치
20: 제2 위치
30: 제3 위치
40: 제4 위치

Claims (11)

  1.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센서부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온/오프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모션센서 및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상기 수신 모드를 온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감지 신호가 변화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를 오프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비콘에 부착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모션센서 및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상기 제2 센서부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변화되면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비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부가 판단한 상기 단말의 위치를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10.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비콘; 및
    상기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비콘의 위치를 판단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KR1020180024350A 2018-02-28 2018-02-28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KR10206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50A KR102067169B1 (ko) 2018-02-28 2018-02-28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US16/253,419 US11079460B2 (en) 2018-02-28 2019-01-22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50A KR102067169B1 (ko) 2018-02-28 2018-02-28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60A true KR20190103660A (ko) 2019-09-05
KR102067169B1 KR102067169B1 (ko) 2020-01-17

Family

ID=6794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50A KR102067169B1 (ko) 2018-02-28 2018-02-28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08B1 (ko) * 2020-05-11 2021-06-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접근 기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42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식 비콘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70005094A (ko) * 2014-05-13 2017-01-1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비콘과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간 보안 연결 검증
KR20170024869A (ko) * 2015-08-26 2017-03-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522A (ko) * 2016-06-23 2018-01-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체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094A (ko) * 2014-05-13 2017-01-1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비콘과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간 보안 연결 검증
KR20160025942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식 비콘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70024869A (ko) * 2015-08-26 2017-03-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522A (ko) * 2016-06-23 2018-01-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체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08B1 (ko) * 2020-05-11 2021-06-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접근 기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169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415B1 (ko) 센서들에 대한 파워 모드 제어
US201102918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uracy of location information
US109558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n autonomous vehicle
US10735898B2 (en) Device for determining location of terminal
US200901745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objects
US20170160401A1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Having Location Assistance from Neighboring Vehicles
KR20150051747A (ko) 차량의 위치 결정 방법
WO2018225677A1 (ja) マーカシステム及び運用方法
JP2007316028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装置
KR102273705B1 (ko) 칼만 필터 알고리즘에 따른 예측 및 업데이트 동작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67169B1 (ko) 단말의 위치 판단 장치
KR101135201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속도 위치 정보를 이용한 수신신호강도 기반 위치 측정 방법 및 위치측정 시스템
JP2014142185A (ja) 車載装置、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80052831A (ko) 실내 및 실외 연속 측위 측정 장치 및 방법
US93680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vehicle within a parking facility
KR20100059214A (ko) 실내외 위치 인식 장치
KR102142923B1 (ko) 공간좌표 측위 시스템
KR20090036924A (ko) 지피에스 좌표보정 시스템 및 방법
US11079460B2 (e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terminal
KR20200119092A (ko) 차량 및 차량의 위치 검출 방법
JP4055716B2 (ja) 電波送信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210190968A1 (en) Self-calibrating infrastructure sensor
KR100372509B1 (ko) 혼합항법시스템 및 그 위치데이터 처리방법
JP612878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21420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3차원 매핑 및 위치 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