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958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958A
KR20190102958A KR1020180091162A KR20180091162A KR20190102958A KR 20190102958 A KR20190102958 A KR 20190102958A KR 1020180091162 A KR1020180091162 A KR 1020180091162A KR 20180091162 A KR20180091162 A KR 20180091162A KR 20190102958 A KR20190102958 A KR 2019010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toy
main body
top to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호리코시
다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19010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6Diabolos or similar thrown and caught spinning tops; Throwing and catching devices therefor
    • A63B67/165Diabolos or similar thrown and caught spinning tops; Throwing and catching devices therefor the diabolo being able to rotate freely in one direction only, e.g. fitted with an over-running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흥취성이 풍부한 공격 양태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를 제공한다.
축부(10)와 축부(10)에 설치되는 본체부(50)와, 이 본체부(50)의 외주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는 장착 부재(60)를 구비하고,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외주부의 형상이 변화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SPINNING TOP TOY}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팽이 완구의 이동 양태를 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축부의 상측에,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기능을 구비한 몸통체가 설치된 구조의 팽이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5170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팽이 완구에서는, 그 공격 양태가 몸통체를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시킬 뿐인 단순한 것이며, 그 점에서 흥취가 결여되는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흥취성이 풍부한 공격 양태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수단은,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외주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장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외주부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팽이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장착 부재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장착 부재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킴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는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상기 축부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소정량 회전함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에는, 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4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5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그 직경이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6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그 외부 형상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 형상과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7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장착 부재가 분리된 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더 받음으로써 상기 축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이 완구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장착 부재를 갖고, 장착 부재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외주부의 형상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면, 그 충격에 의해 장착 부재가 본체부로부터 빠져, 팽이 완구의 형상이나 특성 등이 변화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팽이 완구에 의해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양한 베리에이션이 있는 공격, 배틀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져, 흥취성이 풍부한 공격 양태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팽이 완구에 로크 기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지 않는 한, 팽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장착 부재의 상대 이동이 저지되어 본체부에 대한 장착 부재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런처에 의해 팽이 완구를 발사할 때 등에 장착 부재가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로크 기구는, 장착 부재가 본체부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장착 부재가 빠지는 상태로 된다.
또한, 장착 부재에 추를 구비한 경우에는, 장착 부재가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갖기 때문에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즉시 착지한다. 이 때문에, 장착 부재가 멀리에 날아가 주위의 사람에게 맞거나, 분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 부재가 일체로서 본체부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문에, 장착 부재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분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를 본체부에 설치할 때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의 직경을 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해 둠으로써,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의해 공격을 받았을 때에는 본체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장착 부재가 먼저 충격을 받아, 본체부보다 먼저 분리된다. 이에 의해, 장착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와 분리 후의 상태에서, 형상이나 크기가 상이한 팽이 완구에 의한 공격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의 직경을 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장착 부재를 본체부의 외주에 장착하거나, 장착 부재의 외부 형상을 본체부의 외부 형상과 상이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장착 부재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몸통체의 형상이나 크기, 그 공격력, 방어력 등이 크게 변화된다. 이 때문에, 장착 부재의 분리 전후에서 마치 종류가 상이한 팽이 완구로 공격하는 것과 같은 변화가 풍부한 공격 양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가 분리된 후,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본체부가 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장착 부재의 분리와 본체부의 분리라고 하는 2단계에서의 팽이 완구의 분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층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고, (b)는 그 놀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몸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로부터 장식 커버체 및 압박 링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팽이 완구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 있어서의 축부, 성능 가변 링 및 몸통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로부터 장식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팽이 완구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1의 (b)는 그 놀이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이른바 팽이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구체적으로, 이 팽이 완구(1)는,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도 1의 (b)와 같이 분해시켜 승리하는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팽이 완구(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를 구성하여 드라이버가 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몸통체(40)는 성능 가변 링(30)을 통해 축부(10)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세부 구성》
1. 축부(10)에 대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0)는, 하단부에 회전축(11), 상하 방향 중간부에 플랜지(12), 상부에 원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플랜지(12)와 원통부(13)는 일체로 형성되고 축부 상부를 구성하고, 이 플랜지(12) 및 원통부(13)는 축부 하부에 대해 비스(도시 생략)로 고정되어 있다.
축부 하부는, 플랜지(12)측으로부터 회전축(11)의 선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진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대략 역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는, 상하 방향을 따른 팽이 완구(1) 전체의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축(11)의 축선(Ax)(이하, 단순히 「축선(Ax)」이라고 함)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부 하부에는, 플랜지(12)의 구멍(14)에 대응한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a)는 플랜지(12)의 구멍(14)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돌기(11a)의 상면은 후술하는 시트부를 구성한다.
또한, 원통부(13)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의 외면은 플랜지(12)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부 하부에는, 돌출부(15)에 대응한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5, 11b)의 개소에서 축부 하부에 플랜지(12) 및 원통부(13)가 비스(도시 생략)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기둥체(16)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도 2에서는, 상면만 도시). 이 원기둥체(16)의 기단부는 축부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은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원통부(13)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부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는 원통 형상의 압박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압박 부재(18)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제여도 된다. 이 압박 부재(18)는, 원통부(13)의 내측에 원기둥체(1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압박 부재(18)를 비스듬히 상측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18)는, 원통부(18a)와, 천장부(18b)와, 다리부(18c)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18a)의 상단에 천장부(18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천장부(18b)에는, 원기둥체(16)의 상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18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8a)의 외주 하단부에 다리부(1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18c)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18c)는, 원통부(18a)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부(180c), 수평부(180c)의 선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181c)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압박 부재(1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8c)가 상기 구멍(14)에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구멍(14)은, 상하 방향의 치수가 다리부(18c)의 길이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압박 부재(18)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박 부재(18)는, 다리부(18c)가 구멍(14)의 상부 테두리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보통 때에는, 압박 부재(18)의 상단은 원통부(13)의 상단과 동일 높이 위치에 있다.
또한, 압박 부재(18)의 천장부(18b)의 상면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플라이 휠이 사용되고 있다.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성능 가변 링(30)은 대략 원환 판상을 이루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플랜지(12)가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단차부(도시 생략)가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2)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2)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설편(34)은 돌출부(3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 휠 대신에, 혹은 플라이 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공격해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오목부가 있어 상대방의 팽이 완구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을 사용해도 된다.
3. 몸통체(40)에 대해
몸통체(40)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체(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체(40)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 형상 슬릿(46)이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각 호 형상 슬릿(46)의 주위 방향 길이는 설편(34)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몸통체(40)는, 본체부(50)와, 이 본체부(50)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는 장착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몸통체(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50)는 대략 원반 형상의 기체(51)와, 기체(51)의 상측에 배치되는 압박 링(52) 및 장식 커버체(53)와, 장식 커버체(53)를 기체(51)에 거는 걸림 부재(54)를 갖고 있다.
기체(51)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주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51)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호 형상 슬릿(46a)이 형성되어 있다. 호 형상 슬릿(46a)는 후술하는 장식 커버체(53)에 설치되어 있는 호 형상 슬릿(46b)과 함께, 몸통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을 구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팽이 완구(1)를 조립할 때에는,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끼워 맞춤 상태로 조립 장착하여 형성된 조립 장착체를 몸통체(40)에 설치하지만, 이때, 조립 장착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몸통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의 소정의 측의 단부에 합치시킨다(도 5의 (b) 참조).
기체(51)의 한 쌍의 호 형상 슬릿(46a) 중 한쪽에는, 팽이 완구(1)의 조립 시 결합 상태에 있어서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이 충돌되는 측의 단부(이하, 이것을 「충돌 단부」라고 함)의 근방이며 호 형상 슬릿(46a)의 충돌 단부의 연장선 상에 축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 구멍(511)에는, 스토퍼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 부재(55)는, 설치 상태에 있어서 축선(A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부(551)와, 이 축부(551)의 상부에 설치된 대략 V자 형상의 V자 걸림부(552)를 갖고 있고, 축부(551)가 축 구멍(511)에 설치됨으로써, V자 걸림부(552)가 축부(551)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호 형상 슬릿(46a)에는, 호 형상 슬릿(46a)의 원호 형상을 따르는 홈부(512)가 충돌 단부에 연속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12)에는, 스토퍼 압박 부재(56)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 압박 부재(56)는, 홈부(512)의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된 다리부(561)와, 이 다리부(561)의 상부에 설치된 대략 Y자형의 압박부(562)를 갖고 있고, 홈부(512)에 다리부(561)가 삽입되어, 홈부(5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박부(562)는, 스토퍼 부재(55)와 대치하는 측의 형상이 V자 걸림부(552)에 있어서의 스토퍼 압박 부재(56)와 대치하는 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 압박 부재(56)는, 설편(34)이 충돌 단부에 충돌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스토퍼 부재(55)를 향해 압박되도록 되어 있고, 스토퍼 압박 부재(56)의 Y자형의 압박부(562)가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와 끼워 맞추어지는 방향으로 맞닿아, V자 걸림부(552)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고정한다. 이에 의해,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의 일부가, 후술하는 장착 부재(60)의 걸림 오목부(62)에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이 완구(1)는, 후술하는 런처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후술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귄취가 행해지고, 이 귄취 방향(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시계 방향, 도 8 참조)과는 반대의 회전력이 팽이 완구(1)에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팽이 완구(1)는, 이러한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설편(34)의 이동 방향(충돌 방향, 반시계 방향)과는 역방향(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토퍼 부재(55) 및 스토퍼 압박 부재(56)는, 팽이 완구(1)에 이러한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팽이의 회전 방향(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의 장착 부재(60)의 본체부(5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저지하여 장착 부재(60)의 본체부(50)에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킴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는 로크 기구(550)를 구성한다.
기체(51)의 한 쌍의 호 형상 슬릿(46a)에 있어서의 축선(Ax)에 가까운 측의 면(즉, 내측면)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위치에 각각 오목부(51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13)에는, 후술하는 걸림 부재(54)의 암부(542)(도 4 참조)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걸림 부재(54)의 축선(Ax)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됨과 함께, 호 형상 슬릿(46a)의 내측면이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어, 설편(34)이 암부(542)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걸림 부재(54)의 돌기부(543)(도 4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돌기부(543)의 단면 형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각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 구멍(51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14)은, 걸림 부재(54)가 기체(51)에 조립 장착되었을 때에 하방으로부터 돌기부(543)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기체(51)의 중앙에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둥근 구멍(5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둥근 구멍(515)의 내주면 하단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갈고리(516)(도 4 참조)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51)의 하단면 중, 둥근 구멍(515)에 연속되는 중앙부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요철이 연속해서 형성되고, 축부(10)의 상기 돌조(21)에 맞물리는 기복부(517)(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 링(52)은,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환상의 부재이며, 기체(51)의 호 형상 슬릿(46a)보다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압박 링(52)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 기체(51)에 끼워 맞추어져 이것과 일체화되고, 기체(51)로부터 독립된 주위 방향의 자유로운 회전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압박 링(52)은, 그 외경이 장착 부재(6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장착 부재(60)의 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51)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의 적어도 일부에 씌워지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V자 걸림부(552)가 스토퍼 압박 부재(56)에 압박되어 V자 걸림부(552)의 일부가 장착 부재(60)의 걸림 오목부(62)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V자 걸림부(552) 중 적어도 걸림 오목부(62)에 끼워져 있는 부분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V자 걸림부(552)의 일부가 장착 부재(60)의 걸림 오목부(62)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압박 링(52)은 장착 부재(60)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돌출 걸림부(61)의 적어도 일부에 씌워져, 장착 부재(60)가 상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압박 링(52)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노치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521)는, 장착 부재(60)의 돌출 걸림부(61)의 주위 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압박 링(52) 중 노치부(521)가 돌출 걸림부(6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돌출 걸림부(61)의 상방이 해방되어(도 7의 (b) 참조), 장착 부재(60)가 상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장식 커버체(53)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부재이다. 장식 커버체(53)는, 예를 들어 투명한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체(5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장식 커버체(53)는, 압박 링(52)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갖고 있고, 압박 링(52)이 장착된 기체(51)의 상면이며 압박 링(52)의 내측에 배치된다. 장식 커버체(53)를 설치함으로써, 기체(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 부재(55) 및 스토퍼 압박 부재(56)가 장식 커버체(53)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압박되어, 스토퍼 부재(55) 및 스토퍼 압박 부재(56)가 상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장식 커버체(53)에는, 기체(51)의 호 형상 슬릿(46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호 형상 슬릿(46b)이 형성되어 있다. 호 형상 슬릿(4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51)의 호 형상 슬릿(46a)과 함께, 몸통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을 구성한다.
또한, 기체(51)의 호 형상 슬릿(46a)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51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513)와 마찬가지인 오목부(53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13)와 마찬가지로, 오목부(531)에 걸림 부재(54)의 암부(542)(도 4 참조)가 끼워짐으로써, 걸림 부재(54)의 축선(Ax)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됨과 함께, 호 형상 슬릿(46b)의 내측면이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어, 설편(34)이 암부(542)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커버체(53)에는, 기체(51)의 관통 구멍(5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부재(54)의 돌기부(543)(도 4 참조)의 삽입 단부측이 삽입되는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걸림 부재(54)가 기체(51)에 조립 장착되었을 때에는, 돌기부(543)는 기체(51)의 관통 구멍(514) 및 장식 커버체(53)의 구멍부를 관통하여 장식 커버체(53)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장식 커버체(53)의 하면에 구멍부 대신에 장식 커버체(53)의 상면까지 관통하지 않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돌기부(543)의 삽입 단부측이 장식 커버체(53)의 오목부 내에 머물러 장식 커버체(53)의 표면에는 노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543)를 장식 커버체(53)의 이면까지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하고, 장식 커버체(53)에는 돌기부(543)의 삽입 단부측을 수용하는 구멍부나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걸림 부재(54)는 기체(51)의 하측으로부터 기체(51)에 부착되고, 기체(51)과 장식 커버체(53) 및 기체(51)과 일체화된 압박 링(52)을 일체화시키고, 본체부(50)을 구성하는 것이다.
걸림 부재(54)는 환상의 본체(541)을 갖고 있다.
이 본체(541)의 외주이며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는, 암부(542)(도 4 참조)가 상방을 향해 기립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암부(542)는, 기체(51)의 오목부(513) 및 이것에 대응하는 장식 커버체(53)의 오목부(531)에 끼워 넣어져, 그 삽입 단부측이 장식 커버체(53)의 표면측에 노출된다.
암부(542)는, 다소의 스프링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암부(542)를 기체(51)의 오목부(513) 및 장식 커버체(53)의 오목부(531)에 끼워 넣음으로써 기체(51) 및 장식 커버체(53)에 걸린다.
또한, 본체(541)의 외주이며 암부(54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돌기부(543)(도 4 참조)가 상방을 향해 기립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543)는, 기체(51)의 관통 구멍(514)에 삽입된다. 또한, 장식 커버체(53)에도 관통 구멍(5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543)를 수용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기부(543)는 구멍부(514)를 관통하여 장식 커버체(53)의 구멍부에도 삽입된다.
걸림 부재(54)는, 암부(542)가 기체(51)의 오목부(513) 및 장식 커버체(53)의 오목부(531)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축선(Ax)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지만, 또한 돌기부(543)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5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라도 암부(542)가 오목부(513) 및 오목부(531)로부터 빠져 위치 어긋남 등을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장착 부재(60)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환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는 기체(51)의 상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부재(60)의 내경은, 기체(51)의 상면에 배치된 장식 커버체(53) 및 압박 링(52)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장식 커버체(53) 및 압박 링(52)을 둘러싸도록 장착 부재(60)가 배치된다.
또한, 장착 부재(60)의 배치 위치 등은 여기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착 부재(60)의 내경을 기체(5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장착 부재(60)가 기체(51) 또는 기체(51)를 구비하는 본체부(50)의 외주에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장착 부재(60)는, 그 외경이 본체부(50)의 외경보다 커, 장착 부재(60)의 외주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장착 부재(6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팽이 완구(1)가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 접촉·충돌하였을 때에는, 먼저 장착 부재(60)의 외주면이 상대의 팽이 완구에 접촉하고,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요철이 상대의 팽이 완구의 외주에 부딪침으로써 큰 충격을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장착 부재(60)는, 그 외부 형상이 본체부(50)(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기체(51))의 외부 형상과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의 (b),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부재(6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해, 본체부(50)(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기체(51))의 외주면은 비교적 요철이 적어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팽이 완구(1)에서는 외부 형상이 울퉁불퉁한 요철이 많은 형상인 쪽이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 부딪쳤을 때에 더 상대방에게 대미지를 줄 수 있어, 공격력이 높다. 이에 비해 외부 형상이 비교적 매끄러운 형상인 경우에는,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 부딪쳤을 때의 공격력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요철이 많은 형상인 경우보다 상대로부터 받는 충격도 받아넘기기 쉬워, 안정적으로 계속 회전하는 안정감이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상대방으로부터의 공격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울퉁불퉁한 요철이 많은 외부 형상을 갖는 장착 부재(60)가 먼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는 외부 형상이 비교적 매끄러운 형상인 본체부(50)와 축부(10)로 계속 회전한다. 이와 같이, 팽이 완구(1)는 게임 중에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외주부의 형상이 변화되어, 성질이 상이한 팽이 완구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장착 부재(60)에는, 추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방으로부터의 공격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장착 부재(60)가 먼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장착 부재(60)가 경량인 것이면 멀리까지 튀겨 날려져 버릴 우려도 있다. 그러나 장착 부재(60)에 추를 설치하여 어느 정도의 중량을 갖게 함으로써,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어도 바로 낙하하여, 분실 등의 우려가 없다.
또한, 장착 부재(60)에 추를 설치하여, 어느 정도의 중량을 갖게 함으로써, 장착 부재(60)가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부딪쳤을 때에 상대방에게 더 큰 충격을 부여할 수 있다.
장착 부재(60)의 내주면에는, 환상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Ax)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위치 2개소에 각각 돌출 걸림부(61)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돌출 걸림부(61)가 설치되는 위치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돌출 걸림부(61)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돌출 걸림부(61)는, 압박 링(52)의 노치부(521)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돌출 걸림부(61) 상에 노치부(521) 이외의 부분이 겹쳐 있는 상태(도 7의 (a) 참조)에서는 장착 부재(6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돌출 걸림부(61) 상에 노치부(521)가 배치된 상태(도 7의 (b) 참조)에서는 장착 부재(6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출 걸림부(61)의 돌출측의 단부에는, 걸림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 기구(550)의 V자 걸림부(552)가 걸림 오목부(62)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걸림 오목부(62)는, 요동하는 V자 걸림부(552)가 오목부 내에 끼워진 상태, 오목부 내로부터 빠진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코너부에 라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축부(10),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축부(10)의 조립은 이미 종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몸통체(4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몸통체(40)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기체(51)의 축 구멍(511)에 축부(551)를 삽입하여 스토퍼 부재(55)를 기체(51)에 설치한다. 또한, 홈부(512)에 다리부(561)를 끼워 넣어, 스토퍼 압박 부재(56)를 기체(51)에 설치한다.
그리고 장착 부재(60)를 기체(51) 상에 배치하고, 또한 기체(51) 상이며, 환상의 장착 부재(60)의 내측에 압박 링(52) 및 장식 커버체(53)를 배치한다. 이때, 압박 링(52)은 노치부(521)가 장착 부재(60)의 돌출 걸림부(61)로부터 빠진 위치에 오도록 배치됨과 함께, 노치부(521) 이외의 부분이 로크 기구(550)의 V자 걸림부(552)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겹치도록 배치된다(도 7의 (a) 참조).
이와 같이 기체(51) 위에 압박 링(52), 장식 커버체(53) 및 장착 부재(60)를 배치한 상태에서, 또한 걸림 부재(54)를 기체(51)의 하측으로부터 조립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암부(542)를 기체(51)의 호 형상 슬릿(46a) 내에 형성된 오목부(513) 및 장식 커버체(53)의 호 형상 슬릿(46b) 내에 형성된 오목부(531)에 끼워 넣음과 함께, 돌기부(543)를 기체(51)의 관통 구멍(514)(및 장식 커버체(53)에도 관통 구멍(514)에 대응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구멍부)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몸통체(4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축부(10),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오목부(33)에 합치시키도록 하여,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끼워 맞춤 상태로 조립 장착한다. 다음으로, 이 조립 장착체를 몸통체(40)에 하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조립 장착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몸통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의 소정의 단부에 합치시킨다(도 5의 (a) 및 도 6의 (a) 참조).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는, 축부(10)의 갈고리(17)와 몸통체(40)의 갈고리(516)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550)의 스토퍼 압박 부재(56)는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를 압박하고 있지 않고, V자 걸림부(552)는 장착 부재(60)의 돌출 걸림부(61)의 걸림 오목부(62)에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몸통체(40) 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먼저, 성능 가변 링(30)이 몸통체(40)의 하면에 압박된다. 또한, 축부(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수축하고, 축부(10)의 갈고리(17)가 몸통체(40)의 갈고리(516)보다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올려진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몸통체(40)에 대해 설편(34)이 상기 소정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즉, 충돌 단부)까지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도 5의 (b) 및 도 6의 (b) 참조). 이 경우의 회전은, 몸통체(40)와 성능 가변 링(30) 및 축부(10)와의 상대적인 회전이며, 도 5의 (b) 및 도 6의 (b)에서는, 성능 가변 링(30) 및 축부(10)에 대해 몸통체(40)측을 도 5의 (a) 및 도 6의 (a)의 상태로부터 회전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면, 축부(10)의 갈고리(17)와 몸통체(40)의 갈고리(516)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면, 축부(10) 내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축부(10)의 갈고리(17)의 하면과 몸통체(40)의 갈고리(516)의 상면이 맞닿는다.
축부(10)의 갈고리(17)의 하면과 몸통체(40)의 갈고리(516)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은, 호 형상 슬릿(46) 내에 배치되어 있는 스토퍼 압박 부재(56)를 이동 방향으로 압출하고, 스토퍼 압박 부재(56)의 압박부(562)는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에 맞닿아 이것을 이동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가 장착 부재(60)의 돌출 걸림부(61)의 걸림 오목부(62)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팽이의 회전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의 장착 부재(60)의 본체부(5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로크 기구(550)에 의해 저지되어, 장착 부재(60)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와의 결합이 완료되어, 팽이 완구(1)가 조립 상태로 된다.
《놀이 방법》
계속해서, 이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팽이 완구(1)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놀이 방법의 일례에서는, 팽이 완구(1)를 회전시켜, 도시하지 않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대전을 행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런처(80)에 의해 행해진다. 이 런처(8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태엽 스프링으로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함과 함께, 원판의 주위에 권회시킨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81)로 당기면, 원판이 회전되어, 팽이 홀더(8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83)의 회전은, 하방에 돌출 설치된 포크(84)에 의해 팽이 완구(1)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포크(84)는 몸통체(40)의 호 형상 슬릿(46)에 삽입된다. 그리고 런처(80)의 핸들(81)을 다 당기면, 원판, 나아가 팽이 홀더(83)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 더욱더 회전하므로, 포크(84)의 경사면(84a)을 따라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83)로부터 빠진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부호 82는, 팽이 홀더(83)에 대해 출몰 가능한 로드이다. 이 로드(82)는 팽이 홀더(83)에 팽이 완구(1)를 장착하였을 때에 팽이 완구(1)의 상면에 눌려 팽이 홀더(83) 내로 들어간다. 이 로드(82)는, 예를 들어 팽이 완구(1)의 착탈의 검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사된 팽이 완구(1)는 소정의 필드에서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서로 충돌한다. 이때, 팽이 완구(1)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인 몸통체(40)의 장착 부재(60)가 먼저 상대방의 팽이 완구의 몸통체와 충돌하여,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공격한다.
한편, 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 팽이 완구(1)의 장착 부재(60)에는, 축부(10) 및 이것에 성능 가변 링(30)을 통해 설치되어 있는 몸통체(40)의 본체부(5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즉, 팽이 완구(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반시계 방향. 도 7의 (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장착 부재(60)만이 축부(10) 및 본체부(5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이 약간 움직임으로써 로크 기구(550)의 스토퍼 압박 부재(56)에 의한 스토퍼 부재(55)의 V자 걸림부(552)의 압박이 해제되고, V자 걸림부(552)가 장착 부재(60)의 걸림 오목부(62)로부터 빠져 로크 해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돌출 걸림부(61)가 압박 링(52)의 노치부(5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올 때까지 장착 부재(60)가 회전 이동하면, 장착 부재(60)는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된다.
팽이 완구(1)는, 그 후 본체부(50)만으로 된 몸통체(40)와 축부(10)에 의해 계속 회전한다. 이 상태의 팽이 완구(1)는, 복수의 요철을 갖고 중량이 있는 장착 부재(60)가 분리된 만큼, 공격력은 저하되지만, 안정감이 증가하여, 당초의 팽이 완구(1)와는 성질이 상이한 팽이 완구로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의 대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몸통체(40)가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 다시 충돌하는 등에 의해 팽이 완구(1)가 더한층 충격을 받으면, 그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 몸통체(40)에는,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그것에 의해, 몸통체(40)가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몸통체(40) 하면의 기복부(517)에 돌조(21)가 맞물린다(도 6의 (b) 참조). 이 경우, 돌조(21)에는 축부(10) 내의 스프링의 가압력이 작용하므로,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몸통체(40)에 대해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맞물림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걸림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몸통체(40)의 갈고리(516)가 축부(10)의 갈고리(17)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축부(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몸통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1)는, 이전의 장착 부재(60)의 분리와, 본체부(50)만으로 된 몸통체(40)의 이반에 의해 2단계로 분해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팽이 완구(1)를, 2단계로 상이한 성질의 팽이 완구로 변화시켜,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대전시킬 수 있어, 더 베리에이션이 풍부한 대전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팽이 완구(1)의 몸통체(40)가, 본체부(50)와 장착 부재(60)로 이루어지고, 장착 부재(6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1)의 몸통체(40)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면, 그 충격에 의해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빠져, 팽이 완구(1)의 외주부의 형상이 바뀌어, 팽이 완구(1)의 성질(즉, 그 형상이나 특성 등)이 변화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팽이 완구에 의해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양한 패턴의 공격, 배틀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팽이 완구(1)에는 로크 기구(5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로크 기구(550)가 해제 상태로 될 때까지는 팽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장착 부재(60)의 상대 이동이 저지되어 본체부(50)에 대한 장착 부재(60)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런처(80)에 의해 팽이 완구(1)를 발사할 때 등, 의도하지 않은 단계에서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장착 부재(60)는, 추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도 바로 착지한다. 이 때문에, 장착 부재(60)가 멀리 날아가 주위 사람에게 맞거나, 분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60)가 중량을 가짐으로써, 장착 부재(60)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였을 때에는 큰 충격을 상대방에 부여할 수 있어, 큰 공격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60)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부재(60)가 일체적으로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문에,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분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60)가 일체적인 환상의 부재임으로써, 장착 부재(60)를 본체부(50)에 설치할 때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의 외경이 본체부(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의해 공격을 받았을 때에는 본체부(50)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장착 부재(60)가 먼저 충격을 받아, 본체부(50)보다 먼저 분리된다. 이에 의해, 장착 부재(6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와 분리 후의 상태에서, 팽이 완구(1)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어, 베리에이션이 풍부한 공격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의 외부 형상을 본체부(50)의 외부 형상과 상이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장착 부재(60)가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몸통체(40)의 형상이나 크기, 그 공격력, 방어력 등이 크게 변화된다. 이 때문에, 장착 부재(60)의 분리 전후에서 마치 종류가 상이한 팽이 완구(1)로 공격하는 것과 같은 변화가 풍부한 공격 양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가 분리된 후,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본체부(50)가 축부(10)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 부재(60)의 분리와 본체부(50)의 분리라고 하는 2단계로 팽이 완구(1)를 분해시킴으로써, 한층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가 빠진 후, 또한 충격을 받으면 본체부(50)만으로 된 몸통체(40)도 축부(10)로부터 분리되어, 팽이 완구(1)가 2단계로 분해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팽이 완구(1)는 2단계로 분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착 부재(60)만이 빠지고, 그 후는 회전력을 상실할 때까지 계속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이 완구(1)가 축부(10)와 몸통체(40)로 이루어지고, 몸통체(40)가 본체부(50)와 장착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팽이 완구(1)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1)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장착 부재(60)만이 빠지고, 그 이상은 분해되지 않고 회전력을 상실할 때까지 계속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축부(10)와 본체부(50)가 일체적으로(즉, 게임 중에 받는 충격 등에 의해서는 분해되지 않는 양태로) 조립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기구(550)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단순히 압박 링(52) 등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는 한, 장착 부재(60)가 상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장착 부재(6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만이 취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로크 기구(550)는, 팽이의 회전 방향으로의 장착 부재(60)의 본체부(5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그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550)가 있음으로써, 먼저 장착 부재(60)가 분리되고, 그 후 몸통체(40)가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도 6의 (b) 참조), 몸통부(40) 자체가 축부(10)로부터 분리되어 팽이 완구(1)가 분해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팽이 완구(1)는 이러한 2단계의 분해를 발생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 부재(60)가 분리될 뿐이며, 그 후는 회전력을 상실할 때까지 계속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로크 기구(550)로서는, 런처(80)로부터 팽이 완구(1)를 발사할 때까지의 동안에 장착 부재(60)가 분리되지 않도록, 팽이의 회전 방향으로의 장착 부재(60)의 본체부(5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충돌 부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부재(60)가 환상으로 형성되고, 장착 부재(60)가 일체적으로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장착 부재(60)는 환상의 일체적인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착 부재가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장착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부품이 서로 걸림부에 의해 걸려, 일체화된 상태에서 본체부(50)에 장착된다. 또한, 이 경우의 걸림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품끼리를 거는 각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는 등에 의해 팽이 완구(1)가 충격 등을 받은 경우에는, 구성 부품끼리를 걸고 있었던 걸림부가 빠져, 각 구성 부품이 조각조각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된다. 구성 부품이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될 때의 분리 방법은, 모든 구성 부품이 거의 동시에 무너지듯이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어도 되고, 하나씩 또는 복수 개씩 순차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장착 부재가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부품과, 하나 또는 복수의 작은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작은 부품이 베이스 부품의 주연부 등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가 충격 등을 받았을 때에는, 먼저 작은 부품이 베이스 부품으로부터 빠지고, 또한 베이스 부품이 본체부(50)로부터 분리된다고 하는 것과 같이 장착 부재가 순차 분리·분해된다.
이와 같이 장착 부재를 복수의 구성 부품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팽이 완구(1)가 더 복잡하게 복수 단계로 나누어 분해되어 가기 때문에, 흥취성이 증가한다.
또한, 장착 부재가 일부 파손된 경우라도 부품마다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저가 다양한 부품을 조합하여, 장착 부재를 커스터마이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1 : 팽이 완구
10 : 축부
30 : 성능 가변 링
40 : 몸통체
46 : 호 형상 슬릿
50 : 본체부
51 : 기체
60 : 장착 부재
550 : 로크 기구

Claims (8)

  1.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외주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장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외주부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팽이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장착 부재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장착 부재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킴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는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상기 축부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소정량 회전함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에는, 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그 직경이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팽이 완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그 외부 형상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 형상과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장착 부재가 분리된 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더 받음으로써 상기 축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80091162A 2018-02-26 2018-08-06 팽이 완구 KR20190102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1704A JP6431629B1 (ja) 2018-02-26 2018-02-26 コマ玩具
JPJP-P-2018-031704 2018-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58A true KR20190102958A (ko) 2019-09-04

Family

ID=6448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162A KR20190102958A (ko) 2018-02-26 2018-08-06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62729A1 (ko)
EP (1) EP3530334A1 (ko)
JP (1) JP6431629B1 (ko)
KR (1) KR20190102958A (ko)
CN (1) CN20889362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23082S (ko) * 2018-07-03 2019-01-28
JP1623085S (ko) * 2018-07-09 2019-01-28
JP1623102S (ko) * 2018-09-03 2019-01-28
JP1623104S (ko) * 2018-09-27 2019-01-28
JP1623103S (ko) * 2018-09-27 2019-01-28
JP1631043S (ko) * 2018-10-10 2019-05-13
JP1631041S (ko) * 2018-10-10 2019-05-13
JP1631042S (ko) * 2018-10-10 2019-05-13
JP1631491S (ko) * 2018-10-12 2019-11-05
JP1631494S (ko) * 2018-10-15 2019-11-05
JP1631053S (ko) * 2018-10-22 2019-05-13
JP1631496S (ko) * 2018-10-22 2019-11-05
JP1631052S (ko) * 2018-10-22 2019-05-13
JP1631497S (ko) * 2018-10-22 2019-11-05
JP1631056S (ko) * 2018-10-25 2019-05-13
JP1631055S (ko) * 2018-10-25 2019-05-13
JP6845455B1 (ja) * 2020-07-14 2021-03-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700B2 (ja) 1995-08-07 2001-04-03 富士変速機株式会社 立体格納塔の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231A (en) * 1993-11-15 1995-01-10 Lanard Toys Limited Toy that disassembles upon an impact
US5830231A (en) * 1997-03-19 1998-11-03 Geiges, Jr.; John J. Handle and actuating mechanism for surgical instruments
JP3079269U (ja) * 2001-01-29 2001-08-10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JP3079300U (ja) * 2001-01-30 2001-08-10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JP2005328976A (ja) * 2004-05-19 2005-12-02 Takara Co Ltd コマ玩具
JP3151700U (ja) 2009-04-20 2009-07-0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N202315281U (zh) * 2011-10-31 2012-07-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趣味性强的玩具组合陀螺
CN202315282U (zh) * 2011-10-31 2012-07-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分离的组合式玩具陀螺
CN104174169B (zh) * 2014-08-16 2016-09-14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分体的组合式玩具陀螺
CN104623900B (zh) * 2015-01-31 2016-09-28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感应控制分离的组合式玩具陀螺
JP5793631B1 (ja) * 2015-03-27 2015-10-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5969151B1 (ja) * 2016-02-09 2016-08-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346977B1 (ja) * 2017-05-29 2018-06-2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700B2 (ja) 1995-08-07 2001-04-03 富士変速機株式会社 立体格納塔の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1629B1 (ja) 2018-11-28
JP2019146655A (ja) 2019-09-05
CN208893620U (zh) 2019-05-24
EP3530334A1 (en) 2019-08-28
US20190262729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2958A (ko) 팽이 완구
US9849393B2 (en) Toy top
EP3323480B1 (en) Toy top
US10695660B2 (en) Toy top
EP3323481B1 (en) Toy top
JP5793631B1 (ja) コマ玩具
JP5990354B1 (ja) コマ玩具
JP5969151B1 (ja) コマ玩具
JP2018064726A (ja) コマ玩具
JP6618970B2 (ja) コマ玩具
JP2019000418A (ja) コマ玩具
JP6236177B1 (ja) コマ玩具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6516587B2 (ja) コマ玩具
JP3199933U (ja) コマ玩具遊戯台
JP6334757B1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KR102429691B1 (ko) 팽이 완구
JP6736070B1 (ja) コマ玩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