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646A -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646A
KR20190102646A KR1020180023374A KR20180023374A KR20190102646A KR 20190102646 A KR20190102646 A KR 20190102646A KR 1020180023374 A KR1020180023374 A KR 1020180023374A KR 20180023374 A KR20180023374 A KR 20180023374A KR 20190102646 A KR20190102646 A KR 20190102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riority
parts
equipment
produc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814B1 (ko
Inventor
서철은
최한수
이나연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14B1/ko
Priority to PCT/KR2018/003471 priority patent/WO2019168231A1/ko
Publication of KR2019010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생산 계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및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출된 장비 별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설정하고,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하고, 그에 따른 각 결과 중 전체 라인 생산시간이 가장 짧은 부품 배치를 최종 부품 배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복수 타입의 보드들에 대해 복수의 실장기 및 복수의 부품 공급기로 구성된 생산라인에서 주어진 보드들이 모두 생산되는 생산 계획을 제공하고 총 생산시간을 단축시키는 보드들의 생산 순서 및 보드들의 Grouping을 통한 공통 부품 공급기, 교체 부품 공급기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Optimized production planning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PCB with multiple mounter}
본 발명은 라인 생산 계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실장기 라인에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보드들에 대한 적절한 부품 공급기의 교체를 통해 라인 전체의 생산시간을 향상하시키 위해 라인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품들을 보드 상에 장착하는, 마운터를 갖는 장착 라인에 의해 여러 타입의 보드들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부품 배치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통상적인 피더 배치 방법에 의해, 여러 타입의 보드 모두에 장착되는 공통 부품들이 사용자 빈도의 순서로 및 속도의 순서로 그룹화되어, 공통 부품들의 피더 베이스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 그것에 의해, 마운터의 피더 베이스 내에 설정될, 각 보드에 대한 공통 부품들의 각 피더 베이스를 더 이상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보드의 타입이 변경될 때 피더 베이스들을 교체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피더 베이스의 교체시간을 고려하여 전체 라인에서의 생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보드들의 생산순서 및 부품 배치를 효율적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65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실장기 라인에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보드들에 대한 적절한 부품 공급기의 교체를 통해 라인 전체의 생산시간을 향상하시키 위해 라인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방법은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및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장비 별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하고, 그에 따른 각 결과 중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이 가장 짧은 부품 배치를 최종 부품 배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는, 부품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부품 공급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를 기준으로 보드들을 그루핑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 공급기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부품 공급기에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 우선 순위는, 공통부품의 일치도가 높은 순서를 고려하여, 그루핑되는 그룹의 수가 가장 적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부품 배치 우선순위는, 장착되는 보드의 수, 장착점수, 할당가능한 장비 및 부품 공급기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는, 배치 가능한 부품의 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 소정의 부품 배치를 이동시켜 부품 공급기 교체를 줄일 수 있는 경우, 해당 부품의 배치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타입의 보드들에 대해 복수의 실장기 및 복수의 부품 공급기로 구성된 생산라인에서 주어진 보드들이 모두 생산되는 생산 계획을 제공하고 총 생산시간을 단축시키는 보드들의 생산 순서 및 보드들의 Grouping을 통한 공통 부품 공급기, 교체 부품 공급기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방법은 복수 타입의 보드(Board)들에 대해 복수의 실장 장치(Mounter) 및 복수의 부품 공급기(Feeder base)로 구성된 생산라인에서 주어진 보드들이 모두 생산되는 생산 계획을 제공하고 총 생산시간을 단축시키는 보드들의 생산 순서 및 보드들의 Grouping을 통한 공통 부품 공급기, 교체 부품 공급기 배치를 제공한다. 부품 공급기에 배치되는 부품배치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교체시간(노즐교환, 보드사이즈변경 등)으로 소비되는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부품공급기의 교체를 최소로 하는 것이 아닌 적절한 부품공급기의 교체를 통해 총 공통 부품공급기로 인해 감소되는 생산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 타입의 보드들에 대한 생산 순서 및 그루핑을 제공하고, 공통 부품 공급기 및 교체 부품 공급기 배치를 통해 라인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방법은 도 1의 각 단계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의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방법의 흐름도이다.
S11 단계에서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한다.
부품을 배치함에 있어서,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를 고려한다. 보드 우선 순위는 먼저 부품들이 실장되는 보드의 순서이다. 보드 우선 순위를 설정할 때, 보드간 공통부품의 일치도를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보드에 부품을 실장하고 다음 보드에 부품을 실장할 때, 실장되는 부품들이 연속되는 경우, 장비나 부품 공급기의 교체가 줄어들 수 있는바, 보드간 공통부품의 일치도를 이용한다. 보드 우선 순위를 설정할 때,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가 있는 경우, 그에 따른다. 예를 들어, 특정 보드를 첫 번째로 실장되는 보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보드를 첫 번째로 고정하고, 해당 보드의 부품들과 연속되는 부품이 많은 보드를 다음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보드 우선 순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휴리스틱 탐색 알고리즘 중 타부서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순차 탐색 알고리즘 또는 이진 탐색 알고리즘 등 다양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드들의 순위를 바꿔가며, 상기 공통부품의 일치도가 가장 커지는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보드 우선 순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그루핑되는 그룹의 수가 가장 적도록 설정할 수 있다. 공통부품의 일치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더라도 실제 부품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부품 공급기가 연속되지 않을 수 있는바, 공통부품의 일치도를 고려하되, 하나의 순서가 아닌 복수의 보드 실장 순서에 따른 후보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개의 순서조합에 따른 후보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1 단계에서 그루핑을 수행한 결과 보드가 나누어지는 그룹의 수가 가장 적은 경우에 해당하는 보드 우선 순위를 최종 보드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배치 우선순위는 장착되는 보드의 수, 장착점수, 할당가능한 장비 및 부품 공급기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부품이 보드, 장비, 또는 부품 공급기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순서에 따라 부품 배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많이 사용되는지 또는 장비의 제약이 적은가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많은 수의 보드에 장착되는 부품이거나, 장착점(placement)수가 많은 부품이거나, 해당 부품이 할당가능한 장비 및 부품 공급기의 수가 많은 부품일 수록 가중치가 적용되고, 그에 따라 부품 배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부품의 중요 정도 등 그 밖의 부품 우선 순위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부품 배치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그에 따라 부품 배치 리스트를 정리하여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는 배치 가능한 부품의 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부품 배치 우선순위가 장착가능성에 따라 설정되는 것에 대응하게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는 부품에 대한 수용가능성에 따라 설정된다. 부품의 사이즈 등의 특성에 따라 배치가 가능한 장비나 부품 공급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장비 및 부품 공급기에 배치가 가능한 부품 종류의 수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되어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그에 따라 장비 및 부품 공급기 리스트를 정리하여 작성할 수 있다.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보드순-부품순-장비 및 부품 공급기순으로 부품 배치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보드 1이 가장 높은 보드 실장 순서이고, 부품 1이 가장 높은 부품 배치 순서이고, 장비 3이 가장 높은 순서이고, 부품 공급기 8이 가장 높은 순서인 경우, 보드 1을 장비 3에서 부품 공급기 8을 이용하여 부품을 생성하는 위치에 부품 1을 배치한다.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부품 공급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 S21 단계에서 부품 공급기 교체 여부를 기준으로 보드들을 그루핑(grouping)한다. 부품 공급기는 수용가능 슬랏의 수에 제한이 있는바, 부품 공급기에 배치될 부품의 수도 제한된다. 따라서, 부품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현재 부품을 배치해야 하는 부품 공급기에 해당 부품을 배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 부품 공급기를 교체해야 한다. 이때, 부품 공급기가 교체되는 경우, 현재 보드를 이전에 배치가 완료된 보드들과 그룹을 나누고, 이전에 배치가 완료되고 그루핑되지 않은 보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은 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부품 공급기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보드들로 구성되는바, 부품 공급기의 교체는 해당 보드는 이전 보드들과 그룹을 형성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보드들을 그루핑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부품 실장이 가능해진다.
그루핑이 이루어진 이후, S22 단계에서 상기 부품 공급기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부품 공급기에 부품을 배치한다. 부품 공급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 공급기 교체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된 다음 부품 공급기부터 부품 배치를 이어간다.
S11 단계의 부품 배치는 모든 부품이 배치될 때까지 반복된다.
S11 단계의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 S12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S31 단계에서 소정의 부품 배치를 이동시켜 부품 공급기 교체를 줄일 수 있는 경우, 해당 부품의 배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한 상태에 부품을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부품 공급기 교체가 줄어들 수 있는바, 해당 경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품의 배치를 이동시켜 부품 공급기 교체를 더 줄일 수 있다.
S11 단계의 부품 배치가 완료되면, S12 단계에서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한다. 라인 전체로 보면,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보다 적절히 부품의 배치를 조절할 때, 총 생산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총 생산시간은 부품배치의 효율만으로 최적화하기 어렵다. 총 생산시간에는 부품 공급기의 교체시간뿐만 아니라 노즐 교환 또는 보드사이즈의 변경 등에 따른 그 밖의 교체시간으로 소모되는 시간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생산시간을 고려하여 부품 배치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한다. 장비 별 생산시간은 어떤 장비에서 생산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산출하고, 전체라인 생산시간은 다른 부품 배치들과의 비교를 위해 산출한다.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라인 생산시간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다양한 부품 배치들의 라인전체 생산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장비 별 생산시간을 산출한 이후, S13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장비 별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설정한다.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의 교체를 다른 부품 공급기보다 우선 수행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해당 장비에서의 생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하는 설정이 전체라인 생산시간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한다. 장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장비 별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하는 설정을 적용한 후, 부품 재배치한다.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 반복한 횟수의 평균 또는 최적 결과가 도출될 확률이 높은 횟수를 해당 반복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한 이후, S14 단계에서 상기 반복을 통한 각 결과 중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이 가장 짧은 부품 배치를 최종 부품 배치로 결정한다. 반복할 때마다 이전의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비교하여 생산시간이 짧은 부품 배치를 저장하고, 최종 반복이 마무리되면, 전체 라인 생산시간이 가장 짧은 부품 배치를 최종 부품 배치로 결정한다.
도 4 내지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공통부품의 일치도를 고려하여, 도 4와 같이, 1-3-5-4-2 순서로 보드를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부품을 부품 공급기에 배치할 때, 부품 공급기의 교체여부에 따라 보드 1 및 보드 3을 그룹 1로 그루핑하고, 보드 5는 그룹 2로, 보드 4 및 보드 2를 그룹 3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그룹 1에 속하는 보드 1 및 보드 3은 라인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품 공급기(1, 2, 4, 5, 8, 9, 10, 및 11)로부터 부품을 공급받도록 부품이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를 통해 부품 공급기 1, 8, 9, 10, 11은 보드 전체에 대한 공통 부품 공급기인 것을 알 수 있고, 부품 공급기 4, 5, 6, 7은 교체 부품 공급기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부품 배치를 위해 도 5의 부품 배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보드(Board) 순서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보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하여, 공통부품의 일치도가 가장 높은 보드순서를 휴리스틱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공통부품의 일치도에 해당하는 부품연속 일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후, 부품 배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정리한다. 이때, 부품 배치 우선수위는 사용 보드 개수 가중치, 장착점(placement) 총량 가중치, 할당가능 장비 및 부품 공급기 가중치, 및 그 밖의 부품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한다. 이후 장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정리한다. 이때, 장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는 배치 가능 부품개수 가중치를 고려한다. 이후 결정된 보드순, 부품순, 장비 및 부품 공급기 순으로 부품 배치를 시작한다. 부품 공급기 교체없이 부품배치 실패시, 해당 보드를 기준으로 그루핑(Grouping)하고 우선순위 순 부품 공급기 교체대상을 지정한다. 이후 교체대상 공급기에 실패한 부품을 배치한다. 모든 부품 배치가 완료될 때까지 부품 배치를 반복한다. 부품 배치가 완료된 이후에 부품이동만으로 교체대상 부품 공급기를 공통 부품 공급기로 바꿀 수 있는 경우, 부품이동으로 교체대상 공급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장비 별 생산시간을 계산하고, 생산시간이 가장 높은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교체대상 우선으로 설정한 이후 교체 대상 부품 공급기를 강제 교체로 지정하고, 부품을 재배치 및 장비별 생산시간 계산을 종료횟수만큼 반복한다. 종료횟수만큼 반복한 결과 가장 좋은 결과를 가진 부품 배치를 최종 결과로 채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장치(6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의 라인 생산 계획 방법에 대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각 구성의 기능만을 약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장치(610)는 입출력부(611), 메모리(612), 및 프로세서(613)로 구성된다.
입출력부(611)는 보드, 보드에 장착되는 부품, 라인의 장비 및 부품 공급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3)의 처리 결과에 따른 라인 생산 계획 정보를 사용자 또는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612)는 라인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세서(613)는 상기 라인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하고,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장비 별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설정하고, 부품의 배치하는 내지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의 산출을 소정 횟수 반복하고, 그에 따른 각 결과 중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이 가장 짧은 부품 배치를 최종 부품 배치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6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부품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부품 공급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를 기준으로 보드들을 그루핑하고, 상기 부품 공급기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부품 공급기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6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보드 우선 순위는, 공통부품의 일치도가 높은 순서를 고려하여, 그루핑되는 그룹의 수가 가장 적도록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부품 배치 우선순위는, 장착되는 보드의 수, 장착점수, 할당가능한 장비 및 부품 공급기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는, 배치 가능한 부품의 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모리(6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부품을 배치한 이후, 소정의 부품 배치를 이동시켜 부품 공급기 교체를 줄일 수 있는 경우, 해당 부품의 배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 (ROM), 램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610: 라인 생산 계획 장치
611: 입출력부
612: 메모리
613: 프로세서

Claims (6)

  1. 보드 우선 순위, 부품 배치 우선순위,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및
    장비 별 생산시간 및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장비 별 생산시간이 가장 긴 장비의 부품 공급기를 우선 교체대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하고, 그에 따른 각 결과 중 상기 전체 라인 생산시간이 가장 짧은 부품 배치를 최종 부품 배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생산 계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는,
    부품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부품 공급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를 기준으로 보드들을 그루핑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 공급기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부품 공급기에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생산 계획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우선 순위는,
    공통부품의 일치도가 높은 순서를 고려하여, 그루핑되는 그룹의 수가 가장 적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생산 계획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치 우선순위는,
    장착되는 보드의 수, 장착점수, 할당가능한 장비 및 부품 공급기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생산 계획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우선순위 및 부품 공급기 우선순위는,
    배치 가능한 부품의 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생산 계획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
    소정의 부품 배치를 이동시켜 부품 공급기 교체를 줄일 수 있는 경우, 해당 부품의 배치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인 생산 계획 방법.
KR1020180023374A 2018-02-27 2018-02-27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KR10206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374A KR102064814B1 (ko) 2018-02-27 2018-02-27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PCT/KR2018/003471 WO2019168231A1 (ko) 2018-02-27 2018-03-23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및 라인 생산 계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374A KR102064814B1 (ko) 2018-02-27 2018-02-27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646A true KR20190102646A (ko) 2019-09-04
KR102064814B1 KR102064814B1 (ko) 2020-02-11

Family

ID=6780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374A KR102064814B1 (ko) 2018-02-27 2018-02-27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4814B1 (ko)
WO (1) WO20191682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041A1 (ko) * 2022-04-14 2023-10-19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복수의 라인들의 생산 계획을 관리하는 생산 관리 시스템에서, 생산 계획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160A (ja) * 2003-11-27 2005-06-16 Yamaha Motor Co Ltd 表面実装機の部品実装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JP2007109893A (ja) * 2005-10-13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順序決定方法
KR20080026589A (ko) 2005-07-05 2008-03-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조건 판정 방법, 제조 조건 판정 장치, 마운터 및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5390B2 (ja) * 2007-09-14 2012-06-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生産管理装置
JP4976247B2 (ja) * 2007-09-21 2012-07-1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部品装着設定装置、部品装着装置、プログラム及び部品供給ユニット配置方法
JP6016541B2 (ja) * 2012-09-11 2016-10-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160A (ja) * 2003-11-27 2005-06-16 Yamaha Motor Co Ltd 表面実装機の部品実装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KR20080026589A (ko) 2005-07-05 2008-03-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조건 판정 방법, 제조 조건 판정 장치, 마운터 및프로그램
JP2007109893A (ja) * 2005-10-13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順序決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041A1 (ko) * 2022-04-14 2023-10-19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복수의 라인들의 생산 계획을 관리하는 생산 관리 시스템에서, 생산 계획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8231A1 (ko) 2019-09-06
KR102064814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53119B (zh) 一种求解零等待流水车间调度问题的改进粒子群优化方法
Gao et al. Spotlight: Optimizing device placement for training deep neural networks
US6829514B2 (en) Balancing workloads in an electronics assembly factory
Ribeiro et al. A GRASP for job shop scheduling
EP3451811B1 (en) Production plan generation device, production plan generation method, and production plan generation program
Hamzadayı An effective benders decomposition algorithm for solving the distributed permutation flowshop scheduling problem
CN111966484A (zh) 一种基于深度强化学习的集群资源管理和任务调度方法及系统
JP6950738B2 (ja) 生産計画生成装置、生産計画生成プログラム及び生産計画生成方法
CN111371616B (zh) 一种面向numa架构服务器的虚拟网络功能链部署方法和系统
CN107114015B (zh) 印刷电路板的填装
KR102064814B1 (ko) 다중 pcb를 제작하는 복수 실장기 라인에서의 최적 생산 계획 방법
Legrand et al. Adapting batch scheduling to workload characteristics: What can we expect from online learning?
KR102263524B1 (ko) 반복 개선 기법을 활용한 수치 제어 공작 기계의 작업 스케줄링 최적화 방법 및 장치
GB2554528A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efficient scheduling of digital tasks in a system
CN116933939A (zh) 基于改进浣熊优化算法的柔性车间协同生产方法及系统
JPH0934875A (ja) 準最適割当決定方法
CN115983359A (zh) 异构计算调度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37074B2 (ja) 最適化計算方法、最適化計算装置及び最適化計算プログラム
Djedović et al. Optimization of business processes by automatic reallocation of resources using the genetic algorithm
CN109885580A (zh) 一种热点账户批量更新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US6260178B1 (en) Component placement machine step size determination for improved throughput via an evolutionary algorithm
CN109582543A (zh) 数据回溯方法和装置
CN109688783B (zh) 为贴装机准备安装套件的方法
US8201023B2 (en) Test optimization
He et al. Comparison of four population-based meta-heuristic algorithms on pick-and-place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