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207A - 항공기 파일론 - Google Patents

항공기 파일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207A
KR20190102207A KR1020197019935A KR20197019935A KR20190102207A KR 20190102207 A KR20190102207 A KR 20190102207A KR 1020197019935 A KR1020197019935 A KR 1020197019935A KR 20197019935 A KR20197019935 A KR 20197019935A KR 20190102207 A KR20190102207 A KR 2019010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lon
door
release unit
cargo
conve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095B1 (ko
Inventor
요아프 헤르지그
다니엘 마롬
Original Assignee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4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explosive, e.g. bo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4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explosive, e.g. bombs
    • B64D1/06Bomb releasing; Bomb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07Doors; surroun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26Attaching the wing or tail units or stabilis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8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oad-car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8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oad-carrying devices
    • B64D1/10Stowage arrangements for the devices i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B64D7/08Arrangements of rocket launchers or relea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9/00Equipment for handling freight; Equipment for facilitating passenger embarkati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항공기 동체로부터 돌출하는 항공기 날개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외부 화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항공기 파일론이 제공된다. 파일론은, 항공기 날개에 대한 파일론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부착기구와, 화물을 운반하고 부착기구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운반장치를 포함한다. 파일론은, 수직 방향으로 매달리는 수직위치와, 동체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위치와의 사이에서, 파일론 축선을 중심으로 운반장치를 선택적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항공기 파일론
여기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항공기 파일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스펜션 기구를 갖는 항공기 파일론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파일론은 항공기의 외부에, 전형적으로, 항공기의 외부에서 날개 아래에 설치되는 서스펜션 장치이다. 항공기 파일론은 항공기의 연료 탱크, 또는 다른 외부 화물을 외부적으로 부착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항공기 파일론은, 리프트, 드래그 등과 같은 항공기의 공기역학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파일론은 공기역학 효과를 완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주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항공기 동체로부터 돌출하는 항공기 날개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외부 화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항공기 파일론을 구비하며, 이 파일론은:
- 항공기 날개에 대한 파일론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부착기구; 및
- 화물을 운반하고 부착기구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운반장치;
를 포함하며,
이 파일론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매달리는 수직위치와, 동체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위치와의 사이에서, 파일론 축선을 중심으로 운반장치를 선택적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반장치는, 개방-바닥식 챔버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화물을 매달기 위한 화물 릴리즈 유닛(payload release unit)을 포함할 수 있고, 화물 릴리즈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작동위치와, 챔버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수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파일론은 화물 릴리즈 유닛이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 이동할 때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운반장치를 선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릴리즈 유닛은 화물을 부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웨이 브레이스(sway brace)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웨이 브레이스는 챔버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측방향 돌출 운반 아암과 수직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반 아암은 화물 릴리즈 유닛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챔버에 대해 외부에 있다. 이것은 하우징이 스웨이 브레이스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여, 프로파일을 감소시키고 비행 중 야기되는 드래그를 감소시킨다.
파일론은,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화물 릴리즈 유닛의 이동시, 스웨이 브레이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릴리즈 유닛은, 스웨이 브레이스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서포트 바와, 이 서포트 바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는 2개의 평행하게 배열되는 피봇 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피봇 링크는 일단부에서 하우징에 대해, 그리고 타단부에서 서포트 바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이동장치는 피봇 링크를 선택적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화물 릴리즈 유닛은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서포트 바의 배향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물 릴리즈 유닛은,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이동시,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의 운반장치의 선회를 기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기구는 그 내부에 수용챔버를 규정할 수 있으며, 운반장치의 상부 부분은, 수용챔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운반장치의 선회시 거기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일론 축은 수용챔버와 서스펜션부를 통과한다.
파일론은, 적어도 운반장치가 수직위치 및 경사위치에 있을 때 부착기구와 서스펜션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반장치는, 폐쇄위치에 있어서, 화물 릴리즈 유닛이 수용위치에 있을 때 챔버의 개방 바닥을 덮도록 구성되고, 개방위치에 있어서, 챔버로부터의 화물 릴리즈 유닛의 돌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파일론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도어 축을 중심으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는, 완전한 개방위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직 외부표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놓여있을 수 있다.
도어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도어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위치에서 도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론이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화물 릴리즈 유닛의 이동시 스웨이 브레이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옵션에 따르면, 도어는, 폐쇄시 스웨이 브레이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는, 그 내부표면에 있어서, 각각의 스웨이 브레이스에 대응하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소켓은 대응하는 스웨이 브레이스의 운반 아암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소켓은 지지(bearing)를 위한 경사식 측벽(angled side wall)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일론 축은 실질적으로 항공기의 비행 방향에 평행(예를 들어, 롤 축(roll axis)에 평행)할 수 있다.
화물은 공대지 미사일과 같은 군수품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주제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 예시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실시형태들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날개를 갖춘 항공기 동체 일부분의 하부 사시도로서, 여기에 개시된 주제에 따른 파일론이 날개의 아래쪽에 장착된 사시도;
도 1b는, 작동위치에 있어서의, 도 1a에 도시된 파일론의 상부 사시도;
도 2a는 도 1b의 II-II 선을 따라 취해진, 파일론의 단면도;
도 2b는, 수용위치에 있어서의, 도 2a와 유사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c는, 각각, 수직위치 및 경사위치에 있어서의, 도 1a에 도시된 파일론의 정면도;
도 3b 및 도 3d는, 각각,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파일론의 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파일론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의 동체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날개(10)가 제공되며, 파일론(pylon)(12)은 이 날개의 아래쪽에 장착된다. 파일론은, 이 파일론에 매달리는 화물(payload)(도시생략), 예를 들어 폭탄(예컨대, 날개 아래에 매달리는 공대지 미사일 또는 또 다른 무기), 외부 연료탱크, 전자 포드(pod) 등과 같은 군수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파일론(12)은, 화물을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운반장치(carring arrangement) (14)와, 날개(10)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운반장치가 매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부착기구(attachment mechanism)(16)를 포함한다.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있어서, 위, 아래, 수직, 전방, 후방 등과 같이 방향 및/또는 배향과 관련된 용어 및 그와 관련된 표현은 파일론의 전형적인 배향을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파일론은 전방이 항공기의 비행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날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장치(14)는 화물 릴리즈 유닛(payload release unit)(20)을 갖춘 하우징(18)을 포함한다. 화물 릴리즈 유닛(20)은, 화물의 서스펜션(suspension) 및/또는 릴리즈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화물을 운반할 때) 하우징(18)의 바닥 아래로 약간 돌출하는 작동위치(도 1a 내지 도 2a에 도시됨)와, (예컨대 화물이 전개된 후)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납되는 수용위치(도 2b에 도시됨)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우징(18)은 (내부에 화물 릴리즈 유닛이 수납되는) 챔버(30)를 규정하는 전방벽, 측벽, 및 후방벽(24, 26, 28)을 포함한다. 예컨대, 측벽(26)들 중 하나의 바닥 가장자리에 대해 힌지식으로 부착되어 도어 축(D)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도어(32)가 제공된다. 화물 릴리즈 유닛(20)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도어(32)는 개방되며; 화물 릴리즈 유닛(20)이 수용위치에 있을 때, 도어는 폐쇄되어,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8)의 개방 바닥 쪽을 덮는다.
하우징(18)의 단면 형상은 항공기의 비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즉, 측벽(26)의 길이는 전방벽 및 후방벽(24, 28)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길 수 있다. 전방벽 및/또는 후방벽(24, 28)은 예를 들어 셰브런 형상(chevron shape)으로 형성되어 비행중 드래그(drag)를 저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화물 릴리즈 유닛(20)은 항공기의 비행중 화물의 서스펜션 및/또는 릴리즈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화물 릴리즈 유닛은 서포트 바(support bar)(36)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2개의 스웨이 브레이스(sway braces)(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포트 바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38로 나타내는 이동장치(shifting arrangement)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이동장치(38)는서포트 바(36)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화물 릴리즈 유닛(20)을 작동위치와 수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동장치는 액추에이터(40) 및 2개의 피봇 링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도시생략)는 액추에이터(40)의 작동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봇 링크(42)는, 상단부(42a)에서 예컨대 하우징(18)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pivotally articulated)되고, 하단부(42b)에서 서포트 바(36)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 링크(42)의 수직 배향은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작동위치와 관련되고, 그 경사 배향은 화물 릴리즈 유닛의 수용위치와 관련된다. 액추에이터(40)는 피봇 링크(40)를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서포트 바를 수직으로 움직여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2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40)는 피스톤 하우징(46)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하는 피스톤 로드(44)를 가지는 수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스톤 하우징은 예컨대 하우징(18)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는 피봇 링크(42)들 중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8) 및 서포트 바(36)에 대한 피봇 링크(42)의 연결지점은 평행사변형의 꼭지점을 규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어,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작동위치 및 수용위치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모든 위치에 있어서, 서포트 바가 하우징에 대한 배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44)가 피스톤 하우징(46) 내에 수용될 때의 액추에이터(40)의 위치는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작동위치와 관련된다. 피스톤 로드(44)가 피스톤 하우징(4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액추에이터(40)가 작동될 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피봇 링크(42)는 상단부(42a)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피봇 링크가 경사지게 되고 하단부(42b)가 위쪽으로 (뿐만 아니라 피스톤 로드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야기시킨다. 모든 피봇 링크(42)들의 상단부(42a)가 하우징(18)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모든 피봇 링크의 하단부(42b)가 서포트 바(36)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40)에 의한 피봇 링크의 움직임은 모든 피봇 링크들이 서로 동시에 경사키도록 야기시켜, 서포트 바를 챔버(30) 내에서 위쪽으로 상승시킨다.
스웨이 브레이스(34)는 화물을 직접적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스웨이 브레이스는, 수직 베어링 부재(48)와, 예를 들어 단일로 그 하단부에 형성되는 운반 아암(50)을 포함한다. 운반 아암(50)은 종래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디자인, 또는 또 다른 임의의 적절한 디자인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운반 아암은, 예를 들어 화물의 형상에 합치하여, 아래쪽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웨이 브레이스(34)는 서포트 바(36)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베어링 부재(48)는 상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원주방향 홈(52)을 갖춘 원형 단면을 갖는다. 서포트 바(36)는 수직 베어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2개의 하향 개구(54)를 구비한다. 예컨대 원통 또는 구 형상을 가지며, 원주방향 홈(52) 내에 수용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롤링 요소(56)가 각각의 개구(54) 내에 제공되고, 여기서 원주방향 홈은 스웨이 브레이스(34)의 자유로운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스웨이 브레이스(34)의 운반 아암(50)의 폭은, 하우징(18)에 의해 규정되는 챔버(30)의 폭(측벽(26)들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즉, 하우징(18)은 화물을 운반할 때 스웨이 브레이스에 대해 요구되는 것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작동위치에 있어서, 운반 아암(50)은 하우징(18)에 의해 규정되는 챔버(30)의 아래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챔버의 폭을 넘어 연장될 수 있으며; 화물 릴리즈 유닛의 수용위치에 있어서, 운반 아암이 하우징의 길이(전방벽(24)과 후방벽(28) 사이에서 연장되는 거리의 치수)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스웨이 브레이스(34)는 회전될 수 있다. 이것은, 스웨이 브레이스(34)가 회전할 수 없을 때의 하우징보다 더욱 얇은 하우징(18)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파일론의 공기역학 디자인에 더욱 공헌할 수 있다.
하우징(18)의 도어(32)는, 운반 아암(50)이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을 향하는 스웨이 브레이스(3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축(D)이 하우징(18)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시 도어가 회전하는 방향은 스웨이 브레이스의 운반 아암(50)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소켓(58)은 도어(32)의 내부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소켓은 운반 아암(50)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소켓(58)의 측벽(62)은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어(32)가 폐쇄될 때, 각각의 운반 아암(50)의 단부는 소켓(58) 내에 수용된다. 도어(32)가 더욱 폐쇄될 때, 각각의 운반 아암(50)의 단부는 대응하는 소켓(58)의 측벽(62)에 대해 슬라이딩 한다. 측벽(62)의 경사로 인하여 운반 아암(50)은 스웨이 브레이스(34)의 회전 방향으로 지지되고, 다시 말해서, 운반 아암은 (소켓(58)의 디자인에 따라서) 하우징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도어(32)를 폐쇄시키는 한편 화물 릴리즈 유닛(20)이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 움직이는 것은, 운반 아암(50)이 하우징(18)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스웨이 브레이스를 또한 회전시킨다.
도어(32)는, 화물 릴리즈 유닛(20)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스웨이 브레이스(34)와 도어가 간섭되지 않도록, 도어 축(D)을 중심으로 충분히 회전되어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어(32)는 개방시 적어도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도시생략)에 따르면, 도어(32)는 도어가 부착되어 있는 측벽(26)의 외부표면에 대항하여 정렬되어 놓일 때까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예컨대 폐쇄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개방위치까지 실질적으로 270도 회전된다. 고정장치(도시생략)는 도어(32)를 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토션 스프링과 같은 가압요소(도시생략)는, 도어(32)를 폐쇄하도록 힘을 작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어(32)를 폐쇄하기 위해서, 고정장치가 결합해제될 수 있어, 가압요소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도어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임의의 또 다른 적절한 기구가 도어(32)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32)를 움직이기에 충분히 강력하지만 하우징(18)에 손상을 야기시키지는 않을 정도의 장약(explosive charge)이 도어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하우징(18)의 상단부와 부착기구는 매달림 장치(hanging arrangement)의 협력 요소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64로 나타낸다. 하우징이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즉 항공기의 비행 방향으로 정렬되는 파일론 축(P)을 중심으로 하우징(18)이 회전하여, 하우징이 동체를 향하여 또는 동체로부터 멀어지게 선회할 수 있도록, 매달림 장치는 운반장치(14)를 부착기구(16)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 회전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반장치(14)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예컨대, 지면에 대해 평행한 날개의 경우에, 또는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매달리는 수직으로 꺾인 날개의 경우에, 날개의 하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매달리는; 즉 항공기의 요우잉 각(yaw angle)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매달리는) 수직위치와,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반장치가 동체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위치와의 사이의 범위로 제한된다. 수직위치는 운반장치(14)의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작동위치와 관련될 수 있고, 경사위치는 화물 릴리즈 유닛의 수용위치와 관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를 향하여 파일론(12)이 기울어지는 것은, 비행중 항공기에 대한 공기역학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기구(16)는, 파일론(12)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날개(10)의 아래쪽에 공고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장착 플레이트(72)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벽, 예컨대 전방벽, 측벽, 및 후방벽(66, 68, 70)을 포함한다.
부착기구(16)의 설계는 하우징(18)과 유사할 수 있으며, 즉 항공기의 비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다시 말해서, 측벽(68)의 길이는 전방벽 및 후방벽(66, 70)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길 수 있다. 전방벽 및/또는 후방벽(66, 70)은, 예컨대 비행중 드래그를 저감시키기 위해 더욱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에 공헌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셰브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착기구(16)의 측벽(68)은, 예를 들어 항공기의 동체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각도로 장착 플레이트(7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전방 내부 칸막이 및 후방 내부 칸막이(74, 76)는, 각각, 부착기구(16)의 전방벽 및 후방벽(66, 70)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내부 칸막이(74, 76)는 서로에 대해 마주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파일론 축(P)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서로 평행한 직선형 내부표면을 갖는다. 이것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 및 후방벽(66, 7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함께 형성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전방벽 및/또는 후방벽은 공기역학적인 고려 하에 설계되는 외부표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직선형 내부표면이 칸막이(74, 76)들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칸막이(74, 76) 및 측벽(68)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운반장치(14)의 상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챔버(78)를 규정한다. 개스킷(80)은 수용챔버(78)의 내주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82)들이 전방벽 및 후방벽(66, 70)과 칸막이(74, 76)를 통하여 제공된다. 이 구멍들은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고, 파일론 축(H)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8)의 상부(즉, 벽(24, 26, 28)의 위쪽)는 그 상단부에서 서스펜션부(suspension portion)(84)를 형성하며, 이것은 매달림 장치(64)의 일부를 구성한다. 서스펜션부(8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외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부착기구(16)의 수용챔버(78) 내에 끼워맞춰지는 크기를 갖는다. 수용챔버(78)가 개스킷(80)을 구비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서스펜션부(84)의 외부 단면은 그 내부에 바짝 달라붙는(fit snuggly therewithin) 크기를 갖는다. 서로 동축으로 배열되고 파일론 축(H)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86)들은, 서스펜션부(84) 내에 형성된다. 매달림 장치(64)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봇 로드(도시생략)는, 구멍(82, 86)들을 통과하고, 운반장치(14)를 부착기구(16)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하기에 용이하도록 제공된다. 개스킷(80)은 수직위치 및 경사위치에 있어서 부착기구(16)와 서스펜션부(84)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은 수직위치와 경사위치 사이의 위치에서도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론(12)은, 화물 릴리즈 유닛(20)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운반장치(14)가 수직위치에 남아있으며, 화물 릴리즈 유닛이 수용위치로 이동하면 경사위치까지 파일론 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운반장치의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와, 2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운반장치의 이동 및 2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운반장치의 선회를 조정(coordinate)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또한 하우징(18)의 도어(32)의 작동을 조정하도록, 또는 화물의 전개(deployment)를 검출/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화물 릴리즈 유닛(20)은,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의 운반장치(14)의 선회를, 예컨대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이동시, 임의의 적절한 기계 장치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 링크(42)들 중 하나가 캠 부재(도시생략)와 연결되기 위한 장치(8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2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시 위쪽으로 연장되어 화물 릴리즈 유닛(2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84) 및/또는 부착기구(16)는 대응하는 추종 장치(corresponding follower arrangement)를 구비할 수 있다. 캠 부재 및 추종 장치는,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화물 릴리즈 유닛(20)의 이동 동안에, 캠 부재의 움직임이 운반장치(14)를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선회시키기 위한 추종 장치와 협력하도록, 상호-구성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여기에 개시된 주제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도, 본 주제를 준용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항공기 동체로부터 돌출하는 항공기 날개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외부 화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항공기 파일론으로서, 상기 파일론은:
    - 항공기 날개에 대한 상기 파일론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부착기구; 및
    - 상기 화물을 운반하고 상기 부착기구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운반장치;
    를 포함하며,
    수직 방향으로 매달리는 수직위치와, 상기 동체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위치와의 사이에서, 파일론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운반장치를 선택적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는, 개방-바닥식 챔버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화물을 매달기 위한 화물 릴리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작동위치와, 챔버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수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이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운반장치를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은 화물을 부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웨이 브레이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스웨이 브레이스는 상기 챔버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측방향 돌출 운반 아암과 수직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아암은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챔버에 대해 외부에 있는, 파일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의 이동시, 상기 스웨이 브레이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은, 상기 스웨이 브레이스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서포트 바와, 상기 서포트 바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파일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2개의 평행하게 배열되는 피봇 링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피봇 링크는 일단부에서 하우징에 대해, 그리고 타단부에서 서포트 바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피봇 링크를 선택적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파일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파일론.
  9.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은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상기 서포트 바의 배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10. 청구항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은, 작동위치로부터 수용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운반장치의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의 선회를 기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구는 내부에 수용챔버를 규정하며,
    상기 운반장치의 상부 부분은, 상기 수용챔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운반장치의 선회시 수용챔버에 수용되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론 축은 상기 수용챔버와 상기 서스펜션부를 통과하는, 파일론.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운반장치가 수직위치 및 경사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착기구와 상기 서스펜션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파일론.
  13. 청구항 2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는, 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이 수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의 개방 바닥을 덮도록 구성되고,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로부터의 상기 화물 릴리즈 유닛의 돌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파일론.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파일론 축에 평행한 도어 축을 중심으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완전한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직 외부표면과 정렬되도록 놓여있는, 파일론.
  16.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상기 도어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요소를 포함하는, 파일론.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개방위치에서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파일론.
  18. 청구항 13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5를 인용할 때, 상기 도어는 폐쇄시 상기 스웨이 브레이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표면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웨이 브레이스에 대응하는 소켓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소켓은 대응하는 스웨이 브레이스의 운반 아암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파일론.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소켓은 지지를 위한 경사식 측벽을 구비하는, 파일론.
  21.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론 축은 항공기의 비행 방향에 평행한, 파일론.
KR1020197019935A 2016-12-28 2017-12-27 항공기 파일론 KR102503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249908 2016-12-28
IL249908A IL249908B (en) 2016-12-28 2016-12-28 Aircraft pylon
PCT/IL2017/051389 WO2018122843A1 (en) 2016-12-28 2017-12-27 Aircraft pyl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207A true KR20190102207A (ko) 2019-09-03
KR102503095B1 KR102503095B1 (ko) 2023-02-23

Family

ID=6270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935A KR102503095B1 (ko) 2016-12-28 2017-12-27 항공기 파일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74024B2 (ko)
EP (1) EP3562740B1 (ko)
JP (1) JP6975238B2 (ko)
KR (1) KR102503095B1 (ko)
AU (1) AU2017388624A1 (ko)
CA (1) CA3047919A1 (ko)
IL (1) IL249908B (ko)
WO (1) WO2018122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530B1 (ko) * 2019-06-24 2021-02-24 케이피항공산업(주) 해양 구조 임무용 구난 장비의 장착이 가능한 파일런을 구비한 무인항공기 및 이를 이용한 무인항공기의 파일런 동작방법
US11396285B2 (en) 2020-07-09 2022-07-26 Goodri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rake wear
CN111824422A (zh) * 2020-08-18 2020-10-27 中国人民解放军63850部队 可释放曳光管挂架
CN113998119B (zh) * 2021-02-25 2023-10-20 陈坤 一种具有外挂挂架的双翼飞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1733A1 (en) * 2004-10-15 2006-04-20 Lam Tristin T Pivotable pylon for external carriage of aircraft stores
US20130221158A1 (en) * 2012-02-28 2013-08-29 The Boeing Company Configurable Pod Structure and Store Stowage and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1594A (en) 1934-04-12 1937-02-23 Curtiss Wright Corp Streamline mount for miniature bombs
US2829561A (en) 1954-03-09 1958-04-08 Ernest H Granfelt Aerodynamic bomb ejector mechanism
BE652447A (ko) 1963-08-29
US3327965A (en) 1965-09-27 1967-06-27 Douglas Aircraft Inc Flexible engine pylon
DE2314296A1 (de) 1973-03-22 1974-09-26 Norbert Hannig Flaechenpylon mit drehbarer waffenhalterung fuer rohr- und raketenwaffen
US4616793A (en) 1985-01-10 1986-10-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Remote pivot decoupler pylon: wing/store flutter suppressor
US4781342A (en) 1985-09-30 1988-11-01 Richard Hardy Method of providing rapid conversion of an aircraft weapon carriage
US4637292A (en) * 1985-12-23 1987-01-20 Lockheed Corporation Rotary launcher system for an aircraft
US5092542A (en) 1991-02-19 1992-03-03 Teleflex Incorporated Ordnance ejector system for an aircraft
US5257758A (en) 1992-07-06 1993-1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versing panel stores carrier
JP2005181266A (ja) 2003-12-24 2005-07-07 Mitsubishi Heavy Ind Ltd 支持機構、航空機電波反射断面積測定システム、試験装置
CA2589683C (en) 2004-09-30 2010-05-11 Bell Helicopter Textron Inc. Compact tiltrotor pylon-conversion actuation system
US7083148B2 (en) * 2004-11-23 2006-08-01 Raytheon Company Assembly for carrying and ejecting stores
US7624947B2 (en) 2007-06-07 2009-12-01 Black Rum Engineering Services LLC Armament carriage system
US7946208B1 (en) * 2007-12-18 2011-05-24 Raytheon Company Ejection system for deploying a store
FR2929591B1 (fr) 2008-04-02 2010-12-24 Airbus France Avion a controle en tangage et en lacet par un ensemble propulsif.
WO2009130690A2 (en) 2008-04-23 2009-10-29 Cyclone Aviation Products Ltd. Ejectable pylon for airborne payloads
FR2931800B1 (fr) 2008-05-29 2010-07-30 Airbus France Dispositif de reprise des efforts de poussee pour mat d'accrochage de moteur d'aeronef, comprenant des bielles laterales a butees de palonnier integrees
US8602347B2 (en) 2011-02-04 2013-12-10 Textron Innovations Inc. Tilt rotor aircraft with fixed engine arrangement
US8955795B2 (en) 2012-01-02 2015-02-17 Google Inc. Motor pylons for a kite and airborn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same
CN103112595B (zh) 2013-02-06 2016-01-27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推进系统一体化的吊挂结构
US9126678B2 (en) 2013-03-13 2015-09-08 Bell Helicopter Textron Inc. Spindle mounted tiltrotor pylon with fixed engine arrangement
IL231653B (en) * 2014-03-23 2019-08-29 Israel Aerospace Ind Ltd Aircraft pylon
US9533754B2 (en) 2014-04-19 2017-01-03 The Boeing Company Wing aerial refuel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1733A1 (en) * 2004-10-15 2006-04-20 Lam Tristin T Pivotable pylon for external carriage of aircraft stores
US20130221158A1 (en) * 2012-02-28 2013-08-29 The Boeing Company Configurable Pod Structure and Store Stowage and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095B1 (ko) 2023-02-23
IL249908B (en) 2021-12-01
IL249908A0 (en) 2017-03-30
CA3047919A1 (en) 2018-07-05
AU2017388624A1 (en) 2019-07-04
EP3562740B1 (en) 2022-11-30
US11174024B2 (en) 2021-11-16
JP2020503207A (ja) 2020-01-30
WO2018122843A1 (en) 2018-07-05
US20200010195A1 (en) 2020-01-09
EP3562740A1 (en) 2019-11-06
JP6975238B2 (ja) 2021-12-01
EP3562740A4 (en)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095B1 (ko) 항공기 파일론
US8946607B2 (en) Mechanisms for deploying and actuating airfoil-shaped bodies on unmanned aerial vehicles
US8167241B2 (en)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ap of a casing for the landing gear of an aircraft
US9022242B2 (en) Collapsible container, assembly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a collapsible container
US9346534B2 (en) Support assembly
RU2736531C1 (ru) Модуль и носитель для ракетного запуска
PT98994A (pt) Viga com multiplas seccoes, rotativa,suportada num helicoptero, especialmente adaptada para suportar camaras de telemetros e camaras de focagem de televisao para levantamentos topograficos estereofotogrametricos
JP2020503207A5 (ko)
CA2903034C (en) Cargo transporter loading assembly
US20170096223A1 (en) Aircraft pylon
KR102299197B1 (ko) 낙하 유닛 및 발사 어셈블리
US10472046B1 (en) Internal wing control surface linkage system
CN105270647B (zh) 适于经由人孔进入飞行器舱的桥
US11370543B2 (en) Aircraft pylon
DK2992293T3 (en) Vehicle equipped with a protective device of the openable flap to optimize the opening size
RU2363619C2 (ru) Транспортный вертолет
BR112019026872A2 (pt) defletor de empuxo e veículo contendo tal defletor
EP3699542B1 (fr) Véhicule furtif avec système d'arme integré à déploiement rapide
KR102085916B1 (ko) 활공날개 수납전개장치
JP6901890B2 (ja) 消火栓装置
PL230348B1 (pl) Urządzenie do przechwytywania małych obiektów latających
EP3029409A1 (fr) Tourelleau pour arme de petit calibre
CN107757862A (zh) 具有能相对于机身转动和平移的整流罩的旋翼飞行器
PL229266B1 (pl) Dźwignia wyzwalania, zwłaszcza spadochronowego systemu ratunkow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