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006A -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인 물품용 판지 용기 - Google Patents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인 물품용 판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006A
KR20190102006A KR1020197020711A KR20197020711A KR20190102006A KR 20190102006 A KR20190102006 A KR 20190102006A KR 1020197020711 A KR1020197020711 A KR 1020197020711A KR 20197020711 A KR20197020711 A KR 20197020711A KR 20190102006 A KR20190102006 A KR 20190102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iner
respect
folded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세페 몬티
Original Assignee
마르체시니 그룹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체시니 그룹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마르체시니 그룹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10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4Racks having upstanding ridges formed by folds, and provided with slits or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65D5/36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collapsed along two fold lines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65D71/72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blanks, the articles being inserted in openings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블랭크로부터 시작하여 얻어지며 평평한 구성(A)에서 시작되는 펴진(opened-out) 구성(V)을 가정하여 이루어지는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2)와 같은, 물품용 판지 용기로서, 상기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상기 바닥부(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1 벽(P1); 상기 제 1 벽(P1)에 대향하고,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2 벽(P2);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3)에 대향하며, 상기 제 1 벽(P1) 및 상기 제 2 벽(P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상부면(FS) - 상기 상부면(FS)은 물품을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하우징(40)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1)는 상기 제 1 벽(P1) 또는 상기 제 2 벽(P2)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5); 상기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된 적어도 하나의 윙(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윙(6)은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 삽입될 경우, 상기 스롯(5)에 삽입 가능하도록 미리 배치된 탭(7)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인 물품용 판지 용기
본 발명은 관련 상자의 내부에 제약 및/또는 화장 제품들, 예를 들어 바이알 또는 주사기를 포함하는 물품의 포장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특정 기술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바이알 및 주사기와 같은 제약 및/또는 화장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이 처음에 판지 또는 카드로 제조된 특수한 지지 용기들에 배치되며; 그런 다음, 후속적으로, 이들 지지 용기들이 최종 포장을 얻기 위해 특수 상자들의 내부에 단독으로 또는 가능하게는 서로 쌓여서 삽입된다.
판지 또는 카드로 만들어진 용기는 특정 판지 섹터 작업들 후에 상대적 스코어 라인들에 대해 접혀진 평평한 블랭크들로부터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두 가지 구성을 취할 수 있는 특수성을 지닌 용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평평한(flattened) 구성 및 펴진(opened-out) 구성.
이 판지 용기들은 일반적으로 용적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기 위해 평평한 구성으로 저장되며, 물품을 수용할 경우에만 펴지는 구성으로 된다.
관련 상자 내에 포장되어야 하는 물품들을 수용하고 담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타입의 용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용기는 포장될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적응된, 펴진 구성으로 배치될 경우 다음을 포함한다:
바닥부;
바닥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1 벽;
제 1 벽에 대향하며, 바닥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2 벽;
제 1 벽과 제 2 벽 사이에서, 바닥부에 대향하며, 제 1 벽 및 제 2 벽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상부면 - 이 상부면은 물품을 삽입하고 포지셔닝하기 위한 하우징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함 -.
용기는 저장을 위해 평평한 구성에서 시작하여 펴진 구성으로 배치되며, 여기서, 제 1 벽은 바닥부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에 외부 정렬되는 평면 내에 배치되고; 제 2 벽은 바닥부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 자체에 중첩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며; 상부면은 바닥부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 및 제 1 벽 모두에 중첩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된다.
용기를 펴진 구성으로 취하기 위해서는, 바닥부에 대해 기울어진 구성으로 취할 수 있도록 바닥부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제 1 벽을 강제로 접을 필요가 있다. 접는 동작 동안, 제 2 벽도 또한 회전하게 되어 바닥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구성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 벽 및 제 2 벽 모두에 연결된 상부면이 제 1 및 제 2 벽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나서, 거기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되어 바닥부에 대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용기에는 몇가지 단점이 있다.
판지의 빈약한 고유 강성과 용기의 상부면이 제 1 벽 및 제 2 벽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 예를 들어 그것과 일체로 되어 있다는 사실은 한 번 펴진 구성으로 된 용기의 안정성 및 형상 유지의 문제를 야기한다.
사실, 용기가 펼진 구성으로 배치되면 자체 무게를 지닌 상부면이 제 1 벽과 제 2 벽 상에서 지탱되므로, 바닥부에 대하여 접혀서 그것의 시작 위치, 즉 용기의 평평한 구성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물품들을 판지 용기들에 삽입하고 판지 용기들을 관련 상자들 내부로 운반하고 포장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들은, 판지 용기를 펴진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특수한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들은 바닥부에 대해 접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벽을 가압하는 적절한 측방 맞댐 요소들 또는 고정된 맞댐 벽들을 제공받아야 하며, 이들 사이에서 펴진 구성으로 된 판지 용기가 위치되어야 한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기계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복잡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는 상자의 내부에 판지 용기를 삽입하고 배치하는 것이 제 1 벽과 제 2 벽이 배치되는 2개의 대향 측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용기의 삽입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포장 기계에 특히 심각하다.
사실, 이 경우에, 판지 용기가 삽입 중에 형상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제 1 벽 및 제 2 벽이 배치되는 2개의 대향 측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용기를 전진시키고, 그런 다음 상자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용기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자에 넣기 전에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기계의 설계 및 사전배치 복잡성은 명백하다.
상기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타입의 판지 용기들의 단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은 청구항 1의 제약/화장 제품들을 함유하는 바이알/주사기와 같은 물품용 판지 용기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판지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가정된 펴진 구성을 자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청구항 1 항에 따른 판지 용기의 사용은, 제약/화장 제품들을 함유하는 물품을 판지 용기에 삽입하는 과정 및 이후의 가능한 운송 단계 및 관련 상자들의 내부 팩에의 용기 포장에서의 시간 및 비용면에 있어서의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의 도움으로 청구 범위에 기재된 것에 따라 본 명세서의 다음 부분에서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인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들/주사기들과 같은 물품용 판지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물품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는 펴진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 도 2는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인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들/주사기들과 같은 물품용 판지 용기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물품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는 펴진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 도 3은 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섹션 IV-IV에 따른 동일한 용기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5는 2개의 주사기가 삽입된 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 도 6은 평평한 구성의 도 1의 판지 용기의 평면도이다.
- 도 7은 도 1의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용기의 펴짐 단계에서 도 7과 동일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 도 7a 및 도 8a는 도 7 및 도 8 각각의 상세 W 및 J의 보다 큰 스케일의 예시이다.
전술한 도면의 표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1)은 본 발명의 대상인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들/주사기들(2)인 물품용 판지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1)는 블랭크(blank)로부터 시작하여 얻어지며, 평평한 구성(A)으로부터 시작하여 펴진 구성(V)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용기(1)는 바닥부(3);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1 벽(P1); 제 1 벽(P1)에 대향하고,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2 벽(P2);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 바닥부(3)에 대향하고, 제 1 벽(P1)과 제 2 벽(P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상부면(FS)을 포함하며, 상부면(FS)은 물품을 삽입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하우징(40)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기(1)의 특징은, 또한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있다: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5), 및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어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고 제 1 벽(P1)과 제 2 벽(P2)과 상부면(FS)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윙(6).
또한, 윙(6)은 탭(7)을 포함하며, 탭(7)은 윙(6)이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힐 때 상기 슬롯(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미리 배치되며,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 삽입되어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의 용기(1)는 평평한 구성(A)에서 시작하여 펴진 구성(V)으로 배치된다.
평평한 구성(A)에서 용기(1)는 다음을 갖는다: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며 바닥부(3)에 외부 정렬되는 평면 내에 배치되는 제 1 벽(P1);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 그 자체 상에 중첩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는 제 2 벽(P2);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와 제 1 벽(P1) 상에 중첩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는 상부면(FS);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에 외부 정렬된 평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윙(6).
용기(1)가 펴진 구성(V)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벽(P1)을 가압하여 접어서 바닥부(3)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그것이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제 1 벽(P1)의 회전은 그것이 접합된 상부면(FS)의 회전을 유도하고, 그 후에 상부면(FS)이 바닥부(3)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제 1 벽(P1)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면(FS)에 접합되어 있는 제 2 벽(P2)의 회전을 유도하고, 그 후에 제 2 벽(P2)이 제 1 벽(P1)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바닥부(3)에 대해 그리고 상부면(FS)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펴진 구성(V)을 유지하면서 또한 제 1 벽(P1) 및 제 2 벽(P2)에 지지된 제 2 면(FS)의 무게가 선행 회전에 반대되는 회전을 유도하여 평평한 구성(A)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벽(P1)과 제 2 벽(P2) 및 상부면(FS) 사이에서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고, 윙(6)이 제공되는 탭(7)을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 상에 존재하는 슬롯(5)에 삽입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윙(6)을 접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며, 따라서 윙(6)은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에 대하여 가압하여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안정화시킨다.
결론적으로,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지는 윙(6)의 삽입, 탭(7)과 탭(7)이 삽입되는 슬롯(5) 사이의 커플링은, 종래 기술에 관한 용기(1)가 펴진 구성(V)에서 가정된 형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용기(1)는 용기(1) 내의 물품의 포지셔닝 작업들 중에, 그리고 용기(1)를 관련 박스의 내부로 운송 및 삽입하는 동안에, 펴진 구성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들을 구비한 기계의 존재를 요구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공통인, 본 발명의 용기(1)의 본질적인 양태들을 요약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1)의 여러 가능한 실시예들에 공통적인 다른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진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때, 윙(6)은 바닥부(3)에 접합되는 베이스 면(8), 탭(7)이 실현되는 베이스 면(8)에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면(9), 및 베이스 면(8)에 연속하고 윙(6)을 삽입할 수 있는 각도로 베이스 면(8)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제 1 면(9)과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면(10)을 포함하도록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
윙(6)의 이러한 특별한 형태는 유리하게는 윙(6)이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서 강제로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 배치될 경우(예를 들면, 도 8 참조) 윙(6)이 제 1 벽(P1) 및 제 2 벽(P2)과 간섭하게 될 위험 없이, 이들 벽이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될 때에,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의 윙(6)의 더욱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윙(6)은 바람직하게는 탭(7)이 슬롯(5)에 삽입될 때 탭(7)을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에 후킹(hooking)하기 위한 후크 형상 요소(hook-shaped element)(11)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적어도 하나의 슬롯(5)과 탭(7) 사이의 커플링은, 유리하게 더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펴진 구성(V)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또한, 경사각은, 존재하는 경우, 탭(7)과 슬롯(5) 사이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커플링을 보장하기 위해 슬롯(5)에 후크 형상 요소(11)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도 2에 도시된 가능한 실시예에서, 용기(1)는 제 1 벽(P1)이 바닥부(3)의 제 1 측방 에지(B1)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고, 제 2 벽(P2)이 제 1 측방 에지(B1)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바닥부(3)의 제 2 측방 에지(B2)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벽(P1) 및 제 2 벽(P2)은 모두 바닥부(3)와 일체일 수 있고, 제 1 측방 에지(B1) 및 제 2 측방 에지(B2)에서 각각 특별한 스코어 라인(score line)들을 따라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어, 바닥부(3)에 대한 제 1 벽(P1) 및 제 2 벽(P2)의 접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벽(P1) 및 제 2 벽(P2) 모두는 바닥부(3)에 대해 접힐 수 있는 방식으로 바닥부(3)에 접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벽(P1) 및 제 2 벽(P2)은 특별한 플랩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바닥부(3)에 접합될 수 있다.
도 2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용기(1)의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은,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는 세장형 물품의 하우징(40)에서 유리한 삽입 및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면(FS)에 존재하는 개구(4)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2)를 포함한다.
도 2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용기(1)의 치수가 이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경우, 상부면(FS)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물품들을 삽입하고 포지셔닝할 수 있도록 하나보다 많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보다 많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용기(1)의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은 상부면(FS)에 존재하는 개구와 각각 연통하여 유리하게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으로 형성되는 관련 하우징에 삽입 및 포지셔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용기(1)는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바닥부(3)에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제 1 벽(P1)과 제 2 벽(P2)과 대향 윙(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벽(P1) 또는 제 2 벽(P2) 상의, 전술한 슬롯(5)과 유사한, 추가 슬롯(50), 윙(6)이 접합되는 긴 에지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바닥부(3)의 에지를 따라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윙(6)과 유사한, 추가 윙(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보다 안전하게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특별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1, 도 3 내지 도 8,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되는 주사기들과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인 경우,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접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용기(1)는 제 1 벽(P1)이 바닥부(3)의 제 1 측방 에지(B1)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고, 제 2 벽(P2)은 제 1 측방 에지(B1)에 평행한 바닥부(3)의 제 1 섹션(13)을 따라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된다.
용기(1)는 다음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측방 에지(B1)에 평행한, 바닥부(3)의 제 2 측방 에지(B2)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제 3 벽(P3);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측방 에지(B2)에 평행한 바닥부(3)의 제 2 섹션(14)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제 4 벽(P4).
용기(1)는 펴진 구성(V)으로 배치될 때, 또한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서 바닥부(3)에 대향하며, 제 3 벽(P3) 및 제 4 벽(P4)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2 상부면(FS2); 물품을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 2 하우징(150)을 규정하기 위한 적어도 제 2 개구(15)를 포함하는 제 2 상부면(FS2)을 포함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용기(1)는 용기(1)가 펴진 구성(V)일 때, 제 3 벽(P3) 또는 제 4 벽(P)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슬롯(16);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제 3 벽(P3)과 제 4 벽(P4)과 제 2 상부면(FS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서,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윙(17)을 더 포함하고, 제 2 윙(17)은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 삽입될 때, 제 2 슬롯(16)에 삽입할 수 있도록 미리 배치된 제 2 탭(18)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안정화시킨다.
평평한 구성(A)에서 용기(1)는 다음을 갖는다(도 6 참조):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에 외부 정렬되는 평면에 배치되는 제 1 벽(P1) 및 제 3 벽(P3);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 자체 상에 중첩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는 제 2 벽(P2) 및 제 4 벽(P4);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 및 제 1 벽(P3) 모두에 중첩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는 상부면(FS); 바닥부(3) 및 제 3 벽(P3) 모두에 중첩된 제 2 상부면(FS2), 바닥부(3)에 의해 식별되고 바닥부(3)에 외부 정렬되는 평면에 배치되는 윙(6) 및 제 2 윙(17).
윙(6)에 대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2 윙(17)은,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히는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서,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때, 바닥부(3)에 접합되는 베이스 면(80)과, 제 2 탭(18)이 형성되는 베이스 면(80)에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면(90)과, 및 베이스 면(80)에 연속하고 제 1 면(90)에 대향하며 제 2 윙(17)의 삽입을 허용하는 각도만큼 베이스 면(80)에 대해 경사져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면(100)을 포함하도록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탭(7)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탭(18)은 제 2 탭(18)이 제 2 슬롯(18)에 삽입될 때, 제 2 탭(18)을 제 3 벽(P3) 또는 제 4 벽(P4)에 후킹하기 위한 후크 형상 요소(180)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도 6 내지 도 8을 참조).
또한,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 하우징(40)이 상부면(FS)에 규정되고,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서, 제 2 하우징(150)이 제 2 상부면(FS2)에 규정되며, 주사기(2)와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의 삽입 및 포지셔닝을 위한 단일 안착부를 규정하는 방식으로, 제 2 벽(P2)이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 상부면(FS)의 개구(4)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2)를 포함하고, 제 4 벽(P4)이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 제 2 상부면(FS2)의 제 2 개구(15)와 연통하고 제 2 벽(P2)의 윈도우(12)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윈도우(19)를 포함하도록, 용기(1)가 구성된다.
제 1 하우징(40) 및 제 2 하우징(150)은 유리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사기들(2)과 같은 매우 긴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물품들을 포함하기에 적합한 하우징을 구성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8,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용기(1)의 치수가 허용하는 크기인 경우, 상부면(FS) 및 제 2 상부면(FS2)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물품들을 삽입 및 포지셔닝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규정한다. 유사하게, 제 2 벽(P2)은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포함하고, 각각은 상부면(FS)의 상대 개구와 연통할 수 있으며, 제 4 벽(P4)은 하나보다 많은 윈도우를 포함하고 각각은 제 2 상부면(FS2)의 개구와 연통하고 제 2 벽(P2)의 대응하는 개구를 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들은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에서, 상부면(FS)에 규정되고, 이들은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서, 제 2 상부면(FS2)에 규정되며, 주사기들(2)과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들의 삽입 및 포지셔닝을 위한 단일 안착부를 규정한다.
또한, 도 1, 도 3 내지 도 8,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1)는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윙(17)에 대향하는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벽(P3) 또는 제 4 벽(P4)에 있는, 제 2 슬롯(16)과 같은, 추가 슬롯, 및 윙(17)이 접합되는 에지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바닥부(3)의 에지를 따라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제 2 윙(17)과 유사한, 추가 윙(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펴진 구성(V)을 보다 안전하게 안정화시킨다.
도 1 및 도 6을 특히 참조하면, 제 1 벽(P1)은 바닥부(3)의 제 1 측방 에지(B1)에서 바닥부(3)와 일체로 되어있고 제 1 측방 에지(B1)를 따라 배치된 제 1 스코어 라인(L1)에 대해 접을 수 있으며; 제 3 벽(P3)은 바닥부(3)와 일체로 되어 있고 제 2 측방 에지(B2)를 따라 배치된 제 2 스코어 라인(L2)에 따라 그것에 대하여 접을 수 있으며; 제 2 벽(P2) 및 제 4 벽(P4)은 바닥부(3)에 직접 접착된 제 1 플랩(F1)에 의해 바닥부(3)에 접합되며, 제 2 벽(P2)은 제 1 스코어 라인(L1)에 평행한 제 3 스코어 라인(L3)에 따라 제 1 플랩(F1)에 대해 접을 수 있고, 제 4 벽(P4)은 제 2 스코어 라인(L2)에 평행한 제 4 스코어 라인(L4)에 따라 제 1 플랩(F1)에 대해 접을 수 있다.
상부면(FS)은 제 1 벽(P1) 및 제 2 벽(P2)과 일체로 되어있고, 제 5 스코어 라인(L5)에 따라 제 1 벽(P1)에 대해 접을 수 있고 제 6 스코어 라인(L6)에 따라 제 2 벽(P2)에 대해 접을 수 있으며; 제 2 상부면(FS2)은 제 3 벽(P3)과 일체로 되어 있고 제 7 스코어 라인(L7)에 따라 제 3 벽(P3)에 대해 접을 수 있고, 제 4 벽(P4)은 제 2 상부면(FS2)의 하부의 부분(20)에 접착된 제 2 플랩(F2)에 의해 제 2 상부면(FS2)에 접합되고 제 8 스코어 라인(L8)을 따라 그에 대해 접을 수 있다.
또한, 제 2 상부면(FS2)은 제 1 섹터(S1)를 포함하는 제 3 플랩(F3)에 의해 제 1 플랩(F1)에 연결되고, 제 2 상부면(FS2)과 일체로 되어있고, 제 9 스코어 라인(L9)을 따라 그에 대해 접을 수 있으며, 제 2 섹터(S2)는 제 1 플랩(F1) 상에 접착되고, 제 10 스코어 라인(L10)을 따라 그에 대해 접을 수 있다.
제 1 플랩(F1) 및 제 3 플랩(F3)의 치수를 변화시킬 때 유리하게는 상이한 형상의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물품들에 적응하기 위한 가변 치수를 갖는 용기(1)가 될 것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8,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1)는 제 3 플랩(F3)의 제 1 섹터(S1)가 제 4 벽(P4)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윈도우(19)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윈도우(22)를 포함하여 주사기(2)와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의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며, 안착부가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의 상부면(FS)의 하우징(40)에 의해 규정되고,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의 제 2 상부면(FS2)의 제 2 하우징(150)에 의해 규정되며, 여기서 제 1 섹터(S1)와 제 4 벽(P4) 사이에서, 주사기(2)의 몸체에 존재하는 칼라(collar)를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공간이 규정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1, 도 3 내지 도 8,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사기(2)와 같은 칼라를 갖고 제 1 섹터(S1)와 제 4 벽(P4) 사이의 공간에 칼라를 포지셔닝하는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물품들의 용기(1) 내의 포지셔닝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할 것이며, 제 3 플랩(F3)의 제 1 섹터(S1)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포함하고; 윈도우들 각각은 제 4 벽(P4)의 윈도우에 대향하게 되고, 주사기(2)와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의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안착부가 제 1 벽(P1)과 제 2 벽(P2) 사이의 상부면(FS)의 하우징들에 의해 규정되고, 제 3 벽(P3)과 제 4 벽(P4) 사이의 제 2 상부면(FS2)의 하우징들에 의해 규정되며, 여기서 제 1 섹터(S1)와 제 4 벽(P4) 사이에는, 안착부들에서 삽입되는 각 주사기(2)의 몸체에 존재하는 칼라를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공간이 규정된다(특히 도 5 참조).
상기 내용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설명된 것이며, 임의의 기술적 기능적 변형예들은 다음에 청구되는 바와 같은 본 기술적 솔루션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2)

  1. 블랭크로부터 시작하여 얻어지며 평평한 구성(A)에서 시작되는 펴진(opened-out) 구성(V)을 가정하여 이루어지는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2)와 같은, 물품용 판지 용기로서, 상기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바닥부(3);
    상기 바닥부(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1 벽(P1);
    상기 제 1 벽(P1)에 대향하고,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2 벽(P2);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3)에 대향하며, 상기 제 1 벽(P1) 및 상기 제 2 벽(P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상부면(FS) - 상기 상부면(FS)은 물품을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하우징(40)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P1) 또는 상기 제 2 벽(P2)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5);
    상기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된 적어도 하나의 윙(wing)(6) - 상기 윙(6)은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 삽입될 경우, 상기 스롯(5)에 삽입 가능하도록 미리 배치된 탭(7)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6)은,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진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때, 상기 바닥부(3)에 접합되는 베이스 면(8), 상기 탭(7)이 구현되는 상기 베이스 면(8)에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면(9), 및 상기 베이스 면(8)에 연속하고 상기 윙(6)을 삽입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베이스 면(8)에 대해 경사져 있는, 상기 제 1 면(9)과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면(10)을 포함하도록 하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용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7)은, 상기 탭(7)이 상기 슬롯(5)에 삽입될 때, 상기 탭(7)을 상기 제 1 벽(P1) 또는 상기 제 2 벽(P2)에 후킹(hooking)하기 위한 후크 형상 요소(hook-shaped element)(11)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용기(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5)은 상기 바닥부(3)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자시도록 상기 제 1 벽(P1) 또는 상기 제 2 벽(P2)에 구현되는, 용기(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P1)은 상기 바닥부(3)의 제 1 측방 에지(B1)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제 2 벽(P2)은 상기 제 1 측방 에지(B1)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의 제 2 측방 에지(B2)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용기(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P1) 또는 상기 제 2 벽(P2)은,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는 세장형 물품의 하우징(40) 내 삽입 및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상부면(FS)에 존재하는 개구(4)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2)를 포함하는, 용기(1).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P1)은 상기 바닥부(3)의 제 1 측방 에지(B1)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접철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제 2 벽(2)은 상기 제 1 측방 에지(B1)에 평행한, 상기 바닥부(3)의 제 1 섹션(13)을 따라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용기(1)는,
    상기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 1 측방 에지(B1)에 평행한, 상기 바닥부(3)이 제 2 측방 에지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제 3 벽(P3);
    상기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 2 측방 에지(B2)에 평행한 상기 바닥부(3)의 제 2 섹션(14)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되는 제 4 벽(P4);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3)에 대향하며, 상기 제 3 벽(P3) 및 상기 제 4 벽(P4)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되는 제 2 상부면(FS2) - 상기 제 2 상부면(FS2)은 물품을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 2 하우징(150)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15)를 포함함 -;
    상기 제 3 벽(P3) 또는 상기 제 4 벽(P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슬롯(16);
    상기 용기(1)가 펴진 구성(V)에 있을 때,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3)에 절첩 가능하게 접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윙(17) - 상기 제 2 윙(17)은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스롯(16)에 삽입 가능하도록 미리 배치된 제 2 탭(18)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1)의 펴진 구성(V)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 -
    을 포함하는, 용기(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윙(17)은,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진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 상기 바닥부(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 배치될 때, 상기 바닥부(3)에 접합되는 베이스 면(80), 상기 제 2 탭(18)이 구현되는 상기 베이스 면(80)에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면(90), 및 상기 베이스 면(80)에 연속하고 상기 제 2 윙(17)을 삽입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베이스 면(80)에 대해 경사져 있는, 상기 제 1 면(90)과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면(100)을 포함하도록 하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용기(1).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탭(18)은, 상기 제 2 탭(18)이 상기 제 2 슬롯(16)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탭(18)을 상기 제 3 벽(P3) 또는 상기 제 4 벽(P4)에 후킹하기 위한 후크 형상 요소(180)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용기(1).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40)이 상기 상부면(FS)에 규정되고,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서, 상기 제 2 하우징(150)이 상기 제 2 상부면(FS2)에 규정되며, 주사기(2)와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의 삽입 및 포지셔닝을 위한 단일 안착부를 규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2 벽(P2)이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 상기 상부면(FS)의 개구(4)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벽(P4)이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 상기 제 2 상부면(FS2)의 제 2 개구(15)와 연통하고 상기 제 2 벽(P2)의 윈도우(12)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윈도우(19)를 포함하는, 용기(1).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P1)은 상기 바닥부(3)의 상기 제 1 측방 에지(B1)에서 상기 바닥부(3)와 일체로 되어있고 상기 제 1 측방 에지(B1)를 따라 배치된 제 1 스코어 라인(L1)에 대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 3 벽(P3)은 상기 바닥부(3)의 상기 제 2 측방 에지(B2)에서 상기 바닥부(3)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측방 에지(B2)를 따라 배치된 제 2 스코어 라인(L2)에 따라 그것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 2 벽(P2) 및 상기 제 4 벽(P4)은 상기 바닥부(3)에 직접 접착된 제 1 플랩(F1)에 의해 상기 바닥부(3)에 접합되며, 상기 제 2 벽(P2)은 상기 제 1 스코어 라인(L1)에 평행한 제 3 스코어 라인(L3)에 따라 제 1 플랩(F1)에 대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 4 벽(P4)은 상기 제 2 스코어 라인(L2)에 평행한 제 4 스코어 라인(L4)에 따라 상기 제 1 플랩(F1)에 대해 절첩 가능하며; 또한 상기 상부면(FS)은 상기 제 1 벽(P1) 및 상기 제 2 벽(P2)과 일체로 되어있고, 제 5 스코어 라인(L5)에 따라 상기 제 1 벽(P1)에 대해 절첩 가능하고 제 6 스코어 라인(L6)에 따라 상기 제 2 벽(P2)에 대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 2 상부면(FS2)은 상기 제 3 벽(P3)과 일체로 되어 있고 제 7 스코어 라인(L7)에 따라 상기 제 3 벽(P3)에 대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 4 벽(P4)은 상기 제 2 상부면(FS2)의 하부의 부분(20)에 접착된 제 2 플랩(F2)에 의해 상기 제 2 상부면(FS2)에 접합되고 제 8 스코어 라인(L8)을 따라 그것에 대해 절첩 가능하며, 상기 제 2 상부면(FS2)은 제 1 섹터(S1)를 포함하는 제 3 플랩(F3)에 의해 상기 제 1 플랩(F1)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상부면(FS2)과 일체로 되어 있고, 제 9 스코어 라인(L9)을 따라 그것에 대해 절첩 가능하며, 제 2 섹터(S2)는 상기 제 1 플랩(F1) 상에 접착되어, 제 10 스코어 라인(L10)을 따라 그것에 대해 절첩 가능한, 용기(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플랩(F3)의 상기 제 1 섹터(S1)가 상기 제 4 벽(P4)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윈도우(19)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윈도우(22)를 포함하여, 주사기(2)와 같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 물품의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 1 벽(P1)과 상기 제 2 벽(P2) 사이에서 상기 상부면(FS)의 하우징(40)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 3 벽(P3)과 상기 제 4 벽(P4) 사이에서 상기 제 2 상부면(FS2)의 제 2 하우징(150)에 의해 규정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섹터(S1)와 상기 제 4 벽(P4) 사이에서, 주사기(2)의 몸체에 존재하는 칼라(collar)를 삽입 및 포지셔닝하기 위한 공간이 규정되는, 용기(1).
KR1020197020711A 2016-12-27 2017-12-18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인 물품용 판지 용기 KR20190102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130986 2016-12-27
IT102016000130986A IT201600130986A1 (it) 2016-12-27 2016-12-27 Contenitore in cartone per articoli, quali flaconi/siringhe, contenenti prodotti farmaceutici/cosmetici
PCT/IB2017/058067 WO2018122673A1 (en) 2016-12-27 2017-12-18 A cardboard container for articles, being vials/syringes containing pharmaceutical/cosmetic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006A true KR20190102006A (ko) 2019-09-02

Family

ID=5870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711A KR20190102006A (ko) 2016-12-27 2017-12-18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인 물품용 판지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39681A1 (ko)
EP (1) EP3562749B1 (ko)
KR (1) KR20190102006A (ko)
CN (1) CN110121464B (ko)
ES (1) ES2879848T3 (ko)
IT (1) IT201600130986A1 (ko)
WO (1) WO20181226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325A1 (ko) * 2021-09-08 2023-03-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용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4563S1 (en) 2019-11-07 2022-06-14 Abbvie Inc. Sleeve container
USD951778S1 (en) 2019-11-07 2022-05-17 Abbvie Inc. Sleeve container
US11897672B2 (en) 2019-11-07 2024-02-13 Abbvie Inc. Sleeve containers for packaging medicinal products
WO2021097789A1 (en) * 2019-11-22 2021-05-27 Citadel Casing Ltd Bottle cases with tamper-proof security and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7676A (en) * 1936-10-05 1939-02-21 Louis A Shoemaker Box corner construction
US2604987A (en) * 1950-04-12 1952-07-29 East Rutherford Syringes Inc Glass syringe packaging carton
FR2469361A1 (fr) * 1979-11-08 1981-05-22 Paillet Bernard Emaballage pour ampoules pharmaceutiques et similaires
JPH079789Y2 (ja) * 1992-08-05 1995-03-08 関西ナショナル印刷株式会社 物品支承用ホルダー
EP0648677A1 (en) * 1993-10-15 1995-04-1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ntainer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JP3568595B2 (ja) * 1993-10-15 2004-09-22 関西ナショナル印刷株式会社 物品支承用容器
FR2741860B1 (fr) * 1995-11-30 1998-01-09 Packart Flan en carton comportant des moyens permettant son maintien temporaire en volume lors de l'elaboration d'un paquet
JP4824875B2 (ja) * 2001-07-31 2011-11-3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底緩衝機能付き収納函
JP5349902B2 (ja) * 2008-10-22 2013-11-20 朝日印刷株式会社 緩衝機能付包装箱
DE102010020254A1 (de) * 2010-05-11 2011-11-17 August Faller Kg Faltschachteleinsatz und Faltschachtel für einen Faltschachteleinsatz
US9333289B1 (en) * 2015-01-16 2016-05-10 Plas-Tech Engineering, Inc. Tamper evident closur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325A1 (ko) * 2021-09-08 2023-03-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용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9681A1 (en) 2020-02-06
CN110121464A (zh) 2019-08-13
ES2879848T3 (es) 2021-11-23
IT201600130986A1 (it) 2018-06-27
EP3562749B1 (en) 2021-03-31
WO2018122673A1 (en) 2018-07-05
EP3562749A1 (en) 2019-11-06
CN110121464B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2006A (ko) 제약/화장 제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주사기인 물품용 판지 용기
EP0016877B1 (en) Article carrier
US4474324A (en) Telescoping carton
US2984401A (en) Snap-top display carton
US20130062245A1 (en) Package for pharmaceutical products, in particular for parenteral products
US10694780B2 (en) Packaging sleeve
CA2952391C (en) Shipping container convertible into a display configuration
US4037717A (en) Display carton
US20130056527A1 (en) Folding-box insert, and folding box for a folding-box insert
US7832623B1 (en) Carton with arcuate bottom score and scored side wall and flap
US4219147A (en) Six cell glassware carton
US20150096921A1 (en) Modified frame face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6152359A (en) Oval folding carton with automatic closing
WO2014190122A1 (en) Cigarette package
US2750098A (en) Boxes or cartons
GB2529208A (en) Package assembly
US2841320A (en) Integral cartons for the protection of fragile articles
EP1125850B1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2837262A (en) Package holder for cans and the like
US5630545A (en) Apparatus for packaging articles
US3348666A (en) Soup carton
GB2419130A (en) Cartons having hooks for displaying articles
US3392822A (en) Display carton
JPH04239445A (ja) 包装容器
EP1163159B1 (en) Product encircling band and car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