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908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1908A KR20190101908A KR1020190021280A KR20190021280A KR20190101908A KR 20190101908 A KR20190101908 A KR 20190101908A KR 1020190021280 A KR1020190021280 A KR 1020190021280A KR 20190021280 A KR20190021280 A KR 20190021280A KR 20190101908 A KR20190101908 A KR 201901019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p
- ring structure
- stent
- link member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8—Mean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nts allowing flexi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2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whole structure different bands showing different meander characteristics, e.g. frequency or amplitu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91—Three-dimensional shapes helically-coiled or spirally-coiled, i.e. having a 2-D spiral cross-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스텐트가 개시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마루 후프,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골 후프을 형성하는 링 구조가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 셀부;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링 구조와 이웃하는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한다.
Description
본원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생체의 내강(內腔) 또는 혈관 등에 발생한 병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내강 또는 혈관 등의 통로를 확보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텐트는 동맥류, 혈전증, 색전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로서, 폐쇄를 경감하기 위해 관의 루멘 내측에 잔류하는 관형 구조체이다.
스텐트는 외측면 방향으로 팽창하려는 팽창력(Radial Force)에 의하여 협착부를 관로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하여 관로를 확보하게 되며, 이러한 스텐트는 팽창력 이외에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춰야 인체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유연성(Flexibility)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 대비 팽창력, 유연성이 향상되고, 리코일이 개선된 스텐트가 구현될 필요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49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대비 향상된 팽창력과 유연성을 가지고, 리코일이 개선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스텐트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마루 후프,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골 후프를 형성하는 링 구조가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 셀부;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링 구조와 길이 방향 타측으로 이웃하는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가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하므로,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가 스텐트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사선형의 직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어, 유연성을 확보하고 굽힘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스텐트가 구현될 수 있으며, 리코일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링크 부재(13a)를 강조하여 나타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생분해성 재료인 Poly-L-lactic acid (PLLA) 튜브를 이용하여 가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는 기존 스텐트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비교한 것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스텐트에 대해 팽창력을 시험 하는 것을 측면 및 정면 각각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에 대한 팽창력 시험의 결과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기존 스텐트의 골 후프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골 후프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대한 유연성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에 대한 유연성 시험의 결과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의 링크 부재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링크 부재(13a)를 강조하여 나타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생분해성 재료인 Poly-L-lactic acid (PLLA) 튜브를 이용하여 가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는 기존 스텐트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비교한 것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스텐트에 대해 팽창력을 시험 하는 것을 측면 및 정면 각각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에 대한 팽창력 시험의 결과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기존 스텐트의 골 후프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골 후프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대한 유연성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에 대한 유연성 시험의 결과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의 링크 부재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이하 '본 스텐트'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링크 부재(13a)를 강조하여 나타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1)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1)는 셀부(1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셀부(12)는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마루 후프(hoop)(111),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골 후프(Hoop)(112)를 형성하는 링 구조(11)가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링 구조(11)는 와이어가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를 형성하며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띠 형상을 이루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링 구조(11)는 S자 물결 형태일 수 있다.
참고로, 후프(Hoop)는 크라운(crown)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골 후프(112)는 골 크라운이라고도 할 수 있고, 마루 후프(111)는 마루 크라운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스텐트(1)는 링크 부재(13) 복수 개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링크 부재(13)는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링 구조(11)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8시 방향에서 2시 방향으로(도 2에서 9시 방향에서 3시 방향으로), 링 구조(11)와 링크 부재(13)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참고로, 링크 부재(13)는 후술하는 제1 링크 부재(13a) 및 제2 링크 부재(13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1)는 링 구조(11)의 골 후프(112)와 링 구조(11)의 길이 방향 타측으로 이웃하는 제1 이웃 링 구조(11a)의 마루 후프(111)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13a)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 구조(11)의 골 후프(112)와 제1 링 구조(11a)의 마루 후프(111)는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 구조(11)의 골 후프(112)와 제1 링 구조(11a)의 마루 후프(111)는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서로 불일치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13a)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링 구조(11)의 골 후프(112)와 제1 이웃 링 구조(11a)의 마루 후프(111)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링크 부재(13a)는 그의 길이 방향(연장 방향)이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사선형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링크 부재(13a)는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 부재(13a)는 길이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순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스텐트(1)는 링 구조(11)의 마루 후프(111)와 링 구조(1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이웃하는 제2 이웃 링 구조(11b)의 골 후프(112)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13b)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링 구조(11)의 마루 후프(111)와 제2 링 구조(11a)의 골 후프(112)는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 구조(11)의 마루 후프(111)와 제2 링 구조(11b)의 골 후프(112)는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서로 불일치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부재(13b)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링 구조(11)의 마루 후프(111)와 제2 이웃 링 구조(11b)의 골 후프(11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 부재(13a)는 그의 길이 방향(연장 방향)이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사선형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링크 부재(13a)는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 부재(13b)는 길이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중 타 방향인 역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스텐트(1)에 의하면,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 각각이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구비)됨에 따라,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는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만큼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본 스텐트(1)의 직경이 확장되게 할 수 있다. 즉, 기울어진 구조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 각각은 본 스텐트(1)의 직경이 보다 유연하게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스텐트(1)에 의하면,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 각각이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예를 들어, 제1 링크 부재(13a)는 상기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순방향, 제2 링크 부재(13b)는 상기 원주 방향 중 타 방향인 역방향)으로 비스듬한 구조(기울어진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가 상기 원주방향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 대비 본 스텐트(1)의 직경의 확장 범위(확장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링 구조(11), 제1 이웃 링 구조(11a) 및 제2 이웃 링 구조(11b) 각각은 4개 이상의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가 서로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후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 구조(11), 제1 이웃 링 구조(11a) 및 제2 이웃 링 구조(11b) 각각은 6개의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가 서로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후프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 각각은 링 구조(11)와 제1 이웃 링 구조(11a) 사이 및 링 구조(11)와 제2 이웃 링 구조(11b) 사이 각각에서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골 후프(112)와 마루 후프(111)를 스킵(SKIP)하며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 부재(13a)는, 링 구조(11)와 제1 이웃 링 구조(11a)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가 전개되지 않은 상태, 즉 말아진 상태에서 링 구조(11)와 제1 이웃 링 구조(11a) 사이에 구비된 2개의 제1 링크 부재(13a)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부재(13b)는, 링 구조(11)와 제2 이웃 링 구조(11b)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2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가 전개되지 않은 상태, 즉 말아진 상태에서 링 구조(11)와 제2 이웃 링 구조(11b) 사이에 구비된 2개의 제2 링크 부재(13b)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링크 부재(13a)와 제2 링크 부재(13b)가 스킵하며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a, 13b) 각각이 셀(15)을 건너띄며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셀(15)이 서로에 대해 오픈(open)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셀(15)이 서로에 대해 개방될 수 있으므로 오픈셀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2 개의 제1 링크 부재(13a)에 의해 링 구조(11)와 제1 이웃 링 구조(11a) 사이에는 2개의 오픈 셀(15)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오픈 셀(15)은 원주 방향으로 이웃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제2 링크 부재(13b)에 의해 링 구조(11)와 제2 이웃 링 구조(11b) 사이에는 2개의 오픈 셀(15)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오픈 셀(15)은 원주 방향으로 이웃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13a)와 제2 링크 부재(13b)는 원주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있지 않고, 서로 불일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3a) 및 제2 링크 부재(13b) 각각이 2개씩 구비될 경우, 원주방향 기준으로 제1 링크 부재(13a)와 제2 링크 부재(13b)가 어긋나 있는 간격은 각도 단위로 보았을 때 90˚ 간격일 수 있다.
정리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링크 부재(13a, 13b)는 서로 대응(일치 또는 평행)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링크 부재(13a)는 제1 링크 부재(13a) 끼리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제2 링크 부재(13b)는 제2 링크 부재(13b)끼리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링크 부재(13a)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링크 부재(13a)와 제2 링크 부재(13b)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링크 부재(13, 13b)는 사선으로 배열되되, 제1 링크 부재(13a)는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순방향(예를 들어, 도 3 참조 8시-2시 방향)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링크 부재(13b)는 원주 방향 중 타방향인 역방향(예를 들어, 도 3 참조 10시-4시 방향)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역방향과 순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스텐트(1)는 오픈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부재(13a)가 셀(15)을 건너띄며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셀(15)이 서로에 대해 오픈(open)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셀(15)이 서로에 대해 개방될 수 있으므로 오픈셀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링크 부재(13)는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 링 구조(11a)와 링 구조(11)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13a)의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2 링 구조(11b)와 링 구조(11)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13b)의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의 위치와 엇갈릴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13a)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링 구조(11)의 골 후프(112)의 중심 부분과 제1 이웃 링 구조(11a)의 마루 후프(111)의 중심 부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부재(13b)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링 구조(11)의 마루 후프(111)의 중심 부분과 제2 이웃 링 구조(11b)의 골 후프(112)의 중심 부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링 구조(11)는 골 후프(112) 및 본 스텐트(1)의 원주 방향으로 골 후프(112)와 이웃하는 마루 후프(111)를 연결하는 스트럿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 부재(113)는 길이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중 일 방향인 순방향(도 3 참조, 대략 2시-8시 방향)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제1 스트럿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 및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중 타방향인 역방향(도 3 참조, 대략 4시-10시 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제2 스트럿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트럿 부재의 연장 방향은 제1 링크 부재(13a)의 연장 방향과 대응(평행)하고, 제2 스트럿 부재의 연장 방향은 제2 링크 부재(13b)의 연장 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크 부재(13a)의 길이 방향은 스트럿 부재(113)의 길이 방향에 대응(일치 또는 평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럿 부재(113)는 대략 2시-8시 방향 또는 대략 10시-4시 방향으로 연장(배열)될 수 있다. 또한, 링크 부재(13a)는 대략 2시-8시 방향 또는 대략 10시-4시 방향으로 연장(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압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의 두께(폭)(L1)는 스트럿 부재(113)의 두께(폭)(L2)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시 말해, 링 구조(11)의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는 스트럿 부재(113)의 선폭보다 두꺼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를 제외한 스트럿 부재(113)와 링크 부재(13a)는 동일한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선폭은, 본 스텐트(1)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너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럿 부재(113)의 폭(L2)은 0.12mm일 수 있고, 링 구조(11)의 크라운 부위(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는 0.18mm로 스트럿 부재(113)의 두께보다 두꺼운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대비 팽창력과 리코일(recoil)이 개선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에 있어서, 리코일(recoil)이라 함은 확장된 본 스텐트(1)가 수축될 경우, 수축되는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스텐트(1)에 있어서, 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의 두께(L1)가 스트럿 부재(113)의 두께(L2)보다 두껍게 설정되는 것은, 확장된 본 스텐트(1)의 수축을 방지하거나 수축되는 변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생분해성 재료인 Poly-L-lactic acid (PLLA) 튜브를 이용하여 가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스텐트(1)의 재질은 Poly-L-lactic acid (PLLA)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스텐트(1)는 생분해성 재료인 Poly-L-lactic acid (PLLA) 튜브를 이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스텐트(1)는 생체흡수성 심혈관 스텐트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스텐트(1)는 기존 스텐트 대비 차별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팽창력과 유연성이 우수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기존 스텐트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비교한 것을 도시한 표이다. 참고로, 도 5에서 기존 스텐트는 기존 스텐트를 의미하고, 본 스텐트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스텐트(1)에 따르면, 링 구조(11)의 형상은 알파벳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링 구조(11)를 이어주는 링커(linker) 부재(13a)는 나선형의 형태로 굽힘에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링 구조(11)의 스트럿 부재(113)와 일자형(직선 형태)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스텐트(1)에 따르면 링 구조(11)를 연결하는 링커 부재(13a)의 수가 2개로 설계될 수 잇으므로, 스텐트의 순응성과 팽창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스텐트(1)의 작용 또는 효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시장에서 상용화 된 제품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제품(기존 스텐트)과 본 스텐트(1)에 대해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비교평가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팽창력 (Radial Force)을 평가하였다.
도 6은 스텐트에 대해 팽창력을 시험 하는 것을 측면 및 정면 각각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에 대한 팽창력 시험의 결과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a는 기존 스텐트의 골 후프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골 후프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팽창력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참고로, 도 7에서 경쟁사는 기존 스텐트를 의미하고, 자사 스텐트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팽창력 평가 실험은 실제 시험과 동일하게 스텐트 직경의 50%까지 압축한 후 스텐트의 반력을 해석하는 것이다.
도 7 및 아래의 [표 1]을 참조하면, 실험 결과를 해석한 결과, 기존 스텐트보다 본 스텐트(1)의 팽창력이 높게 측정되었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도 8a 및 도 8b를 비교하여 보면, 기존 스텐트의 링 구조의 크라운(마루 후프 및 골 후프)의 폭보다 본 스텐트(1)의 크라운(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의 폭(L1)이 두껍게 설계되어(구체적으로, 기존 스텐트의 링 구조의 크라운(마루 후프 및 골 후프)의 폭은 0.15mm인데 반해 본 스텐트(1)의 크라운(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의 폭(L1)은 0.18mm임), 도 9를 참조하면, 크라운(마루 후프(111) 및 골 후프(112))이 압축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
또한, 유연성(Flexibility)을 평가하였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대한 유연성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1은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에 대한 유연성 시험의 결과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2는 기존 스텐트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각각의 링크 부재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1에서 경쟁사는 기존 스텐트를 의미하고, 자사 스텐트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의미한다. 또한, 도 12에서 기존 스텐트는 기존 스텐트를 의미하고, 본 스텐트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연성 평가는 실제 시험과 동일하게 3점 굽힘 시험을 통해 스텐트의 반력을 해석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아래의 [표 2]를 참조하면, 실험 결과를 해석한 결과, 기존 스텐트보다 본 스텐트(1)의 반력이 낮게 측정되어 유연성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스텐트(1)의 링크 부재(13a, 13b)는 스트럿 부재(1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계되어 나선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나선형의 링크 부재(13a)가 굽힘에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스텐트(1)의 링크 부재(13a, 13b)의 개수가 기존 스텐트의 링크 부재의 개수보다 적기때문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스텐트(1)의 링 구조(11, 11a, 11b) 사이(예를 들어, 링 구조(11)와 제1 링 구조(11a) 사이 및 링 구조(11)와 제2 링 구조(11b) 사이 각각)에 위치하는 링크 부재(13a, 13b)가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개수는 2 개이고 기존 스텐트의 링크 부재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스텐트의 링크 부재의 개수(3 개)보다 작은 개수의 본 스텐트(1)의 링크 부재(13a)의 개수(2 개)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 2]
또한, 아래의 [표 3]에는 기존 스텐트와 본 스텐트(1)의 실험을 통한 실제 평과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표 3]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11: 링 구조
111: 마루 후프
112: 골 후프
113: 스트럿 부재
12: 셀부
13: 링크 부재
15: 셀
11: 링 구조
111: 마루 후프
112: 골 후프
113: 스트럿 부재
12: 셀부
13: 링크 부재
15: 셀
Claims (10)
-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마루 후프,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골 후프를 형성하는 링 구조가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 셀부;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링 구조와 길이 방향 타측으로 이웃하는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대향하는 것인,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의 마루 후프와 상기 링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이웃하는 제2 이웃 링 구조의 골 후프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와 상기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링 구조의 마루 후프와 상기 제2 이웃 링 구조의 골 후프를 상호 연결하는 것인, 스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순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방향 중 타 방향인 역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인, 스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링 구조의 골 후프의 중심 부분과 상기 제1 이웃 링 구조의 마루 후프의 중심 부분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서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링 구조의 마루 후프의 중심 부분와 상기 제2 이웃 링 구조의 골 후프의 중심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것인, 스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 각각은, 상기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골 후프와 상기 마루 후프를 스킵(SKIP)하며 구비되는 것인, 스텐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링 구조와 상기 제1 이웃 링 구조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2개 구비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링 구조와 상기 제2 이웃 링 구조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2개 구비되는 것인, 스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는, 상기 골 후프 및 상기 스텐트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골 후프와 이웃하는 상기 마루 후프를 연결하는 스트럿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 방향 중 일 방향인 순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제1 스트럿 부재 및 상기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방향 중 타방향인 역방향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제2 스트럿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럿 부재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연장 방향과 대응하고,
상기 제2 스트럿 부재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연장 방향과 대응하는 것인, 스텐트. - 제3항에 있어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마루 후프 및 상기 골 후프의 두께는 상기 스트럿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인,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22190 | 2018-02-23 | ||
KR1020180022190 | 2018-02-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908A true KR20190101908A (ko) | 2019-09-02 |
Family
ID=6795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1280A KR20190101908A (ko) | 2018-02-23 | 2019-02-22 | 스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0190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1602A (ko) * | 2022-06-14 | 2023-12-21 | (주)시지바이오 | 스텐트 |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280A patent/KR201901019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1602A (ko) * | 2022-06-14 | 2023-12-21 | (주)시지바이오 | 스텐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132356B (zh) | 血管及体内导管治疗装置和方法 | |
US11045298B2 (en) | Vascular filter | |
JP6591664B2 (ja) | 塞栓除去装置 | |
US8778010B2 (en) | Endoluminal prosthesis | |
JP3708923B2 (ja) |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 |
US10010438B2 (en) | Reconstrainable stent delivery system | |
EP3254643B1 (en) | Linking sten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 |
US11839558B2 (en) | Medical device suitable for location in a body lumen | |
EP3809989A1 (en) | Embolectomy device having multiple embolectomy structures | |
US20090036976A1 (en) | Flexible stent | |
US20150080999A1 (en) | Self-expanding stent | |
US10271975B2 (en) | Stent device having reduced foreshortening and recoil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10828142B2 (en) | Intraluminal device | |
JP2004255186A (ja) | 血管被覆性を高める嵌合型フィンガ付きステント | |
US7722659B2 (en) | Endoluminal prosthesis | |
EP2744450A1 (en) | Offset peak-to-peak stent pattern | |
KR101593223B1 (ko) | 하이브리드 스텐트 | |
JP2019533520A (ja) | 織物ワイヤー管腔内デバイス | |
KR20190101908A (ko) | 스텐트 | |
US20120283819A1 (en) | Medical device suitable for location in a body lumen | |
KR20160025349A (ko) |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 |
WO2015145596A1 (ja) | 柔軟性ステント | |
CN113382694A (zh) | 混合框架腔内假体及其方法 | |
JP7451876B2 (ja) | ステント | |
KR101109719B1 (ko) | 확장식 스텐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