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223B1 - 하이브리드 스텐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223B1
KR101593223B1 KR1020150067832A KR20150067832A KR101593223B1 KR 101593223 B1 KR101593223 B1 KR 101593223B1 KR 1020150067832 A KR1020150067832 A KR 1020150067832A KR 20150067832 A KR20150067832 A KR 20150067832A KR 101593223 B1 KR101593223 B1 KR 10159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tent
cells
cell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기
유현승
서준혁
박준규
송석범
금창헌
조재화
진규현
이덕희
황선문
김태일
임옥균
이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5006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223B1/ko
Priority to EP15892673.3A priority patent/EP3284445B1/en
Priority to PCT/KR2015/009900 priority patent/WO2016186262A1/ko
Priority to CN201580080041.9A priority patent/CN107920905B/zh
Priority to JP2018511569A priority patent/JP6481844B2/ja
Priority to US15/574,330 priority patent/US106247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8Mean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nts allowing flexi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91Three-dimensional shapes helically-coiled or spirally-coiled, i.e. having a 2-D spiral cross-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스텐트는, 사선으로 배열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의 제1링크부 중 인접한 제1링크부를 연결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나선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셀과, 상기 복수의 메인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나선형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스텐트{HYBRID STENT}
본원은 하이브리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을 일으키는 뇌혈관질환은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의식소실, 사지마비, 언어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일단 뇌졸중이 발생하면 사망할 가능성이 높고 사망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장애를 남겨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뇌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사망원인으로 인구 10만 명당 75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하며, 인구 10만 명당 약 200명의 환자가 매년발생한다.
뇌혈관질환에는 크게 폐쇄성 뇌혈관 질환과 출혈성 뇌혈관질환으로 나뉜다. 폐쇄성 뇌혈관 질환은 주로 뇌로 가는 동맥이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서 막혀서 뇌가 손상을 입는 것이고, 출혈성 질환은 뇌혈관이 파열되어서 뇌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의 두 가지의 뇌혈관 질환 중 출혈성 뇌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중 대표적인 병변이 뇌동맥류이다. 뇌동맥류가 파열되어 지주막하 출혈로 발전하게 되면 심각한 뇌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며, 사망까지도 이르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동맥류를 미리 치료하여 환자의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
뇌동맥류의 치료법에는 동맥류 경부결찰술과 같은 직접적 수술법이 있는데 이는 직접적인 개두술로써 지난 수년간 가장 많이 행해져 오는 수술방법이지만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고통과 수술부위의 제한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백금코일을 이용하여 뇌동맥류 내부를 채우는 코일 색전술이라는 최소침습적인 치료법이 시행된다. 하지만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 때 동맥류의 입구(Aneurysm neck)의 모양에 따라 색전술 후 코일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금속망(metal mesh)으로 형성된 스텐트를 삽입해야 한다. 실제로 뇌동맥류의 많은 사례에서 동맥류의 입구가 넓은 경우 있다. 그러한 뇌동맥류를 와이드 넥(wide neck) 동맥류, 또는 자이안 트 넥(giant neck) 동맥류라고 한다. 그러한 동맥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색전술용 코일이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하며 뇌동맥류의 원활한 색전유도를 위해 스텐트의 삽입이 불가피하다.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가 체내 삽입 후 안정적으로 환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좁고(narrow), 굴곡진(tortuous) 뇌혈관을 지나야 하며, 뇌동맥류의 삽입된 코일의 이탈을 막고 혈압에 견디기 위해서는 유연성(flexibility)과 항내압성(Radial resistance)과 같은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방사선 불투과성(Radio-opacity)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스텐트의 시작과 끝부분에 지시자(marker)를 달아야 한다.
이는 X-ray상에 정확히 스텐트의 위치가 표시되게 하여 시술자가 스텐트를 정확한 위치에 전개하고 시술 후에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스텐트는 사용되는 대상에 따라 혈관용 스텐트와 비혈관용 스텐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혈관용 스텐트는 심혈관계 협착시 사용되는 관상동맥용 스텐트와 말초혈관용, 뇌혈관용 스텐트로 분류될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323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셀과 오픈셀을 혼합한 혼합형 셀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클로즈드 셀로만 구성된 스텐드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복잡하고 굴곡이 많은 뇌혈관에 적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메인셀의 좌우방향에 있는 꼭지점을 연결한 선을 스텐트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리캡쳐(recaprue)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오픈셀의 폭을 메인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현함으로써, 스텐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오픈셀1개와 대응하는 메인셀의 개수를 증가시켜, 스텐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는, 사선으로 배열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의 제1링크부 중 인접한 제1링크부를 연결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나선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셀과, 상기 복수의 메인셀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여 나선형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픈셀과 상기 복수의 메인셀은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메인셀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되며, 나선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픈셀은, 상기 복수의 메인셀 중 두 개 이상의 메인셀에 대하여 하나의 오픈셀이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오픈셀이의 폭은 상기 메인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메인셀 중 하나의 메인셀은, 상기 복수의 제1링크부 중 두 개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의 제2링크부 중 두 개의 제2링크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메인셀의 상하좌우 방향에 있는 4개의 꼭지점 중, 좌우방향에 있는 꼭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하이브리드 스텐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45°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메인셀을 이루는 상기 제1링크부 및 제 2링크부 중 적어도 하나는, 물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물결형상은, 알파벳S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링크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픈셀은, 상기 제2 링크부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링크부는,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픈셀은 상기 제1 링크부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메인셀 중 하나의 메인셀은, 복수의 제1링크부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제1링크부와, 복수의 제2링크부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제2링크부에 의해 형성되고, 기울어진 마름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스텐트는,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이루는 스텐트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하는 오픈셀부; 및 복수개의 메인셀을 포함하는 메인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픈셀부와 상기 메인셀부가 나선 생성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셀부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개의 메인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오픈셀부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하고,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메인셀의 개수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하나 이상의 오픈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오픈셀부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오픈셀부와 적어도 일부가 불연속적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메인셀과 오픈셀을 혼합한 혼합형 셀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클로즈드 셀로만 구성된 스텐드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복잡하고 굴곡이 많은 뇌혈관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메인셀의 좌우방향에 있는 꼭지점을 연결한 선을 스텐트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리캡쳐(recaprue)가 가능한 스텐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오픈셀의 폭을 메인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현함으로써, 스텐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오픈셀1개와 대응하는 메인셀의 개수를 증가시켜 스텐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06]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는 클로즈드 타입의 메인셀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내지 도 3e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는 클로즈드 타입의 메인셀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스텐트는 예를 들어, 뇌혈관 질환에 사용되는 뇌혈관용 스텐트 또는 심장마비나 심금경색과 같은 심장혈관의 협착치료에 사용되는 관상동맥 스텐트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스텐트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복수개의 메인셀(10)과, 복수개의 오픈셀(20)이 번갈아가며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오픈셀(20)이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순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1)와 역방향 하이브리드 스텐트(1)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메인셀(10)을 나선형 형태로 배치하고, 나선형 형태로 배치된 메인셀(10) 사이에 유연성 증가를 위한 오픈셀(20)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오픈셀은 최소 메인셀(10) 두 개당 한 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오픈셀(20) 1 개와 대응하는 메인셀(10)의 개수가 증가 될수록 스텐트의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메인셀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오픈셀(20)은 메인셀(10)이 배치된 나선형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복수개의 메인셀(10)과 복수개의 오픈셀(20)이 나선형상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스텐트에 요구되는 유연성과 팽창력에 뛰어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셀(10)은 사선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링크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링크부(11)는 하이브리드 스텐트(1)가 팽창되었을 때,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물결형상(sinus curve)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링크부(11)는 산과 골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메인셀(10)은 복수의 제1링크부(11) 중 인접한 제1링크부(11)를 연결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2링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메인셀(10)은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셀(10)은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메인셀(10) 중 하나의 메인셀(10)은 복수의 제1링크부(11)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제1링크부(11)와, 복수의 제2링크부(12)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제2링크부(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관련하여 하나의 메인셀(10)은 기울어진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메인셀(10)은 제1링크부(11)와, 제2링크부(12)가 인접하여 연결됨에 따라, 대략 상하좌우 방향에 4개의 꼭지점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4개의 꼭지점 중 좌우방향에 있는 꼭지점(a,b)을 연결한 선(미도시)은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길이방향과 45° 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즉 메인셀(10)의 꼭지점(a,b)을 연결한 선(s)은 리캡쳐(Recapture)가 가능하도록 리캡쳐 방향(Recapture direction)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메인셀(10)을 이루는 제1링크부(11) 및 제 2링크부(12) 중 적어도 하나는, 물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결형상은 알파벳 S자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링크부(11)는 물결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링크부(12)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오픈셀(20)은 복수의 메인셀(10)과 하이브리드 스텐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나선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오픈셀(20)은 복수의 메인셀(10)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하나의 셀일 수 있다. 즉, 메인셀(10)은 클로즈드셀(closed cell)의 개념으로 이해되고, 오픈셀(10)은 나란하게 배열된 여러 개의 클로즈드셀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는 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클로즈드셀과 오픈셀의 개념은 스텐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셀(20)은 메인셀(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폭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오픈셀(20)의 길이는 나선이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길이(도 1 기준 11시-5시 방향)를 의미하고, 오픈셀(20)의 폭은 나선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부연설명을 하자면, 오픈셀(20)의 캐비티(Cavity)는 메인셀(10)의 캐비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오픈셀(20)이 메인셀(10)보다 작은 캐비티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뇌혈관용 스텐트에 있어서 리캡쳐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종래의 클로즈드 타입(closed type; 도 a의 기본형 참조) 이상의 유연성을 확보한 것이다.
이때 복수의 오픈셀(20) 중 하나의 오픈셀(2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메인셀(10)과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두 개의 메인셀(10)에 대하여 하나의 오픈셀(20)이 이웃하도록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메인셀(1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오픈셀(20)이 메인셀(10)의 인접한 위치에 배열될 때, 그 배열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오픈셀(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셀(10)의 제2링크부(12)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오픈셀(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제2링크부(12)에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리캡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픈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셀(10)의 제1링크부(11)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오픈셀(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결형상으로 형성된 제1링크부에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스텐트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스텐트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텐트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클로즈드 타입의 메인셀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 내지 도 3e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스텐트(s)는 메인셀(10)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스텐트(s)는 클로즈드 타입(closed type)의 메인셀(10)로만 구성됨에 따라,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보다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스텐트를 기본형 스텐트로 정의한다.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로서, 두 개의 메인셀(10)에 하나의 오픈셀(20)이 대응하여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오픈셀(20)이, 메인셀(10)의 제2링크부(12)와 인접하도록, 즉 제2링크부(12)와 이웃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스텐트(1)를 제1순방향형 스텐트로 정의한다.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로서, 세 개의 메인셀(10)에 하나의 오픈셀(20)이 대응하여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도 3b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스텐트(1)와 같이, 오픈셀(20)이 메인셀(10)의 제2링크부(12)와 인접하도록, 즉 제2링크부(12)와 이웃하도록 배열될 수있다. 이하에서는 도 3c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스텐트(1)를 제2순방향형 스텐트로 정의한다.
도 3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로서, 세 개의 메인셀(10)에 하나의 오픈셀(20)이 대응하여 배열되고, 오픈셀(20)이, 메인셀(10)의 제1링크부(11)와 인접하도록, 즉 제1링크부(11)와 이웃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d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스텐트(1)를 역방향형 스텐트로 정의한다.
도 3e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로서, 세 개의 메인셀(10)에 하나의 오픈셀(20)이 대응하여 배열되는 스텐트이며, 도 3d에 도시된 스텐트와 유사하다. 다만, 도 3d에 도시된 스텐트의 경우 복수의 오픈셀(20)이 연속적으로 나선형상을 형성하고, 그러한 복수의 오픈셀(20)과 이웃하여 복수의 메인셀(10)이 나선형상을 형성하는 반면, 도 3e에 도시된 스텐트의 경우 하나의 오픈셀(20)이 나선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러한 하나의 오픈셀(20)과 이웃하여 3개의 메인셀(10)이 나선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3d의 스텐트와 도 3e의 스텐트는 형상적인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도 3e에 도시된 스텐트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오픈셀(20)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오픈셀(20)과 서로 어긋나는 불연속적인 상태로 형성되고, 메인셀(20)도 하나의 오픈셀(20)에 대응하는 개수(도 3e에서는 3개)만큼만 연속하여 나선형상을 형성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순방향 스텐트와 역방향 스텐트가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표 1은 기본형, 제1순방향형, 제2순방향형 및 역방향형 스텐트의 성능비교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Radial force Flexibility
시험방법
Figure 112015046597674-pat00001
Figure 112015046597674-pat00002
기본형 1.380N 0.250N
제1순방향형 1.010N 0.186N
제2순방향형 0.728N 0.152N
역방향형 0.966N 0.174N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본형 스텐트의 비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순?향형, 제2순방향형 및 역방향형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레디얼 포스(Radial force)가 작아지고,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다음과 같은 관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20)을 포함하는 오픈셀부, 및 복수개의 메인셀(10)을 포함하는 메인셀부를 포함하되, 오픈셀부와 메인셀부가 나선 생성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d에 도시된 스텐트(1)는 1개의 오픈셀(20)을 포함하는 오픈셀부와 3개의 메인셀(10)을 포함하는 메인셀부가 나선 생성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관점에 따르면, 도 3d에 도시된 스텐트(1)는 2시-8시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픈셀(20)이 오픈셀(20)만으로 이루어진 나선형상을 형성하고, 이러한 복수의 오픈셀(20)에 의한 나선형상과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여, 2시-8시 방향을 따라 복수의 메인셀(10)이 메인셀(10)만으로 이루어진 나선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에 반해, 금번 관점에 따르면, 도 3d에 도시된 스텐트(1)는 11시-5시 방향을 따라 1개의 오픈셀(20)(오픈셀부)과 3개의 메인셀(10)(메인셀부)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나선형상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관점에 따르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2개의 나선(메인셀에 의한 나선과 오픈셀에 의한 나선) 형상을 조합하여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해될 수 있는 반면, 금번 관점에 따르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오픈셀과 메인셀이 조합된 1개의 나선 형상만으로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3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 역시, 1개의 오픈셀(20)을 포함하는 오픈셀부와 3개의 메인셀(10)을 포함하는 메인셀부가 나선 생성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도 3e의 실시예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각각의 오픈셀부가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오픈셀부와 적어도 일부가 불연속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d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보면, 도 3d의 스텐트(1)의 경우 나선의 폭 방향(도 3d 기준 2시-8시 방향)을 따라 오픈셀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e의 스텐트(1)의 경우 나선의 폭 방향(도 3e 기준 2시-8시 방향)을 따라 오픈셀부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전부(또는 일부) 어긋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금번의 관점은,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스텐트(1)는 2시-8시 방향을 따라 1개의 오픈셀(20)(오픈셀부)과 2개의 메인셀(10)(메인셀부)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나선형상을 통해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스텐트(1)는 2시-8시 방향을 따라 1개의 오픈셀(20)(오픈셀부)과 3개의 메인셀(10)(메인셀부)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나선형상을 통해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b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메인셀부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개의 메인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의 경우 나선의 폭 방향(11시-5시 방향)을 따라 2개의 메인셀이 나란히 배열되고, 도 3c의 경우 나선의 폭 방향(11시-5시 방향)을 따라 3개의 메인셀이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도 3d 및 도 3e의 경우 나선의 폭 방향(2시-8시 방향)을 따라 3개의 메인셀이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오픈셀부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e에는 하나의 오픈셀이 배열된 것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오픈셀이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오픈셀 및 메인셀(클로즈드셀)의 개념상,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오픈셀의 개수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메인셀의 개수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1)는 유연성이 우수해 복잡하고 굴곡이 많은 뇌혈관에 적용이 가능하며, 시술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리캡쳐(recaprue)가 가능한 뇌혈관에 최적화된 스텐트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스텐트의 적용 분야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스텐트는 뇌혈관 질환에 사용되는 뇌혈관용 스텐트 뿐만 아니라, 심장마비나 심금경색과 같은 심장혈관의 협착치료에 사용되는 관상동맥 스텐트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스텐트는 상술한 뇌혈관용 스텐트 및 관상동맥 스텐트 이외에도, 스텐트와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분야 내지 유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겹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텐트
10: 메인셀
11: 제1링크부
12: 제2링크부
20: 오픈셀

Claims (15)

  1.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 있어서,
    사선으로 배열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의 제1링크부 중 인접한 제1링크부를 연결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나선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셀; 및
    상기 복수의 메인셀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여 나선형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인셀 중 하나의 메인셀은, 상기 복수의 제1링크부 중 두 개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의 제2링크부 중 두 개의 제2링크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메인셀의 상하좌우 방향에 있는 4개의 꼭지점 중, 좌우방향에 있는 꼭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45°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픈셀과 상기 복수의 메인셀은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셀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되며, 나선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이브리드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픈셀은,
    상기 복수의 메인셀 중 두 개 이상의 메인셀에 대하여 하나의 오픈셀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셀의 폭은 상기 메인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하이브리드 스텐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메인셀을 이루는 상기 제1링크부 및 제 2링크부 중 적어도 하나는, 물결형상으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형상은, 알파벳S자 형상인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픈셀은, 상기 제2 링크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픈셀은 상기 제1 링크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셀 중 하나의 메인셀은,
    복수의 제1링크부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제1링크부와, 복수의 제2링크부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제2링크부에 의해 형성되고, 기울어진 마름모 형태로 갖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12.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이루는 스텐트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하는 오픈셀부; 및
    복수개의 메인셀을 포함하는 메인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픈셀부와 상기 메인셀부가 나선 생성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복수개의 메인셀 중 하나의 메인셀은, 사선으로 배열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두 개의 제1링크부와, 상기 두 개의 제1링크부를 연결하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두 개의 제2링크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메인셀의 상하좌우 방향에 있는 4개의 꼭지점 중, 좌우방향에 있는 꼭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45°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셀부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개의 메인셀을 포함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셀부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오픈셀을 포함하고,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메인셀의 개수는 나선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하나 이상의 오픈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셀부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오픈셀부와 적어도 일부가 불연속적인 것인, 하이브리드 스텐트.
KR1020150067832A 2015-05-15 2015-05-15 하이브리드 스텐트 KR10159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32A KR101593223B1 (ko) 2015-05-15 2015-05-15 하이브리드 스텐트
EP15892673.3A EP3284445B1 (en) 2015-05-15 2015-09-21 Hybrid stent
PCT/KR2015/009900 WO2016186262A1 (ko) 2015-05-15 2015-09-21 하이브리드 스텐트
CN201580080041.9A CN107920905B (zh) 2015-05-15 2015-09-21 混合支架
JP2018511569A JP6481844B2 (ja) 2015-05-15 2015-09-21 ハイブリッドステント
US15/574,330 US10624769B2 (en) 2015-05-15 2015-09-21 Hybrid s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32A KR101593223B1 (ko) 2015-05-15 2015-05-15 하이브리드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223B1 true KR101593223B1 (ko) 2016-02-12

Family

ID=5535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832A KR101593223B1 (ko) 2015-05-15 2015-05-15 하이브리드 스텐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4769B2 (ko)
EP (1) EP3284445B1 (ko)
JP (1) JP6481844B2 (ko)
KR (1) KR101593223B1 (ko)
CN (1) CN107920905B (ko)
WO (1) WO20161862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915B1 (ko) 2016-04-26 2018-01-08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KR101912537B1 (ko) * 2017-07-27 2018-10-26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20220052796A (ko) * 2020-10-21 2022-04-28 (주)시지바이오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20230114956A (ko)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0078B2 (en) * 2018-03-09 2019-12-10 Vesper Medical, Inc. Implantable stent
WO2022159267A1 (en) * 2021-01-20 2022-07-28 Kai Medtech, Llc Hybrid stent and stent retriever
CN116115397B (zh) * 2022-03-14 2024-05-17 杭州亿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性好的血管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286A (ko) * 2001-03-20 2003-12-11 지엠피 카르디악 케어, 인크. 레일 스텐트
KR20120138975A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뉴로벤션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KR20140041547A (ko) * 2011-05-13 2014-04-04 페녹시 게엠베하 혈전 제거 장치
KR20150044114A (ko) * 2013-10-16 2015-04-24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897A (en) * 1993-09-16 1999-06-22 Cordis Corporation Endoprosthesis having multiple bridging junctions and procedure
EP0884029B1 (en) * 1997-06-13 2004-12-22 Gary J. Becker Expandable intraluminal endoprosthesis
DE19829701C1 (de) * 1998-07-03 2000-03-16 Heraeus Gmbh W C Radial aufweitbare Stützvorrichtung IV
US6042597A (en) * 1998-10-23 2000-03-28 Scimed Life Systems, Inc. Helical stent design
US20080097582A1 (en) * 2006-10-18 2008-04-24 Conor Medsystems, Inc. Stent with flexible hinges
US7988723B2 (en) * 2007-08-02 2011-08-02 Flexible Stenting Solutions, Inc. Flexible stent
KR101480514B1 (ko) 2011-05-26 2015-0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DE102012101294A1 (de) * 2012-02-17 2013-08-22 Acandis Gmbh & Co. Kg Medizinsche Vorrichtung
AU2013231845B2 (en) 2012-03-16 2017-07-06 Terumo Corporation Stent and stent delivery device
CN104918585B (zh) * 2012-10-25 2016-10-12 动脉再造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生物可再吸收支架的不透射线的标志物
CN103462734A (zh) * 2013-09-18 2013-12-25 深圳市金瑞凯利生物科技有限公司 冠脉血管支架及其制作方法
JP5695259B1 (ja) * 2014-02-19 2015-04-01 株式会社World Medish 高柔軟性ステ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286A (ko) * 2001-03-20 2003-12-11 지엠피 카르디악 케어, 인크. 레일 스텐트
KR20140041547A (ko) * 2011-05-13 2014-04-04 페녹시 게엠베하 혈전 제거 장치
KR20120138975A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뉴로벤션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KR20150044114A (ko) * 2013-10-16 2015-04-24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스텐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915B1 (ko) 2016-04-26 2018-01-08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KR101912537B1 (ko) * 2017-07-27 2018-10-26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20220052796A (ko) * 2020-10-21 2022-04-28 (주)시지바이오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102453480B1 (ko) * 2020-10-21 2022-10-12 (주)시지바이오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20230114956A (ko)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4445A1 (en) 2018-02-21
JP2018519131A (ja) 2018-07-19
JP6481844B2 (ja) 2019-03-13
US10624769B2 (en) 2020-04-21
WO2016186262A1 (ko) 2016-11-24
EP3284445A4 (en) 2018-10-31
CN107920905B (zh) 2019-12-06
US20180140443A1 (en) 2018-05-24
EP3284445B1 (en) 2023-12-27
CN107920905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223B1 (ko) 하이브리드 스텐트
JP6622367B2 (ja) 血管内補綴物および血管内補綴物の送達のための方法
AU2018253740B2 (en) Braid expansion ring with markers
KR101942118B1 (ko) 혈관내 보형물 및 운반 디바이스
AU2018226374A1 (en) Braided flow diverter using flat-round technology
US20150045784A1 (en) Implant device with spine and c-ring and method of making, delivering, and using same
Ronchey et al. Endovascular treatment of extracranial vertebral artery aneurysm and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aneurysm
US20170165048A1 (en) Device for Changing course of vessel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CN110691569B (zh) 用于在血管内展开的可膨胀管
KR101740716B1 (ko) 댐핑부를 갖는 스텐트
KR102453480B1 (ko)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20110051847A (ko) 확장식 스텐트
US20220304797A1 (en) Covered Stent
US20200268534A1 (en) Optimised Structure for an Expandable Implant of the Stent or Endoprosthesis Type
JP6055163B2 (ja) ステント
KR20150131598A (ko)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