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975A -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975A
KR20120138975A KR1020110058445A KR20110058445A KR20120138975A KR 20120138975 A KR20120138975 A KR 20120138975A KR 1020110058445 A KR1020110058445 A KR 1020110058445A KR 20110058445 A KR20110058445 A KR 20110058445A KR 20120138975 A KR20120138975 A KR 20120138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truts
catheter
presen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우
정민영
한문희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벤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벤션
Priority to KR102011005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975A/ko
Publication of KR2012013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11Metals or alloys
    • A61F2310/00023Titanium or titanium-based alloys, e.g. Ti-Ni all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혈관질환 중 동맥류(Aneurysm)의 치료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로서, 전체적으로 양측 끝단이 개방된 그물망 모양의 원통 형상을 이루되, 사선으로 배열되어, 팽창 후 클로즈드 셀이 나선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클로즈드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서로 인접하는 스트럿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복수의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링크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태로 확장된 각각의 스트럿들은 사선의 S 자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유연성(high flexibility)을 가지며, 색전술용 코일이 셀 사이로 빠져 나오지 않으며, 코일용 마이크로 카테타의 셀 사이로의 삽입이 가능한 적절한 셀의 크기를 가지므로, 혈관에 삽입되어 동맥류 정상적인 혈류의 흐름을 유지함과 동시에, 동맥류 치료를 위한 색전술용 코일을 삽입하는 경우, 코일이 모동맥 혈관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Bio-Metallic tube type subsidiary stent for the Treatment of Neurovascular Aneurysm and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뇌혈관질환 중 동맥류(Aneurysm)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맥류가 있는 혈관에 삽입되어 색전술을 원활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시술 후 코일이 동맥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을 일으키는 뇌혈관질환은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의식소실, 사지마비, 언어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일단 뇌졸중이 발생하면 사망할 가능성이 높고 사망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장애를 남겨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뇌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사망원인으로 인구 10만 명당 75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하며 인구 10만 명당 약 200명의 환자가 매년 발생한다.
뇌혈관질환에는 크게 폐쇄성 뇌혈관 질환과 출혈성 뇌혈관질환으로 나뉜다. 폐쇄성 뇌혈관 질환은 주로 뇌로 가는 동맥이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서 막혀서 뇌가 손상을 입는 것이고, 출혈성 질환은 뇌혈관이 파열되어서 뇌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의 두 가지의 뇌혈관 질환 중 출혈성 뇌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중 대표적인 병변이 뇌동맥류이다. 뇌동맥류가 파열되어 지주막하 출혈로 발전하게 되면 심각한 뇌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며 사망까지도 이르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동맥류를 미리 치료하여 환자의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
뇌동맥류의 치료법에는 동맥류 경부결찰술과 같은 직접적 수술법이 있는데 이는 직접적인 개두술로써 지난 수년간 가장 많이 행해져 오는 수술방법이지만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고통과 수술부위의 제한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백금코일을 이용하여 뇌동맥류 내부를 채우는 코일 색전술이라는 최소침습적인 치료법이 시행된다. 하지만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 때 동맥류의 입구(Aneurysm neck)의 모양에 따라 색전술 후 코일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금속망(metal mesh)으로 형성된 스텐트를 삽입해야 한다. 실제로 뇌동맥류의 많은 사례에서 동맥류의 입구가 넓은 경우 있다. 그러한 뇌동맥류를 와이드 넥(wide neck) 동맥류, 또는 자이안트 넥(giant neck) 동맥류라고 한다. 그러한 동맥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색전술용 코일이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하며 뇌동맥류의 원활한 색전유도를 위해 스텐트의 삽입이 불가피하다.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가 체내 삽입 후 안정적으로 환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좁고(narrow), 굴곡진(tortuous) 뇌혈관을 지나야 하며, 뇌동맥류의 삽입된 코일의 이탈을 막고 혈압에 견디기 위해서는 유연성(flexibility)과 항내압성(Radial resistance)과 같은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방사선 불투과성(Radio-opacity)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스텐트의 시작과 끝부분에 지시자(marker)를 달아야 한다.
이는 X-ray상에 정확히 스텐트의 위치가 표시되게 하여 시술자가 스텐트를 정확한 위치에 전개하고 시술 후에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의 유연성과 원주방향의 팽창력을 충분히 만족시키며 코일을 뇌동맥류로 삽입 시에 카테터가 셀 사이로 들어가기 충분한 셀 공간을 확보하며 동시에 코일이 이탈하지 않을 만큼의 작은 셀의 크기를 갖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두 가지의 상반된 조건을 모두 충족시킬만한 적절한 셀의 크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의 푸셔 등에 의해 시술도중이라도 스텐트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텐트는 길이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로서, 전체적으로 양측 끝단이 개방된 그물망 모양의 원통 형상을 이루되, 사선으로 배열되어, 팽창 후 클로즈드 셀이 나선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클로즈드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서로 인접하는 스트럿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복수의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링크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태로 확장된 각각의 스트럿들은 사선의 S 자형을 이룬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셀의 크기는 4.7Fr 이하의 카테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접원의 직경이 1.58mm인 것을 사용하거나, 5Fr 이하의 카테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접원의 직경이 1.77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텐트의 재질은 나이티놀 합금(Ni-Ti)의 원통형 튜브이며, 레이저 커팅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나이티놀 원통형 튜브의 직경은 0.5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텐트의 양단에는 방사선 불투과성이 좋은 재질을 와이어형태로 감거나 혹은 마이크로 용접으로 부착하고, 스텐트의 말단은 X선 불투과성 물질인 백금(Pt)와이어를 코일링할 수 있으며, 이때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백금(Pt), 금(Gold), 탄탈륨(Tantalum), 텅스텐(tungsten)류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 스텐트의 인체 혈관내 삽입 시 위치조정(repositioning)을 위해 이용되는 전달시스템(delivery system)은 카테타, 전달 푸셔 와이어(delivery pusher wire), 회수 부분(retrieval section: C), X선 불투과성인 RO(radiopacity) 팁(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텐트에 필요한 항내압성, 유연성, 및 탄성의 성질을 유지하면서도 색전술 보조용 스텐트로써의 적절한 셀 크기를 가짐과 동시에, 유연성과 팽창력을 동시에 보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압축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압축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팽창된 스텐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셀 내부의 내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스텐트(Cordis, Enterprise)의 구조 및 셀 내부의 내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X선 불투과성 향상을 위한 백금 코일링(Platinium coling)의 도면이다.
도 7는 컴퓨터 모의 해석을 통한 본 발명 스텐트의 유연성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스텐트의 성능 평가로서, 항내압력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제품의 원주 방향 힘에 따른 항내압력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텐트가 삽입 전달 되는 전달 시스템(delivery system)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부 그림은 마이크로 카테타이고, 하부 그림은 스텐트를 이동시키는 전달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스텐트가 삽입되는 도 10 전달 시스템의 카테타의 세부 구조 명칭 및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스텐트를 이동시키는 도 10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전달 푸셔 와이어(delivery pusher wir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된 스텐트를 나타내고 있고, 도 3 내지 도 5는 스텐트가 온도에 따른 형상기억성과 기계적 힘에 의해서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형상기억소재인 나이티놀 합금을 이용한 자가 팽창형 스텐트를 예로써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풍선 확장술에 적용되는 스텐트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1)는 사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스트럿(2, 3)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양측 끝단이 개방된 그물망 모양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보통의 스텐트의 경우 스트럿과 링크(브릿지)로 연결하여 스텐트의 원추방향 강도와 유연성만을 강조하였으나, 움직임이 많은 목 부위의 위치한 경동맥에 적용하기 위하여 강도와 유연성뿐만 아니라 비틀림 강도까지 고려하여 디자인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는 사선으로 정열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코일 시술용 보조 스텐트에 요구되는 유연성과 팽창력, 코일 차단 효과 등의 기능들을 가지게 되며, 클로즈드 셀(Closed cell)의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단위 셀들이 사선(Helical) 방향으로 정렬하여 스텐트에 요구되는 유연성과 비틀림(torsion)이 뛰어나다.
또한 복수의 스트럿(2, 3) 중 서로 인접하는 스트럿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복수의 링크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의 스트럿(2, 3)과 링크부(4)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나선형태로 확장된 각각의 스트럿(2, 3)들은 사선의 S 자형을 이룬다. 이와 같이 사선의 S 자형을 이룸에 따라 스텐트(1)가 구부러질 때(bending) 유연함을 가지게 된다.
스트럿(2, 3)은 스텐트(1)가 팽창되었을 때에 스텐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물결 형상(sinus curve)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스텐트(1)의 팽창 시, 총 5개의 나선이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고, 각각의 나선들 사이를 다수의 스트럿들이 연결하며 나선형태로 뻗어나가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 스텐트(1)의 셀(6)은 스트럿(2, 3)의 쌍, 즉 4개의 스트럿(2, 3)에 의해 클로즈드 셀(closed cell)의 구조이며, 기울어진 마름모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셀(4)의 구조와 더불어 셀의 크기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동맥류(Aneurysm)가 위치하는 뇌혈관은 굴곡(toutuous)이 심하고 좁기(narrow) 때문에, 스텐트를 뇌혈관 내에 이동 및 장착(Insertion, tractability)시키기 위해 스텐트 및 전달 카테타는 고유연성(high flexibility)을 가지며, 색전술용 코일이 셀 사이로 빠져 나오지 않으며, 코일용 마이크로 카테타의 셀 사이로의 삽입이 가능한 적절한 셀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도 4는 셀의 크기를 셀의 내접원(Fitted in circle)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4)의 크기는 내접원의 직경이 1.58mm이며, 이 직경은 4.7Fr 이하의 카테터가 셀(4)을 통해 동맥류로 코일을 삽입하기에 적절한 크기이다.
이와 달리, 도 5는 기존 타 제품의 뇌동맥류 색전술 보조용 스텐트의 셀의 내접원(Fitted in circle)의 직경을 나타내고 있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접원의 직경은 1.77mm로써 약 5Fr 이하의 카테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좁은 뇌혈관의 특성상 3Fr 이하의 작은 카테터를 이용해서 코일을 동맥류 안으로 삽입해야 하므로 기존의 타제품의 셀의 크기보다 본 발명의 셀의 크기가 뇌동맥 색전술 보조용 스텐트로써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의 재질은 생체적합성소재이면서 형상기억합금인 나이티놀합금(Ni-Ti)이며 최초 가공 전에 두께가 얇은 튜브형태로 존재한다. 이 튜브를 레이져 커팅을 통해 도 1의 형상으로 가공을 하고 에칭(etching), 열처리 및 전해연마(electro polishing)를 포함한 일련의 가공을 거쳐 도 3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스텐트로 제작한다.
그리고 제작된 스텐트의 양단에는 방사선 불투과성이 좋은 재질을 와이어형태로 감거나 혹은 마이크로 용접으로 부착하여준다. 이때에 사용되는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은 백금(Pt), 금(Gold), 탄탈륨(Tantalum), 텅스텐(tungsten)류의 합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 스텐트(1)의 제조에 사용하는 나이티놀 튜브의 직경은 0.5~0.6mm로 하며, 스텐트의 말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불투과성 물질인 백금(Pt)와이어를 코일링 한다. 이와 같이 스텐트의 말단 부위나 링크 부분에 X선 불투과성 물질인 백금(Pt) 코일을 감음으로써, 시술상태와 X선 투과 상태에서 스텐트 위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코일링된 백금(Pt)이 체내에 삽입 되었을 때 스텐트의 방사선 불투과성이 높으므로, 스텐트 양단의 크라운(crown) 위에서 마커(marker)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방사선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백금 와이어나 금, 텅스텐, 탄탈륨 및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스텐트(1)가 이루는 원통의 직경은 동맥류가 발생한 뇌혈관의 혈관의 직경이 고려된 수치이다. 스텐트가 제작된 원재료인 나이티놀 튜브의 직경은 0.5~0.6mm로 하고, 팽창 후의 스텐트의 직경은 4mm, 5mm인 것으로 제작하였다.
상기 스텐트는, 생체적합성과 초탄성을 가지는 형상기억 합금, 예를 들면 나이티놀(nitinol)합금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두께가 얇은 튜브(tube)에 레이져 절단을 거친 후, 원하는 스텐트의 형상을 가지고자 열을 통한 모양 형성(heat shaping)과, 스텐트 표면 처리를 위해 에칭과 전해연마(electro polishing) 등의 방법을 통해 링크부(4) 및 스트럿(2, 3)의 모양을 형성하여 원통관 형상으로 제작한다. 유연성에 관여된 스텐트의 요소들 중 구조 외에 스트럿의 두께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스텐트의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인 반경방향으로의 팽창력 및 내압성에 영향을 준다. 즉 스트럿의 두께(thickness)가 두꺼워지면 반경방향으로의 팽창력 및 내압성이 증가하지만 반면에 유연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스트럿(2, 3) 및 링크부(4)의 두께가 되는 튜브(tube)의 두께(strut width)를 0.08~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용 카테타는 스텐트(1)의 셀(6)을 통해 코일을 삽입한다. 또한 삽입된 코일이 동맥류에서 모동맥으로 일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스텐트의 팽창 후 적절한 크기의 셀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스텐트(1)는 링크부(4)의 길이를 조절하여 셀(6)의 면적을 조절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한 상태의 스텐트(1)에 있어서, 셀(6) 내부에 코일용 카테타 단면 모양의 원을 도시화 하였을 경우, 그 원의 반경 R을 코일용 카테타(1.9~2.2Fr)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약 0.7~0.9mm로 유지시키며, 스텐트를 제작 할 수 있다.
(유연성 및 팽창력 평가)
유연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스텐트(1)의 한쪽 끝단을 구속시키고 다른 한 끝 단에 힘을 가하여 힘과 변위의 관계로 도출되는 굽힘 강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마치 스텐트를 하나의 캔틸레버 보와 같이 가정을 하여 유연성을 판별하는 방법으로써 굽힘 강성은 힘과 스텐트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하고 변위의 세배에 반비례한다. 이렇게 구해진 굽힘 강성값(EI)은 그 값이 작을수록 유연하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인 E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I=PL3/3d (식 1)
상기 식 1에서 P는 스텐트에 가해진 하중, L은 스텐트의 길이, d는 스텐트 끝단의 변위량이다.
본 발명에서 유연성은 전산모의 해석(FEM Analysis)을 통해 스텐트 끝단을 구속하고 다른 한쪽 끝단에 힘을 가하여 굽힘 강성을 구하였다. 또한 굽힘 강성의 수치적인 값만큼이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스텐트가 구부러질 때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만약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지 못하고 붕괴(collapse)된다면 혈관내의 혈전을 유발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텐트가 40° 구부러졌을 때(bending) 때의 전산 모의해석결과이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1)는 스텐트의 붕괴 없이 구부러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굴곡(tortuous)이 심한 뇌혈관에서 매우 중요한 성능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제품과 본 발명의 스텐트와 항내압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항내압성은 뇌동맥류로 삽입된 코일이 혈관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동맥류 입구를 견고히 지지하고 혈관 내에서의 압력에 버티는 데에 중요한 성능이다.
항내압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스텐트의 하부를 고정하고 스텐트 직경의 1/3에 해당하는 변위D를 주었을 때의 스텐트에서의 반력을 구함으로써 스텐트의 항내압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반력이 클수록 항내압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산모의 해석한 결과이며 도 9는 종래기술의 스텐트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산모의 해석한 결과이다.
두 해석결과를 비교했을 때 반력은 본 발명의 구조가 1.17N, 종래 기술의 구조가 0.795N으로 본 발명의 구조가 약 68%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가 삽입 전달되는 전달 시스템(delivery system)으로, 도 11은 도 10 전달 시스템의 카테타를 나타내고, 도 12는 도 10 전달 시스템의 전달 푸셔 와이어(delivery pusher wire)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 스텐트의 뇌혈관 내 삽입 후 스텐트의 위치 조정(repositioning)을 위해 이용되며, 카테타, 전달 푸셔 와이어(delivery pusher wire), 회수 부분(retrieval section: C), X선 불투과성(radiopacity) 팁(D)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의 경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타의 말초 부분(distal section)의 외부 직경(Outer diameter)는 3F 이하로 작으며, 카테타 내부는 나이티놀 금속을 브레이딩(braiding)한 부분과 코일링(coiling)한 부분으로 나누어 혈관내 이동성(tractability)와 유연성(Flexibility)을 모두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푸셔 와이어(Pusher wire)에 있는 회수 부분(retrival section)(C)에 의하여 수술 도중 스텐트가 원하는 위치에 장착 되지 않았을 경우 위치 조정(repositioning)이 가능하다.
푸셔 와이어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의 A부분 이하는 와이어가 혈관내 직선 부위의 이동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와이어가 약간 뻣뻣하다(stiff). 그러나 A~B구간은 구부러진 혈관을 쉽게 이동하게 하기 위해 얇은 와이어로 코일링 되어 있으며, 유연성이 매우 뛰어난 구조이다. 스텐의 백금(Pt)코일링 마커는 B~C사이에 위치하여 마이크로 카테타의 외피(sheath)가 C부분까지 벗겨지기 전까지는 B~C사이에 고정되게 되어 스텐트를 다시 회수(retractability)할 수 있으며, 회수를 마치면 변경된 병변 부위에 카테타를 이동시켜 스텐트를 다시 전개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스텐트 위치이동(repositioning)이라고 한다. D부분은 백금와이어를 코일링한 부분으로 인체내의 전달와이어 및 스텐트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게 하며, 코일링되어 있어 유연성 있게 뇌혈관을 이동하게 한다.
한편, 전달 시스템을 통한 스텐트의 위치 조정의 원리는 전달 와이어의 끝(tip)부분을 말단 부분(Distal)이라고 했을 경우 회수 부분(retrieval section)의 말단 반대 방향에 위치한 빈 공간에 스텐트에 백금 코일이 감겨져 있는 코일링 마커 부분을 위치시킨 후 스텐트를 압축시켜(crimped) 마이크로 카테타에 삽입하게 된다. 마커 부분이 회수부분과 푸셔(pusher)부분에 끼어 있으므로 마이크로 카테타의 껍질(outer sheath)을 푸셔가 있는 위치까지 완전히 제거하여 스텐트를 전개하지 않으면 스텐트는 전달와이어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다시 전달와이어를 다시 당겼을 경우 스텐트가 뒤로 후퇴하게 되어 카테타의 껍질로 다시 삽입되게 되고 병변 위치에 맞추어 다시 스텐트가 포함된 카테타를 위치 조정(repositioning)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스텐트 2, 3 : 스트럿
4 : 링크부 6 : 셀(cell)

Claims (8)

  1. 길이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로서,
    전체적으로 양측 끝단이 개방된 그물망 모양의 원통 형상을 이루되, 사선으로 배열되어, 팽창 후 클로즈드 셀이 나선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클로즈드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서로 인접하는 스트럿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복수의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링크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태로 확장된 각각의 스트럿들은 사선의 S 자형을 이루는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크기는 4.7Fr 이하의 카테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접원의 직경이 1.58mm인 것을 사용하는
    스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크기는 5Fr 이하의 카테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접원의 직경이 1.77mm인 것을 사용하는
    스텐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재질은 나이티놀 합금(Ni-Ti)의 원통형 튜브이며, 레이저 커팅하여 제조하는
    스텐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티놀 원통형 튜브의 직경은 0.5~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양단에는 방사선 불투과성이 좋은 재질을 와이어형태로 감거나 혹은 마이크로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스텐트의 말단은 X선 불투과성 물질인 백금(Pt)와이어를 코일링하는
    스텐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백금(Pt), 금(Gold), 탄탈륨(Tantalum), 텅스텐(tungsten)류의 합금인
    스텐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텐트의 인체 혈관내 삽입 시 위치조정(repositioning)을 위해 이용되는 전달시스템(delivery system)으로서,
    카테타, 전달 푸셔 와이어(delivery pusher wire), 회수 부분(retrieval section: C), X선 불투과성인 RO(radiopacity) 팁(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시스템.
KR1020110058445A 2011-06-16 2011-06-16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KR20120138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45A KR20120138975A (ko) 2011-06-16 2011-06-16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45A KR20120138975A (ko) 2011-06-16 2011-06-16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75A true KR20120138975A (ko) 2012-12-27

Family

ID=4790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445A KR20120138975A (ko) 2011-06-16 2011-06-16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23B1 (ko) * 2015-05-15 2016-02-12 (주)시지바이오 하이브리드 스텐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23B1 (ko) * 2015-05-15 2016-02-12 (주)시지바이오 하이브리드 스텐트
WO2016186262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시지바이오 하이브리드 스텐트
CN107920905A (zh) * 2015-05-15 2018-04-17 Cg生物技术有限公司 混合支架
CN107920905B (zh) * 2015-05-15 2019-12-06 Cg生物技术有限公司 混合支架
US10624769B2 (en) 2015-05-15 2020-04-21 Cg Bio Co., Ltd. Hybrid s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375B2 (ja) 塞栓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7307B2 (ja) 閉塞デバイス
JP6622367B2 (ja) 血管内補綴物および血管内補綴物の送達のための方法
US20220354516A1 (en) Visibility of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During Diagnostic Imaging
US20230225737A1 (en) Vascular occlusion devices utilizing thin film nitinol foils
US8398701B2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US8617234B2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US20150327976A1 (en) Aneurysm treatment coils
JP2013081868A (ja) 可撓性血管閉塞装置
EP2777642B1 (en) Braided stent with expansion ring
KR20120138975A (ko)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색전술용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US20230310004A1 (en) Hemangioma occlusion apparatus, hemangioma occlusion and treatment apparatus, and hemangioma occlusion system
US20220071787A1 (en) Medical device, in particular a stent
CN113613602A (zh) 医疗装置,特别是分流器和套件
KR20120138976A (ko)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튜브형 보조 스텐트 및 전달 시스템
EP4011303B1 (en) Occlusion device
CN118055733A (zh) 具有改进的颈部覆盖的栓塞装置
WO2014058043A1 (ja) 生体内留置部材、ステント、塞栓部材、血管拡張キット及び動脈瘤塞栓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