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178A -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178A
KR20190101178A KR1020180021207A KR20180021207A KR20190101178A KR 20190101178 A KR20190101178 A KR 20190101178A KR 1020180021207 A KR1020180021207 A KR 1020180021207A KR 20180021207 A KR20180021207 A KR 20180021207A KR 20190101178 A KR20190101178 A KR 20190101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anticancer
composition
cancer
ginsen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322B1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ENHANCING RADIATION SENSITIVITY AND AN ANTICANCER ADJUVENT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 RG3}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의 항암 치료 보조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난치병 중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이를 치유하기 위한 개발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 사망원인 중 제 1위의 질병으로서 연간 약 10 만 명 이상이 진단되고, 약 6 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암의 유발 인자인 발암물질로는 흡연, 자외선, 화학물질, 음식물, 기타 환경인자들이 있으나, 그 유발 원인이 다양하여 치료제의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치료제의 효과 또한 각기 상이하다.
최근 의학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수술, 방사선 요법 및 화학 요법을 통해 여러 형태의 암 치료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암 환자들이 암세포의 완전한 제거와 전이 방지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방사선 치료는 현재 다양한 종류의 암에 필수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암세포의 방사선 내성 획득, 고선량의 방사선 치료시 정상조직의 손상 등이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사선 치료 민감제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보고된 방사선 치료 민감제는 주로 항암제들로서, 예를 들어 탁솔(Taxol)과 시스플라틴(cisplatin)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항암제로서의 성질은 지니지 않고 방사선 치료에만 사용되는 방사선 치료 효과 증진제로는 티라파자민(tirapazamine)이 있으나 저산소증의 종양세포에만 효과가 있으며, 저산소상태 특유의 종양 내부 압력 때문에 종양 조직 내부로의 약물전달이 미흡하여 임상적 방사선 치료에서 효과가 미약하다.
방사선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항암제들을 방사선 치료와 병용할 때, 항암제의 독성이 방사선 치료시 나타나는 부작용, 즉, 방사선 치료부위의 염증, 위장장애, 오심, 구토, 설사 등과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방사선 치료는 환자에게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작용은 방사선량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량을 낮추면서도 더욱 향상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인삼은 파낙스(Panax)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파낙스속 식물은 식물 분류학상 오가피과(Araliaceae)에 속하 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구상에 십여 종이 알려져 있다. 특히 고려인삼에 다량 함유된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g1, Re 등이 있으며, 특히 스코폴라민(scopolamine)으로 손상된 동물모델이나 해마(hippocampus) 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한 기억력 감퇴를 인삼이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세노사이드는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민감성을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연구된 바 없으며, 본 발명자들은 진세노사이드 Rg3가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민감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항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체 안전성 및 항암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암 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1Gy 내지 4Gy의 저준위 방사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활성 증진을 위한 항암 보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표적 치료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적 치료제는 제피티닙(gefitinib) 또는 엘로티닙(erlotini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직장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방사선 치료에 따른 항암 효과를 현저히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 투여에 대한 부작용이 야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게피티닙(gefitinib) 및 Rg3 병합 치료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Rg3의 방사선 민감성 증진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방사선 및 Rg3 병합 치료에 의한 세포 자멸(apoptosis)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방사선 및 Rg3 병합 치료에 의한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체계를 확인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암", "종양" 또는 "악성"은 일반적으로 비조절된 세포 성장의 특징을 갖는 포유동물의 생리학적 상태를 나타내거나 설명한다. 상기 암의 예는 암종, 림프종, 백혈병, 모세포종 및 육종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간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직장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는 홍삼의 주요 구성물질로서 많은 임상 실험과 동물 실험을 통해 여러 질병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으나, 방사선 치료에 따른 민감성 증진 효과는 아직까지 연구된 바 없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는 통상적으로 인삼 또는 홍삼에서 분리될 수 있으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도 등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진세노사이드 Rg3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방사선 민감성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방사선 치료에 따른 암 세포의 사멸을 증진하거나 암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사멸에 관여하여 방사선 조사시 암세포 자살을 유도하며 암세포의 생존도 및 방사선 저항성을 감소시켜 방사선 민감성 증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저항성"은 방사선을 이용한 질병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에도 불구하고 비정상 세포를 사멸시키지 못하거나, 혹은 사멸시키는 정도가 미비한 것을 의미한다. 또는, 방사선 치료 시, 치료 초기부터 치료 효과가 없거나 초기에는 질병 치료 효과가 있으나 계속적인 치료 과정에서 치료 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방사선 민감성 증진"은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에 대한 세포의 민감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방사선 치료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데, 특히 암 치료 시 병용할 경우 종양세포의 방사선 민감성이 증진되어 종양세포에 대한 방사선의 살상 효과 및 증식 억제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치료"는 암세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뒤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 조사"는 이온화 방사선, 특히,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형 가속기(linear accelerators) 또는 방사핵종 (radionuclides)에 의해 방사되는 감마 방사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사핵종에 의한 방사선 조사는 외부적 또는 내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여되는 siRNA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양, 방사선 조사량 및 방사선 조사량의 간헐성은 종양의 종류, 위치, 화학 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대한 환자의 반응과 같은 일련의 변수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조사를 위한 기술로는 근접치료, 방사선 핵종치료, 외부 빔 방사선 요법(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온열치료(냉동절제 치료 및 고열 치료를 포함), 방사선 수술, 하전입자 방사선 치료(charged-particle radiotherapy), 중성자 방사선 요법 및 광역동 치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민감성 증진 및 방사선 치료는 암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동물에 적용 가능하며,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은 1Gy 내지 4Gy의 저준위 방사선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선의 방사선량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5 내지 10Gy의 선량으로 조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Gy의 선량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선량으로 조사할 때 방사선 부작용에 의한 면역 저하 및 등 2차적인 문제를 크게 감소시켜 병용 투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활성 증진을 위한 항암 보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항암 보조제는 항암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농도의존적인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제제를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수준으로 항암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항암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처리농도에 따라 항암제 또는 항암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처리농도 범위에서 항암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표적 치료제일 수 있으며, 상기 표적 치료제는 제피티닙(gefitinib) 또는 엘로티닙(erlotinib)일 수 있다.
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은 조기 진단이 매우 어렵고, 조기에 원격전이를 잘하여 사망률이 높다. 폐암 1기에 발견되어 수술적인 치료를 받았어도 약 40% 내지 50% 정도의 환자가 재발하여 사망에 이른다.
주된 치료제로서 고식적인 항암제가 사용되며, 최근 표적 치료제로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등의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표적 치료제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g3와 함께 투여될 때 항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경구적 전달, 비경구적 전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 형태를 제공하도록 적합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투여될 수 있으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른 치료제, 예컨대 항암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멜팔란(melphal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비술판(bisulfan), 니트로소우레아(nitrosourea), 디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플리코마이신(plicomycin), 미토마이신(mitomycin), 에토포시드(etoposide), 탁목시펜(tamoxifen), 택솔(taxol), 트랜스플라티눔(transplatinum),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빈크리스틴(vincristin), 빈블라스틴(vinblast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며, 적합한 총 1 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 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이든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및 인간 등 어느 개체에나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 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기초하여 각 구성의 종류, 도입 비율 등을 변화시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변형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가 구현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괄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세포주 배양
폐암 세포주(A549, PC9, HCC827)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 cell line bank, KCLB)으로부터 분양받아 본 실험에 이용하였다.
각 암 세포주들을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1% 항생제(anti-biotics)가 함유된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항온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 표적 치료제 및 Rg3 병합 치료에 따른 항암 효과 시험
폐암 세포를 각각 웰 당 5×104 세포로 96 웰-배양용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게피티닙 단독 투여 또는 Rg3와 병용 투여하여 정상산소(normoxic)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테트라졸리움 화합물 [3-(4,5-dimethylthiazol-2-yl)- 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a)] assay kit(Promega)를 이용하여 세포주의 세포 생존능(cell viability)를 분석하였다.
20 μL MTS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고, 490nm 파장길이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든 세포주에서 Rg3를 동시에 투여했을 때 세포 생존능이 감소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Rg3와 함께 투여했을 때 표적 치료제의 항암 활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방사선 및 Rg3 병합 치료에 따른 방사선 민감성 증진 효과 시험
T-25 컬쳐 플라스크(culture flask, NuncProducts, Denmark)에 폐암세포주 세포를 1 x 105 cell/ml로 시딩(seeding)한 후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폐암세포주에 60Co를 이용하여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량을 달리하여 세포 생존능을 분석하였다.
20 μL MTS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490nm 파장길이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든 세포주에서 Rg3를 투여했을 방사선 치료에 따른 세포 생존능이 감소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Rg3가 방사선 치료의 민감도를 증진시킴으로써 항암 치료 효과가 더욱 증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 방사선 및 Rg3 병합 치료에 따른 세포자멸 증가 효과 시험
세포 자멸사 과정에 있는 세포(Apoptotic cell)의 외형의 변화로 세포 사멸 진행 여부를 확인하였다.
배양된 폐암 세포주에 Rg3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군 및 미처리군을 Hoechst 33342 염료로 염색하여 외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세포 사멸 진행시 세포의 막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PS)이 원형질막의 안에서 밖으로 위치 이동을 하여 세포 밖 환경에 노출되며 막의 불균형을 안넥신(Annexin) V 단백질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안넥신 V 단백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배양된 폐암 세포주에 대한 Rg3 처리군 및 미처리군을 FITC Annexin V Apoptosis Detection kit(BD PharmigenTM, CA)을 사용하여 염색 후 유동 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을 수행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Rg3를 처리한 세포는 미처리된 세포에 비하여 세포 자멸사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실험예 4 : 방사선 및 Rg3 병합 치료에 따른 신호전달 체계 변화 시험
세포의 생존과 죽음을 조절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 신호 분자 중 포스포이노시타이드 3-키나제(PI3K), Akt, 미토겐-활성 프로틴 키나제(MAPK)[세포외-관련 단백질 키나제(ERK), p38 및 C-Jun N-말단 키나제(JNK)]와 IKK(IκB 키나제)/IκB/NF(nuclear factor)-κB는 p21WAF1 / Cip1, Bcl-2, p53, cyclin E, CDK를 포함해 세포사 조절 및 세포 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 수준과 활성화 조절에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Rg3 병행 치료에 따른 신호전달 단백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Rg3 처리군 및 미처리군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1차 항체로써 PARP, p53 및 JNK를 사용하여 웨스턴블랏으로 확인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Rg3 병행 치료 따라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신호 단백질의 발현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Rg3가 방사선 치료에 따른 세포 자멸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1Gy 내지 4Gy의 저준위 방사선인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3. 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활성 증진을 위한 항암 보조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표적 치료제인 항암 보조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치료제는 제피티닙(gefitinib) 또는 엘로티닙(erlotinib)인 항암 보조제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직장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항암 보조제 조성물.
KR1020180021207A 2018-02-22 2018-02-22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KR10202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07A KR102024322B1 (ko) 2018-02-22 2018-02-22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07A KR102024322B1 (ko) 2018-02-22 2018-02-22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78A true KR20190101178A (ko) 2019-08-30
KR102024322B1 KR102024322B1 (ko) 2019-09-23

Family

ID=6777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07A KR102024322B1 (ko) 2018-02-22 2018-02-22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82A (ko) * 2019-10-17 2021-04-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KR20210150972A (ko) 2020-06-04 2021-12-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젤린으로부터 유도된 tlr5 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icin & Pharmacotherapy, 96, 619-625, 2017.
Biomedicin & Pharmacotherapy, 96, 619-625, 2017.* *
BMC Cancer, 9, 250(1-11), 2009.
BMC Cancer, 9, 250(1-11), 2009.* *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42(3), 628-640, 2014.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42(3), 628-640, 2014.* *
Molecular Medicine Reports, 12, 609-614, 2015.
Molecular Medicine Reports, 12, 609-614, 201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82A (ko) * 2019-10-17 2021-04-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KR20210150972A (ko) 2020-06-04 2021-12-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젤린으로부터 유도된 tlr5 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22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Mitochondria in ischemic stroke: new insight and implications
Chang et al. Targeting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in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radioresistance
Liao et al. Targeting regulated cell death (RCD) with small-molecule compounds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 revisited perspective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argeted therapies
CN106102745A (zh) 治疗和预防移植物抗宿主病的方法
Douple et al. Skin radiosensitization studies using combined cis-dichlorodiammineplatinum (II) and radiation
US900567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and use thereof
KR102024322B1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 조성물
CN104940932A (zh) 柚皮素和柚皮苷在肿瘤放射治疗中的应用
CN107375258A (zh) 一种抗肿瘤联合用药物及其在制备抗癌药物中的用途
JP7307732B2 (ja) 口腔癌治療用の医薬の製造ためのジンセノサイドm1の使用
Geldof et al. Radiosensitizing effect of cisplatin in prostate cancer cell lines
Hosseinimehr et al. Fluoxetine as an antidepressant medicine improves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for the treatment of glioma
CN104815014A (zh) 虎杖在制备防治电离辐射诱导小肠损伤药物中的应用
CN105560239B (zh) Cx4945作为制备胃癌顺铂耐药放射耐受逆转作用药物的应用
CN106163515A (zh) 抗癌剂和副作用减轻剂
Pollack et al. The efficacy of tamoxifen as an antiproliferative agent in vitro for benign and malignant pediatric glial tumors
CA2557857C (en) Cancer treatment with topoisomerase-ii inhibitor, a bis-dioxypiperazine and radiation
RU2516027C2 (ru) Комбинация противораковых агентов
CN103239436A (zh) 异鼠李素在制备用于阿霉素辅助治疗药物中的应用
Shanmugam Understanding cancer therapies
Siemann et al. Potentiation of combination chemotherapy by nitroheterocyclics
WO202100682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effects of natural extracts for cancer treatment undergoing chemotherapy
JP6627141B2 (ja) ベニバナボロギク抽出物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り調製された抽出物、及び抽出物の使用
Farzipour Seyed Jalal Hosseinimehr, Seydeh Halimeh Najafi, Fatemeh Shafiee, Sodabeh Hassanzadeh, Soghra
Suriyah et al. Enhancement of Cisplatin Cytotoxicity in Combination with Thymoquinone on Oral Cancer HSC-4 Cell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