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620A -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620A
KR20190098620A KR1020180018776A KR20180018776A KR20190098620A KR 20190098620 A KR20190098620 A KR 20190098620A KR 1020180018776 A KR1020180018776 A KR 1020180018776A KR 20180018776 A KR20180018776 A KR 20180018776A KR 20190098620 A KR20190098620 A KR 2019009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astrointesti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lacquer
gastrointestinal diso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981B1 (ko
Inventor
손창규
이진석
Original Assignee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9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추출물은 위장운동을 촉진하고, 위장운동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향상시키며, 위장장애를 유발하는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Digestive Disorder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comprising Rhus verniciflura Extract and its Manufacture Method}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장장애는 크게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기능성 소화불량증,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세분하게는 식도장애, 위-십이지장 장애, 소화기 장애, 복부팽만 및 통증 및 직장 기능장애 등으로 나뉜다. 음식을 섭취하는 구강으로부터 배설하는 항문까지 발생하는 병리적 증상을 총체적으로 위장장애라 일컬으며, 결국 다양한 병리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위장장애의 발병 원인 및 병태생리는 그 증상의 인과관계가 뚜렷하지 않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치료기술이 개발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적용되고 있는 치료군에 한해서도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음식, 스트레스 등에 의해 변화가 심하므로 임상적 효과에 대한 판정이 어렵다.
건칠(乾漆, 마른옻)은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의 고전의서에 그 약리적 효능이 기록되어 있고 그의 한의학적 임상 처방이 존재하는데, 건칠은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삭이며 월경이 중단된 것을 치료하며 특히 아랫배가 찬 증상 및 위장 기능을 강화한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위장장애 및 소화 불량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으며, 특히, 옻 추출물에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인 우루시올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옻 추출물을 임상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루시올이 포함되지 않은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러한 추출물이 위장질환 및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18323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인 본 발명의 옻나무 목심 추출물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우루시올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장운동을 촉진하고, 위장운동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수준을 유용하게 개선하므로, 다양한 위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위장장애의 발병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미 발병한 위장장애의 증세가 악화되지 않도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위장장애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목심"이란 나무에서 껍질이 제거된 부분을 의미하며, 이때, "껍질"은 일반적으로 나무 겉면을 의미하여, 나무의 줄기, 가지 및/또는 뿌리 형성층의 바깥방향에 존재하는 코르크(cork)화된 조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옻나무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옻나무로부터 껍질을 제거한 옻나무 목심을 준비한다. 옻나무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준비된 옻나무 목심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하며, 이때, 옻나무 목심은 껍질을 제거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목심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목심은 통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b)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c)아세톤, (d)에틸 아세테이트, (e)클로로포름, (f)1,3-부틸렌글리콜, (g) 헥산, (h)디에틸에테르, (i)부틸아세테이트 (j)클로로포름-메탄올 또는 (k)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2th ed., 201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위장장애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위장장애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치료 및/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 기제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0㎎/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시 다양한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캅셀 형태로 제형화 할 경우, 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예를 들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제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조제될 수 있으며,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또는 탈크 같은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옻나무 목심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옻나무 목심을 열수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루 총 용량 50mg/kg 내지 150mg/kg으로 경구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하루 총 용량 50mg/kg 미만으로 투여할 경우, 위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150mg/kg 초과로 투여할 경우, 초과분에 대한 위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의 증가분이 미미하므로, 제조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며, 유효 성분의 과다 복용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하루 총 용량 50mg/kg 내지 150mg/kg으로 경구투여될 수 있으나, 하루 총 용량 70mg/kg 내지 130mg/kg으로 경구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루 총 용량 85mg/kg 내지 115mg/kg으로 경구투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위장장애는 위식도 역류질환, 기능성 소화불량증 및 과민성 대장증후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옻나무 목심의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득한 옻나무 목심 추출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제형의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위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추출물은 음료나 환, 분말 등과 같은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옻나무 목심 추출물은 위장운동을 촉진하고, 위장운동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향상시키며, 위장장애를 유발하는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옻나무 표준물질(A) 및 본 발명의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B)의 약물 지문분석(fingerprint analysi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물모델 실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물모델의 각 군별 체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RVW)의 위 운동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c-kit 및 nNOS의 발현을 나타낸 사진(A) 및 c-kit(B)와 nNOS(C)를 정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위장운동을 촉진시키는 유전자(c-kit, RyR3 및 smMLCK)의 증가효과(A) 및 위장운동을 억제하는 유전자(nNOS)의 억제효과(B)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c-kit증가 효과를 조직면역화학염색을 통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제조
옻나무의 껍질을 제거한 옻나무 목심 10g을 증류수 500mL로 전탕(煎湯)한 후, 동결건조 하여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RVW)을 제조하였다. 최종 추출물의 수율은 9.77%(w/w)이었으며, 제조한 추출물은 -80℃에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약물 지문분석(fingerprint analysis)
RVW의 품질 관리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고감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장비는 Agilent 1200 HPLC UV-VIS(MWD) Detector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Shiseido Capcell Pak C18 컬럼(column)(5um 입경, 4.6×150m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0.02%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HPLC Grade) 및 B-물의 0.02%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HPLC Grade)을 사용하였다. 컬럼 온도는 30℃, 주입량은 20ul, 검출 파장은 205, 254 및 280nm로 설정하였으며, 유속은 1mL/min, 분석시간은 40분으로 진행 하였다.
그 결과, 총 4개의 메인 피크(retention time 6.91, 9.17, 10.22 및 12.00 min)가 검출되었으며, 메인 피크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각각의 피크에 해당하는 표준물질 및 표준물질의 정량값은 하기 표 1과 같음을 확인하였다.
retention time(min) 화합물명 정량값(mg/g)
6.91 Fusitin 17.30
9.17 Fisetin 47.98
10.22 Sulfuretin 3.36
12.00 Butein 0.47
한편, 옻나무에 존재하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allergen)로 알려진 우루시올(retention time 32.75, 35.10min)은 검출되지 않았다(도 1).
즉,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에는 옻나무의 표준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나,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우루시올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동물모델의 준비 및 평가 방법
<3-1> 동물모델 실험군 설계 및 체중 유지 확인
총 60마리의 Balb/c 마우스(6주령, 수컷)를 대한바이오링크(ChungBuk, Korea)에서 구입하여, 7일의 적응기간 동안 22±2℃, 55±10% 상대습도 및 12시간 명암주기에서 고형사료(대한바이오링크)와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적응 후, 평균 체중 20±2g의 마우스를 무작위로 그룹 당 10마리씩 6그룹으로 나눈 후, 하기 표 2에 해당하는 용량의 물질을 7일 동안 각 군들에게 경구투여 하였고, 마지막 투여 후에는 19시간 동안 공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구분 투여 물질 투여량
정상군(noraml) 10mL/kg
대조군(control) Loperamide 10mg/kg
실험군(25) 실시예 1의 RVW 25mg/kg
실험군(50) 실시예 1의 RVW 50mg/kg
실험군(100) 실시예 1의 RVW 100mg/kg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Mosapride 3mg/kg
각 군 중, 7마리는 위 배출능 측정을 위해, 3마리는 바이오마커(biomarker)의 측정을 위해 희생하였다(도 2).
한편, 마우스가 희생되기까지 주 2회 체중변화를 기록한 결과, 7일의 약물 투여 후 모든 군에서 체중은 변화하지 않았다(도 3).
<3-2> 위 배출 능 측정(gastric emptying)
상기 실시예 <3-1>의 19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한 마우스에 로페라미드(Loperamide, 10mg/kg)를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1회 복강 내 투여하였고, 30분 후에 1.5% 수성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aqueous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의 0.05% 페놀 레드(phenol red) 500ul를 모든 마우스에 1회 경구투여하였다. 30분 후 마우스의 위를 획득하여 2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0.1M NaOH 5mL에 담아 균질화한 후, 15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의 1mL을 0.5M NaOH 4mL에 희석시킨 후, 300uL를 96 well plate에 옮겨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위 배출 능은 위장장애 동물모델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으로, 위 안에 남아 있는 페놀 레드를 측정하여 빠져나간 양을 비율(%)로 나타내며, 하기의 환산식으로 계산하였다.
위 배출 능(%) = 100×(A-B)/A
A: Phenol red 투여 즉시 획득한 위의 흡광도
B: Phenol red 투여 30분 후 획득한 위의 흡광도
<3-3> 위장운동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단백질 수준 측정
위장운동은 위장 평활근의 pacemaker로 존재하는 Intestinal kajal cell (ICC)의 칼슘(calcium) 방출에 따른 slow wave 형성에 의해 시작되며, c-kit은 ICC의 활성에 대한 대표적인 지표이다. 로페라미드는 mu-opioid 수용체 아고니스트(receptor agonist)이며, mu-opioid 수용체는 신경성 산화질소 합성효소(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를 증가시켜 세포에 손상을 입혀, 평활근 수축을 방해한다. 따라서, 위 인자들의 수준을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1>의 19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한 마우스의 위 조직 50mg을 1mL의 RIPA buffer에 담아 균질화 후, 14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획득한 후, 1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통해 단백질을 분리하였고,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멤브레인(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에 옮겼다. 멤브레인을 3%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이 함유된 0.1% Tween 20 인산완충생리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시간 블로킹(blocking) 후, 각 바이오마커에 대한 1차 항체(antibody)를 4℃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켜 부착되도록 하였다. 각 멤브레인을 세척한 후, HRP-conjugated 2차 항체를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부착되도록 하였다. 블롯(blot)은 향상된 화학발광(enhanced chemiluminescence)에 의해 발색되도록 하여 Fusion solo S에 의해 자외선형광(UV fluorescence)으로 시각화하였다.
<3-4> 위장관운동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mRNA 수준 측정
ICC의 slow wave 형성 시 칼슘을 대량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칼슘을 방출 시키는 멤브레인 체널인 리아노딘 수용체 3(ryanodine receptor 3; RyR3)이 발현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slow wave는 위장관에 존재하는 평활근 세포에 전달되어 많은 경로를 거쳐 미오신 경사슬 인산화효소(myosin light chain kinase; MLCK)를 활성화 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평활근 사이의 수축(contraction)이 일어난다. 따라서, 위 인자들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1>의 19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한 마우스의 위 조직의 RNA를 QIAzol reagent(Germantown, MD)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대용량 cDNA 역전사 키트(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5개의 유전자(c-kit, RyR3, smMLCK, nNOS 및 GAPDH)에 대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유전자 발현량은 GAPDH로 보정하였다. 각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primer)는 하기 표 3과 같다.
프라이머명 염기서열 서열번호
C-kit(F) CAA TGG AAG GTT GTC GAG GA 1
C-kit(R) GCC TGT TTC TGG GAA ACT CC 2
RyR3(F) GGC CAA GAA CAT CAG AGT GAC TAA 3
RtR3(R) TCA CTT CTG CCC TGT CAG TTT C 4
nNOS(F) ACC CCG TCC TTT GAA TAC CAG 5
nNOS(R) GAC GCT GTT GAA TCG GAC CTT 6
smMLCK(F) AGA AGT CAA GGA GGT AAA GAA TGA TGT 7
smMLCK(R) CGG GTC GCT TTT CAT TGC 8
GAPDH(F) CAT GGC CTT CCG TGT TCC T 9
GAPDH(R) CCT GCT TCA CCA CCT TCT TGA 10
<3-5> 위 조직에서 면역화학염색을 통한 ICC의 활성 측정
ICC의 활성은 ICC세포막에 존재하는 c-kit의 발현으로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c-kit의 활성을 면역화학염색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결 절편(frozen section)을 위해 조직을 10% 포르말린(formalin)에 7일간 고정한 후, 10%, 20%, 30% 수크로스(sucrose)에 각 하루씩 점차적으로 옮겼다. 조직은 Leica CM3050 크라이오스탯(cryostat)을 사용하여 10um 절편으로 준비하였다. c-kit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은 c-kit 1차 항체와 Vectastain ABC ki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위장운동 촉진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위장운동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2>를 수행하여 위 배출 능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로페라미드 투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약 30% 위 배출 능이 감소 하였으나, RVW 투여군의 경우, 모든 군에서 감소된 위 배출 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5.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위 위장운동 개선효과 확인
<5-1> 위장운동 관련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 증가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3>을 수행하여 위장운동 관련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로페라미드 투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c-kit은 2배 이상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고, nNOS는 3배 이상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반면, RVW 투여군의 경우, 100mg/kg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도 5).
<5-2> 위장운동 관련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 증가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4>를 수행하여 위장운동 관련 인자들의 mRNA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로페라미드 투여군에서 c-kit, RyR3 및 smMLCK의 유전자 발현은 정상에 비해 1.5배 이상 감소하였으며, nNOS는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반면, RVW 투여군의 경우, 100mg/kg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도 6).
실시예 6.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c-kit 발현 증가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옻나무 목심 수 추출물의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5>을 수행하여 위 조직에서 면역화학염색을 통한 ICC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로페라미드에 의해 감소된 c-kit 발현이 RVW에 의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7).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DAEJEON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Improving Digestive Disorder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comprising Rhus verniciflura Extract and its Manufacture Method <130> PN180036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kit(F) <400> 1 caatggaagg ttgtcgagga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kit(R) <400> 2 gcctgtttct gggaaactcc 20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yR3(F) <400> 3 ggccaagaac atcagagtga ctaa 24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tR3(R) <400> 4 tcacttctgc cctgtcagtt tc 22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NOS(F) <400> 5 accccgtcct ttgaatacca g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NOS(R) <400> 6 gacgctgttg aatcggacct t 21 <210> 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mMLCK(F) <400> 7 agaagtcaag gaggtaaaga atgatgt 27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mMLCK(R) <400> 8 cgggtcgctt ttcattgc 18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F) <400> 9 catggccttc cgtgttcct 19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R) <400> 10 cctgcttcac caccttcttg a 21

Claims (6)

  1.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옻나무 목심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옻나무 목심을 열수추출한 것인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루 총 용량 50mg/kg 내지 150mg/kg으로 경구투여되는 것인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장애는 위식도 역류질환, 기능성 소화불량증 및 과민성 대장증후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인 위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018776A 2018-02-14 2018-02-14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76A KR102093981B1 (ko) 2018-02-14 2018-02-14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76A KR102093981B1 (ko) 2018-02-14 2018-02-14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20A true KR20190098620A (ko) 2019-08-22
KR102093981B1 KR102093981B1 (ko) 2020-03-26

Family

ID=6776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776A KR102093981B1 (ko) 2018-02-14 2018-02-14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9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53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옻나무 음료
KR101023546B1 (ko) * 2008-04-29 2011-03-21 송재실 참옻발효진액의 제조방법
KR101718323B1 (ko) 2015-09-18 2017-03-22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암 및 위점막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82249A (ko) * 2016-01-06 2017-07-1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6846A (ko) * 2016-04-12 2017-10-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염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53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옻나무 음료
KR101023546B1 (ko) * 2008-04-29 2011-03-21 송재실 참옻발효진액의 제조방법
KR101718323B1 (ko) 2015-09-18 2017-03-22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암 및 위점막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82249A (ko) * 2016-01-06 2017-07-1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6846A (ko) * 2016-04-12 2017-10-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염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e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yspepsia, 21(25), World journal of Gatroenterology, 7672-7682(2015.07.07.)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 가이드라인,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이광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981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437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US1066092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bination extracts of Moutan Root Bark, Angelica Dahurica Root, bupleurum root or fractions thereof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
KR101434464B1 (ko)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i et al. Effect of N-methyltyramine on the regulation of adrenergic receptors via enzymatic epinephrine synthesi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101717698B1 (ko)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93981B1 (ko) 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운동 촉진 및 소화불량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773199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urons comprising extract of lithospermum erythrothizon SIEB. ET. Zucc or acetylshikonin isolated therefrom as an effective ingredient
CN114007631A (zh) 含有印度醋栗提取物和大麦芽提取物的复合物(ib复合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减轻或治疗伴有肥胖症和/或糖尿病的代谢综合征的组合物
KR20090046425A (ko)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Rao et al. Antiulcer activity of natural compounds: A review
CN104918627B (zh) 对于炎性肠疾病具有预防或治疗作用的药物组合物
KR100686260B1 (ko) 장구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60622B1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42959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08212B1 (ko)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handare et al. Evaluation of antiulcer activity of polyherbal formulation
EP3142668B1 (en) A formulation for ameliorating premature ejaculation
KR10267154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EP299289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2219426B1 (ko) 복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세포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2379395B1 (ko)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623896B1 (ko)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당전이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