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595A -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595A
KR20190098595A KR1020180018724A KR20180018724A KR20190098595A KR 20190098595 A KR20190098595 A KR 20190098595A KR 1020180018724 A KR1020180018724 A KR 1020180018724A KR 20180018724 A KR20180018724 A KR 20180018724A KR 20190098595 A KR20190098595 A KR 2019009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h
index
ssb
cfra
prea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435B1 (ko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8001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435B1/ko
Priority to US16/273,589 priority patent/US10880925B2/en
Priority to EP19753914.1A priority patent/EP3753357A4/en
Priority to PCT/KR2019/001742 priority patent/WO2019160316A1/en
Priority to CN201980013310.8A priority patent/CN111788861B/zh
Publication of KR2019009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595A/ko
Priority to US16/952,766 priority patent/US11647541B2/en
Priority to KR1020220172453A priority patent/KR2023000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435B1/ko
Priority to US18/131,148 priority patent/US202302627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이 DCI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DCI를 제공하는 방법은 CFRA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PDCCH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DCI에 대한 DCI 포맷은 CFRA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DCI에 포함된 CFRA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CFRA를 위한 프리엠블 전송 자원이 지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NEW RADIO SYSTEM}
본 발명에서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 시스템 초기 접속 및 다양한 목적(e.g. UL sync., handover, beam failure recovery, RRC establishment, etc.)을 위해서 활용되는 랜덤 엑세스 절차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PDCCH order 관한 디자인에 대해서 제안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프레임워크 및 표준에 대해서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MT for 2020 and beyond"라 칭하여지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5 세대(5G) 통신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IMT for 2020 and beyond"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또한, 상기 NR 시스템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상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로-손실(path-loss), 페이즈-잡음(phase-noise),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 등의 좋지 않은 채널 환경을 극복하고자 복수의 빔을 통한 물리 신호/채널의 전송도 고려하고 있다.
본 발명은 NR CFRA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를 초기화 하기 위한 기지국 시그널링으로써 PDCCH order에 관한 DCI format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CFRA의 초기화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 format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과 다른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DCI format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FRA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 포맷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DCI 포맷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CFRA를 위한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NR CFRA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를 초기화 하기 위한 기지국 시그널링으로써 PDCCH order에 관한 DCI format 디자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CFRA의 초기화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 format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반적인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과 다른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DCI format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하향 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자원 그리드 및 자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NR 시스템에서 contention-based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4개 프리엠블 전송이 설정된 단말을 위한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4개 프리엠블 전송이 설정된 단말을 위한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들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기존의 시스템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로서 사용되지만, NR 시스템이라는 용어 자체가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하향 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1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DL/UL 전송을 위한 프레임의 시간 구조는
Figure pat00001
를 가지며
Figure pat00002
시간에 해당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이 상기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향링크 전송 프레임 i의 전송 타이밍은 단말에서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반으로
Figure pat00003
에서 결정된다.
도 2는 자원 그리드 및 자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원 그리드 내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는 각 서브케리어 스페이싱에 따라서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덱싱 된다. 안테나 포트 당 서브케리어 스페이싱 당 하나의 자원 그리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자원 그리드를 기반으로 상/하향링크 송수신이 가능하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12개의 자원 요소(
Figure pat00004
)로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구성되며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12개의 자원 요소마다 하나의 자원 블록에 대한 인덱스(
Figure pat00005
)를 구성한다. 그 자원 블록에 대한 인덱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06
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7
또한, 일 예로, 뉴머놀러지(Numerologies)는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OFDM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브케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CP길이, 슬랏 당 OFDM 심볼의 수 등을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다. NR 시스템은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디자인 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리 계층의 자원을 정의하는 상기 뉴머놀러지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 1]
Figure pat00008
노멀 슬랏(Normal slot)은 NR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기본 시간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그 길이는 기본적으로 14개 OFDM 심볼의 수로 구성할 수 있다. Slot과 다르게 subframe은 NR시스템에서 1ms에 해당하는 절대적인 시간 길이를 가지고 다른 시간 구간의 길이를 위한 참고 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와 NR 공존을 위해 LTE subframe과 같은 시간 구간이 NR 규격에 필요할 수 있다.
넌슬랏(non-slot) 정의는 노멀 슬랏(normal slot) 보다 적어도 하나의 심볼만큼 작은 수를 가지는 슬랏으로써 기본적으로 URLLC 서비스의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주파수 범위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적어도 6GHz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1 OFDM 심볼 길이의 넌 슬랏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넌슬랏을 정의하는 OFDM 심볼의 수는 적어도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며 그 범위는 노멀슬랏 길이-1까지 미니 슬랏의 길이로써 구성이 가능하지만 주로 2, 4 또는 7개의 심볼로 그 범위를 제한한다.
이때, 각 서브케리어 스페이싱 설정 마다
Figure pat00009
슬랏 당 OFDM 심볼의 수
Figure pat00010
, 그리고 노멀 CP 경우 하기 표2는 표 1에서 제공하는 바와 같이 각 서브케리어 스페이싱 값에 따른 슬랏 당 OFDM 심볼의 수와 프레임 당 슬랏의 수, 서브프레임 당 슬랏의 수를 14 노멀 슬랏을 기준으로 제공한다.
[표 2]
Figure pat00011
또한, 각 서브케리어 스페이싱 설정 마다
Figure pat00012
슬랏 당 OFDM 심볼의 수
Figure pat00013
, 그리고 확장(extended) CP 경우, 하기 표 3은 표2와 마찬가지로
Figure pat00014
=2에 해당하는 60kHz 서브케리어 스페이싱을 따르는 확장 CP인 경우, 슬랏 당 심볼의 수, 프레임 당 슬랏의 수, 서브프레임당 슬랏의 수를 각각 12 노멀 슬랏을 기준으로 각각 제공한다.
[표 3]
Figure pat00015
도 3은 NR 시스템에서 contention-based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NR 시스템에서 contention-based 랜덤 엑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는 다음과 같이 Step 1 내지 Step 4의 순서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 Step 1: Preamble transmission;
- Step 2: Random access response;
- Step 3: Layer 2 / Layer 3 (L2/L3) message;
- Step 4: Contention resolution message.
이때, 상술한 RA 절차는 하기의 트리거 이벤트와 그것에 해당하는 초기화 동작에 의해서 처음으로 시작된다. 또한, 일 예로,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CFRA) 절차는 오직 상술한 Step 및 Step 2만 수행한다. 즉, 경쟁 기반 절차가 아니기 때문에 상술한 Step 3 및 Step 4의 절차는 요구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랜덤 엑세스(RA, Random Access) 절차를 초기화(initialization)는 하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 PDCCH order,
- MAC sublayer,
- RRC sublayer or
- BF (Beam Failure) indication from PHY
이때, NR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를 트리거(trigger) 하는 구체적인 원인(cause)와 그 이벤트(event) 사이의 관계는 하기 표 4와 같을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16
이때, PSCell (primary cell in MCG or SCG for dual-connectivity)을 제외한 SCell 상에서의 RA절차는 PDCCH order에 의해서만 PDCCH order에 의해서 지시된 RA 프리엠블 인덱스 값과 함께 초기화된다.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 Prach-ConfigIndex: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PRACH 자원의 이용가능한 집합
- RA-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 initial preamble power;
- RSRP-ThresholdSSB: SSB RSRP 값을 기준으로 연관된 프리엠블 자원 및 인덱스 선택, csirs-dedicatedRACH-Threshold: CSI-RS RSRP 값을 기준으로 연관된 프리엠블 자원 및 인덱스 선택, and sul-RSRP-Threshold: an RSRP threshold for the selection of the SS block and corresponding PRACH resource;
- RA-PreamblePowerRampingStep: the power-ramping factor;
- RA-PreambleIndex: Random Access Preamble index;
- RA-PreambleTx-Max: the maximum number of preamble transmission;
또한, 각 SSB와 preamble 전송 자원 및 인덱스 사이의 mapping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각 SSB 마다 preamble 인덱스의 그룹과 그 그룹내의 인덱스들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상기 프리엠블 그룹은 msg.3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UL 자원의 크기를 기지국이 가늠 하는데 활용된다. 즉, 프리엠블 그룹 A와 B가 단말에게 설정되었다면 특정 msg.3 크기(ra-Msg3SizeGroupA)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RA 절차인 상황에서 단말이 그룹 B내의 프리엠블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엠블을 전송한다. 기지국은 그룹 B내의 프리엠블이 수신된 것으로 파악하였다면, 해당 프리엠블에 대한 응답정보인 msg.2내에 msg.3 전송을 위해 필요한 UL 자원의 크기 정보를 단말에게 포함하여 스케쥴링 한다.
- RA 윈도우의 크기: slot의 수로 단말에게 지시
- SI 요청을 위한 프리엠블 인덱스 집합 및 해당 PRACH 자원(필요하면)
- Beam Failure Request 응답 윈도우 및 해당 PRACH 자원(필요하면)
- bfr-ResponseWindow: the time window to monitor response(s) o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 Ra-ContentionResolutionWindow: RA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시간 윈도우의 크기
단말은 RA절차를 초기화할 때, Msg.3 버퍼를 비우고 프리엠블 전송 카운터를 1로, 프리엠블 파워 램핑 카운터를 1로 그리고 프리엠블 백오프를 0ms로 셋팅한다. 다음 만약 RA절차가 수행되는 케리어가 명시적으로 시그널링 되었으면 해당 케리어에서 RA 절차를 수행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RA절차를 위한 셀이 SUL이 설정되었고 해당 셀의 DL path-loss 의 RSRP 값이 sul-RSRP threshold 값보다 작다면, SUL을 RA 절차 수행을 위한 케리어로 선택하고 SUL을 위한 PCMAX 값도 셋팅한다. 그렇지 않으면 normal 케리어를 RA 절차 수행을 위한 케리어로 선택하고 normal 케리어를 위한 PCMAX 값을 셋팅한다.
그 다음, resource selection 절차를 통해서 프리엠블 인덱스 값을 셋팅하고 연관된 다음 이용 가능한 PRACH occasion 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RACH occasion에 대한 결정 방법은 SSB 블록 인덱스와 PRACH occasion에 대한 연관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CSI-RS와 PRACH occasion에 대한 연관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상기 연관 설정들이 단말에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서 PRACH occasion이 결정된다. 상기 SSB 또는 CSI-RS가 PRACH occasion과의 연관성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단말이 선택한 SSB 또는 CSI-RS 에 따라서 연관된 PRACH occasion이 결정되고 그러한 연관 설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냥 다음 이용 가능한 PRACH occasion에서 프리엠블 전송을 수행한다.
그 다음, 단말은 프리엠블 전송은 상기 선택한 PRACH occasion을 기반으로 수행하고 MAC은 PHY에게 선택한 프리엠블, 연관된 RNTI값, 프리엠블 인덱스와 수신 타겟 파워를 제공하여 선택한 프리엠블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이렇게 단말은 전송한 프리엠블에 대응하는 msg.2 (RAR) 정보 수신을 모니터링해야 하는데 그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것을 RA 윈도우 구간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리엠블을 전송한 일정 심볼 수 후에 단말은 RAR(msg.2) 수신을 기대하고 RA 윈도우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만큼 PDCCH/PDSCH (for msg.2) 모니터링을 RA-RNTI 값을 기반으로 수행한다. 만약 수신된 msg.2에 응답정보(RAPID)가 있는 경우에는 성공적인 RAR 수신으로 고려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프리엠블 재전송을 준비하기 위해 상기 프리엠블 resource selection 절차를 다시 수행 한다.
수신된, msg.2 내의 스케쥴링 및 msg.3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들을 기반으로 msg.3 전송을 단말은 수행한다. 일단 msg.3 전송이 수행되면 단말은 contention resolution timer를 시작하고 msg.4 수신을 위해 PDCCH (with C-RNTI) 모니터링을 해당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수행한다. Msg.4가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contention resolution이 성공적으로 이행되었다고 여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NR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CFRA)를 초기화 하기 위한 기지국 시그널링으로써 PDCCH order에 관한 DCI format을 디자인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하기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로 기재하지만, 하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면, 각각의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NR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CFRA)를 초기화 하기 위한 기지국 시그널링으로써 PDCCH order에 관한 DCI format 디자인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CFRA의 초기화를 위한 시그널링으로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RA 절차를 초기화 하여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PDCCH 내의 DCI format을 전달하는데 해당 DCI format에는 CFRA의 초기화를 위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고 해당 DCI format은 일반적인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과 다른 제어 정보가 단말에게 전달된다. 하지만, 단말의 PDCCH 블라인드 복호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서 CFRA를 위한 PDCCH DCI format의 비트 수는 하나의 TB(Transport Block)을 전달하기 위한 fallback DCI format 의 크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언급된 fallback DCI format이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해서 설정된 전송 모드 내에서 단말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 활용될 수 있는 DCI format이다. 따라서, MIMO와 같은 많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DCI format이 아니기 때문에 더 작은 비트 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최소한의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 정보만이 해당 fallback DCI format 내에 존재하는 특징을 가진다. 해당 fallback DCI 은 DCI format 0_0 (상향링크 전송)과 DCI format 1_0(하향링크 전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CFRA의 초기화를 지시하기 위한 PDCCH order 내에 전달되는 DCI format의 크기는 상기 fallback DCI (e.g. DCI format 0_0 or DCI format 1_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함을 가정한다. 그러므로, NR 시스템에서 PDCCH order 를 위한 DCI format은 fallback DCI format 을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을 위한 PDCCH order의 DCI format의 특징 및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적어도 PDCCH order를 위한 DCI format CRC는 C-RNTI 값을 가지고 스크램블링 되고 아래 제안된 실시예 들 중에서 하나의 방식을 기반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표 5는 NR fallback DCI 포맷에 기초하여 DCI format 0_0 및 DCI format 1_0을 나타낸다.
[표 5]
Figure pat00017
상술한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NR 시스템에서 fallback DCI format 에는 상기와 같은 제어 정보에 관한 필드가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해서 활용된다. 해당 fallback DCI format 들 사이에서 더 큰 크기를 가지는 DCI format에 더 작은 DCI format의 크기를 맞추기 위해서 zero 값을 padding bit로 추가한다. DCI format 0_0내에 padding bit가 추가되는 경우에 UL/SUL indicator를 위해서 1bit 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fallback DCI format 과 동일한 크기를 기반으로 PDCCH order를 위한 DCI format을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필드를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자원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PDCCH order를 위한 DCI format (fallback DCI format 기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 Carrier indicator - 0 or 3/4 bits
o 만약 단말이 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경우에 해당 필드가 3 or 4 bits를 가지고 enabling 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0 bit이다. 또는,
o 단말이 cross-carrier scheduling 설정 여부에 상관없이, PDCCH order를 위한 DCI format은 오직 PDCCH가 전송되는 동일한 서빙셀에서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Carrier indicator”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설정 방법은 하나의 서빙셀에 복수의 BWP가 설정되는 환경에서 복수의 서빙셀 간의 PDCCH order를 지시하지 않음으로 보다 쉬운 단말 구현을 이끌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 Identifier for DCI formats - 1 bit or 2bits
o 만약 상기 필드가 1bit 인 경우, Fallback DCI들은 모두 동일한 비트 수를 가지므로 DCI format 0_0인지 DCI format 1_0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로 0값은 DCI format 0_0, 1값은 DCI format 1_0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서는 PDCCH order를 지시하기 위한 DCI인지 아닌지는 이하 DCI내의 일부 필드 값들의 셋팅에 따라서 묵시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필드가 2bits 인 경우(명시적으로 PDCCH order를 지시하기 위해서 더 많은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지시될 수 있다.
00: DCI format 0_0
01: DCI format 1_0
10: PDCCH order
11: reserved
- 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
Figure pat00018
bits
o PDCCH order 를 위한 DCI format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비트들을 모두 0 또는 1으로 셋팅 한다. 왜냐하면 상기 주파수 자원 할당 필드는 PDCCH order를 지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아니지만, PDCCH order가 전달되는 DCI format이 DCI format 0_0/DCI format 1_0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기지국이 DCI format 0_0/DCI format 1_0를 기반으로 PDCCH order인지 아닌지를 상기와 같이 약속된 셋팅 방법으로 지시할 수 있다.
- 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 X bits
o PDCCH order 지시를 위해 상기 비트들을 모두 0 또는 1으로 셋팅 한다. 혹은,
o X bits 내의 사용하지 않는 특정 codepoint 들을 이용하여 해당 특정 codepoint 들 중 하나가 지시되도록 셋팅 한다. 상기 Time domain PUSCH resource 필드는 상위레이어 설정을 통해서 slot offset (
Figure pat00019
), 그 slot의 시작과 길이 지시자(SLIV, 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 그리고 PUSCH mapping type (Type A or B)의 조합을 각각 지시한다. 따라서, 그 설정에 따라서 X bits 들 중에서 남는 특정 codepoint (i.e. reserved)들을 PDCCH order에 대한 DCI format 지시자로 활용하도록 셋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4 bit인 경우, “1111”으로 셋팅하면 또는 아래 reserved 를 가지는 codepoint들 중에 하나의 특정 값이 설정된다면 단말은 수신된 DCI가 PDCCH order에 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20
- PRACH resource indicator - K bits
o 상기 필드를 통해서 주어진 SSB-PRACH mapping period 와 PRACH configuration period의 설정 조합 내에서 기지국은 CFRA를 위한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지시한다. 이와 같은 지시방법은,
-> 해당 단말이 SS/PBCH 블럭 인덱스(i.e. SSB) (그리고/또는 CSI-RS 인덱스)와 PRACH occasion (i.e. ROs in following Figure) 인덱스 사이 관계가 성립된 경우 (Case 1: SSB-PRACH-CFRA-association 또는 CSI-RS-PRACH-CFRA-association 을 위한 상위레이어 설정이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 그렇지 않은 경우 (Case 2: SSB-PRACH-CFRA-association 또는 CSI-RS-PRACH-CFRA-association 을 위한 상위레이어 설정이 없는 경우) 에 대해서 이하 추가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SSB-PRACH-CFRA association 을 기반으로 SSB인덱스와 PRACH occasion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제안된 방식을 CSI-RS-PRACH-CFRA-association 을 기반하는 CSI-RS 인덱스와 PRACH occasion 사이의 관계에도 적용하여 해당 PRACH resource를 지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PRACH occasion이란,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최소의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 내에 기지국의 PRACH 설정에 따라서 64개까지의 프리엠블 인덱스를 이용하여 프리엠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상기 PRACH occasion을 위한 시간/물리자원의 위치는 PRACH 설정 지시자(e.g. 표 7)를 통해서 PRACH format,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radio frame(s)과 subframe(s)을 통해서 확인 가능하고 주파수 상의 자원은 해당 PRACH 시퀀스의 길이와 고려되는 subcarrier spacing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표 7]
Figure pat00021
(계속)
Figure pat00022
(계속)
Figure pat00023
(계속)
Figure pat00024
(계속)
Figure pat00025
(계속)
Figure pat00026
(계속)
Figure pat00027
(계속)
Figure pat00028
(계속)
Figure pat00029
(계속)
Figure pat00030
(계속)
Figure pat00031
(계속)
Figure pat00032
(계속)
Figure pat00033
(계속)
Figure pat00034
(계속)
Figure pat00035
(계속)
Figure pat00036
(계속)
Figure pat00037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PRACH 자원 인덱스 지시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상기 도 1을 보면, 일단 기지국과 단말은 SSB-PRACH-CFRA-association에 대한 상위레이어 설정을 기반으로 SS/PBCH 블록 인덱스(CSI-RS-PRACH-CFRA-association 설정을 기반하는 경우에는 CSI-RS 인덱스)와 PRACH occasion과의 관계에 대해서 사전에 인지한다. 상기 예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가정했다.
◆ PRACH configuration period: 10ms로 설정. 해당 PRACH 설정 구간 설정에 따라서 특정 시간마다 (e.g. 매 10/20/40/80 또는160 ms 마다) PRACH occasion(시간자원)이 설정됨을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 그 값의 범위는 {10, 20, 40, 80, 160ms} 중 하나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 표 8과 같은 테이블에서 PRACH Configuration Index 값을 통해서 하나의 값이 설정된다.
◆ 실제 전송된 SSB(or CSI-RS)-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40ms로 설정. 해당 파라미터는 실제 전송된 SSB(또는 CSI-RS) 인덱스와 PRACH occasion 사이의 관계가 반복 적용되는 구간에 대해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레이어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하거나, 임의의 하나의 값으로 미리 정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40ms 로써, 40ms 내에 설정된 RO(RACH Occation)들과 실제 전송된 SSB (또는 CSI-RS) 인덱스가 해당 시간 구간 내에서 순환적으로 서로 mapping 될 수 있다. 상기 도 1참조(e.g. First and Second ROs for SSB index #0)
◆ 상기 그림내의 하나의 박스가 하나의 RO를 나타냄.
◆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 1/2
● 하나의 RO에 몇 개의 SSB가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정 정보
● 그 값의 범위는 {1/8, 1/4, 1/2, 1, 2, 4, 8, 16} 중 하나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 FDM: PRACH-FDM,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RO이 존재하는 시간에서 FDM 기반의 RO 존재 여부 및 FDM을 위한 RO의 수를 설정한다. 위의 예제에서는 2로 설정됨.
● 그 값의 범위는 {1, 2, 4, 8} 중 하나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 실제 전송 SSB의 수: 8개로 설정. 최대로 전송 가능한 SSB 의 수(L) 내에서 기지국의 상위레이어 설정에 따라서 L보다 작거나 같은 수 만큼 실제 SSB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그 실제 전송 SSB의 수는 기지국이 운용되는 cell의 물리적 위치와 그것에 따른 beam coverage, 기지국 안테나 능력 (e.g. 안테나 수 및 안테나 설정(e.g. analogue beam forming or digital/hybrid beam forming)) 등등에 따라서 기지국이 임의의 값을 선택하여 해당 셀 내의 단말들에게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제공하거나 dedicated RRC signaling 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 PRACH resource indicator(K bits)는 SSB(or CSI-RS) 인덱스 그리고/또는 RO occasion 기회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방법을 통해서 상기 도 1의 예를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SSB-PRACH mapping period 내(e.g. 40ms 도 1)에서 하나의 SSB (또는 CSI-RS) 인덱스와 연관된 복수의 시간 도메인 상에서 존재 가능한 RO들(e.g. first RO and second RO, 도 1) 중 일부 혹은 전부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위해 지시하여 보다 유연한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PDCCH order 를 위한 DCI format 내, PRACH resource indicator가 SSB (또는 CSI-RS) 인덱스 만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그 SSB (또는 CSI-RS) 인덱스와 연관된 복수의 RO들 중 어떤 특정 RO에서 CFRA 기반의 프리엠블 전송을 허락하는지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를 위해서 하기 표 8과 같은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다. 즉, SSB(or CSI-RS) 인덱스와 그것에 연관된 RO들을 하나의 PRACH resource index로 지시하는 방식이다. 물론, SSB 인덱스와 연관된 RO 인덱스는 각각 따로 지시될 수도 있다.
[표 8]
Figure pat00038
상기 표 8의 실시예를 보는 바와 같이, SSB-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내 SSB (또는 CSI-RS) 인덱스와 특정 RO인덱스들을 조합하여 PDCCH order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CFRA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테이블 내 even 또는 odd time domain RO 들 뿐만 아니라, 첫 번째/두 번째 등등 RO인덱스 들 또는 특정 RO인덱스 번호들을 이용하여 해당 SSB 인덱스와 연관된 전부 혹은 일부 RO들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을 단말에게 지시한다.
[표 9]
Figure pat00039
여기서 도 4에서 시간 도메인 상에서 선택적으로 CFRA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지시하였지만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여전히 복수의 RO들이 하나의 SSB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SSB 인덱스 마다 설정되는 CFRA용 프리엠블 인덱스를 각각의 FDMed RO들에서 그 프리엠블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 4에서 보여주는 실시예는 DCI format 내 PRACH resource index 값을 통해서 SSB 인덱스, time domain RO 를 지시한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프리엠블 인덱스 필드를 통해서 프리엠블 인덱스 값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한다. 이 같은 지시 정보들을 기반으로 기지국은 적어도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CFRA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지시할 수 있는 반면에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의 추가적인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의 같은 SSB와 연관된 복수의 RO가 존재하는 경우에는(e.g. SSB per RO<1)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엠블 전송을 수행해야 함으로 불필요한 복수의 프리엠블 전송을 단말이 수행하여 간섭을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아래 제안된 추가적인 실시예는 주파수 도메인 상의 RO의 자원 또한 추가적으로 DCI format에서 지시하여 PDCCH order를 위한 시그널링을 제안한다.
도 5는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5를 위한 설정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 PRACH configuration period: 10ms로 설정
- 실제 전송된 SSB(or CSI-RS)-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40ms
-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 1/4
- PRACH-FDM=4
도 5에서는 SSB 인덱스=0(또는 CSI-RS 인덱스), 주파수 도메인 RO 인덱스=even, 시간도메인 RO 인덱스=odd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의 SSB-PRACH mapping period 내의 특정 RO 상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도 6은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예제를 위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 PRACH configuration period: 10ms로 설정
- 실제 전송된 SSB(or CSI-RS)-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40ms
-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 1/2
- PRACH-FDM=1
- 전송 SSB의 수: 4개로 설정
도 6에서는 SSB 인덱스=1(또는 CSI-RS 인덱스), 주파수 도메인 RO 인덱스=even, 시간도메인 RO 인덱스=odd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의 SSB-PRACH mapping period 내의 특정 RO 상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도 7은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예제를 위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 PRACH configuration period: 10ms로 설정
- 실제 전송된 SSB(or CSI-RS)-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40ms
-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 2
- PRACH-FDM=1
- 전송 SSB의 수: 4개로 설정
도 4에서는 SSB 인덱스=3(또는 CSI-RS 인덱스) 정보 하나만을 기반으로 하나의 SSB-PRACH mapping period 내의 특정 RO 상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의 값이 1보다 같거나 크면(i.e. SSB per RO=1, 2, 4, 8 or 16) 도 4와 같이 오직 SSB 인덱스 만을 DCI format을 통해서 지시하고 그렇지 않으면(i.e. SSB per RO=1/8, 1/4 or 1/2) 도 1~3에서 제안한 SSB 인덱스, 시간/주파수 도메인 RO 인덱스를 통해서 특정 RO 상의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한다.
PRACH resource index는 “SSB index”와 “RO index” 를 지시하여 SSB-PRACH mapping period 내의 특정 RO에서만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한다. 여기서 SSB index는 실제 전송되는 SSB의 수에 따라서 그 비트수가 결정되고 RO index는 PRACH-FDM 값에 따라서 그 비트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레이어 설정을 통해서 실제 전송되는 SSB의 수가 12개이면 4비트, PRACH-FDM의 값이 8이면 3비트로 DCI format 내에서 전달된다고 기지국과 단말이 동일하게 가정할 수 있다.
도 8은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예제를 위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 PRACH configuration period: 10ms로 설정
- 실제 전송된 SSB(or CSI-RS)-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40ms
-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 1/2
- PRACH-FDM=2
- 전송 SSB의 수: 8개로 설정
도 8에서 보여주는 방법의 특징은 실제 전송되는 SSB 인덱스 모두가 RO와 적어도 한번 인덱싱 되는 구간마다 RO 인덱싱을 수행한다.
"PRACH resource index는 RO index” 를 지시하여 SSB-PRACH mapping period 내의 특정 RO에서만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지시한다.
도 9는 SSB-PRACH occasion mapping 구간 내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9에 예제를 위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 PRACH configuration period: 10ms로 설정
- 실제 전송된 SSB(or CSI-RS)-PRACH mapping configuration period: 40ms
- SSB per RO: PRACH occasion 당 SSB의 수 = 1/2
- PRACH-FDM=2
- 전송 SSB의 수: 8개로 설정
도 9에서 보여주는 방법의 특징은 실제 전송되는 SSB 인덱스 모두가 RO와 적어도 한번 인덱싱 되는 구간마다 RO 인덱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실시예들 중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지시하는 지시자 정보들 예를 들어, SSB index, RO index, 특정 시간정보 인덱스 등등 모두 하나의 지시자로 joint coding 될 수 있고 독립적인 제어 정보 필드로써 DCI format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위레이어 설정에 따라서 해당 필드들의 비트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안된 실시예들 중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 자원을 지시하는 지시자 정보들 예를 들어, SSB index, RO index, 특정 시간정보 인덱스 등등 모두 하나의 지시자로 joint coding 될 수 있고 독립적인 제어 정보 필드로써 DCI format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위레이어 설정에 따라서 해당 필드들의 비트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 단말이 SS/PBCH 블럭 인덱스(i.e. SSB) (그리고/또는 CSI-RS 인덱스)와 PRACH occasion (i.e. ROs in following Figure) 인덱스 사이 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경우(즉, SSB-PRACH-CFRA-association 또는 CSI-RS-PRACH-CFRA-association 을 위한 상위레이어 설정이 없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SSB-PRACH 연관에 대한 설정이 없는 경우이므로, 적어도 SSB 인덱스에 대한 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따라서, RO index 값 만을 이용하여 특정 RO를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복수의 CFRA 프리앰블 전송이 설정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도 11 및 도 12는 4개 프리엠블 전송이 설정된 단말을 위한 PRACH 자원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PRACH resource index 지시 방법으로 위에서 논의했던 방법들에서 고려했던 SSB 인덱스 그리고/또는 RO 인덱스 정보에 묵시적으로 임의의 정해진 offset 값들을 추가적인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자원으로 가정한다. 즉, 만약 단말이 복수의 CFRA 프리엠블 전송이 설정된 경우, 기지국이 상기 제안된 방법을 통해서 지시된 SSB index 그리고/또는 RO 인덱스 값을 기준으로 첫 번째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자원 지시를 수행하고 두 번째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자원부터는 그 첫 번째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SSB index 그리고/또는 RO 인덱스의 일정한 offset 값들을 더해서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과 같이 만약 하나의 단말에게 하나의 RAR 윈도우가 종료되기 전에 4개 CFRA 프리엠블 전송이 단말에게 설정되고 그 단말이 SSB-PRACH-CFRA-association 또는 CSI-RS-PRACH-CFRA-association 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안된 방법들을 통해서 지시된 SSB index(또는 CSI-RS index) 값에 추가적인 offset 값들로 미리 정해진 값을 활용할 수 있다.
- 1st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SSB index(or CSI-RS index),
- 2nd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SSB index(or CSI-RS index)+1,
- 3rd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SSB index(or CSI-RS index)+2,
- 4th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SSB index(or CSI-RS index)+3
따라서, 지시된 4 개의 SSB index, SSB index+1, SSB index+2, SSB index+3를 기반으로 그것들과 각각 연관된 RO 들 상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시 방법을 통해서 4개의 프리엠블 전송은 서로 다른 상향링크 빔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기지국이 해당 단말의 프리엠블을 수신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3에서 제안한 자원 지시 방법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offset 값들이 복수의 프리엠블 전송을 위해서 도 12와 같이 고려할 수 있다. 또는 프리엠블 인덱스 필드에 의해서 지시된 프리엠블 인덱스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offset 값들이 복수의 프리엠블 전송을 위해서 고려될 수 있다.
- 1st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RO index,
- 2nd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RO index +1,
- 3rd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RO index +2,
- 4th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RO index +3
또는
- 1st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Preamble index,
- 2nd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Preamble index +1,
- 3rd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Preamble index +2,
- 4th 프리엠블 전송: 지시된 Preamble index +3
상기 제안한 방식에서 고려한 offset 값은 상기 예제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상위레이어 설정을 통해서 상기 offset 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위레이터 설정이 되는 경우, 2번째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부터는 상위레이어에서 지시된 offset 값들을 기반으로 해당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자원이 지시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SSB index 대신 RO index 를 기준으로 상기 offset 값들이 적용될 수 있다.
- Preamble index - 6bits
o 총 가능한 64개의 프리엠블 인덱스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서 PDCCH order를 위한 DCI format 내에 존재한다.
- BWP indicator - 1 or 2bits
o Bandwidth part 지시자로써 CFRA 프리엠블 전송을 위한 BWP를 지시한다. 상위레이어를 통해서 설정된 BWP들 중에서 어떤 BWP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할지를 지시한다.
- UL/SUL indicator - 1 bit
o 만약 단말이 supplement UL carrier가 설정된다면, 해당 필드를 통해서 normal UL carrier에서 CFRA 프리엠블 전송을 할지 SUL carrier 에서 할지를 지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안테나부(1120), 트랜시버(1130), 메모리(1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111) 및 물리계층 처리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111)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12)는 물리(physical,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1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1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1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40)는 프로세서(11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1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150)는 프로세서(1160), 안테나부(1170), 트랜시버(1180), 메모리(11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161) 및 물리계층 처리부(1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16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62)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1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17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18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90)는 프로세서(116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1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150)의 프로세서(116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100) 및 단말 장치(11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1100 : 기지국 장치 1110 : 기지국 장치의 프로세서
1111 : 기지국 장치의 상위 계층 처리부
1112 : 기지국 장치의 물리 계층 처리부
1120 : 기지국 장치의 안테나부 1130 : 기지국 장치의 트랜시버
1140 : 기지국 장치의 메모리부 1150 : 단말 장치
1160 :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
1161 :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처리부
1162 : 단말 장치의 물리 계층 처리부
1170 : 단말 장치의 안테나부 1180 : 단말 장치의 트랜시버
1190 : 단말 장치의 메모리부

Claims (1)

  1. 기지국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CFRA(Contention Free Random Access)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CI에 대한 DCI 포맷은 상기 CFRA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DCI에 포함된 상기 CFRA의 초기화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CFRA를 위한 프리엠블 전송 자원이 지시되는, DCI 제공 방법.
KR1020180018724A 2018-02-14 2018-02-14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24A KR102478435B1 (ko) 2018-02-14 2018-02-14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16/273,589 US10880925B2 (en) 2018-02-14 2019-02-1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EP19753914.1A EP3753357A4 (en) 2018-02-14 2019-02-13 PROCESS AND APPARATUS FOR ACHIEVING RANDOM ACCESS
PCT/KR2019/001742 WO2019160316A1 (en) 2018-02-14 2019-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CN201980013310.8A CN111788861B (zh) 2018-02-14 2019-02-13 用于执行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US16/952,766 US11647541B2 (en) 2018-02-14 2020-11-19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KR1020220172453A KR20230007263A (ko) 2018-02-14 2022-12-12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18/131,148 US20230262767A1 (en) 2018-02-14 2023-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24A KR102478435B1 (ko) 2018-02-14 2018-02-14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453A Division KR20230007263A (ko) 2018-02-14 2022-12-12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595A true KR20190098595A (ko) 2019-08-22
KR102478435B1 KR102478435B1 (ko) 2022-12-15

Family

ID=67541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724A KR102478435B1 (ko) 2018-02-14 2018-02-14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172453A KR20230007263A (ko) 2018-02-14 2022-12-12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453A KR20230007263A (ko) 2018-02-14 2022-12-12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880925B2 (ko)
EP (1) EP3753357A4 (ko)
KR (2) KR102478435B1 (ko)
WO (1) WO20191603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768A1 (ko) * 2022-07-15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1102A (zh) 2018-04-02 2019-10-1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同步信号块映射周期确定的方法及设备
US11903022B2 (en) * 2018-04-05 2024-02-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o indicate locations of dedicated random access channel region in time domain
ES2861202T3 (es) * 2018-05-10 2021-10-06 Asustek Comp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indicación de haz para la transmisión de enlace a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CN110636634B (zh) * 2018-06-21 2021-07-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相关设备
CN111132326A (zh) * 2018-11-01 2020-05-0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606819B2 (en) * 2018-11-02 2023-03-14 Qualcomm Incorporated Indexing of random access occasion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s
EP3905828A4 (en) * 2018-12-28 2022-02-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METHOD
CN111565471B (zh) * 2019-02-14 2022-05-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设备
US11412422B2 (en) * 2019-03-14 2022-08-09 Ofinno, Llc Handover in unlicensed band
US11368943B2 (en) * 2019-04-05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for random access channel
US11653321B2 (en) * 2019-07-12 2023-05-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beam-based sequence spaces for synchronization signals
WO2021030982A1 (en) * 2019-08-16 2021-02-2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mode for response to random access message
WO2021035380A1 (en) * 2019-08-23 2021-03-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using preambles
CN110809902B (zh) * 2019-09-30 2023-10-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20417999A1 (en) * 2019-12-10 2022-12-29 Qualcomm Incorporated Rach procedures based upon downlink receive capability level of a user equipment
WO2021163896A1 (zh) * 2020-02-18 2021-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US20210307073A1 (en) * 2020-03-31 2021-09-3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eamble partition for small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462127A (zh) * 2020-04-29 2022-12-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Cfra过程中的第一消息区分
US11832295B2 (en) * 2020-05-20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CN115486194A (zh) * 2020-07-10 2022-12-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2188638B (zh) * 2020-09-30 2023-03-14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非竞争随机接入资源指示方法、设备、介质和系统
BR112023026178A2 (pt) * 2021-06-25 2024-03-05 Qualcomm Inc Seleção de ocasião de acesso aleatório para equipamento de usuário de capacidade reduzida
US20230084028A1 (en) * 2021-09-15 2023-03-16 Nokia Technologies Oy Beam failure recovery
CN115988672A (zh) * 2021-10-15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处理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WO2023137762A1 (en) * 2022-01-24 2023-07-27 Beijing Unisoc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andom access networ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890A (ko) * 2009-06-30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신호 자원의 유연한 할당
KR20160146703A (ko) * 2014-04-24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17225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아이티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12930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127535B1 (ko) * 2011-11-23 2020-06-29 블랙베리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획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306A1 (en) 2008-07-01 2010-01-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preamble assignment for random acces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3893426A1 (en) 2009-04-23 2021-10-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2135998A1 (en) 2011-04-04 2012-10-11 Renesas Mobile Corporation Random access procedures with cross-carrier scheduling
US20120300714A1 (en) * 2011-05-06 201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with carrier aggregation for lte-advanced systems
EP2742765A1 (en) 2011-08-11 2014-06-18 BlackBerry Limited Performing random access in carrier aggregation
US9756658B2 (en) * 2012-06-26 2017-09-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CA2943148C (en) 2014-03-21 2019-09-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ndom access response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KR20170114911A (ko) * 2016-04-04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084663A1 (en) 2016-11-06 2018-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signals,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ceiving random access signals
EP3711253A2 (en) * 2017-10-02 2020-09-23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rmining paging occasion resources
US11533750B2 (en) 2017-10-09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response techniques based o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s
EP3732799A1 (en) * 2017-12-27 2020-11-04 Lenovo (Singapore) Pte. Ltd. Beam recovery procedure
CN112929985A (zh) * 2018-01-11 2021-06-08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通过随机接入程序恢复波束失效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890A (ko) * 2009-06-30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신호 자원의 유연한 할당
KR102127535B1 (ko) * 2011-11-23 2020-06-29 블랙베리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60146703A (ko) * 2014-04-24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17225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아이티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12930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768A1 (ko) * 2022-07-15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54071A1 (en) 2019-08-15
CN111788861A (zh) 2020-10-16
EP3753357A1 (en) 2020-12-23
US20210112596A1 (en) 2021-04-15
EP3753357A4 (en) 2021-12-01
KR102478435B1 (ko) 2022-12-15
WO2019160316A1 (en) 2019-08-22
US11647541B2 (en) 2023-05-09
KR20230007263A (ko) 2023-01-12
US20230262767A1 (en) 2023-08-17
US10880925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435B1 (ko)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90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331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공통 dci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
JP6526207B2 (ja) 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使用者器機、並びに上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RU2687033C1 (ru) Передача ответного сообщения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EP372002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793310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200007686A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768013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90120069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460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KR20200029580A (ko) 랜덤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218529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A3060172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0850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N111937458A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WO2021066133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106615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90117254A (ko)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29660A (ko)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5710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488493B1 (ko)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25437A (ko)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15948A (ko) NR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HARQ-less 프로시저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788861B (zh) 用于执行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