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493B1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8493B1 KR102488493B1 KR1020180040526A KR20180040526A KR102488493B1 KR 102488493 B1 KR102488493 B1 KR 102488493B1 KR 1020180040526 A KR1020180040526 A KR 1020180040526A KR 20180040526 A KR20180040526 A KR 20180040526A KR 102488493 B1 KR102488493 B1 KR 1024884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sb
- transmission
- channel
- preset
- base s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4
- 235000019527 sweetened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5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000577696 Homo sapiens Proline-rich transmembrane protein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8840 Proline-rich transmembrane protein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96310 SIB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12 process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60358 En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이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방법은 SSB 전송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SSB 전송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SSB 전송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LBT에 기초하여 채널이 busy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채널의 busy 여부에 기초하여 SSB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각각의 SSB들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송되고, 각각의 SSB들 중 제 1 SSB의 전송이 채널의 busy 여부에 기초하여 실패한 경우, 제 1 SSB는 제 2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동작하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Discovery Signal)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발견 신호를 디자인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프레임워크 및 표준에 대해서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MT for 2020 and beyond"라 칭하여지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5 세대(5G) 통신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IMT for 2020 and beyond" 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 기준에 대한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에 기초하여 SSB 전송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방법은 SSB 전송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SSB 전송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SSB 전송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LBT(Listen Before Talk)에 기초하여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채널 점유 여부에 기초하여 전송 후보 SSB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결정된 전송 후보 SSB 수 및 결정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송 후보 SSB들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송되고, 전송 후보 SSB들 중 제 1 전송 후보 SSB의 전송이 상기 채널 점유 여부에 기초하여 실패하는 경우, 제 1 전송 후보 SSB는 제 2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SSB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하여 SSB 전송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자원 그리드 및 자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 burst set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ong-LBT 수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자원 그리드 및 자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 burst set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ong-LBT 수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SB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들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기존의 시스템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로서 사용되지만, NR 시스템이라는 용어 자체가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R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및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나타낸 도면이다.
NR에서 시간 도메인의 기본 단위는 일 수 있다. 이때, 이고, 일 수 있다. 또한, 는 NR 시간 단위와 LTE 시간 단위와의 배수 관계에 대한 상수일 수 있다. 참조 시간 단위로써 LTE에서는 , 및 가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
도 1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Downlink/Uplink, DL/UL) 전송을 위한 프레임의 시간 구조는 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은 시간에 해당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마다 연속적인 OFDM 심볼의 수는 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나누어지며, 하프 프레임은 0~4 서브프레임과 5~9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프 프레임 1 (half frame 1)은 0~4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프 프레임 2 (half frame 2)는 5~9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 전송 프레임 i의 전송 타이밍은 단말에서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반으로 하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하기 수학식 1에서 은 듀플렉스 모드 (duplex mode) 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TA 오프셋 (TA offset) 값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은 0을 가지지만 TDD (Time Division Duplex)에서는 DL-UL 스위칭 시간에 대한 마진을 고려해서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도 2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및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원 그리드 내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는 각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에 따라서 인덱싱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포트마다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마다 하나의 자원 그리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송수신은 해당 자원 그리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12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구성되며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12개의 자원 요소마다 하나의 자원 블록에 대한 인덱스()를 구성할 수 있다. 자원 블록에 대한 인덱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수학식 2]
뉴머놀러지(Numerologies)
뉴머놀러지는 NR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뉴머놀러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CP길이 및 슬롯당 OFDM 심볼의 수 등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값들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DL-BWP-mu and DL-BWP-cp (DL)과 UL-BWP-mu and UL-BWP-cp(UL)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하기 표 1에서 가 2인 경우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60kHz인 경우에서 노말 CP 및 확장 CP(Extended CP)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대역에서는 노말 CP만 적용될 수 있다.
[표 1]
이때, 노멀슬롯(Normal slot)은 NR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기본 시간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노말슬롯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14개 OFDM 심볼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과 다르게 서브 프레임은 NR시스템에서 1ms에 해당하는 절대적인 시간 길이를 가지고 다른 시간 구간의 길이를 위한 참고 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LTE와 NR 시스템의 공존 또는 호환성(backword compatibility)을 위해 LTE의 서브 프레임과 같은 시간 구간이 NR 규격에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LTE에서 데이터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TTI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구성될 수 있었다. 이때, LTE에서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1ms로 설정될 수 있으며, 14개의 OFDM 심볼(또는 12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NR에서 넌슬롯 (non-slot)이 정의될 수 있다. 넌슬롯은 노멀슬롯(normal slot) 보다 적어도 하나의 심볼만큼 작은 수를 가지는 슬롯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서비스와 같이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경우, 노말슬롯보다 작은 심볼 수를 가지는 넌슬롯을 통해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넌슬롯에 포함된 OFDM 심볼 수는 주파수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6GHz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1 OFDM 심볼 길이의 넌슬롯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넌슬롯을 정의하는 OFDM 심볼의 수는 적어도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넌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범위는 노멀슬롯 길이-1까지 미니 슬롯의 길이로써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넌슬롯의 규격으로서 OFDM 심볼 수는 2, 4 또는 7개의 심볼로 범위가 제한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6GHz 이하의 비면허 대역에서는 가 1 및 2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사용되고, 6GHz 초과의 비면허 대역에서는 가 3 및 4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가 4인 경우는 후술할 SSB(Synchronization Siganl Block) 전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 2는 노멀 CP인 경우에 각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마다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 를 나타낸다. 표 2는 표 1에서 제공하는 바와 같이 각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에 따른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 프레임 당 슬롯의 수 및 서브프레임 당 슬롯의 수를 나타낸다. 이때, 표 2에서는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노멀슬롯을 기준으로 상술한 값들을 나타낸다.
[표 2]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 2인 경우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60kHz일 때 확장 CP가 적용될 수 있다. 표 3은 확장 CP인 경우로서 슬랏 당 OFDM 심볼의 수 는 12인 노말슬롯을 기준으로 각각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 3을 참조하면, 60kHz 서브케리어 스페이싱을 따르는 확장 CP인 경우, 슬랏 당 심볼의 수, 프레임 당 슬롯의 수 및 서브프레임당 슬롯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표 3]
다음으로, NR 시스템에서 SSB/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구조 및 NR 시스템에서의 초기 셀 접속 절차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때, NR 기지국(i.e. gNB)이 셀 내의 단말(i.e. UE)들의 초기 셀 선택(Initial Cell Selection)을 허용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하기 표 4와 같은 신호들 및 채널들을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표 4]
일 예로, SS/PBCH 블록은 상술한 SSB일 수 있다. 이때, NR 시스템에서도 초기 무선 접속을 단말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동기 신호 및 중요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의 수신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가장 좋은 채널 환경에 있는 최적의 셀을 찾기 위해서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의 수신 감도를 체크할 수 있다. 단말은 체크한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운용되는 특정 주파수 밴드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중에서 최적의 채널에 초기 접속 수행을 위한 주파수/시간 동기화 및 셀 확인(Cell Identific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술한 동작을 통해서 OFDM 심볼 타이밍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한 SSB 내의 PBCH 복호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PB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PBCH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SB 인덱스 정보 비트 중 2 또는 3 LSB 비트 정보를 PBCH DMRS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PBCH 복호를 수행하여 PBCH 페이로드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PBCH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SIB 1의 복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NR 시스템에서 단말은 PBCH에서 전송되지 않은 시스템 정보로서 Remaining System Information (RMSI)을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그 밖의 추가적인 시스템 정보로서 Other System Information(OSI) 및 Paging Channel을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를 통해 기지국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이동성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이 SSB를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SSB 구성(SSB Composition) 및 SS Burst Set 구성(SS Burst Set Composition)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한다.
도 3은 시간 도메인에서 SSB가 전송되는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SB는 SS burst set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SSB 전송은 SS burst set의 주기와 무관하게 SS burst set 내에서 5ms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SS Bust Set의 주기가 결정되면 각각의 SS burst set 시작 위치에서부터 5ms가 SSB 전송을 위한 윈도우로 설정될 수 있다. 즉, SS burst set의 주기와 무관하게 SSB 전송을 위해서 시작 위치에서 5ms 동안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5ms 내에서 전송되는 SSB 수에 따라 SSB의 가능한 전송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SS burst set 내에서 전송될 수 있는 SSB의 최대 수는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주파수 범위가 3GHz 이하에서는 SSB 최대 수 4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범위가 3GHz 이상 6GHz 미만에서는 SSB 최대 수가 8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범위가 6GHz 이상 52.6GHz 이하에서는 SSB 최대 수가 64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SSB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SSB에는 PSS/S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SSB는 4개의 OFDM 심볼 및 20개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s)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SSB에는 PSS, SSS 및 PBCH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동기화 신호 및 PBCH DMRS에서는 동일한 안테나 포트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신호 및 PBCH DMRS에서는 QCL(Quasi co-located) 가정, CP 길이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SSB 구성 및 SS burst set 구성에 기초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SSB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서술한다.
LBT Procedure (Listen and Before Talk Procedure)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SSB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면허 대역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이때, LBT 절차는 채널이 idle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idle 상태인 경우에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LBT는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이때, 25us LBT는 25us 시간 동안 채널이 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이 idle 상태인 경우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LAA(Licensed Assisted Access)에서는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전송을 위해서 25us 시간 동안 채널이 idle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DRS 전송은 1ms 이하 내에서 전송되고, CRS, SSS, PSS 및 CSI-R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DRS 전송은 40ms 이상의(e.g. 40, 80, 160…) 주기를 가지며 하나의 서브 프레임 이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25us LBT는 25us 시간동안 채널이 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이 idle 상태이면 1ms 동안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LBT를 short LBT로 지칭한다. short LBT는 25us LBT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short LBT에서 채널의 idle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시간 및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즉, 상술한 25us LBT에 한정되지 않고, 짧은 시간 동안에 채널이 idle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 동안 신호를 전송하는 LBT에 대해서는 하기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LAA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하기 위해 채널을 점유하는 동작을 LBT category 4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서술한다.
도 5는 LBT category 4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BT category 4는 Initial CCA(Clear Channel Assessment, ICCA)와 Extended CCA(ECCA)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ICCA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1) 이때,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슬롯이 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2) 이때, defer period (D) 동안 채널이 idle 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바로 데이터 burst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3) 일 예로, 만약 defer period 동안 채널이 idle한 경우,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데이터 burst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514) 그 후, 기지국은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15), 전송이 완료되면 ECCA 단계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S513 단계에서 defer period 동안 채널이 busy(또는 점유된)한 경우, 일정 에너지 검출 스레스홀드(Energy Detection(ED) Threshold) 값보다 큰 에너지가 LBT를 수행하는 노드에게 감지된 경우에는 ECCA 단계로 들어갈 수 있다.
ECCA 단계에서는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경쟁 윈도우 크기는 X와 Y 의 값 사이의 q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q값은 ACK/NACK report 또는 송신 노드(e.g. eNB)의 채널 측정을 통해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때, X와 Y 값은 최대 경쟁 윈도우 크기를 결정하는 값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q값은 X와 Y 값 사이의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 후, 현재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내의 임의의 값으로 N이 0과 q-1 사이의 값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S516) 이때, N값은 랜덤 백오프 카운터(random back-off counter)일 수 있으며, N개의 연속적인 ECCA 슬롯만큼 채널이 idle 인 경우에 해당 비면허 채널을 점유해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N값이 랜덤하게 선택된 후, defer period 동안 채널이 idle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517) 이때, 채널이 busy한 경우에는 채널이 idle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채널이 idle한 경우, N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8) 이때, 랜덤 백오프 카운터 값을 나타내는 N이 0이면 필요한 경우에 다시 데이터 burst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N값이 0이 아닌 경우, 랜덤 백오프 카운터 값인 N을 N-1로 변경하거나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519) 그 후, 에너지 레벨이 상술한 ED 스레스홀드 값보다 큰지 또는 센싱이 수행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이때, 에너지 레벨이 ED 스레스홀드보다 작은 경우, 다음 슬롯으로 이동할 수 있다.(S521) 반면, 에너지 레벨이 ED 스레스홀드보다 큰 경우, 다시 채널이 idle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해 S517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은 절차를 통해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수행되는 LBT를 하기에서 long LBT로 지칭한다. long LBT는 상술한 도 5의 절차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LBT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long LBT에서 채널의 idle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을 점유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도 5의 절차에 한정되지 않고, 긴 시간 동안에 수행되는 LBT에 대해서는 하기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efer period는 WiFi와의 공존을 위해서 동일한 period 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efer period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3]
또한, WiFi의 DIFS (Distributed Inter Frame Space) 또는 AIFS (Arbitration Inter Frame Space)와 같은 시간만큼 채널이 idle 하다라는 것이 적어도 보장이 되어야 함을 기본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클래스(Access class)에 따라서 defer period의 길이는 각각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결정하는 것은 n값일 수 있다. 이때, n값은 VoIP나 비디오 트래픽과 같은 엑세스 클래스들의 보다 빠른 채널 점유를 위해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defer period를 다르게 설정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비면허 대역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LTE에서는 LAA와 같이 면허 대역(Licensed band)의 Primary CC(PCell) 도움을 기반하는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는 방법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에 대해서는 3GPP 표준 규격으로 도입되어 현재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반면에, NR 무선 접속 규격을 기반으로 standalone 방식으로 비면허 대역 상에서 무선접속을 수행하는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필요성이 현재 대두 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standalone 방식은 면허 대역의 PCell의 도움 없이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NR 기반 무선접속 기술에서 초기 접속(Initial Access)과 관련하여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면허 대역과는 다르게 비면허 대역에서는 스펙트럼의 특성과 규제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비면허 대역이라는 점 때문에 채널 이용의 불확실성(uncertainty of channel availability) 또는 점유된 채널의 대역폭 요구(the Occupied Channel Bandwidth (OCB) requirement)와 같은 규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비면허 대역에 의해 다른 규제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공통 브로드캐스트 신호(common broadcast signal (i.e. SS/PBCH block, SIB1, RACH etc.)) 전송이 항상 보장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이용이 항상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 및 송신단에서는 전송하는 신호들에 대해서 항상 소프트 컴바이닝(soft-combining)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즉, 비면허 대역에서는 면허 대역에서 만큼의 성능 요구 사항(신뢰도/지연 측면)을 만족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운영되는 standalone NR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개선된 SS/PBCH 전송에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때, 일 예로서, NR 시스템에서는 하기 표 5와 같은 시나리오들을 고려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standalone NR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표 5의 시나리오에서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5에서는 면허 대역 NR(PCell) 및 비면허 대역 NR-U(SCell)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적용되는 경우, 면허 대역 LTE(PCell) 및 비면허 대역 NR-U(PSCell)의 듀얼 커넥티비티가 적용되는 경우, NR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고, 상향 링크는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및 면허 대역 NR(PCell) 및 비면허 대역 NR-U(PSCell)의 듀얼 커넥티비티가 적용되는 경우를 개시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시나리오에서도 하기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 5]
하기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short LBT 및 long LBT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해당 전송 시점에 SSB 전송 또는 넌슬롯 기반 PDSCH/PDCCH와 함께 SSB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Short LBT 절차를 통해서 채널을 점유하고,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Short LBT에 기초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비교적 짧은 시간 구간 동안에만 채널을 점유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LAA DRS (Discovery RS)만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적어도 동안 채널이 idle 인 경우에만 LAA DRS를 1ms 이하 시간 동안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기지국은 SSB 전송을 위해 Short LBT (이하, S-LB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SSB 전송을 위해 Long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하기에서는 short LBT가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다만, Long LBT가 적용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37GHz와 60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높은 주파수 밴드에 해당하는 채널환경에서 신호 송수신은 빔 전송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빔기반 LBT 동작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NR 시스템에서도 셀 식별(cell identification) 및 셀 측정(cell measurement) 등의 목적을 위해서 NR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셀 검색과 관련된 새로운 참조 신호로서 NR DRS가 정의될 수 있다. NR DRS는 SSB 및 CSI-RS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기에서 서술하는 SSB는 NR DRS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송 신호 및 채널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후보 SSB 전송 위치는 하나의 SSB burst set 주기 내에 최대 전송 가능한 SSB 시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후보 SSB 전송 위치에서 몇 개의 SSB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 및 어떤 SSB 인덱스를 이용할지 여부를 셀 환경 및 기지국 안테나/RF 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하기에서 서술하는 SSB 후보 위치는 하나의 SSB burst set 주기 내에 전송 가능한 SSB 후보 위치일 수 있다.
이때, 비면허 대역에서 SSB 전송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SSB 전송은 하프 프레임 구간 내(5ms) 미리 정해진 시간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기지국이 SSB 전송을 비면허 대역에서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LBT 절차를 통해 채널을 점유하지 못하면 SSB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다만, SSB는 초기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절차인바, 면허 대역과 마찬가지로 멀티빔 기반 SSB 전송 지원과 정해진 셀 접속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에서도 적어도 면허 대역만큼의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초기 셀 선택을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도 비면허 대역에서 면허 대역만큼의 SSB 전송이 보장될 필요성이 있으며, 하기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한 동작일 수 있다.
실시예 1(순환 매핑에 기초하여 SSB 반복 전송)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SS burst set 구간 내에서 전송 가능한 총 SSB의 수(이하, L)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short LBT에 기초하여 SSB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시간(이하, T) 내에 모든 SSB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짧은 채널 점유 시간에 의해 모든 SSB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전송 실패한 SSB들에 대한 추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SSB를 하나의 SSB 그룹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전송 실패한 SSB를 위해 추가 SSB 추가 전송을 위한 SSB 그룹 오케이션(SSB Group Occasion)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현재 면허 대역을 위해 정의된 후보 SSB 전송 자원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SSB 그룹 오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SSB 전송 후보 위치를 5ms 또는 10ms 시간 윈도우 내에 정의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은 상술한 5ms 또는 10ms 시간 윈도우 내에서 LBT 실패를 고려하여 SSB 추가 전송을 위한 SSB 전송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정의된 SSB 전송 후보 위치 상에서 LBT 실패로 인해서 전송 실패한 SSB 인덱스들의 순환 맵핑을 통해서 5ms 또는 10ms 윈도우 내에 추가적인 전송 시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확장된 후보 SSB 인덱스는 동일한 SSB 인덱스가 반복될 수 있다. 또는, 추가 확장된 SSB 인덱스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15kHz SCS, L=4에서 기존에 정의한 SSB#0~3 인덱스가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추가 확장된 시간 위치에서 동일한 SSB#0~3인덱스를 가지는 SSB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추가 확장된 시간 위치에서 새로운 SSB 인덱스로서 SSB#4~7 인덱스를 가지고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동일한 SSB 인덱스를 유지하는 경우라면 L=4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동일한 SSB 인덱스가 사용되는 경우, SSB가 전송되는 위치가 불명확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정의된 위치에서 전송인지 추가로 정의된 위치에서 전송인지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면, SSB 인덱스를 새롭게 정의하는 경우, SSB가 전송되는 위치는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 다만, 단말은 L=4가 아니라, L=8인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SSB 인덱스를 추가 정의하여 전송하는 경우, SSB#0는 SSB#4와 동일하고, SSB#1는 SSB#5와 동일하고, SSB#2는 SSB#6과 동일하고, SSB#3는 SSB#7와 동일한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L=8인 경우로 판단하는바, SSB 인덱스를 새롭게 정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가정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별도로 시그널링 해줄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하기 실시예 내의 모든 방법과 실시예들은 상술한 정의 및 가정에 기초하여 서술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는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 크기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서술한다.
실시예 1-1 (15kHz SCS 및 L=4의 경우)
기지국이 15kHz 크기를 갖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통해 SSB를 전송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L=4로 설정되고, SS burst set periodicity는 20ms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 상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SS burst set periodicity에 기초하여 첫 번째 하프 프레임(610, 5ms)에서 SSB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L=4인바, 기지국은 SSB#, SSB#1, SSB#2 및 SSB#3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프 프레임 중 기정의된 SSB 전송 위치(611)에 모든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이 모든 SSB(SSB#, SSB#1, SSB#2 및 SSB#3)를 비면허 대역에서 short-LBT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채널이 busy하면 채널 접속에 실패할 수 있고, SSB를 전송할 수 없다. 도 6에서는 SSB #0가 전송되는 위치에서는 채널이 busy한 상태인바, short-LBT를 통해 채널을 사용할 수 없다. 즉, 기지국은 SSB#0을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다만, short-LBT가 실패하는 시점은 채널 상태 등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며, 도 6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short-LBT가 성공한 경우, 기지국은 1ms동안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 1ms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서 채널을 점유할 수 있는 시간이 1ms인 경우라면 기지국은 SSB #1 및 SSB #2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다시 short-LBT를 수행하고, short-LBT 성공 여부에 따라 다른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상술한 동작에 기초하여 하나의 LBT 성공 이후에 전송 가능한 SSB들을 SSB 그룹으로 지칭할 수 있다. 즉, SSB 그룹은 LBT 성공에 기초하여 채널 점유 시간 동안에 전송 가능한 SSB들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서 기지국은 short-LBT 성공 이후 1ms동안 채널을 점유하였는바, SSB #1 및 SSB #2에 대한 전송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SSB #1 및 SSB #2를 하나의 SSB 그룹으로 설정하고, 남은 SSB #0 및 SSB #3을 다른 하나의 SSB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SSB 그룹과 관련되는 SSB 인덱스는 LBT 성공 여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면허 대역에서 SSB가 전송되는 경우, LBT 성공 여부에 기초하여 SSB를 그룹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비면허 대역에서 LBT를 수행하는 점을 고려하면 송수신단은 전력 소모를 위해 SSB 전송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T)에 LBT 성공 여부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채널이 하프 프레임 내내 지속적으로 busy한 상태라면 기지국은 5ms 내에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상술한 T 값은 10ms 또는 그 이하의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에 있어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LBT 를 통해 채널을 점유하는 경우, 기지국은 SSB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다른 OFDM 심볼 상에서 다른 채널 및 신호 전송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이 채널을 점유하고 있더라도, SSB가 전송되지 않은 OFDM 심볼에서는 채널이 idle 상태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이 점유하고 있는 시간에 다른 기지국 또는 다른 시스템(e.g. WiFi or LTE LAA)이 채널이 idle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채널 점유를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 또는 시스템의 채널 점유를 막기 위해서는 SSB 전송이 아닌 OFDM 심볼 상에 다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SSB나 CSI-RS와 같은 주기신호들을 전송해야 하는 시점에서 SSB 또는 CSI-RS가 전송되지 않는 OFDM 심볼에 임의의 신호를 전송하여 채널을 점유를 정해진 시점까지 유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신호는 기지국의 의도에 의해서 데이터/제어 채널, SIB/paging/RACH 관련 채널, 또는 임의의 예약신호(reservation signal)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순환 매칭 SSB 전송에 대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이 전송 결정한 SSB 인덱스들이 주어진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 내에서 모두 수행된 경우, 기지국은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 내에 LBT 성공 여부에 기초하여 오직 전송 실패한 SSB 인덱스(전송 결정한 SSB 인덱스) 전송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LBT 성공에 따라서 전송에 성공한 SSB 인덱스를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 내에 그 SSB 인덱스의 다음 후보 전송기회에 불필요하게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할 수 있는 LBT 절차를 통한 SSB 전송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셀로의 간섭과 셀 내의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과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셀 내의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이 전송 결정한 SSB 인덱스들이 주어진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 내에서 LBT 성공 여부에 기초하여 전송 실패한 경우, 기지국은 후보 전송 심볼에서 가능한 모든 SSB 인덱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관점에서는 심지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 내에 전송이 성공한 SSB 인덱스 또한 추가 전송을 수행해야 하는바, 에너지 효율 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셀 내의 단말들은 SSB 수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SB 측정 윈도우 내 전송 가능한 후보 SSB 심볼 위치를 모두 모니터링 하는 동기화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직인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를 갖는 경우, 기지국은 SSB 인덱스를 하기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첫 번째 슬롯의 두 번째 및 여덟 번째 심볼에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두 번째 슬롯에서도 첫 번째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은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610, T)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610)는 5ms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610)에서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수학식 4]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L=4인 경우, 기지국은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에서 SSB를 전송할 수 있다.(n=0,1) 즉,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611) 내의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에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가지고, 1ms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612)에서 추가적인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612)은 세 번째 슬롯 및 네 번째 슬롯(n=2,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612) 내의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위치에서 전송 실패한 SSB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612) 내에서 전송 실패한 SSB뿐만 아니라, 모든 SSB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L=4인바, 기지국은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612)에서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611)과 동일하게 모든 SSB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신호가 증가할 수 있으나, 동기화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은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을 도 6보다 더 길게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710)는 도 6과 동일하게 5ms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5ms 시간 구간 (710) 동안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6과 동일하게, L=4인 경우,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711) 내의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에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712)에서 추가적인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712)은 세 번째 슬롯, 네 번째 슬롯 및 다섯 번째 슬롯(n=2,3,4)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가지고, 1ms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구간(712) 내의 추가적인 후보 SSB 전송 위치에서 전송 실패한 SSB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 기지국은 더 많은 시간 동안 전송 실패한 SSB를 전송할 수 있는바 SSB 전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2 (15kHz SCS 및 L=8의 경우)
또 다른 일 예로,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를 갖는 경우로서 L=8인 경우, 기지국이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T)가 10ms이고, SS burst set periodicity=20ms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SSB가 8개이고,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T)가 10ms일 수 있다. 이때, SSB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 구간(810)은 5ms로 설정되고, 순환 매칭되는 시간 구간(820)이 5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모든 SSB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4ms 시간 구간이 필요할 수 있다. 즉, L=8인 경우 면허 대역을 위해 정의된 SSB 전송 시간 위치는 5ms 내에 4ms 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LBT 실패로 인한 추가 SSB 전송 시도에 대한 시간 여유가 1ms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적어도 추가적으로 한번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술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T)값을 10ms로 확장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SSB 전송 확률을 주어진 시간 내에서 향상시킬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단말이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도 증가하기 때문에 송수신단 측면에서 모두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이때, 도 8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SSB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 구간 (810, 5ms)에서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L=8인바, 기지국은 5ms 중 4ms 동안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은 상술한 수학식 4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811)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L=8인바, 기지국은 첫 번째 슬롯, 두 번째 슬롯, 세 번째 슬롯 및 네 번째 슬롯(n=0, 1, 2, 3)에서 모든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가지고, 1ms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LBT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 SSB에 대한 전송을 실패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이 설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 내의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에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5ms 이후로서 순환 매칭되는 시간 구간(820)에 설정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여섯 번째 슬롯(n=5)부터 설정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여섯 번째 슬롯, 일곱 번째 슬롯, 여덟 번째 슬롯 및 아홉 번째 슬롯(n=5,6,7,8)에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 내의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에서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b는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가 도 8a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이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811, 4ms) 이후에 바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4ms 이후로서 다섯 번째 슬롯(n=4)부터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다섯 번째 슬롯, 여섯 번째 슬롯, 일곱 번째 슬롯 및 여덟 번째 슬롯(n=4,5,6,7)에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 내의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에서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8c에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4ms이후 10ms까지 설정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이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810, 4ms) 이후에 바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4ms 이후로서 다섯 번째 슬롯(n=4)부터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다섯 번째 슬롯부터 열 번째 슬롯(n=4,5,6,7,8,9)에 설정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4ms이후부터 SSB 측정 모니터링 윈도우(810, T)의 종료 시점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 내의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에서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8a 내지 도 8c를 살펴보면,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은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T)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이 크게 설정되는 경우, 기지국은 SSB 전송 성공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비면허 대역에서 LBT를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기지국은 SSB 전송 성공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반면,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이 증가하면 단말이 모니터링해야 하는 구간도 증가하는바,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특정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d에서는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810, T)가 5ms인 경우에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811, 4ms)까지 모든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남은 1ms 구간을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821)으로 설정하여 전송 실패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2(30kHz SCS 경우)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15kHz인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하였다. 이때, 일 예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증가하는 경우, 1ms COT(Channel Occupancy Time)내 전송 가능한 SSB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즉, 1ms 시간동안 전송 가능한 SSB가 증가할 수 있다. 하기 표 6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따라 1msCOT 내에서 가능한 SSB 시간 위치의 수일 수 있다.
[표 6]
또한, 일 예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0kHz인 경우에도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15kHz인 경우와 동일한 용어 및 정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0kHz인 경우,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T)가 5ms일 때의 SSB 전송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0kHz인 경우, 후보 SSB 인덱스의 위치는 하기 수학식 5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5]
또한, 일 예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0kHz인 경우, 후보 SSB 인덱스의 위치는 하기 수학식 6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0kHz인 경우, 후보 SSB 인덱스의 위치는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후보 SSB 인덱스의 위치가 수학식 5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를 패턴 1이라 지칭한다. 또한, 후보 SSB 인덱스의 위치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를 패턴 2라고 지칭한다.
[수학식 6]
실시예 2-1(30kHz SCS 및 L=4의 경우)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5ms인 경우, 기지국은 상술한 표 6에 기초하여 1ms 시간 구간 동안 모든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은 첫 번째 슬롯으로서 1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하나의 슬롯에는 28개의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패턴 1의 경우,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4, 8, 16 및 20의 심볼 위치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두 번째 슬롯(n=1)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이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두 번째 슬롯 및 세 번째 슬롯(n=1,2)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이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두 번째 슬롯, 세 번째 슬롯 및 네 번째 슬롯(n=1,2,3)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이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두 번째 슬롯, 세 번째 슬롯, 네 번째 슬롯 및 다섯 번째 슬롯(n=1,2,3,4)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이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5ms인 경우,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이 증가하는 경우, SSB 전송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패턴 2의 경우,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6에 기초하여 2, 8, 16(14+2), 22(14+8)의 심볼 위치에서 전송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는 n=0, 1일때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패턴 2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또는 1ms) 당 28개의 심볼이 포함되는바, n과 슬롯이 동일하게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4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4,5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4,5,6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4,5,6,7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4,5,6,7,8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2,3,4,5,6,7,8,9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3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적용되는 경우, 적용되는 패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 및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2-2(30kHz SCS 및 L=8의 경우)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5ms인 경우, 기지국은 상술한 표 6에 기초하여 1ms 시간 구간 동안 모든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은 첫 번째 슬롯으로서 1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패턴 1의 경우,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n=0,1)에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슬롯(또는 1ms)에 4개의 SSB가 할당될 수 있는바, L=8인 경우, 두 개의 슬롯(또는 2ms)에 걸쳐서 미리 정해진 SSB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이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 번째 슬롯 및 네 번째 슬롯(n=2,3)에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SSB 전송 구간은 세 번째 슬롯 및 네 번째 슬롯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910)는 5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911)은 L=8인바,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n=0,1)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912)은 세 번째 슬롯 및 네 번째 슬롯(n=2,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3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경우에도 SSB 그룹 오케이션에 기초하여 SSB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즉, LBT 성공 여부에 기초하여 채널 점유 시간 내에 포함된 SSB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SSB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세 번째 슬롯, 네 번째 슬롯 및 다섯 번째 슬롯(n=2,3,4)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910)는 5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911)은 L=8인바,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n=0,1)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912)은 세 번째 슬롯, 네 번째 슬롯 및 다섯 번째 슬롯(n=2,3,4)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910) 내의 남은 구간을 모두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91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패턴 2의 경우,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는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0,1,2,3인 경우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학식 6에 기초하면 각각의 n 단위당 2개의 SSB가 할당될 수 있는바, L=8인 경우, SSB는 n=0,1,2,3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패턴 2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또는 1ms) 당 28개의 심볼이 포함되는바, n과 슬롯이 동일하게 설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4,5,6,7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4,5,6,7,8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n=4,5,6,7,8,9에서 대응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술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10ms로 확장되는 경우, 5ms 윈도우 내의 심볼 인덱스는 10ms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0kHz인 경우에만 상술한 패턴 1 및 패턴 2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기존 시스템(e.g LTE)과의 호환성 및 공존을 위해 2개의 후보 SSB 전송 위치 패턴들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SSB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존 LTE 시스템과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0kHz에서 패턴 1 및 패턴 2를 구별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3(120kHz SCS 경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120kHz인 경우에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기재된 용어 및 정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120kHz인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 및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10ms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다른 크기의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12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서 후보 SSB 전송을 위한 심볼 인덱스들은 하기 수학식 7, 수학식 8 또는 수학식 9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12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서는 L=64일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1010)은 n=0, 1, 2, 3, 5, 6, 7, 8, 10, 11, 12, 13, 15, 16, 17, 18에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1020)은 n=20, 21, 22, 23, 25, 26, 27, 28, 30, 31, 32, 33, 35, 36, 37, 38 에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 및 2의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수학식 7]
[수학식 8]
[수학식 9]
실시예 4 (240kHz SCS 경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240kHz인 경우에도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기재된 용어 및 정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240kHz인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SSB 전송 위치 및 추가적인 SSB 전송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 5ms 또는 10ms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10ms인 경우에는 도 11(a)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5ms인 경우에는 도 11(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a)을 참조하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10ms인 경우, 24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서는 L=64일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1110)은 n=0, 1, 2, 3, 5, 6, 7, 8에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1120)은 n=10, 11, 12, 13, 15, 16, 17, 18에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1120)에서 대응되는 위치는 하기 수학식 10 내지 1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 및 2의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b)을 참조하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5ms인 경우, 24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서는 L=64일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1110)은 n=0, 1, 2, 3, 5, 6, 7, 8에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1120)은 n=20, 21, 22, 23, 25, 26, 27, 28에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1120)에서 대응되는 위치는 하기 수학식 10 내지 1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 및 2의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수학식 10]
[수학식 11]
[수학식 12]
Long-LBT 에 기초한 실시예
상술한 바에서는 short-LBT를 기준으로 SSB 전송 방법을 서술하였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long-LBT는 short-LBT에 비해서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더 긴 채널 점유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LAA 하향링크 시스템에서는 하기 표 7과 같이 채널 경쟁 시간과 최대채널점유 시간을 LAA PDSCH/PDCCH 전송을 위해서 정의하고 있다. 이때, 채널접근의 우선 클레스에 따라서 서로 다른 채널 경쟁 시간과 최대채널점유 시간을 규정할 수 있다.
[표 7]
이때, 상술한 표 7을 고려하여 SSB에 대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서로 다르 하향링크 LBT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long-LBT는 SSB burst set 전송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SSB burst set (L)에 대응하는 SSB 전송만을 위해서 L-LBT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SSB 전송만을 위해 long-LBT가 설정되었으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채널 점유를 SSB 전송을 위해서 고려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셀 내의 SSB 전송은 셀 내의 단말들의 초기접속 뿐만 아니라 채널 측정, 빔관리절차, 라디오 링크 모니터링과 같은 동작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단말의 다른 동작과 관련해서 필요한 정보일 수 있는바, 채널 점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표 7을 고려하여 채널접근우선 클래스 값이 1 또는 2 중 적어도 하나로 되어야 한다. 즉, 채널 접근의 우선 순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long-LBT는 PDSCH/PDCCH와 함께 SSB burst set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long-LBT는 하나의 SSB burst set (L)에 대응하는 SSB 전송과 함께 추가적으로 슬롯 기반 PDSCH/PDCCH 전송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SB 전송은 PDSCH/PDCCH 전송을 위한 LBT 절차를 그대로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즉, PDSCH/PDCCH 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QoS에 따라서 표 7의 4개( )의 채널접근클래스 값이 선택되고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LBT 파라미터 값들을 기반으로 채널 접근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점유를 성공한 경우, 기지국은 PDSCH/PDCCH를 SSB와 같이 전송할 수 있다.
단말 관점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주로 기지국 관점에서 비면허 대역을 통해 SSB를 전송하는 경우를 서술하였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SSB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1210)이 5ms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L=4이고,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1211)은 2ms로 설정되고,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1211)은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1211) 이후 2ms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도 12는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 다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초기 셀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단말은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1210, T=5ms) 내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SSB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입장에서는 동일한 SSB 인덱스의 위치가 복수개가 되므로 하나의 SSB를 수신하였다고 할지라도 정확한 슬롯 타이밍 및 인덱스를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서 SSB#0의 잠재적 전송 위치는 slot k와 slot k+2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수신한 SSB#0가 slot k에 해당하는 것인지 slot k+2에 해당하는 것인지 불명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SSB#0가 수신된 슬롯을 확인하여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바, SSB#0가 어떤 슬롯에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은 상술한 슬롯 정보를 기반으로 이후, RMSI(SIB1) 수신에 대한 CORESET 자원의 시간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다른 동작을 위해서 단말이 SSB가 수신된 슬롯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단말 관점 실시예 1
이때, 일 예로, NR-U 을 위한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가 하프 프레임(5ms)인 경우, 5ms 경계를 기준으로 추가적인 SSB 시간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를 항상 10ms(radio frame)으로 설정하고, 5ms 경계를 기준으로 새로운 SSB 시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PBCH 페이로드 또는 PBCH DMRS에 새롭게 설정한 하프 프레임에 대한 시간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PBCH 페이로드 또는 PBCH DMRS를 복호화하여 하프 프레임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의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 위치 중에서 수신한 SSB 시간 위치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의 경우에는 SSB 측정 타이밍 윈도우를 항상 10ms로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단말 관점 실시예 2
또 다른 일 예로, PSS/SSS, PBCH DMRS 시퀀스 또는 PBCH/PBCH DMRS mapping 순서를 통해서 하나의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 위치 중에서 수신한 SSB 시간 위치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L=4 인 경우, 첫 번째 전송되었던 SSB#0 내지 SSB#3과 두 번째 전송되었던 SSB#0 내지 SSB#3 중 어느 하나에 첫 번째 전송 및 두 번째 전송을 구별하는 SSB 인덱스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추가 인덱스를 통해 첫 번째 전송과 두 번째 전송을 구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하나의 SSB burst set 주기 내의 총 SSB 인덱스(L)를 증가시켜서 SSB 시간 위치를 구별할 수 있다. 즉, L이 4에서 8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L이 8인 경우에는 16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L이 64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PSS/SSS 또는 PBCH DMRS 시퀀스가 상술한 위치 정보를 고려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블라인드 복호 시도를 통해서 어떤 슬롯의 후보 SSB 인덱스 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PSS/SSS, PBCH payload 또는 PBCH DMRS mapping 대해서 서로 다른 슬롯 내에 존재하는 같은 SSB 인덱스에 대한 자원 할당 순서를 다르게 하여 단말이 블라인드 복호 시도를 통해서 어떤 슬롯의 후보 SSB 인덱스 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서 SSB#0 인덱스에 대응하는 심볼 위치는 slot k 또는 slot k+2일 수 있다. 이때, Slot k에 해당하는 SSB#0의 자원할당은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slot k+2의 자원할당은 그 반대로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주파수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할당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 관점 실시예 3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PBCH 페이로드에 상술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PBCH 페이로드 정보를 통해 단말에게 직접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PBCH 복호를 통해서 하나의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 위치 중에서 수신한 SSB 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개시에 따라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지국은 SSB 전송 관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S1310) 이때, SSB 전송 관련 정보는 전송 후보 SSB 수, 실제 전송 SSB 수, SSB burst set 전송 주기, 실제 전송 SSB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초기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SSB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사전에 수신할 수 없는바, 단말이 운용하는 주파수 밴드(e.g. 3GHz 이하, 3GHz-6GHz, 6GHz 이상)에 기초하여 총 전송 후보 SSB 수(L), SSB burst set 전송 주기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미리 결정되어 가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은 상술한 가정에 기초하여 전송 후보 SSB 수(L), SSB burst set 전송 주기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술한 가정에 기초하여 실제 전송하는 SSB 수 및 실제 전송하는 SSB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기지국이 실제 전송하는 SSB 수는 전송 후보 SSB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기지국이 실제 전송하는 SSB 수는 전송 후보 SSB 수와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개시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SB burst set 전송 주기를 초기 접속 시도시에는 20ms 라고 가정하고 SSB 수신을 수행하지만 이후 기지국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재설정 가능하다. 즉, 기지국은 전송 후보 SSB 수, 실제 전송 SSB 수, SSB burst set 전송 주기, 실제 전송 SSB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를 결정하고,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결정된 SSB 전송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SSB 전송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S1320)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SSB 전송 구간은 미리 정해진 SSB 전송 구간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제 1 SSB 전송 구간 동안 전송하는 모든 SSB들을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SB가 대응되는 위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같을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LBT에 기초하여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30)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LBT는 short-LBT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LBT가 long-LBT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short-LBT인 경우, 기지국은 25us동안 채널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채널이 점유되지 않았으면 1ms동안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또한, long-LBT의 경우, 기지국은 더 긴 시간 동안 채널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채널이 점유되지 않았다면 1ms보다 긴 시간동안 채널을 점유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40) 이때, 채널이 busy한 상태이면, 기지국은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점유된 채널에 대응되는 SSB에 대한 전송을 실패할 수 있다.(S1350) 즉, 채널이 다른 인접 기지국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어 있으면, 기지국은 다른 인접 기지국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점유된 채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SSB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SSB들은 SSB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각각의 대응 위치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LBT에 기초하여 채널이 busy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대응되는 시간 위치에서는 SSB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즉, 특정 SSB에 대한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제 1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 실패한 SSB를 제 2 SSB 전송 구간에서 재전송할 수 있다. (S1360 )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SSB 전송 구간은 추가적인 SSB 전송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SSB를 비면허 대역에서 LBT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SSB 전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제 2 SSB 전송 구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전송 실패한 SSB를 제 2 SSB 전송 구간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술한 바에서 채널이 점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채널을 제 1 시간 동안 점유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S1370)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short-LBT에 기초하여 채널 점유를 확인하는 경우, 제 1 시간은 1ms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일정 시간 동안 채널을 점유하고, 점유된 시간 동안 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1300)는 프로세서(1410), 안테나부(1420), 트랜시버(1430), 메모리(14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411) 및 물리계층 처리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411)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412)는 물리(physical,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14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4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4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40)는 프로세서(14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14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1400)의 프로세서(14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1450)는 프로세서(1460), 안테나부(1470), 트랜시버(1480), 메모리(14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461) 및 물리계층 처리부(1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46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462)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4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47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48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90)는 프로세서(146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4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450)의 프로세서(146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400) 및 단말 장치(14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기지국 : 1400 프로세서 : 1410
상위 계층 처리부 : 1411 물리 계층 처리부 : 1412
안테나부 : 1420 트랜시버 : 1430
메모리 : 1440 단말 : 1450
프로세서 : 1460 상위 계층 처리부 : 1461
물리 계층 처리부 : 1462 안테나부 : 1470
트랜시버 : 1480 메모리 : 1490
상위 계층 처리부 : 1411 물리 계층 처리부 : 1412
안테나부 : 1420 트랜시버 : 1430
메모리 : 1440 단말 : 1450
프로세서 : 1460 상위 계층 처리부 : 1461
물리 계층 처리부 : 1462 안테나부 : 1470
트랜시버 : 1480 메모리 : 1490
Claims (10)
- 기지국이 동기화 신호/물리적 방송 채널 블록(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 Block, SSB)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SSB 전송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SSB 전송 관련 정보는 전송 후보 SSB 수, 실제 전송 SSB 수, SSB 버스트 셋 전송 주기, 실제 전송 SSB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SSB 전송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에서 LBT(Listen Before Talk) 절차에 기초하여 채널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SSB 그룹 및 제 2 SSB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SSB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SSB 그룹은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 중 상기 LBT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점유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SSB 그룹은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 중 상기 제 1 SSB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SSB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에 대한 전송을 위해 추가 SSB 전송 구간이 설정되고,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 각각에 대한 전송 SSB 인덱스들은 상기 추가 SSB 전송 구간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LBT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일정 구간동안 채널을 점유하고,
상기 점유한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전송하는, 전송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SSB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SSB 전송 관련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SSB 전송 관련 정보는 전송 후보 SSB 수, 실제 전송 SSB 수, SSB 버스트 셋 전송 주기, 실제 전송 SSB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SSB 전송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결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에서 LBT 절차에 기초하여 채널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SSB 그룹 및 제 2 SSB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SSB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하되,
상기 제 1 SSB 그룹은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 중 상기 LBT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점유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SSB 그룹은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 중 제 1 SSB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SSB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에 대한 전송을 위해 추가 SSB 전송 구간이 설정되고,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에 각각에 대한 전송 SSB 인덱스들은 상기 추가 SSB 전송 구간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기지국.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LBT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일정 구간동안 채널을 점유하고,
상기 점유한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SSB 전송 구간 내의 상기 기 설정된 전송 위치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B들을 전송하는, 기지국.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526A KR102488493B1 (ko) | 2018-04-06 | 2018-04-06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526A KR102488493B1 (ko) | 2018-04-06 | 2018-04-06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7253A KR20190117253A (ko) | 2019-10-16 |
KR102488493B1 true KR102488493B1 (ko) | 2023-01-13 |
Family
ID=6842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0526A KR102488493B1 (ko) | 2018-04-06 | 2018-04-06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84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15675A1 (en) * | 2021-04-01 | 2024-02-07 | Nokia Technologies Oy |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2113B1 (en) * | 2015-07-10 | 2022-11-0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iscovery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
US11265830B2 (en) * | 2016-08-11 | 2022-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trong and reliable 5G new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
-
2018
- 2018-04-06 KR KR1020180040526A patent/KR102488493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3GPP R1-1705052* |
3GPP R1-1801658 |
3GPP R1-1802526* |
3GPP R1-180264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7253A (ko) | 2019-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58520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選択しpscch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 |
US11889476B2 (en) | Method whereby terminal transmits data to another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361790B1 (ko) | NR 비면허 스펙트럼의 광대역 동작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 |
KR10222793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10167036B (zh) | 无线通信考虑波束故障恢复的监听控制资源的方法和设备 | |
KR102478435B1 (ko) | NR(New Radio) 시스템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 |
CN115765949B (zh) | 非授权带中的信道接入的方法、装置和系统 | |
KR102145743B1 (ko) | 시스템 정보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시스템 정보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 |
JP6871916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v2x端末の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装置 | |
JP6526207B2 (ja) | 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使用者器機、並びに上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 |
RU2634712C1 (ru) | Способ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роцедуры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 |
US11122542B2 (en) |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
US12200513B2 (en) | Beam group specific 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MAC-CE) based beam failure recovery (BFR) requests | |
WO2014157911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14631282B (zh) | 用于优先级降低的协议数据单元的自动发送的系统和方法 | |
CN114451057B (zh) | 用于两步随机接入信道(rach)混合自动重传请求(harq)的时延减少的系统和方法 | |
KR20190117254A (ko)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90129660A (ko)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488493B1 (ko)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US20240324009A1 (en) |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KR20200025437A (ko) |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2024002052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063016A (ko) | 비면허 대역 상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022852A (ko) | 비면허 대역 상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096409A (ko) | 비면허 대역 상에서 psfch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