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339A -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339A
KR20190098339A KR1020180018147A KR20180018147A KR20190098339A KR 20190098339 A KR20190098339 A KR 20190098339A KR 1020180018147 A KR1020180018147 A KR 1020180018147A KR 20180018147 A KR20180018147 A KR 20180018147A KR 20190098339 A KR20190098339 A KR 2019009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ressure sensor
user input
pressur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803B1 (ko
Inventor
박정훈
김현석
이동엽
이용승
임호영
강승구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803B1/ko
Priority to US16/968,728 priority patent/US11487377B2/en
Priority to PCT/KR2019/001813 priority patent/WO2019160348A1/ko
Priority to EP19754681.5A priority patent/EP372293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패널의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N ELECTRONIC DEVICE OBTAINING A USER INPUT IN THE WATER USING A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N ELECTRONIC DEVICE OBTAINING A USER INPUT IN THE WATER USING A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IT(information technology)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들은 터치 패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면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방수 또는 방진 기능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방수 또는 방진 기능을 통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더 폭 넓은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한 전자 장치의 제어는 제한적일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수분은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므로 수분과 접하는 디스플레이의 모든 위치에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 용량의 변화와 상기 수분으로 인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구별하기 곤란할 수 있다. 즉, 수중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터치한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정확히 획득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들을 제공하는 것도 곤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패널의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압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압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압력 영역 및 상기 제2 압력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 영역에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제2 압력 영역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수중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중 상태에서도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사용성은 확장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상태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상태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가 수중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내부로 수분 입자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중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가 수중 상태에 있더라도 지정된 음원 또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다른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 또는 셀룰러 통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100)의 일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의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면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에서 인식하는 정전 용량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기초하여 변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터치 패널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은 수분 입자 때문에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터치 패널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않도록 상기 터치 패널을 비활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터치 패널의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은 수분 입자와는 무관하게 감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 입력의 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영역(10)은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은 예컨대 터치 패널은 배치되고 압력 센서는 배치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2)은 예컨대, 터치 패널 및 압력 센서가 모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수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터치 패널은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에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을 획득될 수 있고, 압력 센서는 제2 영역(12)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을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압력 센서에 의해 제2 영역(12)에서만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영역(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의 위치 또는 넓이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제2 영역(12)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2 영역(12)의 위치 및 넓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전자 장치(100)의 상부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압력 센서(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40)가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10)는 액체 감지 센서 또는 수압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감지 센서는 수분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함으로써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수압 감지 센서는 전자 장치(100) 외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상기 감지 결과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혹은 아이템(item)(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위젯, 또는 심볼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0)의 환경에 기초하여 지정된 UX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제1 UX를 표시할 수 있고,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제1 UX와 구별되는 제2 UX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중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조작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UX는 상기 제1 UX에 비해 단순하고 간소화된 디자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UX에서 표현되는 실행 아이콘들은 제1 UX에서 표현되는 실행 아이콘들에 비해 크기가 클 수 있고 제2 UX에서 상기 실행 아이콘들 사이의 간격은 제1 UX에서의 간격에 비해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패널(121)(또는 터치 센서)을 포함하거나 상기 터치 패널(121)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는 터치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 혹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로도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21)은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121)은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은 상기 감지 결과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21)은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에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은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와 수분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구별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면 터치 패널(121)은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패널(121)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21)은 전도성 물질이 디스플레이(120) 표면에 접촉하면 상기 전도성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인 경우 수분 입자가 접촉하는 영역 전체에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 영역 중 광역에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압력 센서(130)는 터치 패널(121)의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외부 물체(예: 사용자의 손가락, 전자 펜)의 압력(혹은,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130)는 도 1에 도시된 제2 영역(12)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3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130)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만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만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복수의 압력 센서(130) 중 어느 압력 센서에서 지정된 세기의 압력이 감지되었는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가 아니면 터치 패널(121)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므로, 압력 센서(130)는 사용자 입력의 압력만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의 위치는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10), 터치 패널(121), 및/또는 압력 센서(130)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20)가 지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20)(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10) 또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터치 패널(121)을 통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획득하고, 압력 센서(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10) 또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라고 판단하면 압력 센서(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 및 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터치 패널(121)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지 않고 압력 센서(13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터치 패널(121)을 비활성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압력 센서(130)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세기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상기 획득된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상기 획득된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획득된 압력 및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정된 세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의 압력이 제1 세기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의 압력이 제2 세기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의 위치는 압력 센서(130)를 통해 획득되므로 사용자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1 세기는 상기 제2 세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에 서로 상이한 UX가 표시되도록 지정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더 간소화된 UX가 표시되도록 지정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압력 센서(3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300)는 제1 압력 센서(300a), 제2 압력 센서(300b), 및 제3 압력 센서(30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압력 센서(300a), 제2 압력 센서(300b), 및 제3 압력 센서(300c)는 각각 제1 채널(300a), 제2 채널(300b), 및 제3 채널(300c)로 참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300)는 제1 전극 층(310a, 310b, 310c), 제2 전극 층(320a, 320b, 320c), 및 탄성체 층(330a, 330b, 330c)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층(330a, 330b, 330c)은 제1 전극 층(310a, 310b, 310c) 및 제2 전극 층(320a, 320b, 32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극 층(310a, 310b, 310c), 제2 전극 층(320a, 320b, 320c), 및 탄성체 층(330a, 330b, 330c)은 각각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30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화하는 제1 전극 층(310a, 310b, 310c) 및 제2 전극 층(320a, 320b, 320c) 사이의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3)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300)의 적어도 일부 채널, 예컨대, 제1 채널(300a)에 지정된 세기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전극(310a) 및 제2 전극(320a)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310a) 및 제2 전극(320a) 사이의 정전 용량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정전 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널(300a)에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압력이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채널(300a), 제2 채널(300b), 및 제3 채널(300c)은 사용자 입력(3)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각각 지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3)이 제1 채널(300a) 중 제2 채널(300b)과 인접한 위치에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채널(300a) 및 제2 채널(300b)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분리되어있지 않으면 제1 채널(300a)의 제1 전극(310a)이 눌려지는 경우 제2 채널(300b)의 제1 전극(310b)이 같이 눌려질 수 있다. 그러나,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300a) 및 제2 채널(300b)이 이격되어 배치되면 제1 채널(300a)의 제1 전극(310a)이 눌려지더라도 제2 채널(300b)의 제1 전극(310b)이 같이 눌려지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3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3)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300)의 각 채널 사이에는 상기 채널들을 구분하는 지지부(340)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부(340)는 사용자 입력(3)이 각각의 채널의 경계가 아닌 어느 하나의 채널에 정확히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3)이 제1 채널(300a) 및 제2 채널(300b)의 경계에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부(340)는 제1 채널(300a)의 제1 전극(310a) 및 제2 채널(300b)의 제1 전극(310b)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3)은 제1 채널(300a) 및 제2 채널(300b) 중 어느 채널에서도 감지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채널(300a)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제2 채널(300b)에 대응하는 영역에 다시 사용자 입력(3)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제1 그래프(350)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3)이 제1 채널(300a) 및 제2 채널(300b)의 경계에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3)으로 압력 센서(300)에 가해지는 신호(352)는 제1 채널(300a) 및 제2 채널(300b)에서 모두 임계 값(351)보다 작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조를 통해, 압력 센서(300)는 사용자 입력(3)이 어느 하나의 채널에 정확히 입력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입력(3)을 인식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300)는 사용자 입력(3)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압력 센서(4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400)는 제1 압력 센서(400a), 제2 압력 센서(400b), 및 제3 압력 센서(40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압력 센서(400a), 제2 압력 센서(400b), 및 제3 압력 센서(400c)는 각각 제1 채널(400a), 제2 채널(400b), 및 제3 채널(400c)로 참조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설명에 있어서, 도 3a 내지 도 3c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채널(400a, 400b, 400c)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고 접촉되는 제1 전극들(410a, 410b, 410c), 분리되고 이격되는 탄성체들(430a, 430b, 430c), 및 통합되어 형성되는 제2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채널(400a, 400b, 400c)의 제1 전극들(410a, 410b, 410c)은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더라도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 어느 하나의 채널에 사용자 입력(4)이 인가되더라도 이웃하는 채널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4)이 제1 채널(400a) 중 제2 채널(400b)과 인접한 영역에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채널(400a)의 제1 전극(410a)이 눌려지더라도 제2 채널(400b)의 제1 전극(410b)은 눌려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4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4)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채널(400a, 400b, 400c)의 탄성체들(430a, 430b, 430c)은 분리되고 이격될 수 있다. 각 채널(400a, 400b, 400c)의 탄성체들(430a, 430b, 430c)이 분리되고 이격되지 않으면 사용자 입력(4)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채널의 탄성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400)는 각 채널의 탄성체들(430a, 430b, 4#0c)이 분리되고 이격됨으로써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4)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채널의 탄성체들(430a, 430b, 430c) 사이에는 지지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40)는 사용자 입력(4)이 각각의 채널(400a, 400b, 400c)의 경계가 아닌 어느 하나의 채널에 정확히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4)이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경계에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부(440)는 제1 채널(400a)의 제1 전극(410a) 및 제2 채널(400b)의 제1 전극(410b)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4)은 제1 채널(400a) 및 제2 채널(400b) 중 어느 채널에서도 감지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채널(400a)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제2 채널(400b)에 대응하는 영역에 다시 사용자 입력(4)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제1 그래프(450)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4)이 제1 채널(400a) 및 제2 채널(400b)의 경계에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4)으로 압력 센서(400)에 가해지는 신호(452)는 제1 채널(400a) 및 제2 채널(400b)에서 모두 임계 값(451)보다 작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채널(400a, 400b, 400c)의 제2 전극(420)은 사용자 입력(4)에 의해 눌려지지 않기 때문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채널에 통합되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조를 통해, 압력 센서(400)는 사용자 입력(4)이 어느 하나의 채널에 정확히 입력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입력(4)을 인식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400)는 사용자 입력(4)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압력 센서(500)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로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많은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50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걸쳐서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500)가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각 채널(500a, 500b, 500c, 500d, 500e, 500f)의 구조는 도 3a 및 도 3b 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500a, 500b, 500c, 500d, 500e, 500f)은 서로 분리되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각 채널(500a, 500b, 500c, 500d, 500e, 500f)의 제1 전극들은 분리되고 접촉하고, 각 채널의 탄성체들은 분리되고 이격되며, 각 채널의 제2 전극은 통합되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 센서(500)는 사용자 입력이 어느 하나의 채널에 정확히 입력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500)는 사용자 입력의 압력뿐 아니라 위치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와 구별되는 UX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화면(10a_1)이 출력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화면(10a_2)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0a_1, 10a_2)은 제1 영역(11a) 및 제2 영역(1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1a)은 압력 센서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12a)은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a)은 복수의 압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12a)은 제1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제1 압력 영역(130a_1), 제2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제2 압력 영역(130a_2), 및 제3 내지 제5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제3 내지 제5 압력 영역(130a_3, 130a_4, 130a_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제1 내지 제5 압력 영역(130a_1, 130a_2, 130a_3, 130a_4, 130a_5)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61a_1)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61a_1)는 제1 영역(11a) 및 제2 영역(12a)에 걸쳐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영역(11a)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은 무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력은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제2 영역(12a)에서만 감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제2 영역(12a)에 수신되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위치 및 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영역(11a)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행 화면은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간소화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1a)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6a)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인터(6a)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나타내는 커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포인터(6a)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특정 위치를 지시하는 화살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살표 형태는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마우스 커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제2 영역(12a)에는 포인터(6a)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62a, 63a, 64a, 65a, 66a)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62a, 63a, 64a, 65a, 66a) 각각은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압력 영역(130a_1)에는 제2 인터페이스(62a)가 출력될 수 있고, 제2 압력 영역(130a_2)에는 제3 인터페이스(63a)가 출력될 수 있다. 제3 압력 영역 내지 제5 압력 영역(130a_3, 130a_4, 130a_5)에는 각각 제4 인터페이스(64a) 내지 제5 인터페이스(66a)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제1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6a)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제2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6a)의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제3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6a)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제4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6a)의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제5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포인터(6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와 구별되는 UX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화면(10b_1)이 출력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화면(10b_2)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b의 설명에 있어서 도 6a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영역(11b)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행 화면은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간소화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제2 영역(12b)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62b, 63b, 64b, 65b)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62b, 63b, 64b, 65b)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실행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인터페이스(62b)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아이콘일 수 있고, 제3 인터페이스(63b)는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아이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4 인터페이스(64b)는 이미지 파일을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일 수 있고, 제5 인터페이스(65b)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아이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62b, 63b, 64b, 65b)는 도 6b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전에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62b, 63b, 64b, 65b)를 구성하는 실행 아이콘들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는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700) 내의 전자 장치(701)의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700)에서 전자 장치(7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워크(7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7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7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1)는 서버(708)를 통하여 전자 장치(7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1)는 프로세서(720)(예: 도 2의 프로세서(140)), 메모리(730), 입력 장치(750), 음향 출력 장치(755), 표시 장치(760)(예: 도 2의 디스플레이(120)), 오디오 모듈(770), 센서 모듈(776)(예: 도 2의 센서(110)), 인터페이스(777), 햅틱 모듈(779), 카메라 모듈(780), 전력 관리 모듈(788), 배터리(789), 통신 모듈(790), 가입자 식별 모듈(796), 또는 안테나 모듈(7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7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760) 또는 카메라 모듈(7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7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7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7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720)에 연결된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7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776) 또는 통신 모듈(7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7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7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7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720)는 메인 프로세서(7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7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723)은 메인 프로세서(7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723)는 메인 프로세서(7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7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7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7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7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721)와 함께, 전자 장치(7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760), 센서 모듈(776), 또는 통신 모듈(7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7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780) 또는 통신 모듈(7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720) 또는 센서모듈(7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7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휘발성 메모리(7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7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740)은 메모리(7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742), 미들 웨어(744) 또는 어플리케이션(7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750)는, 전자 장치(7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7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7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7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7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7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7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760)는 전자 장치(7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7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7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예: 도 2의 터치 패널(121)),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도 2의 압력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7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770)은, 입력 장치(7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755), 또는 전자 장치(7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776)은 전자 장치(7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7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777)는 전자 장치(7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7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7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7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7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7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7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7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788)은 전자 장치(7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789)는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7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90)은 전자 장치(7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790)은 프로세서(7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790)은 무선 통신 모듈(7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7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7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7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792)은 가입자 식별 모듈(7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798) 또는 제2 네트워크(7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7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7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7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 (798) 또는 제2 네트워크 (7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7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7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input and output),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799)에 연결된 서버(708)를 통해서 전자 장치(701)와 외부의 전자 장치(7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702, 704) 각각은 전자 장치(7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702, 704, 또는 7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7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7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7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7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00))가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방법은 동작 801 내지 동작 8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801 내지 동작 807은 전자 장치 또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40))에 의한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는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예컨대,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동작 803을 수행할 수 있고, 수중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801을 반복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전자 장치는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지정된 세기보다 큰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압력이 지정된 세기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위치가 지정된 위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00))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동작 901 내지 동작 9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901 내지 동작 905는 전자 장치 또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40))에 의한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압력 영역 및 제2 압력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901은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전자 장치는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예컨대,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외부 압력이 지정된 수준 이상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 영역 중 광역에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최대, (예를 들어, 지정된 변화량을 초과)인 것으로 감지하면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905를 수행할 수 있고,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901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압력 영역에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압력 영역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전자 장치는 제1 인터페이스와 구별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이면 전자 장치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제1 압력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제2 압력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수중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중 상태에서도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사용성은 확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 2의 센서(110)), 터치 패널(예: 도 2의 터치 패널(12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20)),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패널의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예: 도 2의 압력 센서(13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2의 프로세서(1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 패널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cquiring) 상기 터치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UX(user experience)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UX와 상이한 제2 UX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세기보다 크면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압력이 제1 세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압력이 제2 세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 세기는 상기 제2 세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 센서, 제3 압력 센서, 및 제4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인터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4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지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예: 도 3a의 지지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전극 층(예: 도 3a의 제1 전극 층(310a)), 상기 제1 전극 층과 평행한 제2 전극 층(예: 도 3a의 제2 전극 층(320a)), 및 상기 제1 전극 층과 상기 제2 전극 층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 층(예: 도 3a의 탄성체 층(330a))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중 제1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중 제2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은 지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액체 감지 센서 또는 수압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 2의 센서(110)),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20))의 제1 압력 영역(예: 도 6a의 제1 압력 영역(130a_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1 압력 센서(예: 도 2의 압력 센서(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압력 영역(예: 도 6a의 제2 압력 영역(130a_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 센서(예: 도 2의 압력 센서(130)), 및 프로세서(도 2의 프로세서(14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압력 영역 및 상기 제2 압력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 영역에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제2 압력 영역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한 센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터치 패널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cquiring) 상기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UX(user experience)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UX와 상이한 제2 UX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7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736) 또는 외장 메모리(7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7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7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7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패널의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 패널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cquiring) 상기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UX(user experience)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UX와 상이한 제2 UX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압력의 세기가 지정된 세기보다 크면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압력이 제1 세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압력이 제2 세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 세기는 상기 제2 세기보다 큰,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 센서, 제3 압력 센서, 및 제4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인터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4 압력 센서에 대응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지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1 전극 층, 상기 제1 전극 층과 평행한 제2 전극 층, 및 상기 제1 전극 층과 상기 제2 전극 층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중 제1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중 제2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은 지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탄성체 층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액체 감지 센서 또는 수압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수중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압력 및 위치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압력 및 상기 획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터치 패널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획득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cquiring) 상기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지 않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UX(user experience)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로 감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UX와 상이한 제2 UX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디스플레이의 제1 압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압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압력 영역 및 상기 제2 압력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 영역에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 상기 제2 압력 영역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한 센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수중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80018147A 2018-02-14 2018-02-14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4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147A KR102448803B1 (ko) 2018-02-14 2018-02-14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6/968,728 US11487377B2 (en) 2018-02-14 2019-02-14 Electronic device acquiring user input when in submerged state by using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9/001813 WO2019160348A1 (ko) 2018-02-14 2019-02-14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EP19754681.5A EP3722931B1 (en) 2018-02-14 2019-02-14 Electronic device acquiring user input when in submerged state by using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147A KR102448803B1 (ko) 2018-02-14 2018-02-14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339A true KR20190098339A (ko) 2019-08-22
KR102448803B1 KR102448803B1 (ko) 2022-09-29

Family

ID=6761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147A KR102448803B1 (ko) 2018-02-14 2018-02-14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7377B2 (ko)
EP (1) EP3722931B1 (ko)
KR (1) KR102448803B1 (ko)
WO (1) WO2019160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0967A1 (en) * 2020-02-25 2021-09-02 Peratech Holdco Ltd Pressure sensor
US11269453B1 (en) * 2020-08-17 2022-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iled user-interface resolution
US20230099369A1 (en) * 2021-09-24 2023-03-30 Apple Inc. Architecture for differential drive and sense for touch sensor panel
CN114138133A (zh) * 2021-11-30 2022-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响应功能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18A (ko) * 2007-08-16 200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US20160092025A1 (en) * 2014-09-26 2016-03-31 Kobo Inc.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splash mode operation and transition thereto
WO2016204568A1 (ko) * 2015-06-18 2016-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70135562A (ko) * 2016-05-31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획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5885B2 (en) * 2008-10-17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12027701A (ja) 2010-07-23 2012-02-09 Sony Corp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JP5373134B2 (ja) 2012-03-05 2013-12-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タッチパネル構造及び位置検知方式選択手法
CN102724335B (zh) 2012-04-16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防水装置
JP5958215B2 (ja) 2012-09-12 2016-07-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タッチ座標決定方法及びタッチ座標決定プログラム
EP2821897B1 (en) 2013-07-04 2019-08-21 Sony Corporation Finger detection on touch screens for mobile devices
JP6397754B2 (ja) * 2014-12-25 2018-09-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KR20160149982A (ko) * 2015-06-18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05807873B (zh) 2016-03-08 2019-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温度控制方法及装置
KR102561736B1 (ko) * 2016-06-01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지문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102553573B1 (ko) * 2016-07-22 2023-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KR102535737B1 (ko) 2016-08-03 202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35056B1 (ko) 2016-08-03 2023-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KR102628240B1 (ko) * 2016-09-07 2024-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33049B1 (ko) 2017-06-23 2018-12-27 주식회사 하이딥 카메라의 수중 조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18A (ko) * 2007-08-16 200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US20160092025A1 (en) * 2014-09-26 2016-03-31 Kobo Inc.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splash mode operation and transition thereto
WO2016204568A1 (ko) * 2015-06-18 2016-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70135562A (ko) * 2016-05-31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획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803B1 (ko) 2022-09-29
EP3722931A1 (en) 2020-10-14
EP3722931A4 (en) 2020-12-09
EP3722931B1 (en) 2023-08-30
US11487377B2 (en) 2022-11-01
US20210004114A1 (en) 2021-01-07
WO2019160348A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6531B1 (ko) 지문 인식을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210034210A1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EP3722931B1 (en) Electronic device acquiring user input when in submerged state by using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3620901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ltrasonic in-display fingerprint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2541B1 (ko) 생체 센서의 전극들 중에서 선택된 전극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068150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ressure value of forc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544477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보호 케이스 및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40597A (ko) 터치 입력의 종류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 조건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93003A (ko) 지문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47613A (ko) 관성 센서를 이용한 착용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51375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74210B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102713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00022574A (ko)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90107976A (ko) 복수의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지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93561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102569170B1 (ko)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687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125244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14729B1 (ko)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50652A (ko)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KR20210123156A (ko) 전자 장치 및 비접촉 제스처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운용 방법
KR20210128797A (ko)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