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652A -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652A
KR20210050652A KR1020190134981A KR20190134981A KR20210050652A KR 20210050652 A KR20210050652 A KR 20210050652A KR 1020190134981 A KR1020190134981 A KR 1020190134981A KR 20190134981 A KR20190134981 A KR 20190134981A KR 20210050652 A KR20210050652 A KR 2021005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bile device
fingerprint
proces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현
김두현
Original Assignee
에이비엑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엑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비엑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652A/ko
Publication of KR2021005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의 위에서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과 겹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핑거프린트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FINGERPRINT RECOGNITION OF MOBILE DEVICE}
다양한 실시예들은 핑거프린트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유저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모바일 기기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모바일 기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도 다양한 생체 인식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생체 인식 기술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핑거프린트 인식 기술이다. 핑거프린트 인식을 통한 유저 인증은 보안성이 뛰어나며 인증 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에서는,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에서는, 드래깅 제스쳐 입력의 경우에 핑거프린트 이미지가 드래그 속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핑거프린트 인식의 오류/실패 또는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압력 프로파일 정보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핑거프린트 센서 활성화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모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압력 프로파일 정보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핑거프린트 이미지 변형을 보정함으로써 핑거프린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의 위에서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과 겹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핑거프린트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핑거프린트 등록 과정에서 핑거프린트 정보와 함께 등록된 압력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 터치 입력에 대응한 압력 프로파일을 추출 및 비교하는 과정을 통하여 핑거프린트 인증을 위한 핑거프린트 센서 활성화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모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핑거프린트 인증 과정에서 드래깅 제스쳐 입력에 대응한 핑거프린트 이미지를 획득할 경우, 핑거프린트 이미지의 변형 정도를 압력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하여 핑거프린트 이미지 변형을 보정함으로써, 핑거프린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압력 프로파일 정보와 맵핑된 핑거프린트 이미지 후보 그룹에 대해 우선적으로 핑거프린트 매칭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핑거프린트 인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모바일 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모바일 기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누름 감지 장치의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모바일 기기(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모바일 기기(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사운드 출력 장치(155), 디스플레이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기(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디스플레이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핑거프린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디스플레이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모바일 기기(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모바일 기기(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모바일 기기(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101)의 외부(예: 유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155)는 사운드 신호를 모바일 기기(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0)는 모바일 기기(101)의 외부(예: 유저)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사운드 출력 장치(155), 또는 모바일 기기(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모바일 기기(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유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쳐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모바일 기기(101)이 외부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101)가 외부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유저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모바일 기기(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모바일 기기(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모바일 기기(101)와 외부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2), 모바일 기기(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모바일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기기(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모바일 기기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101)와 외부의 모바일 기기(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2, 104) 각각은 모바일 기기(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모바일 기기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유저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모바일 기기(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모바일 기기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모바일 기기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모바일 기기(101)로 전달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60)(예: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모바일 기기 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2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핑거프린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핑거프린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핑거프린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모바일 기기(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유저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a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모바일 기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301)(예: 도 1의 모바일 기기(101))는, 하우징(303), 디스플레이(310)(예: 디스플레이 장치(160)), 디지타이저 패널(320), 압력 센서(330), 핑거프린트 센서(340), 배터리(350)(예: 배터리(189)), 회로 기판(360), 사운드 부품(367)(예: 사운드 출력 장치(155)), 무선 충전 회로 기판(371), 무선 충전 코일(373), 및/또는 후면 커버(3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3)은 전자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303)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313), 터치스크린 패널(317)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19)이 적층될 수 있다. 전면 커버(313)는 핑거프린트 센서(340)에 의한 핑거프린트 인식이 가능한 핑거프린트 센싱 영역(315) 및 핑거프린트 센서(340)에 의한 핑거프린트 인식이 가능하지 않은 비핑거프린트 센싱 영역(3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패널(317) 및 디스플레이 패널(319)의 적층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전면 커버(313)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313)는 유리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전면 커버(313), 디스플레이 패널(319) 및/또는 터치스크린 패널(31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지정된 화면 비율(예: 18.5:9(기본), 21:9 등)에 따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0)는 플로팅 모드(Floating Mode) 또는 분할 모드(Split Mode)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0)는 어플리케이션 영역 또는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제어 영역에 제어 오브젝트(예: 소프트 키)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0)는 와이옥타(Y-OCTA)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애드온 셀 타입(Add On Cell Type)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9)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전면 커버(313) 상의 유저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유저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전면 커버(313)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질 수 있고, 전면 커버(313)의 터치 입력에 의한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전기적인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전면 커버(313)와 동일한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 커버(313)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RX 전극과 TX 전극을 포함하여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정전 용량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방식 또는 광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RX 전극은 TX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열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RX 전극은 TX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열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TX 전극과 다른 층에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303)의 아래에는 후면 커버(38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커버(380)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80)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또는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330)는 디지타이저 패널(320)과 하우징(3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330)는 RX 전극과 TX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RX 전극은 TX 전극과 다른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RX 전극과 TX 전극 사이에는, 유전체가 배치될 수 있고, RX 전극과 TX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330)는 외부의 입력(예: 유저의 터치 입력)에 의해 RX 전극과 TX 전극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압력 센서(330)는 전면 커버(313)의 하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330)는 전면 커버(313)의 하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 커버(313)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330)는 홈 키(home key) 등 기능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디지타이저 패널(320)과 하우징(303)의 미드 플레이트(3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압력 센서(330)와 미드 플레이트(3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전면 커버(313)의 하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광학식 핑거프린트 센서일 수 있다.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디스플레이 패널(319)의 광원을 이용할 수 있고, 유저의 핑거프린트 접촉시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영역(area) 방식 및/또는 스와이프(swipe) 방식으로 핑거프린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영역 방식에서,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그 표면 위/아래에 배치된 핑거프린트 전체를 한번에 캡쳐할 수 있다. 스와이프 방식에서,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그 표면 위/아래에서 가로질러 이동하는 손가락(390)의 핑거프린트를 연속적으로 캡쳐함으로써 전체 핑거프린트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센서(340)는 디스플레이 패널(319)의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광원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360)은 하우징(30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360)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 등 다양한 전자 부품(363)이 실장될 수 있다. 회로 기판(360)은 하우징(303)에 스크류와 같은 결합 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회로 기판(360)은 하우징(3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의 그라운드로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360)은 그라운드로 활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 방사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급전부로 활용될 수 있다. 회로 기판(360)은 서브 회로 기판(3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360)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서브 회로 기판(3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회로 기판(365)은 사운드 부품(36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사운드 부품(367)은 서브 회로 기판(365)과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로 기판(36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차폐층(323)은 디지타이저 패널(3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19)의 그라운드(grou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폐층(323)은 접지를 통해 노이즈(noise) 신호를 흡수(absorption)할 수 있다. 차폐층(323)은 하우징(303)과 접지 연결되지 않도록 유전체를 개재하여 하우징(303)에 부착될 수 있다. 차폐층(323)은 구리 재질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안테나(307)는, 외부에 노출된 하우징(303)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안테나 구조체 또는 방사체로서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303)의 표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03)의 표면에는 분절부(305)가 형성될 수 있다. 분절부(305)는 유전체로 구성될 수 있고, 하우징(303)은 분절부(305)를 기준으로 양측의 두 부분들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된 일부분은 하우징 안테나(307)의 제1 방사체로서 활용되고, 분리된 다른 부분은 하우징 안테나(307)의 제2 방사체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안테나(307)는 역F형 안테나(Inverted F-Antenna)일 수 있다. 역F형 안테나는 하나의 피딩(feeding)과 하나의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안테나(307)는 접속 부재를 통해 회로 기판(360)에 배치된 무선 통신 모듈(예: 무선 통신 모듈(1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바일 기기(401)(예: 모바일 기기(101 또는 30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60)(예: 디스플레이(3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60)), 메모리(430)(예: 메모리(130)) 및/또는 제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60)는, 디스플레이(461)(예: 디스플레이(310)), 터치 센서(463)(예:터치 센서(251)) 및/또는 핑거프린트 센서(465)(예: 핑거프린트 센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463)는 압력 센서(예: 압력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 정보(433) 및/또는 압력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압력 정보(431)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압력 프로파일 추출부(423), 압력 프로파일 비교부(425), 핑거프린트 비교부(427), 인증부(429), 및/또는 프로세서(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 내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프로세서(421)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461)은 오브젝트(예: 그래픽 요소, 윈도우, 아이템, 버튼, 아이콘, 메뉴, 및/또는 메뉴 항목)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461)는 유저의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제스쳐 입력의 위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압력 프로파일 추출부(423)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463)는 유저의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제스쳐 입력의 압력 정보를 압력 프로파일 추출부(423)로 전달할 수 있다.
압력 프로파일 추출부(423)는, 터치 센서(463) 또는 디스플레이(461)로부터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로부터 압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압력 프로파일 비교부(425)는 압력 프로파일 추출부(423)로부터 수신한 압력 프로파일과, 메모리(430)에 저장된 압력 프로파일을 비교할 수 있다. 압력 프로파일 비교부(425)는 압력 프로파일들의 비교 결과를 프로세서(421)로 전달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비교부(427)는 핑거프린트 센서(465)로부터 핑거프린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핑거프린트 비교부(427)는 수신한 핑거프린트 정보와 메모리(430)에 저장된 핑거프린트 정보(433)를 비교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비교부(427)는 핑거프린트 정보들의 비교 결과를 인증부(429)로 전달할 수 있다.
인증부(429)는 핑거프린트 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근거한 인증 결과를 프로세서(421)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421)는, 압력 프로파일 비교부(425)로부터 수신한 압력 프로파일들의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면, 프로세서(421)는 디스플레이(461)를 통해 핑거프린트 센서(465)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1)는 센서 활성화 신호를 핑거프린트 센서(465)로 전달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센서(465)는 센서 활성화 신호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에서 핑거프린트 수신/인식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면, 프로세서(421)는 지정된 유저 인터페이스(예: 메시지, 창, 화면, 및/또는 지시자) 또는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면, 프로세서(421)는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해 디스플레이 밝기를 확보하기 위한 HBM(High Bright Mode) 신호를 디스플레이(461)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61)는 HBM(High Bright Mode) 신호에 따라 화면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 아니면, 프로세서(421)는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기능은, 지정된 유저 인터페이스(예: 메시지, 창, 화면, 및/또는 지시자) 또는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429)는 핑거프린트 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근거한 인증 결과를 프로세서(421)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421)는, 인증부(429)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핑거프린트 인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이 성공하면, 프로세서(421)는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기능은, 언락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개인 인증 기능,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변경 기능 및/또는 모드 변경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이 실패하면, 프로세서(421)는 제3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3 기능은, 유저에게 인증 실패를 통지하는 기능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지정된 유저 인터페이스(예: 메시지, 창, 화면, 및/또는 지시자) 또는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401)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61), 상기 전면의 위에서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461)의 일 영역과 겹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461) 및 상기 후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핑거프린트 센서(465), 상기 디스플레이(461) 및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421), 및 상기 프로세서(421)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4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430)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421)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461) 상에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461)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1)가,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1)가, 손가락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461)에 대해 작용되는 압력, 상기 손가락에 의한 터칭 영역 대 상기 터치에 의한 유효 압력 영역의 비, 상기 손가락에 의한 상기 터치의 압력 또는 영역의 증가 비율, 또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의한 좌표 이동에 대한 압력 변화 비율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상기 결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1)가,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를 활성화하지 않은 동안에,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가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461)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0)는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과 관련된 압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1)가,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상기 메모리(430)에 저장된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465)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유저를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1)가,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안내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1)가, 복수의 방향들에 대한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안내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500)이다. 작동 방법은 510 내지 590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방법의 각 단계/동작은,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모바일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 또는 모바일 기기의 제어부(예: 제어부(42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510 내지 590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510 동작에서,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오브젝트(예: 그래픽 요소, 윈도우, 아이템, 버튼, 아이콘, 메뉴, 및/또는 메뉴 항목)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520 동작에서,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310)), 터치스크린 패널(317) 및/또는 터치 센서(463)(예: 터치 센서(251) 또는 압력 센서(330))를 이용하여 유저의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스쳐 입력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오브젝트와 관련될 수 있다.
530 동작에서,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핑거프린트 센서(예: 핑거프린트 센서(340 또는 465))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제스쳐 입력 또는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에 의한 압력 정보(또는 압력 프로파일)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또는 지정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에 등록된) 압력 정보(또는 압력 프로파일)와 대응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면 550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 아니면 5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손가락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대해 작용되는 압력, 손가락에 의한 터칭 영역 대 터치에 의한 유효 압력 영역의 비, 손가락에 의한 터치의 압력 또는 영역의 증가 비율, 또는 제스쳐 입력에 의한 좌표 이동에 대한 압력 변화 비율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540 동작에서,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 아니면,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기능은, 지정된 유저 인터페이스(예: 메시지, 창, 화면, 및/또는 지시자) 또는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550 동작에서,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면,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핑거프린트 센서는 정상 모드 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었던 자신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활성화 상태에서, 핑거프린트 센서는 파워/센서 온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핑거프린트 센서는 파워/센서 오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외부 주변광(또는 태양광)에 의한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해, 핑거프린트 센서의 이미지 센서의 노출 시간을 지정된 임계 시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가 특정 주파수의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60 동작에서,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핑거프린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핑거프린트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유저의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를 핑거프린트 인증을 수행하기 이전(또는 핑거프린트 센서의 활성화 이전)에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획득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의 일치 정도/정합 정도/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일치 정도/정합 정도/유사도는 미리 저장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의 특징 값/데이터/패턴/이미지와 일치하는 획득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의 특징 값/데이터/패턴/이미지의 개수, 또는 미리 저장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데이터의 특징 값/데이터/패턴/이미지의 전체 개수에 대한 일치하는 개수의 비율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등록된 압력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빠른 유저 핑거프린트 인증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한 압력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핑거프린트 이미지들로부터 대조 핑거프린트 이미지 후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압력 프로파일과 맵핑(Mapping)된 핑거프린트 이미지 후보 그룹에 대해 우선적으로 핑거프린트 매칭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핑거프린트 인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570 동작에서, 모바일 기기는 핑거프린트 인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핑거프린트 인증이 성공하면 590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핑거프린트 인증이 실패하면 58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검출된 핑거프린트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핑거프린트 이미지 데이터의 일치/유사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핑거프린트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일치/유사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핑거프린트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580 동작에서, 핑거프린트 인증이 실패하면,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제3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3 기능은, 유저에게 인증 실패를 통지하는 기능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는 지정된 유저 인터페이스(또는, 메시지, 창, 화면, 지시자) 또는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590 동작에서, 핑거프린트 인증이 성공하면, 모바일 기기(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기능은, 언락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개인 인증 기능,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변경 기능 및/또는 모드 변경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은 유저 설정, 자동 설정, 환경 설정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핑거프린트 인증과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과 핑거프린트 인증의 연관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언락 기능은 핑거프린트 입력을 통해 특정 기능/그래픽 요소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 또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기능, 또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예: 전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연락처로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인증 기능은 외부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2 또는 104))로 핑거프린트 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다른 개인/인증/비밀 정보,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 인증 성공시에 설정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은 제어 메뉴(예: 볼륨 제어 메뉴 또는 재생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 볼륨 제어 기능(예: 볼륨 증가, 볼륨 감소, 또는 무음 처리), 또는 재생 제어 기능(예: 되감기, 빨리 감기, 일시 정지, 또는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변경 기능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변경 기능은 제1 모드(예: 일반 모드, 게스트 모드, 또는 제한된 모드)에서 제2 모드(예: 편집 모드, 관리자 모드, 또는 제한 해제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의 작동 방법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310 또는 461)) 상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핑거프린트 센서(예: 핑거프린트 센서(340 또는 465))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해 작용되는 압력, 상기 손가락에 의한 터칭 영역 대 상기 터치에 의한 유효 압력 영역의 비, 상기 손가락에 의한 상기 터치의 압력 또는 영역의 증가 비율, 또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의한 좌표 이동에 대한 압력 변화 비율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상기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지 않은 동안에,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가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유저를 인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안내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19)의 위에 터치스크린 패널(317)이 적층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317)은, 터치/호버링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TX 전극들(610) 및 복수의 RX 전극들(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패널(317)의 전극들은 선형 격자형 패턴 또는 다이아몬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손가락(390) 터치에 의한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TX 전극 및 RX 전극 간에는 일정한 정전 용량(Capacitance)이 형성될 수 있다(즉, C1=C2=C3=C4).
도 6b를 참고하면, 손가락(390) 터치에 의한 압력이 전면 커버(313)에 작용하면, TX 전극과 RX 전극 간의 간격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간격 변화에 대응한 정전 용량 변화 값인, z 값(또는 Delta Value)을 획득할 수 있다(즉, C1=C4<C2=C3).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터치 센서(예: 압력 센서(330) 또는 터치 센서(463)) 또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310 또는 461))를 이용하여 획득한 압력 값들의 분포, 즉 압력 분포(720)를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터치 센서의 표면 상의 x, y 좌표들에 대하여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압력 값들(또는 압력을 나타내는 정전 용량 값들)을 z 값들로서 나타낸다.
도 7b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압력 값들의 분포를 나타내는 2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핑거프린트(710)에 대응하는 압력 분포(720)는, 전체 압력값들에 대응하는 A 영역, 및 전체 압력값들 중에서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값들에 대응하는 B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이하, 프로세서를 예시함)는 A 영역의 면적에 대한 B 영역의 면적의 비율을 손가락에 의한 압력 정보(또는 압력 프로파일)로서 메모리(또는 압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터치 센서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터치 입력 시 발생하는 z 값들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터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z 값들이 발생된 터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터치 좌표를 기반으로 터치 면적(또는 A 영역의 면적) 중 특정 임계 값 이상의 z 값들이 발생된 유효 압력 면적(또는 B 영역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터치 면적과 유효 압력 면적의 비율 차이는 특정 유저에서 손가락 유형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구별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압력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터치 제스쳐 입력의 압력 증가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의 손가락 유형(예: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또는 소지), 손가락 마디 길이, 손가락의 크기 등에 의해 터치 입력에서의 압력 레벨과 압력 증가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로 엄지 손가락은 검지 손가락에 비해 압력 레벨과 압력 증가 비율이 높을 수 있다. 손가락에 따른 압력 레벨은 유저의 의도에 의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는 손가락에 따라 일정한 변화 비율을 나타내는 압력 증가 비율을 기반으로 압력 프로파일들을 운영할 수 있다.
도 8은, 제1 내지 제4 손가락들에 대한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선들(810, 820, 830 및 840)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은 압력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예시한다.
손가락 유형 시점(t0) 가압 레벨 시점(t1) 가압 레벨
Δt1=0.09s
가압 증가 비율(SLOPE)
Finger#1 P0=0 P4=20227 20.26
Finger#4 P0=0 P1=11070 11.204
도 9a 및 도 9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정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도 9a는 유저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패널(319)에 표시된 오브젝트(329)를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9b는 드래깅 제스쳐 입력에 대한 압력 변화 비율을 나타낸다.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이하, 프로세서를 예시함)는, 드래그 터치 좌표 이동에 따른 압력 변화 비율을 기반으로 압력 프로파일을 운영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한 드래그 터치 이동의 경우에, 손가락 유형에 따라 정지 상태의 터치 입력과는 다른 압력 레벨로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드래그 터치 이동 시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 비율을 기반으로 손가락을 구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정지 상태에 있는 터치 입력의 압력 레벨을 측정하고, 드래그 터치 이동 시 발생되는 터치 입력의 압력 레벨을 측정함에 따라 손가락에 대응한 압력 변화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드래그 터치 이동 시작 지점에는 정지 상태 지점에 비해 압력이 감소되는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압력 프로파일은 드래그 터치 이동 시작 지점(d1)의 압력 측정값(P3)에 대한 정지 상태 지점(d0)의 압력 측정 값(P4)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를 참고하면, 모바일 기기(1001)(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이하, 모바일 기기(1001)를 예시함)는, 유저(1009)의 핑거프린트를 등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010)를 디스플레이(1006)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10)는 정지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위한 제1 오브젝트(1020) 또는 제1 그래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1)는 터치 입력이 제1 오브젝트(1020) 위에 정지한 상태에서 핑거프린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핑거프린트 이미지 및 압력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유저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1)는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010)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유저 입력은,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 상의 미리 설정된 터치/호버링 제스쳐(예: 스와입 제스쳐, 드래깅 제스쳐, 또는 스크롤 중의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그래픽 요소의 선택, 음성 명령, 또는 모션 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를 참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1010)는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1030) 또는 제2 그래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1)는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위해 제1 오브젝트(1020) 및 제2 오브젝트(103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1)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핑거프린트 정보와 함께 핑거프린트 정보로부터 추출된 압력 프로파일 정보를 유저 인증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1)는 정지 상태의 핑거프린트 정보 및/또는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한 유저 또는 한 유저의 한 손가락에 대한 인증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1)는 정지/이동(Stationary/Moving) 터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핑거프린트 등록(Fingerprint Registration)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1)는 다양한 이동 방향의 제스쳐 입력(예: 드래깅 제스쳐)에 대응하는 핑거프린트 입력과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1)는 다양한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10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1)는 디스플레이(1006)를 통해 0도, 45도, 90도, 135도 또는 180도에 해당하는 방향의 제2 오브젝트(1030)로부터 제1 오브젝트(1020)로 이동되는 드래그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1)는 각 방향으로 수신된 드래그 터치 입력으로부터 해당 방향에 대응한 압력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1)는 터치 입력이 제1 오브젝트(1020) 위에 정지하거나 제1 오브젝트(1020) 위를 지나가는 동안에핑거프린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핑거프린트 이미지 및 압력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유저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1)는 터치 입력을 유지하면서 제1 오브젝트(1020) 및 제2 오브젝트(1030)를 연속하여 드래그(또는 스와이프)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모바일 기기(1101)(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이하, 모바일 기기(1101)를 예시함)는,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110) 위에 적어도 하나의 통지 메시지(1123)를 포함하는 통지 패널(Notification Panel)(1120)을 디스플레이(1106)(예: 디스플레이(310 또는 46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101)는 핑거프린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111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모바일 기기(1101)는 통지 메시지(1123)를 선택하여 드래그하는 유저(1109)의 드래깅 제스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드래깅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모바일 기기(1101)는 디스플레이(1106) 또는 터치 센서(463)(예: 터치 센서(251) 또는 압력 센서(330))로부터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로부터 압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101)는 획득한 압력 프로파일과, 메모리(예: 메모리(430))에 저장된 압력 프로파일을 비교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101)는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이 등록된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이면, 모바일 기기(1101)는 핑거프린트 센서(예: 핑거프린트 센서(340 또는 435))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101)는 핑거프린트 센서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111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면, 모바일 기기(1101)는 통지 메시지(1123)를 선택하여 제1 오브젝트(1113) 또는 제2 오브젝트(1115) 위로 드래그하는 유저(1109)의 드래깅 제스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오브젝트(1113) 또는 제2 오브젝트(1115) 위로 드래그하는 유저(1109)의 드래깅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모바일 기기(1101)는 핑거프린트 센서로부터 핑거프린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핑거프린트 정보와 메모리(430)에 저장된 핑거프린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정보들이 서로 대응되면, 모바일 기기(1101)는 통지 메시지(1123)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101)는 핑거프린트 인증 과정 또는 결과를 나타내는 제3 오브젝트(1117)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기기(예: 모바일 기기(101, 301 또는 401)) 또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421))(이하, 프로세서를 예시함)는 드래깅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는 압력 정보(1230)(또는 압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핑거프린트 센서(예: 핑거프린트 센서(340 또는 435))를 이용하여 획득한 핑거프린트 이미지(1210)를 필터(1220)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핑거프린트 이미지(1210)의 변형 정도를 압력 정보(1230)(예: 드래깅 제스쳐의 속도 및/또는 드래깅 제스쳐의 압력 변화 비율)에 근거하여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핑거프린트 이미지 변형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압력 정보(1230)(예: 드래깅 제스쳐의 속도 및/또는 드래깅 제스쳐의 압력 변화 비율)에 근거하여 필터(1220)의 종류 및/또는 계수(또는 필터링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종류 및/또는 계수에 따른 필터(1220)의 동작에 따라 보정된 핑거프린트 이미지(1240)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오브젝트(예: 통지 메시지(1123))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예: 유저 인터페이스(1110))를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106)) 상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누름 감지 장치(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 감지 장치(1100)는 제 1 플레이트들(1110), 제 2 플레이트들(1120) 및 제 3 플레이트(113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들(111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단에서 상호 연결되고 전류가 흐르며, 제 2 플레이트들(1120)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제 1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되고 종단에서 상호 연결되며 전류가 흐른다. 제 3 플레이트(1130)는 전류가 흐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제 1 플레이트들과 제 2 플레이트들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3 플레이트(1130)가 눌려 탄성 변형되면서 제 1 플레이트들(1110)과 제 2 플레이트들(1120) 사이의 저항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저항 변화에 의해 누름을 감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모바일 기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향해 드래그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가 아닌 경우에 유저의 페이스를 촬영하여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이동 상태의 핑거프린트 등록을 안내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근거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유저를 인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활성화하지 않은 동안에, 상기 제스쳐 입력을 제공하는 손가락이 상기 핑거프린트 센서를 통하여 인증을 위해 등록된 손가락들 중의 하나가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해 작용되는 압력;
    상기 손가락에 의한 터칭 영역 대 상기 터치에 의한 유효 압력 영역의 비;
    상기 손가락에 의한 상기 터치의 압력 또는 영역의 증가 비율; 또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의한 좌표 이동에 대한 압력 변화 비율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상기 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134981A 2019-10-29 2019-10-29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KR20210050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981A KR20210050652A (ko) 2019-10-29 2019-10-29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981A KR20210050652A (ko) 2019-10-29 2019-10-29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652A true KR20210050652A (ko) 2021-05-10

Family

ID=7591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981A KR20210050652A (ko) 2019-10-29 2019-10-29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6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6531B1 (ko) 지문 인식을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255793B1 (ko)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49216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nteracting between multiple areas of a display
US10733959B2 (en) Method for configuring input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070565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including elastic member for preventing/reduc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pressure sensor
US11068150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ressure value of forc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200126519A1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544477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보호 케이스 및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2001173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input conditions based on type of touch input
US114450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peration thereof
US2021013272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for detecting external input
KR102448803B1 (ko)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911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5666B1 (ko)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저장 매체
US1130761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US113407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100829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50652A (ko)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KR2021001687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25244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74425B2 (en)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effects by displaying a drawing output corresponding to a drawing input usi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70956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ensor for touch recognition and sensor for hovering recogni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4144749B (zh) 基于触摸输入的操作方法及其电子装置